KR102317908B1 - 에어튜브 보트 - Google Patents

에어튜브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908B1
KR102317908B1 KR1020200050874A KR20200050874A KR102317908B1 KR 102317908 B1 KR102317908 B1 KR 102317908B1 KR 1020200050874 A KR1020200050874 A KR 1020200050874A KR 20200050874 A KR20200050874 A KR 20200050874A KR 102317908 B1 KR102317908 B1 KR 10231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air tube
fixing
boa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해
Original Assignee
김종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해 filed Critical 김종해
Priority to KR102020005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2Inflatable having part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63B7/087Motor mountings, e.g. transom panels for outboar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튜브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면서 보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부피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보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부품들이 상호 견고한 구조로 결합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레저용 조립식 에어튜브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기가 주입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 한 쌍의 원통형 에어튜브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에어튜브 보트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에어튜브(100)의 전후방에서 각 에어튜브(100)를 상호 고정하는 한 쌍의 제1 지지프레임부(200); 한 쌍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200)의 사이에서 각 에어튜브(100)를 상호 고정하는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30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부(200)는, 상기 에어튜브(100)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고, 상하측에 각각 상측 삽입관(211) 및 하측 삽입관(212)이 내향 돌출된 고정링(210)과,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상측 삽입관(211)에 고정되는 상측 지지프레임(220)과,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하측 삽입관(212)에 고정되는 하측 지지프레임(23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에어튜브 보트{AIR TUBE BOAT}
본 발명은 에어튜브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면서 내구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레저용 에어튜브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용 보트(Boat)는 수상에서 낚시 또는 스킨, 스쿠버다이빙 등을 즐길 수 있도록 노라든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추진되는 소형의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경량성과 보관성 및 운송성 등을 고려하여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보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튜브 보트는 비교적 중량이 작으므로 이동성이 우수하기는 하지만 유속이 느린 강이나 못 등에서 낚시를 하고자 할 때 물의 흐름이나 바람 등의 저항에 의해 보트가 이동하거나 요동하기 쉽고, 따라서 원하는 위치 장소에서 낚시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주로 보조수단을 이용하여 보트를 강제정박시킨 다음 낚시하게 된다.
종래 레저용 에어튜브 보트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03996호에서는 보트에 결합구성된 체결링의 폴대결합관 상단에 스토퍼를 체결 고정하되, 상기 스토퍼에는 폴대가 끼워질 수 있는 관통공과 스톱 레버를 탄력 설치하여 스톱 레버에 의해 관통공을 통과하는 고정 폴대를 신속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보트 정박을 위한 폴대고정스토퍼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보트의 에어튜브는 전체적으로 'U'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에어를 완전히 방출시키더라도 에어튜브 자체의 부피가 클 수밖에 없으므로 에어튜브를 비롯한 부속품들을 보관 및 운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1269호(특허문헌 2)에서는 에어튜브를 'U'자형으로 제조하지 않고 'I'자 형 에어튜브 한 쌍을 서로 연결한 형태의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즉 특허문헌 2의 에어튜브 보트는, 상부에 외주연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이음편이 형성된 측벽 및 이 측벽의 하부로부터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는 바닥면의 상부에 사용자들이 앉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를 갖는 선체;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을 갖는 이음편 양측으로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외주연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제 1결속편을 갖는 하판 및 이 하판의 제 1결속편에 면접촉되도록 설치된 후 접착부재에 의해 결합되면서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제 2결속편을 갖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부구체; 및 상기 부구체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다수개의 공간부를 제공하는 다수개의 격벽;을 포함하는 레저용 보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역시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2개의 부구체 사이에 부피가 큰 선체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운반 및 조립이 어렵기 때문에 통상 보트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 분해 없이 그대로 보관하게 되어 매우 큰 공간이 필요할 뿐 아니라 보트 운반시에도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운반할 수밖에 없어서 부수적인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03996호 등록특허공보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1269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튜브 보트를 조립식으로 마련하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면서 보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부피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보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에어튜브 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레저 활동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 가능하고, 부품들이 상호 견고한 구조로 결합되어 내구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정박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튜브 보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가 주입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 한 쌍의 원통형 에어튜브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에어튜브 보트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에어튜브의 전후방에 배치되고 각 에어튜브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제1 지지프레임부;
한 쌍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각 에어튜브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부는, 상기 에어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고,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상측 삽입관 및 하측 삽입관이 내향 돌출된 고정링과,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상측 삽입관에 체결되는 상측 지지프레임과,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하측 삽입관에 체결되는 하측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튜브 보트에 따르면, 에어튜브 보트를 조립식으로 마련하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면서 보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부피나 크기가 최소화되어 있어서 보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분해 상태에서 보관 가능하면서 승용차 트렁크에도 적재 가능하기 때문에 운반성이 우수하고,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레저 활동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 가능하고, 부품들이 상호 견고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내구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폴대를 사용하여 정박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작용효과를 수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튜브 보트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B'부의 분해 및 조립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C'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C'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튜브의 측면도로서, 정박용 폴대를 장착하는 고정링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튜브 보트의 전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양태에만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어떠한 요소를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며,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예컨대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으로 사용된 용어는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그러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튜브 보트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공기가 주입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 한 쌍의 원통형 에어튜브(100)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에어튜브(100)를 상호 연결, 고정하기 위해 제1 지지프레임부(200) 및 제2 지지프레임(30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프레임부(200)는, 상기 에어튜브(100)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프레임부(200)의 사이에는 각 에어튜브(100)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 지지프레임(200)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2 지지프레임(200)은 도시한 예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부(200)의 사이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전방의 제1 지지프레임부(200)보다 더 앞 부분에 설치되거나, 후방의 제1 지지프레임부(200)보다 더 뒷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의 (a) 및 도 3과 같이 상기 제1 지지프레임부(200)는, 상기 에어튜브(100)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는 환형의 고정링(21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21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상측 삽입관(211) 및 하측 삽입관(212)이 내향[한 쌍의 에어튜브(10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프레임부(200)는,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상측 삽입관(211)에 고정되는 상측 지지프레임(220)과,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하측 삽입관(212)에 고정되는 하측 지지프레임(2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20)은 내부가 중공인 관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상측 삽입관(211)이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20)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수나사(222)가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20)의 측면에 천공된 암나사부(221)를 관통하여 나사 체결됨에 따라 수나사(222)를 정/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측 지지프레임(220)을 상측 삽입관(211)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230) 역시 내부가 중공인 관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측 삽입관(212)이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230)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고정핀(232)이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230)의 상면에 천공된 관통홀(231)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하측 삽입관(212)의 수직홀(213)에 관통함으로써 하측 지지프레임(230)과 하측 삽입관(212)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핀(232)을 제거하여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지지프레임부(200)는 상측 지지프레임(220)과 하측 지지프레임(230)이 한 쌍의 에어튜브(100)를 상하 위치에서 연결, 고정하기 때문에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보강프레임(240)을 상측 지지프레임(220)과 하측 지지프레임(230)에 개재하여 2개의 지지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상호 연결, 고정하면 제1 지지프레임부(200)의 내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 보강프레임(240)은 보트의 크기에 따하 한개 또는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b)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튜브(100)의 외면에는 고정구(12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120)에는 상하 방향으로 홀(121)이 천공된 수평 고정판(122)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2 지지프레임(300)의 각 단부 하면에는 수용공간(310)을 형성하는 제1브라켓(311)이 구비되고 수용공간(310)의 상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천공된 관통홀(312)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고정판(122)이 상기 수용공간(310)에 내입된 상태에서 고정핀(313)이 상기 제2 지지프레임(300)의 관통홀(312)을 수직 관통한 후, 연속해서 상기 수평 고정판(122)의 홀(121)을 관통하게 하면, 제2 지지프레임(300)을 고정구(120)에 쉽게 고정할 수 있고, 반대로 고정핀(313)을 제거하면 제2 지지프레임(300)을 고정구(120)에서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지지프레임부(200) 및 제2 지지프레임(300)의 일측 단부가 1개의 에어튜브(100)에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반대편도 동일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1의 'B'부의 분해 및 조립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의 'C'부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1의 'C'부의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프레임(300)은 한 쌍이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이들 제2 지지프레임(300)을 상호 지지하기 위해 전후에 배치된 각 제2 지지프레임을 연결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보강프레임(32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보강프레임(320)은 조립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300)이 상호 마주보는 각 측면에는 수직 슬릿(331)을 형성하는 제2브라켓(330)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 보강프레임(32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수직 슬릿(331)에 내입되어 결속되는 수직 플레이트(321)가 구비되어 수평 보강프레임(320)을 제2 지지프레임(300)에 조립식으로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튜브(100)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 보조관(4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관(400)은 예를 들면 낚시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설치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보조관(400)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수평 보강프레임(320)의 상면에 수평 슬릿(421)을 형성하는 다수 개(도면에서는 2개를 예시함)의 제3브라켓(4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관(400)에는 상기 수평 슬릿(421)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수평 플레이트(410)가 연결되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는 상기 에어튜브(1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루어진 호형의 연장 플레이트(411)를 매개로 상기 보조관(4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면, 호형의 연장 플레이트(411) 저면이 에어튜브(100)의 외주면에 접하게 되어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를 상기 수평 슬릿(421)에 끼우는 것만으로 보조관(400)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보조관(400)은 상기 연장플레이트(411)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관(400)의 상부에 노브(430)가 설치되고, 상기 노브(430) 하단에는 보조관(400)을 수직으로 관통한 나사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은 상기 연장플레이트(411)에 나사 체결된다. 이에 따라 노브(430)을 조이면, 보조관(430)이 연장플레이트(411)에 고정되고, 노브(430)의 조임을 해제하면 보조관(430)만 분리하여 다른 형태의 보조관을 재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튜브의 측면도로서, 보트를 정박하기 위해 폴대를 장착하는 고정링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210)의 외측에는 보트 정박을 위한 폴대(도시하지 않음)가 관통하는 폴대 고정관(214)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210)은 상기 에어튜브(100)의 저부에 구비된 링 고정관(130)을 관통함으로써 고정링(210)의 하부가 상기 에어튜브(100)의 저부에 완전 고정되며, 에어튜브(100)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에어튜브(100)가 팽창하면서 고정링(210)이 에어튜브(100)를 압박하는 형태로 그 외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에어튜브(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링(210)의 양 측면을 잡아주기 위해 한 쌍이 돌출된 링 가이드(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링 가이드(110)는 에어튜브(100)의 외주면을 따라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트의 전후좌우에 각각 4개의 폴대 고정관(214)이 마련되는데, 보트 정박시 정박 안정성을 위해 폴대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보다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좋고, 더욱이 폴대 하단이 보트의 외곽에서 벗어난 바깥쪽 위치의 지면에 닿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폴대 하부가 보트의 아래에서 벌어지게 하는 것이 보트를 더욱 안정적으로 정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폴대 고정관(214)을 고정링(210)에 용접 고정할 때, 폴대 고정관(214)을 약간 기울어지게 고정시킬 수 있고, 이 경우 보트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폴대 아래가 벌어지게 된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링가이드(110)를 에어튜브(100)에 외면에 설치할 때 상기 링 고정관(130)을 중심으로 수직선상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D)에 배치한다. 즉 도 7의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의 링 가이드(110)는 좌측의 링 고정관(130)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도면에서 우측의 링 가이드(110)는 우측의 링 고정관(130)보다 왼쪽에 위치하도록 하면, 도 7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에 배치(보트를 기준으로 보면 전후에 배치된 것임)된 폴대 고정관(214)의 상호 거리는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형태로 기울어지며, 이 경우 폴대의 하부가 벌어져서 보트를 안정적으로 정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튜브 보트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보트의 후방에는 스크류 모터(511)가 하단에 장착된 방향 키(510)를 비롯하여 상기 방향 키(510)를 고정하는 고정대(5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대(500)는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후방에 배치된 제1 지지프레임부(200)의 상측 지지프레임(220)과 하측 지지프레임(230)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고정대(500)의 상하부가 각 지지프레임(220,230)에 각각 고정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8과 같이 상기 제1 지지프레임부(200) 및 제2지지프레임(3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탑승하기 위한 선체(6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선체(600)는 상기 에어튜브(100)와 같이 공기를 주입하여 형성되고, 공기를 방출시키면 부피가 감소하는 튜브 형태로 제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튜브 보트는, 에어튜브(100) 및 선체(600)가 공기 주입식으로 형성되고, 이들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요소들이 대부분 선재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이들을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분해시 각 부품의 부피가 작아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레저를 위한 현장에서 즉시 조립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나 형상 및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 가능하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에어튜브 110 : 링 가이드
120 : 고정구 121 : 홀
122 : 수평 고정판 130 : 링 고정관
200 : 제1 지지프레임부 210 : 고정링
211 : 상측 삽입관 212 : 하측 삽입관
213 : 수직홀 214 : 폴대 고정관
220 : 상측 지지프레임 221 : 암나사부
222 : 수나사 230 : 하측 지지프레임
231 : 관통홀 232 : 고정핀
240 : 수직 보강프레임 300 : 제2 지지프레임
310 : 수용공간 311 : 제1브라켓
312 : 관통홀 313 : 고정핀
320 : 수평 보강프레임 321 : 수직 플레이트
330 : 제2브라켓 331 : 수직 슬릿
400 : 보조관 410 : 수평 플레이트
411 : 연장 플레이트 420 : 제3브라켓
421 : 수평 슬릿 430 : 노브
500 : 고정대 510 : 방향키
511 : 스크류 모터 600 : 선체

Claims (12)

  1. 공기가 주입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 한 쌍의 원통형 에어튜브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에어튜브 보트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에어튜브의 전후방에 배치되고 각 에어튜브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제1 지지프레임부;
    한 쌍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각 에어튜브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부는, 상기 에어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고,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상측 삽입관 및 하측 삽입관이 내향 돌출된 고정링과,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상측 삽입관에 고정되는 상측 지지프레임과,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하측 삽입관에 고정되는 하측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지지프레임 한 쌍이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전후에 배치된 각 제2 지지프레임을 상호 연결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삽입관이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천공된 암나사부를 관통하여 나사 체결된 수나사에 의해 고정 및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측 삽입관이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천공된 관통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상기 하측 삽입관의 수직홀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과 하측 지지프레임을 상호 연결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홀이 천공된 수평 고정판이 상기 에어튜브의 외측 면에 고정된 고정구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각 단부 하면에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 고정판이 상기 수용공간에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관통홀을 수직 관통하는 고정핀이 상기 수평 고정판의 홀을 관통하여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보트.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이 상호 마주보는 각 측면에 수직 슬릿을 형성하는 제2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 보강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수직 슬릿에 내입되는 수직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조립식으로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보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 보조관이 구비되되, 상기 수평 보강프레임의 상면에 수평 슬릿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3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관에는 상기 수평 슬릿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수평 플레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는 상기 에어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이루어진 호형의 연장 플레이트를 매개로 상기 보조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보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은 상기 연장플레이트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보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외측에는 보트 정박을 위한 폴대가 관통하는 폴대 고정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은 상기 에어튜브의 저부에 구비된 링 고정관을 관통하여 상기 에어튜브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링의 양 측면을 잡아주기 위해 한 쌍이 돌출된 링 가이드가 구비되되,
    상기 링가이드는 상기 링 고정관을 중심으로 수직선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전후에 배치된 폴대 고정관 상호 거리는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형태로 기울어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보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단에 스크류 모터가 구비된 방향 키를 고정하는 고정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대는 후방에 배치된 제1 지지프레임부의 상측 지지프레임과 하측 지지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보트.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프레임부 및 제2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주입하여 형성되는 선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 보트.
KR1020200050874A 2020-04-27 2020-04-27 에어튜브 보트 KR102317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874A KR102317908B1 (ko) 2020-04-27 2020-04-27 에어튜브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874A KR102317908B1 (ko) 2020-04-27 2020-04-27 에어튜브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908B1 true KR102317908B1 (ko) 2021-10-26

Family

ID=7826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874A KR102317908B1 (ko) 2020-04-27 2020-04-27 에어튜브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8065A (zh) * 2022-08-06 2022-11-01 山东安信行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充气式水上作业平台
KR102491054B1 (ko) * 2022-04-21 2023-01-26 박인식 수륙 양용 좌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97U (ja) * 1993-11-05 1995-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立式ボート及び組立式ボートに用いるフロート
US5888024A (en) * 1997-04-04 1999-03-30 Big "O" Inc. Marine dock and flotation tank
KR200271269Y1 (ko) 2002-01-18 2002-04-09 이봉충 레저용 보트
KR100403996B1 (ko) 2000-11-30 2003-11-01 박광태 낚시용 보트 정박을 위한 폴대고정스토퍼
US20090145345A1 (en) * 2007-10-25 2009-06-11 Richard Newcomb Emergency watercraft
KR20170004064U (ko) * 2016-05-23 2017-12-01 이규중 보트 정박용 링 스톱퍼
KR101903292B1 (ko) * 2017-09-14 2018-11-13 강정모 간편 조립식 레저용 보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97U (ja) * 1993-11-05 1995-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立式ボート及び組立式ボートに用いるフロート
US5888024A (en) * 1997-04-04 1999-03-30 Big "O" Inc. Marine dock and flotation tank
KR100403996B1 (ko) 2000-11-30 2003-11-01 박광태 낚시용 보트 정박을 위한 폴대고정스토퍼
KR200271269Y1 (ko) 2002-01-18 2002-04-09 이봉충 레저용 보트
US20090145345A1 (en) * 2007-10-25 2009-06-11 Richard Newcomb Emergency watercraft
KR20170004064U (ko) * 2016-05-23 2017-12-01 이규중 보트 정박용 링 스톱퍼
KR101903292B1 (ko) * 2017-09-14 2018-11-13 강정모 간편 조립식 레저용 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054B1 (ko) * 2022-04-21 2023-01-26 박인식 수륙 양용 좌대
CN115258065A (zh) * 2022-08-06 2022-11-01 山东安信行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充气式水上作业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7908B1 (ko) 에어튜브 보트
US7536966B2 (en) Sectional pontoon boat
US8950416B1 (en) Removable and collapsible cover system
US20070295379A1 (en) Modular boat lift canopy assembly and kit
US9212497B2 (en) Portable and collapsible pool chair
US7263940B2 (en) Pontoon frame and adjustable motor mount
US20190112833A1 (en) Cover Assembly For An Enclosure
US8800467B2 (en) Float structure mainframe
US4290157A (en) Collapsible boat
US20210016859A1 (en) Fishing accessory support structure for an inflatable boat
KR101903292B1 (ko) 간편 조립식 레저용 보트
KR102078593B1 (ko) 레저용 조립식 보트
KR200485103Y1 (ko) 보트용 다용도 홀딩장치
US5950256A (en) Foldable hot tub seat
KR20140023526A (ko) 패들링 보드
US6840830B1 (en) Buoyant ring lounger
KR101357831B1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KR102199116B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유닛
CN112389580B (zh) 充气式双体帆船
KR100564395B1 (ko) 낚시용 배
US10994814B1 (en) Retrofittable seat assembly
KR102056325B1 (ko) 조립식 낚시 보트
KR100428743B1 (ko) 조립식 보트
US20080001443A1 (en) Combination cooler and seat system
KR20110122392A (ko) 낚시용 좌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