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961B1 -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961B1
KR101277961B1 KR1020110056026A KR20110056026A KR101277961B1 KR 101277961 B1 KR101277961 B1 KR 101277961B1 KR 1020110056026 A KR1020110056026 A KR 1020110056026A KR 20110056026 A KR20110056026 A KR 20110056026A KR 101277961 B1 KR101277961 B1 KR 10127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upled
support shaft
assembly
conn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844A (ko
Inventor
노해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5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96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08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heated electrically, with or without any other source of heat
    • F27B3/085Ar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1/00Arrangement of elements for electric heating in or on furnaces
    • F27D11/08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e.g. arc discharge
    • F27D11/10Disposition of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charge Heating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봉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봉에 조립가능하도록 마련된 전극봉조립부와, 상기 전극봉조립부에 연계되되 조립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마련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제공되고 견인수단이 연계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봉 접속장치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전극봉의 상부에는 본 발명의 전극봉 접속장치가 결합되어 있으며, 구전극봉의 상부에 결합된 전극봉 접속장치에 크레인을 연결시켜 지상의 적치대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구전극봉 상부에 결합된 전극봉 접속장치를 상기 지상의 적치대에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지상의 적치대에서 전극봉 접속장치가 결합된 신전극봉을 상기 구전극봉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기 신전극봉에 결합된 상기 전극봉 접속장치에 크레인을 연결하여 전기로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고열에 따른 화상위험과 고소작업에 따른 추락위험 등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비해 신전극봉 추가 작업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CONNECTION APPARATUS OF ELECTRODE BAR AND HAND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로 내부에서 구전극봉이 용융 또는 산화되는 경우, 구전극봉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전극봉 접속장치에 크레인을 결합하여 지상으로 이동 후, 지상에서 구전극봉에 신전극봉을 접속시킬 수 있는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의 조업(操業)방법은 상부와 하부에 전극을 설치하여 그 상하부의 전극에서 발생하는 아크열을 통해 고철을 용해한 후 산소와 카본을 취입(吹入)하여 얻어지는 산화반응열을 이용하여 고철을 정련 및 승온하여 용강(鎔鋼)을 제조하고 있다.
여기서, 전극을 이용하여 고철을 용해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전극봉이 마모되어 주기적으로 교환을 하게 되는데, 하부 전극봉의 경우는 전기로 저면에 취부되어 냉각수와 내화물에 의해 보호되므로 약 2500회 이상 사용후 교환하게 된다.
그러나, 상부 전극봉의 경우는 고철과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약 8회 정도 사용하고 나면 전극봉 길이가 짧아져 새로운 전극봉을 접속하여 사용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극봉 접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부 전극봉(10)은 통상적으로 마모가 빠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마모되고 나면 마모된 구전극봉(10b)에 신전극봉(10a)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봉(10)의 상단에는 암나사부(11)가 마련되고, 상기 전극봉(10)의 하단에는 상기 암나사부(11)와 체결되는 수나사부(12)가 마련된다.
여기서, 구전극봉(10b)이 마모되어 새로운 전극봉(10)을 추가로 연결해야 할 때에는 우선, 신전극봉(10a)의 암나사부(11)에 니플(13)을 체결한 후 크레인(1)을 사용하여 상기 신전극봉(10a)의 수나사부(12)가 구전극봉(10b)의 암나사부(11)와 서로 일치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핸들이 부착된 전극봉접속기(14)를 신전극봉(10a)의 몸체에 체결하여 2~3명의 작업자가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신전극봉(10a)이 크레인(1)에 매달려 있는 니플(13)로부터 풀려서 해제되면서 점차 상기 구전극봉(10b)의 암나사부(11)로 삽입되어 체결이 완료된다.
하지만, 종래의 전극봉 체결방식은 구전극봉에 체결되었던 니플이 해제되므로 신전극봉을 구전극봉에 체결하려는 경우, 구전극봉을 지상으로 이동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니플이 연결된 신전극봉을 크레인을 통해 전기로 상부로 이동 후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고철의 용해열로 인해 가열된 전기로 상부에서 신전극봉 추가작업을 수행하므로, 고열에 따른 화상위험과 고소작업에 따른 추락위험 등 안전사고의 발생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작업자가 전기로 상부로 직접 이동하여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신전극봉 추가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시간이 증가하며, 이에 따른 생산성 저하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극봉 접속장치는 크레인과의 결합부분이 고정되어 있으므로,크레인과의 연결시 충격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제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전기로 고열에 따른 화상위험과 고소작업에 따른 추락위험 등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을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으로서, 종래 기술에 비해 신전극봉 추가 작업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을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으로서, 종래 기술에 비해 크레인을 전극봉 상부의 전극봉 접속장치에 연결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을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는 전극봉에 조립가능하도록 마련된 전극봉조립부와, 상기 전극봉조립부에 연계되되 조립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마련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제공되고 견인수단이 연계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에서 상기 장치본체 및 상기 전극봉조립부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전극봉조립부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되는 지지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전극봉조립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전극봉조립부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는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이 상기 장치본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는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접촉되며, 상기 전극봉조립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을 고정하는 지지축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는 상기 지지축고정판의 하부에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유동에 의해 상기 지지축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에 접촉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잠금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에서 상기 걸림부는 체결부에 의해 상기 장치본체에 유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처리방법에서 구전극봉의 상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가 결합되어 있으며, 구전극봉의 상부에 결합된 전극봉 접속장치에 크레인을 연결시켜 지상의 적치대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구전극봉 상부에 결합된 전극봉 접속장치를 상기 지상의 적치대에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지상의 적치대에서 전극봉 접속장치가 결합된 신전극봉을 상기 구전극봉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기 신전극봉에 결합된 상기 전극봉 접속장치에 크레인을 연결하여 전기로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처리방법에서 상기 전극봉 접속장치는 유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신전극봉이 크레인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경사지도록 위치되며, 경사진 상기 걸림부에 상기 크레인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은 전극봉조립부의 조립회전력 전달이 차단되도록 마련되므로, 종래의 기술과 달리 구전극봉에는 걸림부가 제거되지 않으며, 상기 걸림부에 크레인을 연결하여 구전극봉을 지상으로 이동시켜 신전극봉의 작업이 가능해져서 고열에 따른 화상위험과 고소작업에 따른 추락위험 등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은 작업자가 전기로 상부로 이동하지 않고 크레인을 통해 구전극봉을 지상의 적치대로 이동 후 이미 걸림부가 연결된 신전극봉을 추가하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신전극봉 추가 작업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은 걸림부가 장치본체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며, 이에 의해, 크레인을 상기 걸림부에 연결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극봉 접속장치와 전극봉 접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가 크레인에 결합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신전극봉을 구전극봉에 접속하는 전극봉 처리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는 전극봉에 조립가능하도록 마련된 전극봉조립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에 연계되되 조립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마련되는 장치본체(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230)에 제공되고 견인수단이 연계되는 걸림부(24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처리방법에서 구전극봉(210a)의 상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가 결합되며, 구전극봉(210a)의 상부에 결합된 전극봉 접속장치에 크레인(100)을 연결하여 지상의 적치대(120)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전극봉(210a) 상부에 결합된 전극봉 접속장치를 상기 지상의 적치대(120)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상의 적치대(120)에서 전극봉 접속장치가 결합된 신전극봉(210b)을 상기 구전극봉(210a)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기 신전극봉(210b)에 결합된 상기 전극봉 접속장치에 크레인(100)을 연결하여 전기로(110)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극봉조립부(220)는 전극봉에 조립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전극봉(210) 상부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229)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봉(210) 상부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의 나사산(229)이 나사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극봉조립부(220)는 조립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장치본체(230)에 연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봉조립부(220)는 상기 전극봉(2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된 후 상기 전극봉(210)의 회전시, 상기 전극봉(21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의 회전력은 상기 장치본체(230)로의 전달이 차단되므로, 상기 전극봉(210)의 회전시 상기 장치본체(23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전극봉(210)이 회전하면 상기 전극봉조립부(220)는 연동되어 회전하지만, 상기 장치본체(230)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200)가 결합된 신전극봉(210b)이 크레인(100)을 통해 구전극봉(210a) 상부에 결합되어도,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200)는 제거되지 않고 여전히 상기 신전극봉(210b)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100) 작업자는 상기 제거되지 않은 전극봉 접속장치(200)에 크레인(100)을 연결시켜 지상의 적치대(120)로 상기 전극봉(21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지상에서 전극봉(210)의 추가작업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고열에 따른 화상위험과 고소작업에 따른 추락위험 등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200)와 종래의 전극봉 접속장치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전극봉 접속장치는 전극봉(10) 상부에 결합된 후 크레인(1)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전극봉(10) 추가시, 구전극봉(10b) 상부에서 신전극봉(10a)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종래의 전극봉 접속장치는 회전되지 않는다(도 1 참조).
즉, 신전극봉(10a)이 구전극봉(10b) 상부에서 회전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경우, 상기 종래의 전극봉 접속장치는 신전극봉(10a) 상부에서 나사결합이 풀리면서 결합이 해제된다(도 1 참조).
따라서, 종래에는 전극봉 접속장치가 신전극봉(10a)으로부터 해제되어 제거된 상태이므로, 상기 신전극봉(10a)이 산화에 의해 구전극봉(10b)이 된 후, 다시 새로운 전극봉을 추가하는 경우, 신전극봉(10a)으로부터 산화된 구전극봉(10b)을 크레인(100)에 연결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다수의 작업자들이 고열이 발생되는 전기로 위의 열악한 작업환경 하에서 전극봉(210)을 추가하는 작업을 실행하였다(도 1 참조).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200)는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의 회전력이 상기 장치본체(230)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신전극봉(210b)을 구전극봉(210a)의 상부에 결합시킨 후에도 신전극봉(210b)의 상부에는 여전히 전극봉 접속장치(200)가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전극봉(210)의 추가가 필요하게 되면, 크레인(100) 작업자가 상기 전극봉(210)의 상부에 결합된 전극봉 접속장치(200)에 크레인(100)을 연결하여 지상의 적치대(120)로 이동시킨 후 지상에서 전극봉(210) 추가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방지된다.
상기 전극봉조립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22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225)을 통해 지지축(250)이 삽입결합된다. 한편, 상기 지지축(250)은 상기 장치본체(23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235)에도 삽입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축(250)에 의해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와 상기 장치본체(230)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의 조립회전력이 상기 장치본체(23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봉조립부(220)는 상기 지지축(250)과 결합되는 부분에 베어링(259)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봉조립부(2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지지축(250)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지지축(250)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지지축(250)에 연결된 상기 장치본체(230)도 역시 회전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전극봉조립부(220)는 지지축(250)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축고정판(260)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의 상부에는 피치보정부(22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치보정부(227)는 전극봉 접속장치(200)와 전극봉(210) 사이의 피치에서 발생되는 피치간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봉 접속장치(200)와 전극봉(210) 사이의 피치에서 오차가 발생된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피치보정부(227)를 움직이거나 또는 망치 등으로 상기 피치보정부(227)를 가압 내지 타격하여 상기의 피치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장치본체(230)는 전극봉조립부(220)에 연계되되 조립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장치본체(230)는 중앙에 중공(2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235)을 통해 지지축(250)이 삽입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봉조립부(220)가 회전하여도 상기 장치본체(230)에는 조립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서, 상기 장치본체(230)는 회전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상기 장치본체(23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235)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축(2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57)에 대응되도록 나사산(23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250)이 상기 장치본체(23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235)을 통해 삽입되는 경우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230)에는 견인수단인 걸림부(240)가 연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본체(230)의 상부에 상기 걸림부(240)가 체결부(280)를 통해 유동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230)에는 체결부(280)를 구성하는 걸림부고정부(28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개구(23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걸림부(240)는 장치본체(230)에 제공되고 견인수단이 연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40)는 상기 크레인(100)에 연결되는 부분이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40)는 체결부(280)에 의해 상기 장치본체(230)에 유동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본체(230)의 상부에 연결된 체결부(280)에 연결되어 상기 장치본체(230)와의 사이에서 경사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280)는 걸림부결합부(281)와, 걸림부고정부(283)와, 결합핀(285)과, 핀고정부(287)와, 너트(289)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부결합부(281)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24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고정부(283)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부결합부(281)에 형성된 개구에 대응되도록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장치본체(230)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236)에 각각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결합부(281)와 상기 걸림부고정부(283)의 대응되는 개구가 맞쳐져서 결합된 후, 상기 결합핀(285)이 상기 걸림부결합부(281)와 상기 걸림부고정부(283)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를 통해 상기 걸림부결합부(281)와 상기 걸림부고정부(283)를 결합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결합핀(285)은 상기 걸림부결합부(281)와 상기 걸림부고정부(283)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를 통해 결합된 후 핀고정부(28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핀고정부(287)는 키퍼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너트(289)는 상기 걸림부고정부(283)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걸림부(240)와 체결부(280)의 결합에 의해, 상기 걸림부(240)는 상기 장치본체(230)에 유동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즉,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40)가 상기 장치본체(230)에 대해 경사각(θ)을 가지도록 유동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240)가 크레인(10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2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θ)을 가진 채 상기 크레인(100)에 연결가능하며, 이에 의해, 상기 크레인(100)이 상기 걸림부(240)에 연결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축(250)은 전극봉조립부(22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225)과 장치본체(23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235)에 각각 삽입결합되어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와 상기 장치본체(230)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지지축(250)은 지지축고정판(260)에 의해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250)이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의 하부에서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225)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지지축고정판(260)이 상기 지지축(250)에 접촉되도록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축(250)의 외주면에는 상기 장치본체(2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37)에 대응되도록 나사산(25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축(250)이 상기 장치본체(23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235)을 통해 삽입되는 경우, 상지 지지축(2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57)과 상기 장치본체(2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37)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250) 상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57)에는 지지축결합너트(253)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축결합너트(253)는 상기 장치본체(230)가 지지축(250)으로부터 이탈되는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축(250)의 일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55)는 잠금조절부(270)가 접촉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잠금조절부(270)는 지지축고정판(260)의 하부에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지지축(25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255)에 접촉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잠금조절부(270)는 전극봉 접속장치(200)를 전극봉(210)에 결합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해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봉조립부(2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지지축(250)은 회전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와 상기 전극봉(210) 사이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에서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피치간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잠금조절부(270)를 상기 돌출부(255)에 결합시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잠금조절부(270)가 상기 지지축(250) 일측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255)에 결합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와 상기 지지축(250)은 상기 잠금조절부(27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봉조립부(22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의 회전력이 상기 잠금조절부(270)를 통해 상기 지지축(250)에도 전달되므로, 상기 지지축(250)의 회전에 의해서도 상기 전극봉조립부(220)가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전극봉조립부(220)와 상기 전극봉(210) 사이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하, 전극봉 접속장치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도 6(a)를 참조하면, 구전극봉(210a) 3본 중 하부의 1본이 용융 또는 산화된 경우 신전극봉(210b)을 추가하기 위해 상기 구전극봉(210a)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에 크레인(100)을 연결한다.
다음, 크레인(100) 작업자는 구전극봉(210a) 상부의 전극봉 접속장치에 연결된 상기 크레인(100)을 통해 전기로(110)에 삽입된 상기 구전극봉(210a)을 전기로(110)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다음, 상기 크레인(100) 작업자는 상기 구전극봉(210a)을 지상의 적치대(120)로 이송시키서 적치시킨다. 이에 의해, 다수의 작업자가 전기로(110) 상부에서 작업하지 않아도되며, 고열에 따른 화상위험과 고소작업에 따른 추락위험 등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의 적치대(120)에서 작업자는 구전극봉(210a)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를 제거한다.
다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10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가 연결된 신전극봉(210b)을 구전극봉(210a) 상부에 접근시킨다.
다음,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의 적치대(120)에서 작업자가 전극봉접속기(130)를 이용하여 신전극봉(210b)을 구전극봉(210a) 상부에 결합시킨다.
다음, 크레인(100) 작업자는 결합이 완료된 전극봉(210)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봉(210) 상부에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에 크레인(100)을 연결시킨다.
다음, 크레인(100) 작업자는 결합이 완료된 상기 전극봉(210)을 크레인을 통해 전기로방향으로 이송하며, 결합된 상기 전극봉(210)을 전기로(110)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봉 접속장치는 유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240)를 가질 수 있으며, 신전극봉(210b)이 크레인(100)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 구전극봉(210a)에 결합된 신전극봉(210b)이 크레인(10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240)는 경사지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경사진 상기 걸림부(240)에 상기 크레인(1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해, 크레인(100)을 상기 걸림부(240)에 연결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레인(100) 작업자 단독으로 구전극봉(210a)을 지상의 적치대(120)로 이송시킨 후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접속장치가 이미 체결되어 있는 신전극봉(210b)을 구전극봉(210a) 상부에 결합하는 작업에 의해 종래 기술보다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 : 크레인 10 : 전극봉
10a : 신전극봉 10b : 구전극봉
11 : 암나사부 12 : 수나사부
13 : 니플 14 : 전극봉접속기
100 : 크레인 110 : 전기로
120 : 지상의 적치대 130 : 전극봉접속기
200 : 전극봉 접속장치 210 : 전극봉
210a : 구전극봉 210b : 신전극봉
220 : 전극봉조립부 225 : 중공
227 : 피치보정부 229 : 나사산
230 : 장치본체 235 : 중공
236 : 개구 237 : 나사산
240 : 걸림부 250 : 지지축
253 : 지지축결합너트 255 : 돌출부
257 : 나사산 259 : 베어링
260 : 지지축고정판 270 : 잠금조절부
280 : 체결부 281 : 걸림부결합부
283 : 걸림부고정부 285 : 결합핀
287 : 핀고정부 289 : 너트

Claims (8)

  1. 삭제
  2. 전극봉에 조립가능하도록 마련된 전극봉조립부; 상기 전극봉조립부에 연계되되 조립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마련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제공되고 견인수단이 연계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본체 및 상기 전극봉조립부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전극봉조립부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되는 지지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전극봉조립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전극봉조립부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장치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이 상기 장치본체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지지축의 하부는 상기 지지축의 상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전극봉조립부가 상기 지지축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접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접촉되며, 상기 전극봉조립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을 고정하는 지지축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접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고정판의 하부에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유동에 의해 상기 지지축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에 접촉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잠금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접속장치.
  6. 전극봉에 조립가능하도록 마련된 전극봉조립부; 상기 전극봉조립부에 연계되되 조립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마련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제공되고 견인수단이 연계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체결부에 의해 상기 장치본체에 유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접속장치.
  7. 구전극봉의 상부에는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해당되는 전극봉 접속장치가 결합되어 있으며, 구전극봉의 상부에 결합된 전극봉 접속장치에 크레인을 연결시켜 지상의 적치대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구전극봉 상부에 결합된 전극봉 접속장치를 상기 지상의 적치대에서 제거하는 단계;
    상기 지상의 적치대에서 전극봉 접속장치가 결합된 신전극봉을 상기 구전극봉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기 신전극봉에 결합된 상기 전극봉 접속장치에 크레인을 연결하여 전기로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봉 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 접속장치는 유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신전극봉이 크레인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경사지도록 위치되며, 경사진 상기 걸림부에 상기 크레인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처리방법.
KR1020110056026A 2011-06-10 2011-06-10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 KR10127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026A KR101277961B1 (ko) 2011-06-10 2011-06-10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026A KR101277961B1 (ko) 2011-06-10 2011-06-10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844A KR20120136844A (ko) 2012-12-20
KR101277961B1 true KR101277961B1 (ko) 2013-06-27

Family

ID=4790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026A KR101277961B1 (ko) 2011-06-10 2011-06-10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906B1 (ko) * 2018-04-10 2020-04-07 김양현 전기 도금용 양극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6980A (ja) * 1995-04-24 1996-11-12 Nippon Steel Corp 上部電極接続装置
KR200171722Y1 (ko) * 1999-08-28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기로용 전극봉 접속장치
KR100825555B1 (ko) 2006-10-26 2008-04-25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전극봉 적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6980A (ja) * 1995-04-24 1996-11-12 Nippon Steel Corp 上部電極接続装置
KR200171722Y1 (ko) * 1999-08-28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기로용 전극봉 접속장치
KR100825555B1 (ko) 2006-10-26 2008-04-25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전극봉 적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844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9474B2 (ja) 電気炉用屋根
KR101277961B1 (ko) 전극봉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봉 처리방법
CN102997686B (zh) 电石炉自动出炉装置
DE102011004586B4 (de) Brennereinsatz für einen Lichtbogenofen
US10337797B2 (en) Refractory delta cooling system
CN105671244A (zh) 一种120吨及以上转炉的球铰支撑更换方法
KR101360588B1 (ko) 전기로의 전극봉 자동접속장치
CN111215604B (zh) 防止破碎机动锥衬板松动的方法
WO2017158501A1 (en) Device for holding anode assemblies during electrical preheating of hall-héroult cells, and process for preheating hall-héroult cells using such device
CN217785853U (zh) 一种lf炉用接电极工具包
CN203611080U (zh) 专用砂轮吊具
CN108213756B (zh) 一种转炉炉壳与法兰焊缝开裂在线修复的方法
KR200230026Y1 (ko) 지금제거장치
KR20010027736A (ko) 고로 출선구 개공비트 센터조정 및 취외장치
CN214161707U (zh) 一种破碎辊堆焊保温装置
CN210237660U (zh) 一种炮口连接体的更换装置
JP5286685B2 (ja) 炉解体方法および炉解体機
KR102668832B1 (ko)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운반방법
KR101351547B1 (ko) 암 내부 이탈 슬래브 교정 크레인 장치
CN212664878U (zh) 一种铸铁件制造生产用降温设备
CN110265919A (zh) 一种用于电弧炉大电流线路的折叠式检修平台
KR200464611Y1 (ko) 용해로의 슬래그 수거 장치
Coetzee et al. No tap-hole–No furnace
CN214095561U (zh) 一种电极对接旋紧装置
KR101355067B1 (ko) 보호커버가 장착된 래들 클리닝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