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716B1 - 조립식 다기능 썰매 - Google Patents

조립식 다기능 썰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716B1
KR102297716B1 KR1020190150266A KR20190150266A KR102297716B1 KR 102297716 B1 KR102297716 B1 KR 102297716B1 KR 1020190150266 A KR1020190150266 A KR 1020190150266A KR 20190150266 A KR20190150266 A KR 20190150266A KR 102297716 B1 KR102297716 B1 KR 102297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boarding
piece
mount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261A (ko
Inventor
안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5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7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3/00Sledges with runners
    • B62B13/16Collapsible or foldable s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2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8Bra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6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dismou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다기능 썰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바디를 제1,2바디구로 양분하여 필요에 따라 두 사람이 상기 제1,2바디구를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조립에 의해 하나의 썰매를 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높이고, 차량의 트렁크에 적재하는 경우 제1,2바디구로 양분되는 탑승바디의 구조를 통해 용이한 적재는 물론 보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다기능 썰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조립결속부(400)를 매개로 길이방향 양측의 제1바디구(110)와 제2바디구(120)가 조립가능하게 이루어진 탑승바디(100)와, 상기 탑승바디(100)의 외부 하측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탑승바디(100)의 하측면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형성되는 만곡면(210)이 형성된 활주부(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결속부(400)는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서 상기 제2바디구(12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구(120)에 마련된 장착끼움돌기(122)에 체결되는 장착연결편(410)과, 상기 장착연결편(41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서 상기 제2바디구(120)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삽입공(123)에 끼움결합되는 조인트끼움편(420)과,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서 상기 제1바디구(11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구(110)에 마련된 연결돌기(112)에 체결되는 마운팅연결편(430)과, 상기 마운팅연결편(43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서 상기 제1바디구(110)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 형성된 인서트홈(113)에 끼움결합되는 삽입조인트편(4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단부에는, 상기 제1,2바디구(110,120)가 상기 조립결속부(400)에 의해 조립시 상호 면접되는 꺾임방지밀착편(1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다기능 썰매{PREFABRICATED MULTI-FUNCTIONAL SLED}
본 발명은 조립식 다기능 썰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바디를 제1,2바디구로 양분하여 필요에 따라 두 사람이 상기 제1,2바디구를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조립에 의해 하나의 썰매를 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높이고, 차량의 트렁크에 적재하는 경우 제1,2바디구로 양분되는 탑승바디의 구조를 통해 용이한 적재는 물론 보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다기능 썰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은 여가생활이 보다 중요해지면서 놀이문화의 중요성도 그 만큼 증대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고, 그 놀이문화 중 타는 도구를 매개체로 하여 속도감 및 스릴 등의 유희를 만끽 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 널리 보급된 상태이다.
특히, 겨울철에는 빙판 위에서 미끄러지거나 일정한 경사도를 갖는 썰매탑승구간에서 미끌어지듯이 활강하는 썰매놀이가 어린아이들에게 한철 놀이로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이러한 눈썰매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플레이트(10) 및 사용자의 안전성을 위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로프(11)가 전방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는 플레이트(10)에 앉은 상태에서 로프(11)를 파지 후, 경사진 눈 위를 자유 미끄러짐에 의해 내려가며 속도감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눈썰매는 눈이 쌓인 눈썰매장에서 활강의 목적을 갖도록 사용되어 사용성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가 있을뿐 아니라 그 크기가 커서 차량에 적재하는데 상당한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0747호의 스노우킥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바디를 제1,2바디구로 양분하여 필요에 따라 두 사람이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조립결속부를 매개로 상기 제1,2바디구를 견고히 조립하여 하나의 썰매를 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높이고, 양분되는 구조를 통한 적재성 및 보관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다기능 썰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조립결속부(400)를 매개로 길이방향 양측의 제1바디구(110)와 제2바디구(120)가 조립가능하게 이루어진 탑승바디(100)와, 상기 탑승바디(100)의 외부 하측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탑승바디(100)의 하측면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형성되는 만곡면(210)이 형성된 활주부(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결속부(400)는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서 상기 제2바디구(12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구(120)에 마련된 장착끼움돌기(122)에 체결되는 장착연결편(410)과, 상기 장착연결편(41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서 상기 제2바디구(120)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삽입공(123)에 끼움결합되는 조인트끼움편(420)과,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서 상기 제1바디구(11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구(110)에 마련된 연결돌기(112)에 체결되는 마운팅연결편(430)과, 상기 마운팅연결편(43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서 상기 제1바디구(110)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 형성된 인서트홈(113)에 끼움결합되는 삽입조인트편(4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바디구(110, 120)의 단부에는, 상기 제1바디구(110)의 제1바닥부(111)와 상기 제2바디구(120)의 제2바닥부(121)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바디구(110,120)가 상기 조립결속부(400)에 의해 조립시 상호 면접되는 꺾임방지밀착편(170)이 형성되고, 상기 활주부(200)에는 스틸와이어(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장착홈(22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활주부(200)에는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탑승바디(1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마운팅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홀(230)을 통해 상기 탑승바디(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길이방향 양측은 와이어결속구(33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탑승바디(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탈착을 위한 탈착구(160)가 설치되고, 상기 탑승바디(100)의 내측에는 탑승자의 발바닥 조작에 의해 외부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수단(500)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500)은 상기 제1바디구(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브레이크장착홈(180)에 힌지부(511)를 축으로 상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레이크페달(510)과,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힌지부(511)과 브레이크페달(51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스프링부재(5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바디구로 양분되는 탑승바디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어 사용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1,2바디구를 조립결속부에 의해 견고히 조립됨에 따라 탑승바디의 사용시 상기 제1,2바디구가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탑승바디가 제1,2바디구로 양분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른 적재성 및 보관성의 향상효과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다기능 썰매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다기능 썰매의 측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바디구의 일측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와이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와이어가 탈착구를 매개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결속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수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종래의 눈썰매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다기능 썰매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다기능 썰매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다기능 썰매의 측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바디구의 일측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와이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와이어가 탈착구를 매개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결속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수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다기능 썰매는 길이방향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조립결속부(400)를 매개로 길이방향 양측의 제1바디구(110)와 제2바디구(120)가 조립가능하게 이루어진 탑승바디(100)와, 상기 탑승바디(100)의 외부 하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활주부(200)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탑승바디(100)가 상기 제1,2바디구(110,120)로 양분되어 필요에 따라 한 쌍의 썰매를 두사람이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조립에 의해 하나의 썰매를 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높이고, 차량의 트렁크에 적재하는 경우 제1,2바디구(110,120)로 양분되는 탑승바디의 구조를 통해 용이한 적재는 물론 보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탑승바디(100)는 탑승자가 탑승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조립결속부(400)를 기준으로 양분되는 제1,2바디구(110,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상단 둘레에는 사용자가 썰매를 이용하는 경우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연장편(1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제1바디구(110)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제1바닥부(111)와 상기 제1바닥부(111)에서 상측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형성되는 제1측면만곡부(1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바디구(120) 또한 탑승자가 탑승하는 제2바닥부(121)와 상기 제2바닥부(121)에서 상측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형성되는 제2측면만곡부(125)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활주부(200)는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외부 하측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탑승바디(100)의 하측면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형성되는 만곡면(2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활주부(200)는 상기 제1,2바디구(110,1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바디구(110,120)를 상기 조립결속부(400)에 의해 조립시 상기 제1,2바디구(110,120)에 형성된 상기 활주부(200)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만곡면(210)은 상기 제1,2바디구(110,120)를 조립한 상기 탑승바디(100)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일정한 경사도를 갖는 활강구간 즉 눈썰매장을 활강하는 경우, 상기 만곡면(210)으로 인해 걸림현상 없이 원활한 미끌림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빙판위에 상기 탑승바디(100)를 내려놓은 상태에서 빙판위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만곡면(210)으로 인해 걸림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탑승바디(100)에는 빙판위나 눈썰매장의 평판구간에서 상기 탑승바디(100)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와이어(141)의 장착을 위한 와이어장착공(1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탑승바디(100)의 내측면에는 별도의 쿠션부재(150)를 설치하여 탑승자가 상기 탑승바디(100)의 내측에 탑승시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쿠션부재(150)는 밸크로수단(151)에 의해 상기 탑승바디(100)에 장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활주부(200)에는 스틸와이어(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장착홈(22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썰매를 눈썰매장에서 활강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틸와이어(300)를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하고, 빙판위를 주행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틸와이어(300)를 상기 활주부(200)에 장착하여 빙판위에서 썰매가 원활히 미끄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틸와이어(300)는 상기 와이어장착홈(220)에 장착되는 장착스틱(310)과 상기 장착스틱(310)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상기 탑승바디(100)의 내측으로 방향으로 연장되게 벤딩되는 벤딩끼움구(32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활주부(200)에는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길이방향 양측 즉 상기 벤딩끼움구(320)가 상기 탑승바디(1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마운팅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홀(230)을 통해 상기 탑승바디(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길이방향 양측 즉 상기 벤딩끼움구(320)는 상기 탑승바디(100)의 내측에서 와이어결속구(3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벤딩끼움구(320)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결속구(330)는 상기 벤딩끼움구(320)가 끼워져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장착을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장착스틱(310)은 한 쌍의 와이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보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탑승바디(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탈착을 위한 탈착구(160)를 설치하여 상기 스틸와이어(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탈착구(160)를 매개로 상기 탑승바디(100)에 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조립결속부(400)는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장착연결편(410)과 조인트끼움편(420),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마운팅연결편(430)과 삽입조인트편(44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장착연결편(410)은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서 상기 제2바디구(12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구(120)에 마련된 장착끼움돌기(122)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연결편(410)은 상기 제1바디구(110)의 제1바닥부(111)의 단부에서 상기 제2바디구(120)의 제2바닥부(121)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바닥부(121)에 형성된 상기 장착끼움돌기(122)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착연결편(410)의 길이방향 일측하부면에는 상측방향으로 경사지는 슬로프면(411)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연결편(410)을 상기 장착끼움돌기(122)에 결합시 용이한 장착을 이룰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인트끼움편(420)은 상기 장착연결편(41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서 상기 제2바디구(120)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삽입공(123)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조인트끼움편(420)은 상기 제1바디구(110)의 제1바닥부(111)의 단부에서 상기 제2바디구(120)의 제2바닥부(121)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삽입공(123)에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장착연결편(410)은 상기 장착끼움돌기(122)가 삽입되도록 외부노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끼움편(420)은 상기 끼움삽입공(12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상호 다른 결합방식을 통한 견고한 결속력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운팅연결편(430)은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서 상기 제1바디구(11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구(110)에 마련된 연결돌기(112)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연결편(430)은 상기 장착연결편(410)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2바디구(120)의 제2바닥부(121)의 단부에서 상기 제1바디구(110)의 제1바닥부(111)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바다구(110)에 형성된 상기 연결돌기(112)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연결편(430)은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조립시 상기 장착연결편(410)과 인접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1,2바닥부(111,112)의 조립부위에 대해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조인트편(440)은 상기 마운팅연결편(430)에 인접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서 상기 제1바디구(110)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 형성된 인서트홈(113)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조인트편(440)은 상기 제2바디구(120)의 제2바닥부(121)의 단부에서 상기 제1바디구(110)의 제2바닥부(121)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서트홈(113)에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2바디구(110,120)를 조립시, 상기 조인트끼움편(420), 장착연결편(410), 마운팅연결편(430), 삽입조인트편(440)이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조립부위에서 상호 지그재그 형상으로 순착적으로 조립되어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바디구(110)에서 상기 제1바닥부(111)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1측면만곡부(115) 중 어느 하나의 제1측면만곡부에는 상기 제2측면만곡부(125)에 형성된 측방결합홈(127)에 끼워지는 제1측방삽입편(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구(120)에서 상기 제2바닥부(121)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2측면만곡부(125) 중 어느 하나의 제2측면만곡부에는 상기 제1측면만곡부(115)에 형성된 대응삽입홈(117)에 끼워지는 제2측방삽입편(12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측방삽입편(116,126)은 상호 대향되는 측면만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측방삽입편(116)이 형성된 제1측면만곡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다른 제1측면만곡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2측면만곡부(125)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돌출구(129)에 장착되는 제1상단장착편(118)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방삽입편(126)이 형성된 제2측면만곡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다른 제2측면만곡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1측면만곡부(115)이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돌기구(119)에 장착되는 제2상단장착편(12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2바디구(110,120)를 탑승바디(100)로 조립하는 경우 상기 조립결속부(400)와 상기 제1,2측방삽입편(116,126), 상기 제1,2상단장착편(118,128)에 의해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견고한 조립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단부에는 상기 제1바디구(110)의 제1바닥부(111)와 상기 제2바디구(120)의 제2바닥부(121)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바디구(110,120)가 상기 조립결속부(400)에 의해 조립시 상호 면접되도록 하는 꺾임방지밀착편(170)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1,2바디구(110,120)를 상기 조립결속부(400)에 의해 상호 조립시,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단부가 상호 밀착되는데, 상호 밀착되는 부위가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단면에 대한 넓이를 갖음에 따라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이 두께가 얇은 경우 밀착면적이 작아져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꺾임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밀착부위에 대한 면적 증가를 통해 상기 제1,2바디구(110,120)의 꺾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상기 조립결속부(400)에 의한 조립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상기 탑승바디(100)의 내측에는 탑승자의 발바닥 조작에 의해 외부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레이크수단(500)이 설치될 수 있고,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브레이크수단(500)은 제1바디구(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브레이크장착홈(180)에 힌지부(511)를 축으로 상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레이크페달(510)과,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힌지부(511)과 브레이크페달(51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스프링부재(52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브레이크페달(510)을 발바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페달(510)의 일측이 지면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브레이크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브레이크페달(510)의 누른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부재(52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수단(500)은 상기 제1바디구(110)의 일측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한데, 이는 썰매의 브레이크 수단과 더불어 눈썰매장의 활강시 한 쌍의 브레이크수단 중 어느 하나의 브레이크수단을 조작하여 썰매의 방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탑승바디 110: 제1바디구
111: 제1바닥부 115: 제1측면만곡부
120: 제2바디구 121: 제2바닥부
125: 제2측면만곡부 130: 파지연장편
140: 와이어장착공 150: 쿠션부재
160: 탈착구 170: 꺾임방지밀착편
200: 활주부 210: 만곡면
220: 와이어장착홈 230: 마운팅홀
300: 스틸와이어 310: 장착스틱
320: 벤딩끼움구 330: 와이어결속구
400: 조립결속부 410: 장착연결편
420: 조인트끼움편 430: 마운팅연결편
440: 삽입조인트편 500: 브레이크수단
510: 브레이크페달 520: 스프링부재

Claims (4)

  1. 길이방향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조립결속부(400)를 매개로 길이방향 양측의 제1바디구(110)와 제2바디구(120)가 조립가능하게 이루어진 탑승바디(100)와, 상기 탑승바디(100)의 외부 하측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탑승바디(100)의 하측면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형성되는 만곡면(210)이 형성된 활주부(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결속부(400)는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서 상기 제2바디구(12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구(120)에 마련된 장착끼움돌기(122)에 체결되는 장착연결편(410)과, 상기 장착연결편(41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서 상기 제2바디구(120)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삽입공(123)에 끼움결합되는 조인트끼움편(420)과,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서 상기 제1바디구(11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구(110)에 마련된 연결돌기(112)에 체결되는 마운팅연결편(430)과, 상기 마운팅연결편(43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2바디구(120)의 단부에서 상기 제1바디구(110)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바디구(110)의 단부에 형성된 인서트홈(113)에 끼움결합되는 삽입조인트편(4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바디구(110, 120)의 단부에는, 상기 제1바디구(110)의 제1바닥부(111)와 상기 제2바디구(120)의 제2바닥부(121)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바디구(110,120)가 상기 조립결속부(400)에 의해 조립시 상호 면접되는 꺾임방지밀착편(170)이 형성되고,
    상기 활주부(200)에는 스틸와이어(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장착홈(22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활주부(200)에는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탑승바디(1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마운팅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홀(230)을 통해 상기 탑승바디(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길이방향 양측은 와이어결속구(33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탑승바디(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스틸와이어(300)의 탈착을 위한 탈착구(160)가 설치되고, 상기 탑승바디(100)의 내측에는 탑승자의 발바닥 조작에 의해 외부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수단(500)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500)은 상기 제1바디구(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브레이크장착홈(180)에 힌지부(511)를 축으로 상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레이크페달(510)과,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힌지부(511)과 브레이크페달(51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스프링부재(5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썰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50266A 2019-11-21 2019-11-21 조립식 다기능 썰매 KR102297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266A KR102297716B1 (ko) 2019-11-21 2019-11-21 조립식 다기능 썰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266A KR102297716B1 (ko) 2019-11-21 2019-11-21 조립식 다기능 썰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261A KR20210062261A (ko) 2021-05-31
KR102297716B1 true KR102297716B1 (ko) 2021-09-06

Family

ID=7615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266A KR102297716B1 (ko) 2019-11-21 2019-11-21 조립식 다기능 썰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7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63Y1 (ko) * 2013-06-05 2013-09-17 김경빈 전도방지 및 제동기능을 가지는 눈썰매
KR101982066B1 (ko) * 2017-11-10 2019-05-24 황순민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7568A (en) * 1970-08-07 1972-07-18 Gordon E Nelson Snow sled
US3737172A (en) * 1971-10-26 1973-06-05 Clement Clement Articulated and steerable snow sl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63Y1 (ko) * 2013-06-05 2013-09-17 김경빈 전도방지 및 제동기능을 가지는 눈썰매
KR101982066B1 (ko) * 2017-11-10 2019-05-24 황순민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특허공보 US03677568(1972. 7.18.) 1부.*
아카이브 공개 스마트EM 카탈로그(2018.12.10.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261A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6070B2 (en) Snow glider with elevated chatter-absorbing rider deck
US20030151215A1 (en) Sliding device
US5782482A (en) Snow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3580598A (en) Toboggan
US20040145152A1 (en) Acessesory devic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snowboard
US3782744A (en) Snow surfboard with stepped stabilizing sides
JP2002035197A (ja) スノーボード
US8632079B2 (en) Snowskate and a tip for a snowskate
US20030025299A1 (en) Platform for raising the binders for a boot, and board for gliding over snow equipped with such a platform
KR102297716B1 (ko) 조립식 다기능 썰매
JPS59232567A (ja) アルペン用スキ−
JP2007512925A (ja) 振動吸収層を有する滑走用板
KR20090011136U (ko) 개량형 휨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된 스노우보드
WO2014075368A1 (zh) 双人滑雪车
KR20100089435A (ko) 휨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된 스노우보드
JP3140415U (ja) 立体構造の滑走ボード
KR101982066B1 (ko)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KR101514758B1 (ko) 데크와 부츠의 바인딩 장치
US9833687B2 (en) Foot-deck-based vehicle with increased potential energy for ollie-type manoeuvers
US20040161985A1 (en) Novel water sport device
JP3157192U (ja) スキー板
KR200233267Y1 (ko) 스노우 킥보드
US20030042693A1 (en) Walking snowboard
KR200336404Y1 (ko) 스노우 보드
JPH05507863A (ja) ショートスキー形スポーツ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