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874Y1 - 물놀이 기구 - Google Patents

물놀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874Y1
KR200426874Y1 KR2020060017688U KR20060017688U KR200426874Y1 KR 200426874 Y1 KR200426874 Y1 KR 200426874Y1 KR 2020060017688 U KR2020060017688 U KR 2020060017688U KR 20060017688 U KR20060017688 U KR 20060017688U KR 200426874 Y1 KR200426874 Y1 KR 200426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ddle
play equipment
cent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진 filed Critical 최영진
Priority to KR2020060017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8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3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 A63B2225/605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안장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의 내측면과 상기 안장의 양측면 사이에 다리를 넣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내부에는 물탱크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물 주입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안장의 내부에는 상측과 하측을 분리하는 칸막이가 형성되어 상측은 공기 탱크로 되어 일단에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은 상기 물탱크로 구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따라 물 위에서 안정감 있게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유로운 방향으로 타고다닐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의 안장 하부에 더욱 강화된 밸러스트(ballast) 기능을 추가로 부여하여 중량에 의한 몸체 하부에 저 중심의 무게 중심을 항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수상에서 심한 파도가 치거나 또는 사용자 의도에 따라보다 더 스릴 있는 물놀이를 할 때 물놀이 기구의 무게 중심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고, 원상태로 신속히 복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가지 형태의 수상 레저를 안전하게 즐기는 길 수 있어서 다양한 물놀이 문화 창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물놀이 기구, 몸체, 킬(keel), 밸러스트(ballast), 스크류장치, 보팅, 노

Description

물놀이 기구{The instrument for rippling of water}
도 1은 선 출원된 물놀이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선 출원된 물놀이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2 ; 안장
3 ; 공간부 4,10 ; 공기 주입구
5 ; 킬(keel) 6 ; 물탱크
7 ; 물 주입구 8 ; 칸막이
9 ; 공기 탱크 100 ; 물놀이기구
본 고안은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 위에서 안정감 있게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유로운 방향으로 타고다닐 수 있도록 몸체의 하부에 더욱 강화된 밸러스트(ballast)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보팅을 더욱 안전하고 다양하게 즐길 수 있도록 된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 레저용으로 사용되는 물놀이 기구로는 개인용으로서 튜브(tube)나 구명 조끼가 있으며, 단체용으로는 주로 보팅(boating)을 하기 위한 보트(boat)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물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튜브나 구명 조끼는 착용하고 물속에서 수영이나 물놀이를 하는데 있어서 자유로운 수영이 어려워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튜브는 제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안전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보트는 보팅을 하는 즐거움도 있지만 최근에는 보트로서 물 위에서 끌고 다니는 일명 바나나 보트 등이 레저용으로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므로서 일반적인 튜브를 가지고 즐기는 단순한 것과는 다르게 두 명 이상의 인원이 함께 타고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어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으나, 이러한 바나나 보트 등은 그 부피가 크고 개인적으로 타고 즐기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물 위에서 단순히 떠서 유영하는 형태의 보트나 튜브는 그 안전성 면 에서 매우 불안하였고, 개인의 부주의로 인하여 물놀이 사고를 유발키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수상 레저 스포츠를 저렴하게 즐기기 위한 물놀이 기구로서, 개인적인 차원에서 누구나 폭넓게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상 레저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물놀이 기구를 개발하여 2006년 6월 20일자로 출원된 특허 등록 출원 제 10-2006-0055262 호가 있다.
본 출원인이 개발한 상기 물놀이 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위에서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떠 있는 상태로서 수상 레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창안된 것이다.
즉, 튜브형의 몸체(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안장(2)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1)의 내측면과 상기 안장(2)의 양 측면 사이에 다리를 넣을 수 있는 공간부(3)가 형성되도록 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선 출원된 물놀이 기구는 그 몸체(1)가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등의 재료로서 발포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그 다른 실시예로서 보다 더 개인용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물놀이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 및 휴대성이 좋으며, 물 위에 잘 뜰 수 있는 튜브 형태의 부력을 제공하면서도 경량의 무게를 가지도록 하여 취급성이 매우 좋은 물놀이 기구를 제공하고 있다.
즉, 상기 몸체(1)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재질을 고무 또는 비닐 원단 재질로 구성하여 고주파 가열 접착 등의 성형 방법을 통해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를 위해 튜브형으로 이루어진 몸체(1)의 내부에 공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의 일단에 공기 주입구(4)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1) 및 안장(2)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부력을 가지는 완성된 튜브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안장(20)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1)의 밑면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그 밑면의 선단과 후단부는 상기 몸체(1)의 밑면 선단부와 후단부에 곡면을 이루면서 연장 형성하여 킬(keel;)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 위에 떠 있는 상태에서 그 위에 타고 있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안정감 있게 지탱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어 물 위에서의 방향 전환 및 추진 작용에 의한 직진 및 가속성을 높일 수 있어 스릴 있고, 자유로운 유영이 가능하여 즐거운 수상 레포츠를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물놀이 기구는 튜브 형태로 구성된 경우에 몸체(1)가 고무나 비닐로 제작되어 경량의 무게를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튜브형의 물놀이 기구가 사용자가 탄 상태에서 물 위에 떠 있게 되면 중앙을 가로지르는 킬이 버팀보의 역할을 하면서, 아울러 전체적인 몸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물놀이 기구의 진행 방향성 조정이 용이하여 물 위에서의 안정적인 유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의 하부 강도를 보강하는 킬(14) 라인에 의해 사용자의 몸무게가 집중되는 상기 안장(2) 하부에 보다 더 안정감 있는 부력을 가지게 되어 수상에서 사용자가 심한 몸동작을 하더라도 튜브형 몸체(1)의 형태가 유지되면서 원하는 수상 물놀이를 균형감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일반 보트와 같은 유선형의 밑 면을 형성하여 안정적이고 빠른 수면에서의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낮은 무게 중심점을 갖는 상기 몸체(1)에 의하면 물 위에서 갑작스럽게 발생 될 수 있는 파도나 외부적인 요인 등으로 인해 물놀이 기구가 심하게 요동치는 등 수상에서 떠 있는 상태가 불안정한 점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안장 하부에서 저 중심의 무게 중심을 잡아 줄만한 밸러스트(ballast) 기능을 확실히 해 줄 수 있는 중량감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었다.
따라서, 만약의 경우 물놀이 기구가 뒤집어 지게 되면 사용자가 다시 물 밖으로 나오려는 회전 동작에 의해 쉽게 원위치로 복원되기 어려운 점이 있는 것이 발견되어 이를 해결하는 수단이 요구되었다.
또한, 튜브 구조에 의한 몸체는 물 위에서 물결이나 바람 등에 의해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탑승한 상태에서 제자리에 맴돌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자세를 유지하기가 다소 어려운 점도 발견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 위에서 안정감 있게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유로운 방향으로 타고다닐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의 안장 하부에 더욱 강화된 밸러스트(ballast) 기능을 추가로 부여하여 중량에 의한 몸체 하부에 저 중심의 무게 중심을 항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수상에서 심한 파도가 치거나 또는 사용자 의도에 따라보다 더 스릴 있는 물놀이를 할 때 물놀이 기구의 무게 중심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고, 원상태로 신속히 복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수상 레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된 물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상기 안장에 탑승하더라도 상기 안장 하부에 구비되는 밸러스트 구조에 의한 물놀이 기구의 안정적인 무게 중심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안장의 쿠션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물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튜브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안장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의 내측면과 상기 안장의 양측면 사이에 다리를 넣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내부에는 물탱크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물 주입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장의 내부에는 상측과 하측을 분리하는 칸막이가 형성되어 상측은 공기 탱크로 되어 일단에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은 상기 물탱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선 출원된 물놀이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선 출원된 물놀이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저면사 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물놀이 기구(100)는 선 출원된 물놀이 기구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명칭과 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부력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튜브형의 몸체(1)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부력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타원형 디자인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는 스티로폼이나 발포 우레탄 등과 같이 자체적인 부력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타원형으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는 튜브형으로 이루어진 몸체(1)를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튜브형의 몸체(1)는 고무 또는 비닐 원단 재질로 구성하여 고주파 가열 접착 등의 성형 방법을 통해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타원형의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 또는 비닐 원단은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특수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의 일단에는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4)를 형성되어 있어서 물놀이 기구(100)를 사용할 때 공기를 주입시킴으로써 부력을 가지는 완성된 튜브형 물놀이 기구(100)로서 물 위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튜브형의 물놀이 기구(10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사용상 물 위에 잘 뜰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하면서도 경량의 무게를 가지므로서 사용상 취급성이 매우 좋은 물놀이 기구(100)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의 중간에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안장(2)이 적당한 폭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이 곡면 형태로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안장(2) 위에 편안하게 걸쳐 앉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몸체(1)의 내측면과 상기 안장(2)의 양측면 사이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들어가 수중으로 통과될 수 있는 관통된 형태의 공간부(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놀이 기구(100)의 몸체(1)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물 위에서 일부 잠기는 상태로 떠 있게 되며, 사용자의 다리는 수중으로 잠기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안정감 있게 물 위에 떠 있는 상태로 다리와 손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유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물놀이 기구(100)의 더욱 안전한 안정성 확보를 위해 상기 안장(2)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1)의 밑면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시켜 바닥면이 직선 형태를 이루는킬(keel;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안장(2) 위에 사용자가 걸쳐 앉게 되면 몸무게에 의해 상기 안장(2)에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안장(2)의 하단부를 상기 몸체(1)의 밑면보다 돌출시켜 중앙을 가로지르는 버팀보의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킬(5)의 역할은 수상에서 전체적인 상기 몸체(1)의 균형을 유지하게 하고, 그 바닥면이 직선 형태를 이루어짐으로써 물놀이 기구(100)의 진행 방향성을 유지하여 물 위에서의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1)의 하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킬(5)이 상기 몸체(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안장(2) 하부에 집중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서 사용자의 몸무게가 집중되는 상기 안장(2) 하부에 보다 더 안정감 있는 부력을 가지게 되어 수상에서 사용자가 심한 몸동작을 하더라도 튜브형 몸체(1)의 형태가 유지되면서 원하는 수상 물놀이를 균형감을 유지하여 수상에서 안정적이고 빠른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물놀이 기구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물 위에서 갑작스럽게 발생 될 수 있는 파도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물놀이 기구(100)가 심하게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며 전복사고의 확률을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상기 안장(2)에 신규 구성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2)의 내부에는 밸러스트(ballast)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6)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물놀이 기구(100)의 무게 중심을 더욱 안정감 있게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밸러스트는 선박 분야에서 사용되는 선체의 균형 유지 구조로서 배의 바닥에 중량감을 제공하여 배가 물 위에서 안정적으로 떠 있게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물놀이 기구의 튜브형 몸체(1)에 가장 적합한 중량감을 주기에 적합한 소재로서 물가에서 가장 손쉽게 구하여 충진할 수 있는 물(W)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물탱크(6)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물탱크(6)는 물을 담을 수 용기의 형태로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안 장(2)의 내부에 수납시키거나, 하측에 부착하여 밸러스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장(2)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대신 물(W)을 넣어 상기 물탱크(6)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6) 내부에 물을 주입하기 위해 그 일단에는 물 주입구(7)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물주입구(7)는 공지의 구성으로서 물을 간편하게 주입할 수 있고, 물이 새지 않도록 된 밀폐 기능이 좋은 물주입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물주입구(7)는 상기 비닐원단과 고주파 접착 성형에 의해 그 표면에 부착되어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밸러스트 기능을 위한 상기 물탱크(6)가 상기 안장(2) 내부에 구비됨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안장(2) 위에 앉은 상태에서 물놀이나 보팅을 하거나 또는 급류 타기를 할 때 더욱 안정감 있는 무게 중심을 잡아 물놀이 기구의 흔들림에 적절히 대응하여 전복 사고를 최대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2)의 내부에는 상측과 하측을 분리하기 위한 상기 칸막이(8)가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8)에 의해 분리된 상측부에는 초기 구성과 같이 공기에 의한 쿠션력을 가지는 상기 안장(2)이 형성되도록 공기 탱크(9)로 구성되며, 그 일단에는 상측부의 상기 공기 탱크(9)에 공기를 별도로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구(10)가 상기 몸체(1)의 공기 주입구(4)와 별도로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공기 탱크(9)는 초기의 상기 안장(2)에 공기가 주입되어서 쿠션 역할을 하는 것과 동일한 쿠션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8)에 의해 분리된 하측부에는 상기 물탱크(6)로 구성되며 그일단에 상기 물주입구(7)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장(2)의 구성이 상기 공기 탱크(9)와 물탱크(6)로 나뉘어진 이중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상측의 상기 공기 탱크(9)에서 발휘되는 부력과 튜브형의 몸체(1)에서 발휘되는 부력에 의해 상기 물놀이 기구(100)가 수상에서 안정적으로 떠 있게 된다.
그리고, 하측의 상기 물탱크(6)에는 상기 물주입구(6)를 통해 완충된 물(W)의 중량에 의해 무게중심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는 저 중심의 안정된 밸러스트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결국, 이와 같은 이중 적층 구조의 공기 탱크(9) 및 물 탱크(6)를 갖는 본 고안의 물놀이 기구(100)는 상기 안장(2) 하부에 더욱 강화된 밸러스트(ballast) 기능이 추가로 구비되어 물(W)의 중량에 의한 물놀이 기구(100) 몸체(1) 하부에 저 중심의 무게 중심을 항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수상에서 심한 파도가 치거나 또는 사용자 의도에 따라 보다 더 스릴 있는 물놀이를 할 때 물놀이 기구의 무게 중심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만약의 경우 물놀이 기구(100)가 전복되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져 뒤집어 지려는 순간에도 상기 안장 하부에 구비된 상기 물탱크(6)의 밸러스트 역할에 의해 원상태로 신속히 복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밸러스트에 의한 물놀이 기구의 수상에서의 복원 기능을 이용하여 안전하면서도 스릴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상 레포츠를 인위적으로 창출해 가며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물탱크(6)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안장(2)의 내부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안정적이고 균형감 있는 밸러스트 기능을 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나 형상이라도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될 것이며, 물놀이를 하면서 안장의 형태와 물탱크의 실시 형태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 위에서 물놀이 기구를 타고 신체의 일부가 잠긴 상태에서 앉아 있는 상태로 안정감 있게 떠 있는 상태에서 더욱 강화된 밸러스트 기능을 활용하여 물놀이 기구를 타고다니며 여러 가지 형태의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어서 다양한 물놀이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튜브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안장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의 내측면과 상기 안장의 양 측면 사이에 다리를 넣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내부에는 물탱크가 형성되고 일단에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내부에는 상측과 하측을 분리하는 칸막이가 형성되어 상측은 공기탱크로 되어 일단에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은 상기 물탱크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기구.
KR2020060017688U 2006-06-30 2006-06-30 물놀이 기구 KR200426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88U KR200426874Y1 (ko) 2006-06-30 2006-06-30 물놀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88U KR200426874Y1 (ko) 2006-06-30 2006-06-30 물놀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874Y1 true KR200426874Y1 (ko) 2006-09-20

Family

ID=4177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688U KR200426874Y1 (ko) 2006-06-30 2006-06-30 물놀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8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93Y1 (ko) 2013-07-18 2014-10-07 서강원 이중 구조를 갖는 안전형 다기능 물놀이 튜브
KR101576844B1 (ko) * 2013-12-11 2015-12-11 임성현 추진력을 가지는 물놀이기구
KR20210142070A (ko) * 2020-05-17 2021-11-24 김태관 구명튜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93Y1 (ko) 2013-07-18 2014-10-07 서강원 이중 구조를 갖는 안전형 다기능 물놀이 튜브
KR101576844B1 (ko) * 2013-12-11 2015-12-11 임성현 추진력을 가지는 물놀이기구
KR20210142070A (ko) * 2020-05-17 2021-11-24 김태관 구명튜브
KR102378920B1 (ko) * 2020-05-17 2022-03-25 김태관 구명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949B2 (en) Inflatable crafts with an integral underwater viewing window
US3161897A (en) Float for babies or young children
US6227925B1 (en) Flotation device
KR20150002472U (ko) 레저용 카약
KR200426874Y1 (ko) 물놀이 기구
US3528116A (en) Floatable swimming accessory
US8696395B2 (en) Prone position watercraft
US20150259051A1 (en) Liquid Flyer, Flexi Underwater Raft
KR20100080265A (ko) 수상 레저용 보트
US4302003A (en) Water toy
US6746291B1 (en) Hybrid inflatable and rigid shoreline riding toy
KR100803283B1 (ko) 물놀이 기구
US7197996B2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US9834286B2 (en) Buoyant pool float
US6568977B1 (en) Multifunction foldable float
KR20110000799A (ko) 보트
US20130102212A1 (en) Axially stabilizing apparatus
US20140235121A1 (en) Water floatation device
KR101203604B1 (ko) 패들링 스포츠용 보트
KR101424399B1 (ko) 다기능 레저 보드
ES1268359U (es) Un dispositivo acuático para realizar actividades deportivas y/o lúdicas
JP3119335U (ja) 水に浮上し移動可能な板状体からなる水上運動用遊具
US20140315450A1 (en) Buoyant apparatus system
KR200305892Y1 (ko) 1인승안전선박구조
US20030049983A1 (en) Anchorable wave r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