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526A - 패들링 보드 - Google Patents

패들링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526A
KR20140023526A KR1020120089467A KR20120089467A KR20140023526A KR 20140023526 A KR20140023526 A KR 20140023526A KR 1020120089467 A KR1020120089467 A KR 1020120089467A KR 20120089467 A KR20120089467 A KR 20120089467A KR 20140023526 A KR20140023526 A KR 20140023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member
board
air
paddling
re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928B1 (ko
Inventor
정창희
Original Assignee
정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희 filed Critical 정창희
Priority to KR1020120089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9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2/51Inflatable boards, e.g. drop-stitch inflatable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들링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이중공간지로 형성하되, 별개로 형성된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두 부분을 부착하여 형성함으로써, 가볍고,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서핑이나 물놀이시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가 빠지더라도, 공기가 주입된 타측에 의해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패들링 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 상,하면을 강화 섬유사로 연결하는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지는 전부 부재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상기 전부 부재의 후부에 연결 설치되는 후부 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삼각형상의 몰딩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들링 보드{paddling board}
본 발명은 패들링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이중공간지로 형성하되, 별개로 형성된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두 부분을 부착하여 형성함으로써, 가볍고,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서핑이나 물놀이시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가 빠지더라도, 공기가 주입된 타측에 의해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패들링 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각종 레저 활동 및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되고 있다. 특히 수상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 중 대표적인 것으로 서핑(surfing)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서핑으로는 대표적으로 파도타기 또는 윈드 서핑 등이 있다.
서핑을 위해서는 서핑용 보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서핑용 보드는 보드 판재에 사람이 양발로 딛고 올라 서기도 하고, 보드판재에 상체를 대고 엎드려서 파도를 타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서핑용 보드는 크기가 길이 약 1.5~3.7m, 나비 약 50~60㎝, 두께 약 7~10㎝ 정도여서 상당한 부피를 갖는데, 종래에는 목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그 무게가 50 kg 이상에 달하였다. 따라서, 보관뿐만 아니라 운반 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우레탄이 서핑용 보드의 소재로서 소개되었다. 하지만, 서핑용 보드는 일정한 크기를 가져야 하므로 그 무게의 감소에도 한계가 존재하며, 폴리우레탄도 경질 소재이므로, 보관이나 운반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레저 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전문적인 파도타기나 윈드 서핑 외에도 물놀이 시설이 구비된 놀이공원에서 즐길 수 있는 간단한 서핑도 최근 소개되고 있는데, 종래의 서핑용 보드는 이러한 시설물 내부에서 사용하기에 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979508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상면(214), 하면(212) 및 상기 상면(214)과 하면(212)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라인(213)을 구비하며, 상기 상면(214)과 하면(212)을 관통하는 중공부(110)가 형성된 내부공간재(210)와 상기 내부공간재(210) 상에 구비된 상부시트(123), 하부시트(124), 중공부 측면시트(121) 및 외부 측면시트(122)를 포함하는 외형재 및 상기 내부공간재(2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100)로서, 상기 내부공간재(210)는 섬유로 직조되어 상기 상면(214), 하면(212) 및 지지라인(213)이 일체로서 형성되며, 그 내부로 공기주입 시 주입된 공기의 부력에 의해 상기 보드는 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상면(214) 및 하면(212)이 평탄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라인(213)이 상기 상면(214)과 하면(212)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게 되며, 내부공간재(210)와 외형재 사이에 코팅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전술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79508호에 기재된 기술은 보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공기를 배출하여 부피를 줄이게 되므로,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내부의 공간부를 하나로 형성하기 때문에, 서핑을 즐기는 중에, 외부의 암초나 날카로운 물건 등에 의해 보드가 파손되게 되면,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게 되어 부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물에 빠지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핑 및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패들링 보드를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로 각각 별개로 형성하고, 상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를 내부에 강화 섬유사가 구비된 이중 공간지로 형성함으로써, 무게를 가볍게 하고,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게 되면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두부분으로 형성함으로써, 물놀이나 서핑 중에 암초나 날카로운 물체 등에 의해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 중 어느 일측에 구멍이 나 공기가 빠지더라도, 다른 일측이 온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물에 빠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패들링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를 연결하여 형성하되,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를 이중 공간지로 형성하기 때문에,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되므로 연결되는 부분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상기 이격공간에 몰딩부재를 설치하고, 몰딩부재의 외측에 시트지를 부착함으로써, 연결되는 부분에 턱과 같은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게 하고, 연결되는 부분을 보다 견고하게 하여, 서핑 및 물놀이를 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패들링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을 강화 섬유사로 연결하는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지는 전부 부재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상기 전부 부재의 후부에 연결 설치되는 후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몰딩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몰딩부재의 외측면에는 시트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부 부재의 후단 하면에는 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에는 제1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제2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고,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몰딩부재를 커버하도록 상부 벨크로 테이프와 하부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제2벨크로 테이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서핑 및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패들링 보드를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로 각각 별개로 형성하고, 상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를 내부에 강화 섬유사가 구비된 이중 공간지로 형성함으로써, 무게를 가볍게 하고,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게 되면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두부분으로 형성함으로써, 물놀이나 서핑 중에 암초나 날카로운 물체 등에 의해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 중 어느 일측에 구멍이 나 공기가 빠지더라도, 다른 일측이 온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물에 빠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를 연결하여 형성하되,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를 이중 공간지로 형성하기 때문에,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되므로 연결되는 부분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상기 이격공간에 몰딩부재를 설치하고, 몰딩부재의 외측에 시트지를 부착함으로써, 연결되는 부분에 턱과 같은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게 하고, 연결되는 부분을 보다 견고하게 하여, 서핑 및 물놀이를 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핑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서핑 보드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들링 보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들링 보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들링 보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에 따른 패들링 보드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들링 보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들링 보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들링 보드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에 따른 패들링 보드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서핑 또는 물놀이에 사용하는 패들링 보드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전부 부재(310)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부 부재(310)의 후부에 연결 설치되는 후부 부재(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는 내부에 강화 섬유사(T)가 구비되는데, 상기 강화 섬유사(T)는 내측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380)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강화 섬유사(T)가 상면과 하면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력이 분포되어, 표면이 평평하게 되고, 강도도 강해지게 되어, 상면에 성인이 올라 가더라도,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기 때문에, 서핑이나 물놀이 시에 부력이 좋아지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가 서로 접하는 부분(350)에는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하여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를 견고하게 접착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는 이중 공간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가 접하는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는 일정거리 이격되는 이격 공간(340)이 형성되게 되어, 사용자가 물놀이나 서핑을 할 때, 발이 걸리거나 하여, 넘어져 물에 빠지는 등의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이격 공간(340)에 물이 스며들어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물놀이 시에 보다 큰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가 접하는 부분(35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340)에 그 형상에 맞게 제작된 삼각 형상의 몰딩부재(360)를 설치함으로써, 이격 공간(340)을 채게 된다. 그로인해 사용자가 이격 공간(340)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격공간에 의한 저항을 줄여주게 된다.
또한, 접착제 만으로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를 연결할 경우, 물놀이나 서핑을 할 때, 서로 접하는 부분(350)을 중심으로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가 서로 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상기 몰딩부재(360)에 의해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어 보다 안정적으로 서핑이나 물놀이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튜브 형태의 물놀이 기구를 사용할 경우, 물놀이 시에 암초나 날카로운 물체 등에 의해 구멍이 생기게 되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부력이 줄어들어 사용자가 물에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패들링 보드를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로 분리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날카로운 물체나 암초 등에 걸려,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 중 어느 일측에 구멍이 생기더라도, 타측이 온전하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부력을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물놀이를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가 접하는 부분(35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340)에 몰딩부재(360)을 설치하게 되어,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몰딩부재(360)가 이탈되는 경우에는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가 휘어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몰딩부재(360)가 설치된 부분의 외측에 시트지(370)를 부착함으로써, 몰딩부재(36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몰딩부재(36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부 부재(320)의 후단 하면에는 킬부(330)가 더 형성되어, 서핑 시에 본 발명의 패들링 보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가 접하는 부분(350)에 제1벨크로 테이프(380)를 형성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가 접하는 부분(35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340)에 각각 몰딩부재(360)를 설치하며, 상기 몰딩부재(3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의 접하는 부분(35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몰딩부재(360)를 커버하도록 상부 벨크로 테이프(382)와 하부 벨크로 테이프(384)가 설치되는데, 상기 전부 부재(310)와 후부 부재(320)의 접하는 부분(35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제2벨크로 테이프(312,322)가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벨크로 테이프(382,384)를 부착 설치하게 된다.
한편,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에는 제1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제2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고,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몰딩부재를 커버하도록 상부 벨크로 테이프와 하부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제2벨크로 테이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패들링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이중공간지로 형성하되, 별개로 형성된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두 부분을 부착하여 형성함으로써, 가볍고,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서핑이나 물놀이시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가 빠지더라도, 공기가 주입된 타측에 의해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패들링 보드에 관한 것이다.
310 : 전부 부재 320 : 후부 부재
330 : 킬부 340 : 이격 공간
350 : 접하는 부분 360 : 몰딩 부재
370 : 시트지 380 : 주입구
T : 강화 섬유사

Claims (6)

  1. 내측을 강화 섬유사로 연결하는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지는 전부 부재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상기 전부 부재의 후부에 연결 설치되는 후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링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몰딩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링 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재의 외측면에는 시트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링 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링 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부 부재의 후단 하면에는 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링 보드.
  6. 제2항에 있어서,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에는 제1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제2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고, 전부 부재와 후부 부재의 접하는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몰딩부재를 커버하도록 상부 벨크로 테이프와 하부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제2벨크로 테이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링 보드.
KR1020120089467A 2012-08-16 2012-08-16 패들링 보드 KR101402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467A KR101402928B1 (ko) 2012-08-16 2012-08-16 패들링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467A KR101402928B1 (ko) 2012-08-16 2012-08-16 패들링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526A true KR20140023526A (ko) 2014-02-27
KR101402928B1 KR101402928B1 (ko) 2014-06-03

Family

ID=5026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467A KR101402928B1 (ko) 2012-08-16 2012-08-16 패들링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654A1 (ko) * 2014-05-20 2015-11-26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70B1 (ko) 2014-09-04 2015-06-10 (주)에어박스 패들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9758A (ko) 2020-12-21 2022-06-29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
KR102538486B1 (ko) 2021-11-04 2023-06-01 (주)에어박스 공기구조물 연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7913A1 (en) * 2003-02-05 2006-03-16 Yasuo Nakane Surf board and adhesive film for surf board
EP1888189A4 (en) * 2005-06-04 2011-12-28 Varial Surfing Technologies Llc SURFBOARD WITH WAVE CORE
KR200449402Y1 (ko) * 2008-03-18 2010-07-07 박주강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JP5577143B2 (ja) * 2010-04-15 2014-08-20 ジョイクラフト株式会社 エアフロ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654A1 (ko) * 2014-05-20 2015-11-26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928B1 (ko)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508B1 (ko)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
KR101527570B1 (ko) 패들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402928B1 (ko) 패들링 보드
US9227704B2 (en) Support system for a paddle board
US20180093746A1 (en) Inflatable Paddle Board
KR20160111252A (ko) 패들보드
US20170101164A1 (en) Inflatable sup board
JP3216591U (ja) スポーツ用具
KR20150007580A (ko)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77276B1 (ko)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KR101757054B1 (ko) 입좌식 패들링 보트
KR20100080265A (ko) 수상 레저용 보트
US20140162512A1 (en) Forearm boat
US7197996B2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KR100974029B1 (ko) 윈드서핑 보드
KR200449067Y1 (ko)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KR102067910B1 (ko) 카약
KR20090011556A (ko) 물놀이튜브 겸용 보트
KR200426874Y1 (ko) 물놀이 기구
KR100564395B1 (ko) 낚시용 배
US20130102212A1 (en) Axially stabilizing apparatus
US20230399081A1 (en) Body board
TWI294389B (ko)
KR101203604B1 (ko) 패들링 스포츠용 보트
RU209965U1 (ru) Плав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