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906B1 - 전기 도금용 양극판 - Google Patents

전기 도금용 양극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906B1
KR102076906B1 KR1020180041430A KR20180041430A KR102076906B1 KR 102076906 B1 KR102076906 B1 KR 102076906B1 KR 1020180041430 A KR1020180041430 A KR 1020180041430A KR 20180041430 A KR20180041430 A KR 20180041430A KR 102076906 B1 KR102076906 B1 KR 10207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core
inner electrode
bracket
electro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275A (ko
Inventor
김양현
Original Assignee
김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현 filed Critical 김양현
Priority to KR102018004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90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25D17/12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판을 내, 외부전극판의 이중구조로 제작하여 부식에 따른 사용수명을 높이고, 또한 전극판의 휨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며, 걸이후크의 틸팅 구조를 통해 사용과정에서의 걸리적거림과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전기 도금용 전극판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가 통전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단 중앙에는 코어사입부가 함몰 형성된 내부전극판, 상기 내부전극판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코어삽입부에 끼워져 용접 결합되며 상기 내부전극판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코어로 구성한 전기 도금용 양극판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전면 하단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의 전면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에 끼워지는 힌지부를 가지며 상기 힌지부를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편으로 구성한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도금용 양극판{ELECTROPLATING A POSITIVE PLATE}
본 발명은 전기 도금용 양극판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판을 내, 외부전극판의 이중구조로 제작하여 부식에 따른 사용수명을 높이고, 또한 전극판의 휨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며, 걸이후크의 틸팅 구조를 통해 사용과정에서의 걸리적거림과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전기 도금용 양극판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도금은 도금 금속성분이 녹아있는 전해액을 전리(電離)하여, 그 전리된 금속이온을 피도금소재에 석출하는 것을 말한다. 전기도금에는 통상 전해액 내에서 피도금소재를 음극으로 하고, 그 피도금소재와 적당한 간격을 두고 소위 양극판이 설치된다. 양극판 재질은 도금 목적에 따라 다르며, 예컨대 니켈도금의 경우 주석합금의 양극판이 사용된다. 좋은 도금과 그 도금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양극판 전체에 전류가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양극판은 통상, 중심부에 양도체로서 환봉 또는 파이프 모양의 전도봉을 심선으로 가지며, 또 도금조 위에 횡으로 가설되어 전류가 인가된 지지봉에 거는 동시에 그로부터 전류를 도입하는 고리모양의 걸이부재가 연결된 구조로 된다.
한편, 이러한 전기 도금용 양극판과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 20-1990-0000486 호(명칭: 크롬도금용 양극판)(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양극판 본체의 상측에 후크부분이 결합된 것에 있어서, 양극판 본체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삽입구를 형성하여 이에 후크 부분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된 후크 연장부를 삽입 고정하고 후크부분을 포함한 양극판 본체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각 상부피복층과 하부 피복층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전극판의 경우에는 통상 납이나 기타 납과 주석 및 은이 포함된 합금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외부 강도에 취약해 사용과정에서 쉽게 휘어져 도금작업중인 피도금 소재에 전극판이 닿여 불량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전기도금에 사용되는 전해액(도금액)은 강산성으로서 금속을 녹이는 특성이 있음에 따라 일정기간 사용하고 나면 전극판이 녹아 주기적으로 교체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극봉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걸이부재인 후크의 경우에는 일측으로 밴딩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데, 이러한 후크 구조는 도금조에서 피도금 소재를 꺼내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후크부에 피도금소재가 부딪쳐 도금 불량을 발생시키는 요이으로 작용하게 된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 20-1990-0000486 호 문헌 2: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 20-1991-0006513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판을 내, 외부전극판의 이중구조로 제작하여 강산성을 띄는 전해액에 의한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전기 도금용 양극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극판의 내부에 상기 전극판 보다 휨에 저항성이 큰 금속성의 휨보강심재를 삽입하여 전극판의 휨을 보강토록 한 전기 도금용 양극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걸고리를 장착하여 사용이 완료되면 걸고리를 접어 전극판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전기 도금용 양극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가 통전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단 중앙에는 코어사입부가 함몰 형성된 내부전극판, 상기 내부전극판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코어삽입부에 끼워져 용접 결합되며 상기 내부전극판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코어로 구성한 전기 도금용 양극판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전면 하단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의 전면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에 끼워지는 힌지부를 가지며 상기 힌지부를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편으로 구성한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전극판의 외면에는 상기 내부전극판과 동일한 재질로 성형되며 상, 하부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전극판의 외면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 결합되는 외부전극판이 더 포함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전극판의 하단 중앙에는 휨보강심재 삽입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휨보강심재 삽입부에는 상기 내부전극판의 휨을 보강하는 휨보강심재가 삽입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전극판의 휨보강심재 삽입부 하단에는 상기 휨보강심재 삽입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휨보강심재의 늘어짐을 지탱하는 볼트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극판의 구조를 내, 외부전극판의 이중구조로 제작하여 전해액의 강산성에 의해 외부전극판이 부식되어 녹아내리더라도 내부전극판(20)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내부전극판의 내부에 휨보강심재를 설치하여 내부전극판의 휨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도록 하고, 또한 휨보강심재를 볼트로 지탱시켜 열에 의한 휨보강심재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지속적인 내부전극판의 휨 저항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걸이부재의 고리편을 회전시켜 브라켓의 수용부에 수용시켜 걸이부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작업과정에서 피도금 소재가 전극판의 걸이부재에 부딪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도금용 양극판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도 1의 분해단면도.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도 1의 고리편 사용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고리편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외부전극판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도금용 양극판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도금용 양극판(100)은 본체부(10), 코어(40), 휨보강부재(50), 볼트(60) 및 걸이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부(10)는 본 발명의 전기 도금용 양극판(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전극판(20)과, 상기 내부전극판(20)의 외면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 결합되는 외부전극판(30)의 이중구조로 제작한다.
상기 내부전극판(20)은 납이나 혹은 납에 주석과 은을 포함시켜 합금재질로 성형되며 상단 중앙에는 코어(40)가 삽입되기 위한 코어삽입부(24)가 함몰 형성되고 그 하단 중앙에는 휨보강심재(50)가 삽입되기 위한 휨보강심재 삽입부(26)가 각각 함몰 형성된다.
상기 내부전극판(20)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요철 형태를 가지도록 굴곡부(2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굴곡구조를 통해 전해액과의 표면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상기 외부전극판(30)은 상기 내부전극판(20)의 외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부전극판(20)에 용접으로 결합 고정되는 부재로서, 상기 외부전극판(30)은 상기 내부전극판(20)과 동일한 재질인 납이나 혹은 납에 주석과 은이 포함된 합금 재질로 성형되도록 하며, 상기 외부전극판의 표면 역시 전체적으로 요철 형태를 가지도록 굴곡부(3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성형한다. 이때 상기 외부전극판(30)은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외부에 굴곡부를 형성하지 않고 평평하게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0)를 내, 외부전극판(20, 30)의 이중구조로 제작함으로서 강산성을 띄는 전해액에 의해 외부전극판(30)이 부식되어 녹더라도 내부전극판(20)을 계속 사용할 수 있어 종래 단일구조에 비해 전극판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코어(40)는 상기 내부전극판(2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코어삽입부(24)에 일단이 삽입되고 그 선단은 후크 형태로 절곡시켜 구성한다. 상기 코어(40)는 상기 내부전극판(20)으로 전기가 도통될 수 있도록 동 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휨보강심재(50)는 상기 내부전극판(2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휨보강심재 삽입부(26)에 끼워지는 환봉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휨보강심재(50)는 전기전도성은 높으나 상대적으로 강도가 취약한 내부전극판의 휨을 보강하게 된다. 상기 휨보강심재(50)는 휨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가지도록 철 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60)는 상기 휨보강심재(50)가 상기 외부전극판(30)의 휨보강심재 삽입부(26)에 끼워지고 나면 상기 휨보강심재 삽입부(26)에 체결되며 상기 휨보강심재(50)가 도금 작업중 열에 의해 늘어나지 않도록 지탱하게 된다.
상기 걸이부재(70)는 상기 코어(40)의 후면부에 설치되며 전기 도금용 전극판(100)을 도금조에 담근 상태에서 장비에 매달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상기 걸이부재(70)는 상기 코어(40)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73) 체결되는 브라켓(72), 상기 브라켓(72)의 선단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대(74), 상기 연결대(74)의 양측에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78) 및 상기 체결홈(7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82)를 가지며 상기 힌지부(82)를 기점으로 회전 동작하는 고리편(8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리편(80)에 장비의 후크와 같은 걸쇠를 걸어 전기 도금용 전극판(100)을 도금조에 담근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72)의 연결대(74) 아래에는 수용부(76)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76)에는 상기 연결대(74)에 힌지부(82)로 연결되어 있는 고리부(8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힌지부(82)를 기점으로 상기 고리부(80)를 회전시켜 상기 수용부(76)에 상기 고리부(80)가 수용되도록 하여 보관이나 기타 도금 작업중에서 피도금소재를 이송시킬 때, 고리부(80)에 부딪쳐 도금이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등의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리부(80)는 그 형상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 도금용 전극판(100)은 도금조에 담궈 도금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데, 특히 본체부(10)를 내, 외부전극판(20, 30)의 이중구조로 제작하여 전해액의 강산성에 의해 외부전극판(30)이 부식되어 녹아내리더라도 내부전극판(20)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내부전극판(20)의 내부에 휨보강심재(50)를 설치하여 내부전극판(20, 30)의 휨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도록 하고, 또한 휨보강심재(50)를 볼트(60)로 지탱시켜 열에 의한 휨보강심재(50)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지속적인 내부전극판(20)의 휨 저항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금 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전기 도금용 양극판(100)을 도금조에서 빼낸 후, 보관하게 되는 데, 이때 걸이부재(70)의 고리편(80)을 회전시켜 브라켓(72)의 수용부(76)에 수용시켜 걸이부재(7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작업과정에서 피도금 소재가 전극판(100)의 걸이부재(70)에 부딪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10: 본체부 20: 내부전극판
30: 외부전극판 40: 코어
50: 휨보강심재 60: 볼트
70: 걸이부재 72: 브라켓
74: 연결대 76: 수용부
80: 고리편

Claims (4)

  1. 전기 도금용 양극판에 있어서,
    전기가 통전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단 중앙에는 코어사입부(24)가 함몰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전해액과의 표면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굴곡부(22)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내부전극판(20);
    상기 내부전극판(2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코어삽입부(24)에 끼워져 용접 결합되며 상기 내부전극판(20)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코어(40);
    상기 코어(40)의 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결합되는 브라켓(72);
    상기 브라켓(72)의 전면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대(74);
    상기 연결대(74)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78)에 끼워지는 힌지부(82)를 가지며 상기 힌지부(82)를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편(80);
    상기 브라켓(72)의 연결대(74)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82)를 기점으로 상기 고리편(80)를 회전시켜 수용부(76)에 상기 고리편(80)이 수용되며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부(76)로 구성한 걸이부재(70);
    상기 내부전극판(20)과 동일한 재질로 성형되며 상, 하부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전극판(20)의 외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 결합되며 그 표면에는 전해액과의 표면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굴곡부(32)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외부전극판(30);
    상기 내부전극판(20)의 하단 중앙에 함몰 형성되는 휨보강심재 삽입부(26);
    상기 휨보강심재 삽입부(26)에 삽입되며 상기 내부전극판(20)의 휨을 보강하는 휨보강심재(50) 및 ;
    상기 내부전극판(20)의 휨보강심재 삽입부(26) 하단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휨보강심재 삽입부(26)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휨보강심재(50)의 늘어짐을 지탱하는 볼트(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도금용 양극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41430A 2018-04-10 2018-04-10 전기 도금용 양극판 KR10207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30A KR102076906B1 (ko) 2018-04-10 2018-04-10 전기 도금용 양극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30A KR102076906B1 (ko) 2018-04-10 2018-04-10 전기 도금용 양극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275A KR20190118275A (ko) 2019-10-18
KR102076906B1 true KR102076906B1 (ko) 2020-04-07

Family

ID=6846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430A KR102076906B1 (ko) 2018-04-10 2018-04-10 전기 도금용 양극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6908B2 (ja) * 2019-10-30 2023-07-28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アノード組立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524Y1 (ko) * 1998-06-08 2001-06-01 남호태 실린더 도금용 양극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486Y1 (ko) 1987-08-19 1990-01-30 김용식 크롬도금용 양극판
KR910006513Y1 (ko) 1989-01-25 1991-08-24 김용식 크롬도금용 양극판
KR920004907Y1 (ko) * 1990-07-31 1992-07-23 김용식 전기도금용 양극조립체의 부식방지막 피복장치
KR101277961B1 (ko) * 2011-06-10 201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524Y1 (ko) * 1998-06-08 2001-06-01 남호태 실린더 도금용 양극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275A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1558B2 (ja) 内面めっき方法及び内面めっき用補助極
CN100378252C (zh) 局部电镀装置
US3300396A (en) Electroplating techniques and anode assemblies therefor
US4104133A (en) Method of in situ plating of an active coating on cathodes of alkali halide electrolysis cells
CN105088323B (zh) 板式电镀挂具
KR102076906B1 (ko) 전기 도금용 양극판
WO2007071713A1 (en) Electrolytic cell for metal deposition
KR101819219B1 (ko) 전해 제련용 양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 제련 장지
US5766430A (en) Conductive anode basket with submerged electrical connection
CN104099658A (zh) 一种用于酸性锌镍合金电镀的辅助阳极
TWI785154B (zh) 金屬箔製造裝置及電極板安裝體
CN216107306U (zh) 一种形状可变电镀钛篮
CN109750322A (zh) 一种密闭式电解槽用永久阴极
KR100661047B1 (ko) 자동차 연료탱크에 장착되는 연료공급 파이프의 내외부 동시 전기도금장치
KR20100131279A (ko) 저전류부 도금두께 균일화를 위한 랙
CN2861187Y (zh) 电镀滚筒导电结构
JPH1112791A (ja) 金属パイプの内面めっき装置
CN215050817U (zh) 一种异形深孔件电镀阳极
CN110484945A (zh) 电镀液及使用其对电池的壳体电镀的方法
CN219824384U (zh) 一种环保节能的新型钛阳极网装置
CN113913907B (zh) 一种用于烘干架电镀的通用挂具
CN212335340U (zh) 一种电镀挂架结构
JP2740067B2 (ja) 電子部品のメッキ用治具
US3247083A (en) Method of chromium electrodeposition
US2847377A (en) Electroplating r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