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832B1 -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운반방법 - Google Patents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운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832B1
KR102668832B1 KR1020240017339A KR20240017339A KR102668832B1 KR 102668832 B1 KR102668832 B1 KR 102668832B1 KR 1020240017339 A KR1020240017339 A KR 1020240017339A KR 20240017339 A KR20240017339 A KR 20240017339A KR 102668832 B1 KR102668832 B1 KR 102668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link chain
race
rac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주)한성테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테크 filed Critical (주)한성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연결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폭방향으로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형성하는 2개의 힌지부(120); 상기 힌지부(120)에 장착하여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110)의 이동위치 및 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링크체인(140)의 무게로 인해 항상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마련하는 복수의 회전부재(130); 하나의 쌍을 이루는 상기 회전부재(130)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경주통(A)의 양측 외측면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2개의 링크체인(140);을 포함하는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및 2개의 링크체인(140) 중에서 일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위치하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 상부면에 올려지도록 몸체(110)를 이동시키는 제1단계; 상기 몸체(110)를 타측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이동 및 고정하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에 일정간격 떨어져 수직방향으로 내려진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2단계; 상기 몸체(11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고정한 상태로 타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타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이동 및 고정시키는 제3단계; 상기 몸체(110)를 상승시켜 경주통(A)을 들어올려 지정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몸체(110)를 하강시켜 경주통(A)을 지면에 내려놓는 제4단계; 상기 몸체(110)를 타측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타측의 링크체인(140)을 경주통(A)의 타측 외측면에서 이탈시키는 제5단계; 상기 몸체(11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을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서 이탈시키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 상부면에 올려지는 제6단계; 상기 몸체(110)를 상승시켜 2개의 링크체인(140)과 경주통(A)을 서로 분리시키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무동력 경주통 운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경주통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협소한 작업공간에 적용하여 안정적으로 경주통을 지정위치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필요 없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운반방법{Non-powered racing barrel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운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이 없이도 경주통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주통은 용선을 토페도카(운반레들)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주통은 용선과의 화학반응으로 인한 내화물의 마모현상 및 고온으로 인해 손상 및 용융이 발생하게 되므로 일정기간이 지나면 내화물을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해 지정위치로 운반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경주통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 크레인의 경우 모터 또는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유공압 호스 또는 전원 케이블이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협소한 공간에 쉽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고열이 발생하는 고로 현장에서 유공압 호스 및 전원 케이블이 쉽게 손상 및 열화되어 고장 및 오작동을 유발하는 구조적인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경주통은 운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줄걸이 작업을 병행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을 제공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경주통의 양측 상부에 복수의 고리를 설치하고 천장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리고 있으나, 이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고리의 연결 및 분리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조업지연을 초래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그리고 중량물인 경주통을 안정적으로 운반하기가 어려워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5739호(1999.07.0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8282호(2003.01.2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6395호(2004.06.0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6409호(2004.06.0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6738호(2022.01.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경주통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운반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물인 경주통의 양측 외측면을 빙둘러 감싸도록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지정위치로 운반할 수 있는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운반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100)는,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연결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폭방향으로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형성하는 2개의 힌지부(120); 상기 힌지부(120)에 장착하여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110)의 이동위치 및 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링크체인(140)의 무게로 인해 항상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마련하는 복수의 회전부재(130); 하나의 쌍을 이루는 상기 회전부재(130)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경주통(A)의 양측 외측면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2개의 링크체인(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의 상부 외측에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의 로프와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부(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힌지부(120)는 축 또는 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 또는 힌지부(120)의 일측에 상기 회전부재(130)를 항상 초기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탄성수단(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130)의 하부에 상기 링크체인(140)이 장착하여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장착공(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30)는 중간을 양분하고 그 사이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길이조절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를 이용한 운반방법은,
2개의 링크체인(140) 중에서 일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위치하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 상부면에 올려지도록 몸체(110)를 이동시키는 제1단계;
상기 몸체(110)를 타측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이동 및 고정하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에 일정간격 떨어져 수직방향으로 내려진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2단계;
상기 몸체(11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고정한 상태로 타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타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이동 및 고정시키는 제3단계;
상기 몸체(110)를 상승시켜 경주통(A)을 들어올려 지정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몸체(110)를 하강시켜 경주통(A)을 지면에 내려놓는 제4단계;
상기 몸체(110)를 타측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타측의 링크체인(140)을 경주통(A)의 타측 외측면에서 이탈시키는 제5단계;
상기 몸체(11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을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서 이탈시키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 상부면에 올려지는 제6단계;
상기 몸체(110)를 상승시켜 2개의 링크체인(140)과 경주통(A)을 서로 분리시키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경주통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협소한 작업공간에 적용하여 안정적으로 경주통을 지정위치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필요 없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연결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폭방향으로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형성하는 2개의 힌지부(120); 상기 힌지부(120)에 장착하여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110)의 이동위치 및 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링크체인(140)의 무게로 인해 항상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마련하는 복수의 회전부재(130); 하나의 쌍을 이루는 상기 회전부재(130)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경주통(A)의 양측 외측면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2개의 링크체인(14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몸체(110)의 상부 외측에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와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11)는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포함한 로프 또는 훅크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 또는 통공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지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폭방향으로 하나의 쌍으로 이루고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2개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재(130)를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힌지부(120)는 경주통(A)의 길이보다 더 짧은 간격으로 배열하여 2개의 상기 링크체인(140)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경주통(A)의 양측 외측면을 감싸도록 걸어서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120)는 경주통(A)의 길이보다 더 짧은 간격으로 배열하더라도 상기 몸체(110)의 이동위치 및 방향에 따라 2개의 상기 링크체인(140)을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 및 이동시켜 경주통(A)의 양측 외측면을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공간 및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힌지부(120)는 축 또는 핀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 또는 힌지부(120)의 일측에 상기 회전부재(130)를 항상 초기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탄성수단(121);을 포함한다.
즉, 상기 탄성수단(121)은 경주통(A)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기 위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재(130)가 상기 링크체인(140)과 경주통(A)이 서로 분리될 경우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초기 방향을 유도하여 상기 링크체인(140)이 원활하게 경주통(A)의 외측면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121)은 다양한 종류와 규격을 갖는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130)는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외측면을 고정 및 들어올리거나 반대로 경주통(A)의 외측면과 분리하여 지면에 내려놓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130)는 일정길이와 넓이를 갖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는 상기 힌지부(120)와 연결하고 하부는 상기 링크체인(140)을 장착한다.
특히 상기 회전부재(130)의 하부에 상기 링크체인(140)이 장착하여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장착공(131);을 포함하여 상기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고정하거나 또는 경주통(A)의 상부면에 올려질 수 있도록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쌍을 이루는 상기 회전부재(130)의 중간 내측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지지하고 뒤틀리지 않도록 형성하는 보강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30)는 중간을 양분하고 그 사이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길이조절부(133);를 포함하여 경주통(A)의 규격 및 형상에 따라 상기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외측면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부(133)는 볼트 및 너트의 조합은 물론 오른나사 및 왼나사를 이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양측 외측면을 빙둘러 감싸도록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링크체인(14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30)의 하부에 폭 방향으로 양측을 반원형상으로 연결하여 경주통(A)의 외측면을 빙둘러 감싸도록 다양한 규격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체인(140)은 자유롭게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경주통(A)의 외측면을 감싸서 고정하거나 또는 경주통(A)의 상부면에 올려질 수 있으므로 이동위치 및 방향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를 이용한 운반방법은,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링크체인(140) 중에서 일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위치하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 상부면에 올려지도록 몸체(110)를 이동시킴으로써, 우선 일측의 링크체인(140)을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제1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일측의 링크체인(140)은 무게로 인해 수직방향으로 내려진 상태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를 조작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를 타측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이동 및 고정하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 상부면에서 떨어져 수직방향으로 내려진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일측의 링크체인(140)을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걸어서 고정하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 외측면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제2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몸체(110)를 타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걸어서 고정한 상태이므로 상기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130)가 타측으로 기울어지면서 경주통(A)의 타측 상부면에 올려진 타측의 링크체인(140)이 이동하여 수직방향으로 내려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고정한 상태로 타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타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이동하여 고정시키는 제3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를 상승시켜 경주통(A)을 들어올려 지정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몸체(110)를 하강시켜 경주통(A)을 지면에 내려놓는 제4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를 타측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타측의 링크체인(140)을 경주통(A)의 타측 외측면에서 이탈시키는 제5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를 타측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걸어서 고정한 상태이므로 상기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130)가 타측으로 기울어지면서 타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타측 외측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들리면서 이탈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을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서 이탈시키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 상부면에 올려지는 제6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상부방향으로 들려진 상태이므로 상기 몸체(110)가 일측으로 이동할 경우 경주통(A)의 타측 상부면에 올려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를 상승시켜 2개의 링크체인(140)과 경주통(A)을 서로 분리시켜 운반작업을 완료하는 제7단계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상기 몸체(110)의 이동위치 및 방향에 따라 경주통(A)의 양측 외측면에 2개의 링크체인(140)을 걸어서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지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110: 몸체 111: 연결부
120: 힌지부 121: 탄성수단
130: 회전부재 131: 장착공
132: 보강부 133: 길이조절부
140: 링크체인
A: 경주통

Claims (7)

  1.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연결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폭방향으로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형성하는 2개의 힌지부(120); 상기 힌지부(120)에 장착하여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110)의 이동위치 및 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링크체인(140)의 무게로 인해 항상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마련하는 복수의 회전부재(130); 하나의 쌍을 이루는 상기 회전부재(130)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경주통(A)의 양측 외측면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2개의 링크체인(140);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110)의 상부 외측에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의 로프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 또는 통공의 형태로 형성하는 연결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120)는 경주통(A)의 길이보다 더 짧은 간격으로 배열하여 축 또는 핀을 사용하며, 상기 몸체(110) 또는 힌지부(120)의 일측에 경주통(A)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기 위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재(130)가 상기 링크체인(140)과 경주통(A)이 서로 분리될 경우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초기 방향을 유도하여 상기 링크체인(140)이 원활하게 경주통(A)의 외측면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탄성수단(121);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30)의 하부에 상기 링크체인(140)이 장착하여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장착공(131);을 포함하며, 하나의 쌍을 이루는 상기 회전부재(130)의 중간 내측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지지하고 뒤틀리지 않도록 형성하는 보강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30)는 중간을 양분하고 그 사이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길이조절부(133);를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부(133)는 볼트 및 너트의 조합은 물론 오른나사 및 왼나사를 이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기재된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를 이용하되,
    2개의 링크체인(140) 중에서 일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위치하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 상부면에 올려지도록 몸체(110)를 이동시키는 제1단계;
    상기 몸체(110)를 타측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이동 및 고정하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에 일정간격 떨어져 수직방향으로 내려진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2단계;
    상기 몸체(11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고정한 상태로 타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타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이동 및 고정시키는 제3단계;
    상기 몸체(110)를 상승시켜 경주통(A)을 들어올려 지정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몸체(110)를 하강시켜 경주통(A)을 지면에 내려놓는 제4단계;
    상기 몸체(110)를 타측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이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 감싸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타측의 링크체인(140)을 경주통(A)의 타측 외측면에서 이탈시키는 제5단계;
    상기 몸체(11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측의 링크체인(140)을 경주통(A)의 일측 외측면에서 이탈시키고 타측의 링크체인(140)은 경주통(A)의 타측 상부면에 올려지는 제6단계;
    상기 몸체(110)를 상승시켜 2개의 링크체인(140)과 경주통(A)을 서로 분리시키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경주통 운반방법.
KR1020240017339A 2024-02-05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운반방법 KR102668832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8832B1 true KR102668832B1 (ko) 2024-05-29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317A (ja) * 2003-01-28 2004-08-19 Jfe Steel Kk 傾注樋吊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317A (ja) * 2003-01-28 2004-08-19 Jfe Steel Kk 傾注樋吊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150623U (zh) 一种可移动的简易建筑物料提升装置
CN115596463A (zh) 一种已运营隧道病害修复用拱架安装装置
CN102060232B (zh) 炉窑施工用耐火砖的运输方法
KR102668832B1 (ko) 무동력 경주통 운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운반방법
CN202658902U (zh) 吊装布料两用式混凝土布料机
CN209953792U (zh) 一种钢水或铁水罐倾翻锁紧装置
CN105540433B (zh) 一种倾斜安装位置超重设备吊装方法
RU23686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желоба
CN108466937B (zh) 一种多功能集装箱搬运机
CN215160408U (zh) 一种炭材焙烧加工用桥式起重设备
CN201078199Y (zh) 连续抽油杆地面作业装置
CN115676648A (zh) 一种井下多功能检修车
CN110654973A (zh) 自动脱钩吊具
CN112194019A (zh) 一种放线滑车自动化拆装维修装置
CN219792310U (zh) 一种起重葫芦
CN207844972U (zh) 吊马反态安装用辅助车
CN218206699U (zh) 一种已运营隧道病害修复用拱架安装装置
CN214141313U (zh) 一种冷钢加入装置
CN219818019U (zh) 一种铝水中间包托架
CN220618189U (zh) 葫芦吊电缆牵引装置、吊装装置及高炉系统
CN214399476U (zh) 一种吊具
CN212893499U (zh) 一种桶体吊具
CN207671544U (zh) 一种装船机吊梁的检修装置
CN220519917U (zh) 一种风力发电机组的液压站维护装置
KR200402249Y1 (ko) 크레인용 인양물의 무게중심 조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