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067Y1 -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 Google Patents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067Y1
KR200449067Y1 KR2020080002388U KR20080002388U KR200449067Y1 KR 200449067 Y1 KR200449067 Y1 KR 200449067Y1 KR 2020080002388 U KR2020080002388 U KR 2020080002388U KR 20080002388 U KR20080002388 U KR 20080002388U KR 200449067 Y1 KR200449067 Y1 KR 200449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y equipment
hull
rubber tube
hul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619U (ko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수 filed Critical 김윤수
Priority to KR2020080002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06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6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6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0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20Board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prone position, e.g. wild-water s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6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for use in a standing position, e.g. water shoes, water walking devices or buoyant sk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선체 기판과, 상기 선체 기판의 중앙부에 부착되는 받침판과, 상기 선체 기판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본체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물놀이기구는 자체에 공기가 주입되어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류나 얕은 하천과 같이 공간이 넓지 않은 수상에서도 수상스키와 같은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선체 기판, 받침판, 본체 튜브, 보호판, 고무튜브, 물놀이기구

Description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Dabbling implement using rubber tube}
본 고안은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얕은 하천이나 급류 등의 흐르는 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물놀이기구로는 공기 주입에 따른 부력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를 수면위로 부유되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튜브들과, 사용자의 신체를 수면과 접촉없이 승선되게 하여 수면위를 이동하도록 하는 레져용 고무보트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튜브나 고무보트는 자체에 부력을 지니고 있어 수영이 미숙한 사람이나 어린이들도 물에서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물놀이 기구이다.
이 외에도 모터보트의 추진력을 이용해 동작되는 수상스키나 수상보드와 같은 물놀이기구가 있는데, 이러한 물놀이기구는 그 자체로는 부력이 약하여 물에 쉽게 가라앉기 때문에 모터보트가 빠른 속도로 끌어주도록 하여 물과의 마찰로 부력을 얻어 수상스키나 수상보드가 부유되도록 하여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의 수상스키나 수상보드와 같은 물놀이기구는 모터보트가 쾌속질주를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장소가 강이나 호수 등과 같이 넓은 수상에서만 이용 가능하였고, 얕은 하천이나 급류 등에서는 모터보트가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종래의 수상스키나 수상보드와 같은 물놀이기구를 즐길 수가 없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얕은 하천이나 급류 등에서도 수상스키나 수상보드와 같은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물놀이기구를 연구한 끝에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급류나 얕은 하천에서도 수상스키와 같은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선체 기판과, 상기 선체 기판의 중앙부에 부착되고 상단에는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리가 부착된 받침판과, 상기 선체 기판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본체 튜브와, 물과 닿는 부분에 관통구가 형성된 원뿔꼴 튜브가 끼워진 한 쌍의 폴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선체 기판의 전후 측단부가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선체 기판은 그 하단 중앙부에 선체 기판의 하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판이 부착되고, 상기 보호판은 하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물길을 생성하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받침판에는 선체기판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에는 선체기판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너트삽입부가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받침판, 선체기판 및 보호판이 한 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본체 튜브는 적어도 둘 이상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선체기판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고무튜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는 자체에 공기가 주입되어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류나 얕은 하천과 같이 공간이 넓지 않은 수상에서도 수상스키와 같은 물놀이를 즐길 수 있고, 물놀이기구의 공기를 빼내어 접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이송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물놀이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놀이기구(1)는 중앙부에 다수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된 선체 기판(10)과, 상기 선체 기판(10)의 상단 중앙부에 구비되는 받침판(20)과, 상기 선체 기판(10)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본체 튜브(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선체 기판(10)과 본체 튜브(30)는 통상의 고무보트의 재료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PVC, 폴리에스테르, 나일론(하이팰런), 네오프렌, 에틸렌프로필렌고무, 우레탄플라스토머, 니트릴 고무 등의 합성섬유 직물의 표면이 방수 및 기밀성을 갖도록 처리된 소재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선체 기판(1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판상의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체 기판(10)의 전후 측단부가 상방향으로 구부려져 경사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전후 측단부가 상방향으로 구부려지면 물놀이기구(1)가 물의 흐름을 따라 앞으로 진행할 때에 진행방향에 발생하는 물과의 마찰저항을 줄여주기 때문에 진행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체 기판(10)에 형성된 관통공(11)은 추후 구비되는 받침판(20)을 볼트와 너트를 통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받침판(20)은 선체 기판(10)의 상단 중앙부에 구비되어 물놀이기구(1)의 이용시 선체 기판(10)이 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나무판자 또는 플라스틱판 등이 선체 기판(10)에 결합되어 받침판(20)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받침판(20)은 선체 기판(10)의 관통공(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삽입부(21)가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선체 기판(1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볼트 삽입부(21)는 볼트가 삽입되어 받침판(20)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볼트의 머리 부분이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볼트가 받침판(20) 위로 돌출됨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받침판(20)의 크기는 전체 선체 기판(10) 면적의 2/3 정도가 바람직한데, 만약, 이보다 작은 받침판(20)을 사용하게 되면 선체 기판(10)의 휨 방지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상기의 크기보다 크면 물놀이기구(1)의 사용 후, 그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보관 및 이송에 불편함이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20)의 내부는 비어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은데, 그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충진된 공기로 인하여 물놀이기구(1)의 전체적인 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체 튜브(30)는 선체 기판(10)의 양측에 형성되어 그 내부에 충진된 공기를 통하여 물놀이기구(1)의 부력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체 튜브(30)는 원통형의 고무튜브로 형성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를 빼고 접어두었다가 필요한 경우에 공기를 주입해서 팽창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주입구(31)가 형성되며, 이는 통상의 튜브에 형성되는 것을 접목하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체 튜브(30)는 기존의 고무보트의 구성시와 동일하게 선체기판(10)과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서로 연결되어 봉재되거나 볼트 또는 고정클램프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동종의 수지를 사용하여 열융착을 통해 연결할 수도 있다. 선체 기판(10)과 본체 튜브(30)의 연결은 본 고안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구성을 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물놀이기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놀이기구(1)는 선체 기판(10)의 하단에 돌기(41)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판(4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판(40)은 물놀이기구(1)의 사용시 선체 기판(10)의 하단이 물속에 있는 돌에 부딪치는 등의 외부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호판(40)은 전술한 선체 기판(10)의 관통공(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너트 삽입부(42)가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받침판(20) 및 선체 기판(10)과 한번에 결합된다.
이때 너트 삽입부(42)는 받침판(20)의 볼트 삽입부(21)와 마찬가지로, 너트가 상기 너트 삽입부(42)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보호판(40) 밖으로 너트가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호판(40)은 그 하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41)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기(41) 사이로 물이 흘러가게 되어 이를 따라 물길이 생성되고, 이러한 물길은 물의 진행방향을 조절하여주어 물놀이기구(1)가 일정방향을 유지하며 나아갈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물놀이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놀이기구(1)는 본체 튜브(30)가 적어도 둘 이상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본체 튜브(30)가 형성된 물놀이기구(1)는 그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본체 튜브(30)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자체의 부력이 더욱 향상되어 물놀이기구(1)가 물 위에 잘 부유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나의 본체 튜브(30)가 파손되어 그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더라도 다른 본체 튜브(30)에는 여전히 공기가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물놀이기구(1)의 부력이 유지되어 가라앉지 않아 사용자의 안정성을 충분히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20)의 상단에는 지지수단(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지지수단(50)은 본 고안의 물놀이기구(1) 이용시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발이 닿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수단(50)은 발을 걸 수 있도록 형성된 고리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발을 고리에 끼워 고정하도록 하거나,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거친 미끄럼방지판을 부착하여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거나, 한 쌍의 벨크로테잎을 각각 받침판(20)과 사용자의 신발 밑바닥에 부착하여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는 반드시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물놀이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변형예를 나타낸 물놀이기구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놀이기구(1)는 상기 선체 기 판(10)은 매트리스 형태의 고무튜브로 형성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를 빼고 필요한 경우에 공기를 주입해서 팽창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선체 기판(10)이 튜브로 형성된 경우 선체 기판(10)의 내부에도 공기가 충진될 수 있기 때문에 물놀이기구(1)의 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따른 물놀이기구(1)는 수상보드 형태로 제작된 물놀이기구(1)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 같이 형성된 물놀이기구(1)는 자체의 부력으로 물 위에 떠오를 수 있기 때문에 얕은 하천이나 급류 등 넓지 않은 장소에서도 수상보드와 같은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이러한 본 고안의 물놀이기구(1)는 수상스키로도 이용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물놀이기구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이 하나씩 끼워지도록 형성된 수상스키형태의 물놀이기구(1) 한 쌍과 한 쌍의 폴대(60)로 구성된다.
상기 수상스키형태의 물놀이기구(1)는 수상보드 형태의 물놀이기구(1)와 동일하게 구성을 갖게 형성된 것으로, 차이가 있다면, 그 폭이 수상보드 형태의 것보다 좁게 형성되고, 지지수단(50)이 각각의 물놀이기구(1)에 하나씩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도 5에는 상기 지지수단(50)이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폴대(60)는 수상스키의 추진력을 향상시키거나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물에 닿는 부분에 관통구가 형성된 원뿔꼴튜브(61)를 폴대(60)에 끼움으로써 물 위를 짚어 추진력을 향상시킬 시 그 성능을 최 대한 높여 가라앉는 것을 감소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폴대(6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통상의 등산용 지팡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는 수상보드나 수상스키 등의 형태로 제작되어 얕은 하천이나 급류 등의 넓지 않은 장소에서도 수상보드나 수상스키와 같은 물놀이를 즐기는 것이 가능토록 하고, 공기주입팽창식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공기를 빼내어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송이 용이하게 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물놀이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물놀이기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2b은 도 2a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물놀이기구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물놀이기구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변형예를 나타낸 물놀이기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물놀이기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물놀이기구
10: 선체 기판
11: 관통공
20: 받침판
21: 볼트 삽입부
30: 본체 튜브
31: 공기주입구
40: 보호판
41: 돌기
42: 너트삽입부
50: 지지수단
60: 폴대
61: 원뿔꼴튜브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선체 기판과,
    상기 선체 기판의 중앙부에 부착되고 상단에는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리가 부착된 받침판과,
    상기 선체 기판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본체 튜브와,
    물과 닿는 부분에 관통구가 형성된 원뿔꼴 튜브가 끼워진 한 쌍의 폴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체 기판은 전후 측단부가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체 기판은 그 하단 중앙부에 선체 기판의 하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판이 부착되고,
    상기 보호판은 하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물길을 생성하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선체기판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에는 선체기판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너트삽입부가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받침판, 선체기판 및 보호판이 한 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 튜브는 적어도 둘 이상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선체기판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고무튜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KR2020080002388U 2008-02-22 2008-02-22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KR200449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388U KR200449067Y1 (ko) 2008-02-22 2008-02-22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388U KR200449067Y1 (ko) 2008-02-22 2008-02-22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19U KR20090008619U (ko) 2009-08-26
KR200449067Y1 true KR200449067Y1 (ko) 2010-06-10

Family

ID=4129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388U KR200449067Y1 (ko) 2008-02-22 2008-02-22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0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399B1 (ko) * 2013-07-04 2014-07-28 위니코니 주식회사 다기능 레저 보드
KR101640528B1 (ko) * 2015-12-18 2016-07-18 주식회사 아이에스컴퍼니 부피가변수단이 구비된 분리형 수상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9097A (en) * 1975-08-29 1977-03-04 Kiyohisa Ono Rigid assembled boat
JPS60111791U (ja) * 1983-12-29 1985-07-29 オカモト株式会社 ゴムボ−ト
KR100262862B1 (ko) * 1998-01-26 2000-08-01 주영한 조립형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9097A (en) * 1975-08-29 1977-03-04 Kiyohisa Ono Rigid assembled boat
JPS60111791U (ja) * 1983-12-29 1985-07-29 オカモト株式会社 ゴムボ−ト
KR100262862B1 (ko) * 1998-01-26 2000-08-01 주영한 조립형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19U (ko)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24676A1 (en) Surfboard assembly
US4619619A (en) Combination surfboard-kneeboard
US2986751A (en) Inflatable buoyant device
US20130171907A1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3216031A (en) Water surfacf devices
KR200449067Y1 (ko)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KR101402928B1 (ko) 패들링 보드
US10926849B1 (en) Manually propelled water skis
US9714070B2 (en) Floa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US3435471A (en) Water sport device
AU2008101093A4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 of use
US8936500B1 (en) Dual section paddleboard
US20100068956A1 (en) Accessory device for enlarging the area of the fin of a surfboard or similar water craft
KR101982066B1 (ko)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ES2534963B1 (es) Dispositivo de deporte náutico
US20090260560A1 (en) Watercraft including a floatable slide and a boat
US20150321736A1 (en) Flo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US20130102212A1 (en) Axially stabilizing apparatus
KR101424399B1 (ko) 다기능 레저 보드
US20120302116A1 (en) Buoyant Apparatus for Use on a Wearer&#39;s Foot
KR200433537Y1 (ko) 수상이동기구
US20140315450A1 (en) Buoyant apparatus system
AU2020100518A4 (en) A floatation device
KR100590997B1 (ko) 무동력 수상스키
EP3028938A1 (en) Flo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