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066B1 -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 Google Patents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066B1
KR101982066B1 KR1020170149852A KR20170149852A KR101982066B1 KR 101982066 B1 KR101982066 B1 KR 101982066B1 KR 1020170149852 A KR1020170149852 A KR 1020170149852A KR 20170149852 A KR20170149852 A KR 20170149852A KR 101982066 B1 KR101982066 B1 KR 101982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tube
boat
snow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702A (ko
Inventor
황순민
Original Assignee
황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민 filed Critical 황순민
Priority to KR102017014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0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5/00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 B62B15/006Inflatable s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5/73
    • B63B273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부력이 제공되도록 부력공간부가 형성된 보드본체; 및 상기 보드본체의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튜브를 감싸 상기 보드본체와 상기 튜브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계절에 맞게 보트와 튜브를 간단하게 착탈하여 사용 가능하며, 휴대 및 보관이 쉬운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BOARD FOR SNOW SLED BEING USABLE AS A BOAT}
본 발명은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절에 따라 겨울철에는 눈썰매로 사용되고, 여름철에는 물놀이용 보트로 사용하는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썰매는 겨울철에 스키장이나 눈썰매장에서 어린이나 어른이 즐겨 사용하는 놀이기구이다.
이러한 눈썰매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착석 공간을 갖는 본체와, 본체 저면에 형성된 두 개의 활강 가이드를 구비한다.
여름철 놀이기구로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다양한 모양의 튜브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부력재를 삽입하여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하는 구명조끼 등이 있다.
또한, 강이나 바다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사용자가 승선하여 노를 저어 이동하는 고무보트 및 요트 등이 있다.
이러한 계절별 놀이기구는, 경비 절약과 이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물놀이용 튜브 또는 보트와 겨울 놀이기구용 눈썰매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눈썰매 보트 겸용 제품도 새로운 아이디어로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02년11월30일 출원되어 공개된 실용신안 출원 제20-2002-0035872호는 튜브 내에 에어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에어보트의 저면에 눈 위에서의 직선 활강을 위한 활강가이드가 제공되도록 하여, 물 위에서는 방향키를 갖는 에어보트로, 눈 위에서는 활강을 위한 눈썰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기존의 에어보트의 저면에 별도로 제작한 활강가이드를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별도의 제작비가 발생하게 되며, 제작이 어렵고 이에 따라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피가 크므로 휴대 및 보관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분리 및 결합으로 겨울에는 눈썰매로 사용하고, 여름에는 보트로 이용 가능한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시 보관이 쉽고, 이동시 휴대가 간편한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부에 부력이 제공되도록 부력공간부가 형성된 보드본체; 및 보드본체의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튜브를 감싸 보드본체와 튜브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간편한 착탈식 결합으로 인해 계절에 따른 놀이기구를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단순한 구조 및 구성으로 인한 제작비용 감소 및 인건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름철에 사용되는 보트를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10)는, 하부에 부력이 제공되도록 부력부(130)가 형성된 보드본체(100); 및 보드본체(100)의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튜브(300)를 감싸 보드본체(100)와 튜브(300)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장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보드본체(100)는 상부 중앙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며, 하부로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120)으로 형성된다.
부력부(130)는, 바닥판(120)이 상부로 절곡되어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부(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부력부(130)는, 보드본체(100)의 크기나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며, 탑승자의 연령 및 인원에 따라 갯수 및 크기가 변화할 수 있다.
일예로, 아이를 복수개의 부력부(130)의 사이에 탑승시키고, 보호자를 부력부(130)의 상부에 탑승시켜 사용되게 된다.
또한, 부력부(130)는 일예로, 바닥판(120)의 상부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부력재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보드본체(100)는, 여름철에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보트로 사용되게 된다.
또한, 보드본체(100)는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측 둘레면을 따라 튜브(300)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보드본체(100)와 튜브(300)는 다양한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게 되며, 끈으로 묶어 결합된다.
이어서, 연장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본체(100)의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리형상을 이루게 된다.
바람직하게, 연장부(200)는 튜브(300)를 감싸 보드본체(100)와 튜브(300)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연장부(200)는 보드본체(100)의 둘레면을 따라 튜브(300)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튜브(300)의 상부면에 안착결합된다.
이때, 보드본체(100)와 튜브(300)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 및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패드가 개재된다.
이러한 구조의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10)는, 겨울철에는 보드본체(100)와 연장부(200)를 통해 눈 위에서 즐길 수 있도록 눈썰매로 사용되며, 여름철에는 보드본체(100)를 통해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보트로 사용된다.
여기서, 여름철에 사용되는 보트로 사용시, 부력이 더욱 증가하도록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200)의 내측면에 튜브(300)를 결합하여 더욱 안전하고 편안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때, 눈썰매로 사용시 바닥판(120)에 절곡되어 형성된 부력부(130)를 통해 눈과 바닥판(120)의 마찰면을 적게 하여 용이하게 눈 위를 미끄러져 내올 수 있게 된다.
또한, 눈썰매로 사용시 연장부(2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범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00)는, 보드본체(100)의 둘레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장돌기(210);를 포함하고, 인접한 연장돌기(210)들 사이는 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연장돌기(210)의 개방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다.
연장돌기(210)는, 보드본체(10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개방 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튜브(300)가 삽입되는 삽입부(220)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연장돌기(210)는 보드본체(100)와 튜브(300)를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장돌기(200)는, 가공시 경화되는 시간에 따라 탄성력이 증가함으로, 단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호형상 부분이 더욱 견고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연장돌기(2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견고하게 견디고, 연장돌기(200)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10)는 튜브(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연장부(200)의 단부를 따라 조임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4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와이어(400)는,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예로, 끈, 철사, 밴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로 플라스틱 와이어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와이어(400)는 연장부(200) 단부에 삽입되거나 연결되어 튜브(3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연장부(200)는 내면을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 또는 단부 내주면을 따라 와이어(400)가 삽입 연결되도록 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400)는, 양 단부를 꼬아 튜브(300)를 조일 수 있으며, 별도의 수단을 통해 조여질 수 있다.
또한, 와이어(400)는 연장돌기(210)에 삽입되거나 연결되어 튜브(3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와이어(400)는 연장돌기(210)와 튜브(300)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연장부(200)는 단부 내주면에 걸림턱(미도시)을 형성하여 와이어(400)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
걸림턱은, 연장부(200) 또는 연장돌기(210)의 단부 내주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거나 별도의 걸림턱을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400)는 걸림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본체(100')는, 분리결합되는 복수개의 보드유닛(100a, 100b); 및 복수개의 보드유닛(100a, 100b)이 분리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드본체(100')는, 복수개로 형성된 보드유닛(100a, 100b)을 체결부(500)를 통해 결합하여 형성된다.
이때, 체결부(500)는 다양한 체결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보드유닛(100a)의 일단부와 하나의 보드유닛(100a)의 일단부와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보드유닛(100b)의 타단부를 맞닿게 위치한 후 체결부(500)를 통해 하나의 보드유닛(100a)과 다른 하나의 보드유닛(100b)을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500)는 하나의 보드유닛(100a)의 일측에 연속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홈부(510); 및 하나의 보드유닛(100a)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보드유닛(100b)의 타측에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돌기부(520);를 포함한다.
결합홈부(510)는, 하나의 보드유닛(100a)의 일측에 연속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게 된다.
바람직하게, 결합홈부(510)는 세번의 절곡을 통해 하방으로 개방되는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돌기부(520)는, 하나의 보드유닛(100a)에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보드유닛(100b))의 타측에 절곡되어 형성되게 된다.
바람직하게, 결합돌기부(520)는 한번의 절곡을 통해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체결부(500)는, 결합홈부(510)와 결합돌기부(520)를 통해 하나의 보드유닛(100a)과 다른 하나의 보드유닛(100b)을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홈부(510)와 결합돌기부(520) 사이에 고무패킹(600)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른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500)는, 하나의 보드유닛(100a)의 일단면에 돌출형성된 체결돌기부(530)를 형성하고, 하나의 보드유닛(100a)과 맞닿는 다른 하나의 보드유닛(100b) 타단면에 체결홈부(540)을 형성하여 하나의 보드유닛(100a)과 다른 하나의 보드유닛(100b)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체결돌기부(530)와 체결홈부(540) 사이에 고무패킹(610)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착부(700) 및 안착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부(710)를 더 포함한다.
안착부(700)는, 여름철의 보트 또는 겨울철의 눈썰매로 사용시 사용자가 착석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일예로 체구가 작은 유아동을 안착부(700)에 탑승시키고 보호자가 뒤에 탑승하여 안전하게 레져를 즐길 수 있게되는 것이다.
끼움부(710)는, 안착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끼움부(710)는, 일예로,보드본체(100)가 복수개로 분리형성되어 결합시, 중앙부에 형성되는 틈(150)을 막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끼움부(710)는, 틈(15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누수를 방지하도록 고무패킹(620)을 틈(150)과 끼움부(710)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10)는, 보드본체(100)를 통해 겨울철에 즐길 수 있는 눈썰매로 사용하게 되며, 연장부(200)에 튜브(300)를 결합하여 겨울철에 즐길 수 있는 보트로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간편한 착탈식 결합으로 인해 계절에 따른 놀이기구를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단순한 구조 및 구성으로 인한 제작비용 감소 및 인건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름철에 사용되는 보드를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쉬운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100 : 보드본체
100' : 보드유닛 100a : 하나의 보드유닛
100b : 다른 하나의 보드유닛 110 : 수용공간
120 : 바닥판 130 : 부력부
131 : 공간부 150 : 틈
200 : 연장부 210 : 연장돌기
220 : 삽입부 300 : 튜브
400 : 와이어 500 : 체결부
510 : 결합홈부 520 : 결합돌기부
530 : 체결돌기부 540 : 체결홈부
600 : 고무패킹 700 : 안착부
710 : 끼움부

Claims (5)

  1. 튜브와 결합되어 보트로 이용되고 상기 튜브와 분리되어 눈썰매로 이용되는 눈썰매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에 부력이 제공되도록 부력공간부가 형성된 보드본체; 및
    상기 보드본체의 둘레면을 따라 상기 튜브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상기 튜브의 상부면에 안착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보드본체의 둘레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장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연장돌기들 사이는 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연장돌기의 단부로 향할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눈썰매로 사용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되도록 범퍼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따라 조임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본체는,
    분리결합되는 복수개의 보드유닛; 및
    상기 복수개의 보드유닛이 분리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하나의 보드유닛의 일측에 연속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홈부; 및
    상기 하나의 보드유닛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보드유닛의 타측에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KR1020170149852A 2017-11-10 2017-11-10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KR101982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852A KR101982066B1 (ko) 2017-11-10 2017-11-10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852A KR101982066B1 (ko) 2017-11-10 2017-11-10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702A KR20190053702A (ko) 2019-05-20
KR101982066B1 true KR101982066B1 (ko) 2019-05-24

Family

ID=6667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852A KR101982066B1 (ko) 2017-11-10 2017-11-10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261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조립식 다기능 썰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102Y1 (ko) * 2004-05-14 2004-08-27 박원창 튜브 결합이 용이한 보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299Y1 (ko) * 1998-08-17 2001-11-22 양국환 룰링제어부력통일체형스테인리스스틸보트
KR101218975B1 (ko) * 2010-08-24 2013-01-07 한철호 다기능성을 갖는 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102Y1 (ko) * 2004-05-14 2004-08-27 박원창 튜브 결합이 용이한 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261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조립식 다기능 썰매
KR102297716B1 (ko) * 2019-11-21 2021-09-06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조립식 다기능 썰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702A (ko)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8729B2 (en) Removable stair slide
US7025644B2 (en) High-performance riverboard system
US11273888B2 (en) Leash assembly for a sports board
US20130171907A1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982066B1 (ko)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US9975611B1 (en) Cockpit assemblies for towables
US7832349B2 (en) Hydrofoil blade guard
US6306000B1 (en) Towing harness for water recreation boards
JP5048336B2 (ja) 雪上および水上等での活動用装置
US6746291B1 (en) Hybrid inflatable and rigid shoreline riding toy
CN201494613U (zh) 一种泳具
CN209290627U (zh) 一种充气独木舟
KR200449067Y1 (ko) 고무튜브를 이용한 물놀이기구
CN203078733U (zh) 可坐式救生圈
KR200305880Y1 (ko)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
CN211223778U (zh) 一种水上运动用风翼
CN101318543A (zh) 多功能滑水滑雪板
US20120003887A1 (en) Floating friendship assembly
KR102297716B1 (ko) 조립식 다기능 썰매
CN101602396B (zh) 一种泳具
EP2533865B1 (en) Swimming float
US20060097466A1 (en) Bodyboard/snowboard
KR200465996Y1 (ko) 물놀이 기구
KR101646578B1 (ko) 수상 물놀이 기구
US20070178783A1 (en) Wave rider with connector strap and signal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