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758A -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758A
KR20220089758A KR1020200179535A KR20200179535A KR20220089758A KR 20220089758 A KR20220089758 A KR 20220089758A KR 1020200179535 A KR1020200179535 A KR 1020200179535A KR 20200179535 A KR20200179535 A KR 20200179535A KR 20220089758 A KR20220089758 A KR 20220089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addle board
locking pin
chair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 호 김
Original Assignee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9758A/ko
Publication of KR20220089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40Twintip boards; Wakeboards; Surfboards; Windsurfing boards; Paddle boards, e.g. SUP board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70Accessori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type of board, e.g. paddings or buoyancy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들보드에 탈착 가능한 의자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앉아서 패들보드를 탈 수 있도록 한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는 소정 폭과 길이로 형성된 상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소정 폭과 길이로 형성된 하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사이에 부력을 갖는 부력재가 내장된 보드본체와, 상기 상부시트의 상면 일측에 'ㄴ'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인 걸림홈과, 상기 상부시트의 상면에 상기 걸림홈과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타측에 일정 깊이로 파인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부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부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고정홈부의 저면에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걸림핀과, 상기 걸림핀의 힌지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핀이 회전방향으로 소정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과,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ㄴ'형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핀에 걸리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걸림바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베이스부재와, 상기 시트베이스부재의 상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PADDLE BOARD WITH REMOVABLE CHAIR}
본 발명은 패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들보드에 탈착 가능한 의자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앉아서 패들보드를 탈 수 있도록 한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각종 레저 활동 및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중 수상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의 대표적인 것으로 서핑(surfing)을 예로 들 수 있다.
서핑을 하기 위해서는 서핑용 보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서핑용 보드는 보드 판재에 사람이 양발로 딛고 올라서기도 하고, 보드판재에 상체를 대고 엎드려서 파도를 타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핑을 즐기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을 요하고, 상당한 기간의 훈련이 필요하여 일부 서퍼들만이 즐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서핑용 보드에 비해 사용이 간편하고 초보자도 쉽게 배울 수 있는 패들보드를 이용한 패들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패들보드는 양발로 서서 노를 이용하여 수면 위를 자유자재로 패들링하는 데에 사용되는 서핑용 보드와 다소 차이점이 있는 보드이다.
패들보드는 서핑용 보드에 비해 폭과 길이가 크고, 부력 또한 상당히 커서 수면위에서 안정적으로 떠 있을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들보드는 보드 위에 서서 노를 저어 나아가기 때문에, 장시간 이용시 힘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보드 위에 서서 균형잡기 힘들어 하는 초보자의 경우에는 손쉽게 패들보드를 즐길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75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92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1252호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들보드에 의자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하여 장시간 이용시 의자에 앉아서 패들링 할 수 있도록 한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들보드 위에 서서 균형잡는 것이 어려운 초보자에게도 손쉽게 의자에 앉아 패들보드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는 소정 폭과 길이로 형성된 상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소정 폭과 길이로 형성된 하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사이에 부력을 갖는 부력재가 내장된 보드본체와, 상기 상부시트의 상면 일측에 'ㄴ'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인 걸림홈과, 상기 상부시트의 상면에 상기 걸림홈과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타측에 일정 깊이로 파인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부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부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고정홈부의 저면에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걸림핀과, 상기 걸림핀의 힌지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핀이 회전방향으로 소정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과,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ㄴ'형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핀에 걸리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걸림바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베이스부재와, 상기 시트베이스부재의 상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는 사용자가 패들보드 위에서 서서 균형을 잡기 힘든 경우나, 장시간 이용시 힘이 들 경우에, 앉아서 패들링을 손쉽게 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의자를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평소에는 의자 없는 패들보드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의 분해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에서 의자의 탈부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에서 의자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의 분해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에서 의자의 탈부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에서 의자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는 상호 결합되는 상부시트(11)와 하부시트(12), 그 사이에 구비된 부력재(13)로 이루어진 보드본체(10)와, 상부시트(11)의 상면에 의자를 탈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걸림홈(20) 및 걸림핀(30)과, 걸림핀(30)이 설치되는 고정홈부(40)와, 고정홈부(4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개폐부재(41)와, 걸림핀(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5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탈착되는 의자(60)는 일측에 걸림홈(20)에 걸리는 걸림돌기(7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핀(30)에 걸리는 걸림바(72)가 형성된 시트베이스부재(70)의 상면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부시트(11)와 하부시트(12)는 합성수지재 및 PVC재질로 제조되고, 소정 폭과 길이로 형성되되, 길고 좁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부력재(13)는 부력을 갖는 발포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부시트(11)와 하부시트(12)의 사이 내부 공간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시트(11), 하부시트(12), 부력재(13)가 조립되어 보드본체(10)를 형성하게 된다.
걸림홈(20)은 상부시트(11)의 상면 일측에 'ㄴ'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된다. 걸림홈(20)은 두 개가 형성되어 보드본체(10)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다.
고정홈부(40)는 걸림홈(20)으로부터 보드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직육면체의 형태로 파여 형성된다.
개폐부재(41)는 고정홈부(40)의 측면에 보드본체(10)의 상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개폐부재(41)는 고정홈부(4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게 된다.
걸림핀(30)은 고정홈부(40)의 저면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걸림핀(30)의 상단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걸림바(72)의 끝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걸림핀(30)의 힌지부분에 구비된 토션스프링(50)은 걸림핀(30)이 회전방향으로 소정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토션스프링(50)은 걸림핀(30)이 걸림바(72)를 소정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시트베이스부재(70)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걸림홈(20)에 걸리도록 'ㄴ'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돌기(71)가 한 쌍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걸림핀(30)에 걸리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걸림바(7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바(72)의 끝부분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걸림핀(30)의 상단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의자(60)는 시트베이스부재(70)의 상면에 구비되는데, 'ㄴ'형의 의자가 구비되거나, 네 개의 다리가 있어 소정 높이를 갖는 의자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는 사용자가 보드본체(10) 위에 서서 패들링을 하다가 힘들면 간편하게 의자(60)에 앉아서 패들링을 할 수가 있다. 또한, 보드본체(10) 위에 서서 균형을 잡기 힘든 초보자는 의자(60)에 앉아서 패들링을 즐길 수가 있다.
의자(60)는 필요에 따라 보드본체(10)에 탈착 가능하다.
의자(60)의 장착은 시트베이스부재(70)의 걸림돌기(71)를 상부시트(11)의 걸림홈(20)에 끼운 상태에서 시트베이스부재(70)를 하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때, 시트베이스부재(70)의 걸림바(72)가 걸림핀(30)에 걸리어 시트베이스부재(70)는 고정된다.
걸림바(72)는 토션스프링(5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걸림핀(30)에 견고히 걸리어 고정된다.
의자(60)의 분리는 걸림핀(30)을 가압하여 역회전시키고 걸림바(72)를 자유롭게 한 다음 시트베이스부재(70)를 상측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바(72)를 걸림핀(3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리고, 걸림돌기(71)를 걸림홈(20)으로부터 이탈시켜 시트베이스부재(70)를 분리하면 된다.
의자를 분리한 후, 고정홈부(40)의 개구된 상부는 개폐부재(41)로 차폐한다. 즉, 의자가 분리된 상태에서 패들보드를 사용할 경우, 상부시트의 표면에 오목한 홈이 제거되어 발을 디딜 때 불편함이 없어진다.
10 : 보드본체 11 : 상부시트
12 : 하부시트 13 : 부력재
20 : 걸림홈 30 : 걸림핀
40 : 고정홈부 41 : 개폐부재
50 : 토션스프링 60 : 의자
70 : 시트베이스부재 71 : 걸림돌기
72 : 걸림바

Claims (1)

  1. 소정 폭과 길이로 형성된 상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소정 폭과 길이로 형성된 하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사이에 부력을 갖는 부력재가 내장된 보드본체와,
    상기 상부시트의 상면 일측에 'ㄴ'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인 걸림홈과,
    상기 상부시트의 상면에 상기 걸림홈과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타측에 일정 깊이로 파인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부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부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고정홈부의 저면에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걸림핀과,
    상기 걸림핀의 힌지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핀이 회전방향으로 소정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과,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ㄴ'형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핀에 걸리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걸림바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베이스부재와,
    상기 시트베이스부재의 상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
KR1020200179535A 2020-12-21 2020-12-21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 KR20220089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535A KR20220089758A (ko) 2020-12-21 2020-12-21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535A KR20220089758A (ko) 2020-12-21 2020-12-21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758A true KR20220089758A (ko) 2022-06-29

Family

ID=8227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535A KR20220089758A (ko) 2020-12-21 2020-12-21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975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28B1 (ko) 2012-08-16 2014-06-03 정창희 패들링 보드
KR101527570B1 (ko) 2014-09-04 2015-06-10 (주)에어박스 패들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1252A (ko) 2015-03-16 2016-09-26 (주)에어박스 패들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28B1 (ko) 2012-08-16 2014-06-03 정창희 패들링 보드
KR101527570B1 (ko) 2014-09-04 2015-06-10 (주)에어박스 패들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1252A (ko) 2015-03-16 2016-09-26 (주)에어박스 패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3663C (en) Recreational balancing apparatus
US6705977B1 (en) Balance board
CA2749502C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US7993253B2 (en) Agility device
US8696396B1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WO2007144650A1 (en) Balance board
EP3145601B1 (en) Apparatus for putting on flippers
US11884369B2 (en) Inflatable convertible paddle board
US7867050B2 (en) Paddle assist to pop-up device
US3528116A (en) Floatable swimming accessory
KR20220089758A (ko) 탈착 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패들보드
US8246407B2 (en) Surf perch
USRE47021E1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KR101514758B1 (ko) 데크와 부츠의 바인딩 장치
KR20210001492A (ko) 자체부력을 갖는 아쿠아스키퍼
KR101114957B1 (ko) 수상 레저용 플로터
US5334066A (en) Water sports apparatus
US8202172B1 (en) Child rocking toy
KR101328361B1 (ko) 노를 구비한 튜브형 보트
US20200331567A1 (en) Wakesurf surfboard training device
KR101471100B1 (ko) 균형운동기구
KR100761517B1 (ko) 수상 스포츠 기구
JP2018139641A (ja) バランス台
KR20130002133U (ko) 서프보드
GB2581765A (en) Balanc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