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707B1 -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친환경 이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친환경 이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707B1
KR102076707B1 KR1020190074126A KR20190074126A KR102076707B1 KR 102076707 B1 KR102076707 B1 KR 102076707B1 KR 1020190074126 A KR1020190074126 A KR 1020190074126A KR 20190074126 A KR20190074126 A KR 20190074126A KR 102076707 B1 KR102076707 B1 KR 102076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agent
flame retardant
wax
solv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익
Original Assignee
(주)아코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코캠 filed Critical (주)아코캠
Priority to KR102019007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0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2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based on polymers or olig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7/00Special methods of preparation of lubricating compositions; 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of components or of the whole of a lubricating composition,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14Synthetic waxes, e.g. polythene 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6Release agents or mold release agents
    • C10N2240/5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체 유해 성분인 벤젠 등을 포함하는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화재 발생 위험성이 크게 줄어든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난연성 이형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친환경 이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Releasing agent compositon having flame resistance for polyurethane mold-form using the same, Releasing agent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 성형에 사용되는 난연성 이형제,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지나 고무로부터 이루어지는 성형폼을 수득하는 데에는, 금형에 수지나 고무 재료를 충전하여 성형을 행하나, 통상적으로는 충전 전에 외부 이형제를 금형에 미리 도포하여 둔다. 외부이형제로는,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와 같은 왁스류, 폴리디메틸실록산 오일, 실리콘 오일과 같은 실리콘류, 글리콜, 지방산 유도체,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화합물과 같은 유기 화합물 광물유, 탈크, 마이카와 같은 무기 화합물 등을 물 또는 유기 용제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서 사용한다.
이들 외부 이형제는 통상적으로 매회 도포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작업성 면에서 공정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형 수명이 연장된 이형제의 개발이 요망하고 있다. 또한, 매회 도포로 인한 외부이형제의 퇴적에 의한 금형의 오염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왁스계 이형제는 오염의 정도가 심하다. 또한, 매회 도포가 필요한 것은 기본적으로 성형폼측으로의 이형제의 일부 이동이 있기 때문이며, 이것은 성형폼의 끈적거림의 부착 등의 마무리의 나쁨, 후 공정에서의 성형폼에의 도장 불량이나 접착 불랑 등의 원인이 됨으로써, 성형 후, 트리클로로에탄 등의 유기 용제에 의한 세정이 행하여지고 있다. 특히, 실리콘계 이형제는 도장 불량이나 접착 불량의 원인이 되기 쉽다.
이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내부 이형제(IMRA)를 사용하는 것이다. IMRA는 통상적으로 수지 용적으로부터 수지/금형 계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지 제제 중의 표면 활성 첨가제이다. IMRA는 제제에 혼입되기 때문에, 외부이형제를 금형 표면 상에 반복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없다. 성형 후, IMRA는 금형으로부터의 성형 물품의 접착을 줄여 금형으로부터의 성형 물품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폴리우레탄을 위해 효과적인 IMRA를 발견하기 위해 수십년 동안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전에, 지방산 유도체, 에스테르, 금속 비누, 유기염 및 실록산/실리콘이 폴리우레탄 IMRA로서 시도되었다. 그런데, 기존 IMRA 제조시,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함유된 용제를 사용하여 기존 IMPA는 인화점이 낮아서 화재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5-0121063호(공개일 2015년 10월 28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과 필요성의 해결을 위해 수많은 실험과 연구 끝에 완성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자는 기존 이형제 보다 이형제 내 동일 면적 당 고형분 함량을 줄이고, 톨루엔 등의 유해 성분 함량이 없는 새로운 최적의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성형(mold form)용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은 왁스, 촉매, 폴리우레탄 셀(cell) 안정제, 난연용제 및 비방향족 정제석유계 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인체에 유해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족계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 이형제에 비해 도포 사용량이 적어서 대기오염 유발도 줄일 수 있는 바 친환경적일뿐만 아니라, 170℃ 이상의 비등점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 및 보관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난연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는 왁스, 촉매, 폴리우레탄 셀(cell) 안정제, 난연 용제 및 비방향족 정제석유계 용제를 포함하는 이형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성분 중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하며, 사용된 폴리에틸렌 왁스는 하드 타입(HARD TYPE)이며, 금형 청소 시 소프트(SOFT)한 파라핀 왁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왁스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3 ~ 7 중량%, 바람직하게는 3.2 ~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5.0 중량%이며, 이때 조성물 전체 중량 중 왁스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폴리우레탄 성형폼의 셀 안정성 및 이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7 중량%를 초과하면 빌드업(buildup)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장기간 보관 시 용기 내 왁스 층 분리로 인한 성능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성형 몰드에 연속적으로 작업 시 이형제는 휘발성분인 용제 및 기타 첨가제를 제외한 왁스는 몰드 표면에 일부 남게 되어 외관(skin면)이 불규칙해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성형 몰드를 청소해주는 것이 필수이다. 이때, 적절한 양의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 과량 사용 시 성형 몰드에 쌓이는 왁스량이 많아져서 몰드의 청소 주기가 빨라질 뿐만 아니라 완성된 성형폼의 외관에 왁스 입자들이 불규칙하게 묻어 나와 제품의 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형제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성분 중 상기 촉매는 폴리우레탄 성형폼의 경화촉진 및 이형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BTDL(Dibutyltin dilaurate), DOTL(Dioctyltin dilaurate), DBTO(Dibutyltin Oxide), DOTO(Dioctyltin Oxide) 및 TMEDA(N,N,N’,N’-tetramethylethylenediami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BTDL 및 TMEDA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DBTDL 및 TMEDA를 1 : 0.8 ~ 1.2 중량비로,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DBTDL 및 TMEDA를 1 : 0.8 ~ 1.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촉매의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1 ~ 1.5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0.12 ~ 1.20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 1.00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촉매 사용량이 0.10 중량% 미만이면 경화촉진 및 이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촉매 사용량이 1.50 중량%를 초과하면 제조된 폴리우레탄 성형폼의 외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은 용제와 상용성 관계를 확인한 후 서로 잘 맞지 않는 스테아릴아민(Stearylamine), 옥타데실아민(Octadcylamine), 티오글리세롤 및/또는 벤조트리아졸 등의 부식방지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성분 중 상기 폴리우레탄(PU) 셀 안정제는 PU 성형폼의 스킨(skin) 안정 역할, 즉, PU 셀(cell) 안정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PU 셀 안정제를 사용할 수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실록세인으로 개질된 폴리에테르, 폴리디메틸실록산, 유기관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PU 셀 안정제의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01 ~ 0.50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0.05 ~ 0.30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 ~ 0.25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PU 셀 안정제 사용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PU 셀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폴리우레탄 셀 안정제 사용량이 0.50 중량%를 초과하면 셀 입자가 작아지며, 탈형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은 난연성 향상을 위해 난연 용제를 포함하며, 난연 용제로는 다른 조성물과의 상용성 및 폼 발포 성형 시 외관 상태를 고려하여 디브로모메탄(Dibromomethane)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난연 용제의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20 ~ 50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25 ~ 45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28 ~ 40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난연 용제 사용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난연성 효과 증대가 미비할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스킨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외관상 깨끗하지 못한 문제 및 상대적으로 다른 조성의 사용량이 너무 적어져셔 이형제의 다른 물성 효과가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성분 중 상기 정제석유계 용제로는 비방향족계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화점 70℃ 이상인 비방향족 정제석유계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비방향족 정제석유계 용제로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처리된 경질정제유, 수소 처리된 중질나프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제석유계 용제의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왁스, 촉매, 폴리우레탄 셀 안정제 및 난연 용제를 제외한 나머지 잔량의 중량%만큼 사용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는 비방향족 정제석유계 용제에 왁스를 투입한 다음, 교반 및 용해시켜서 왁스 용해액을 제조하는 1단계; 비방향족 정제석유계 용제가 투입되어 있는 탱크믹서에 폴리우레탄 셀 안정제, 촉매 및 상기 왁스 용해액을 차례대로 투입한 후, 호모믹서와 패들로 동시 교반 및 반응시켜서 반응액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반응액을 난연 용제를 투입한 후, 패들 교반 및 추가 반응시킨 다음, 냉각수를 투입하여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3단계; 및 냉각된 반응액을 필터링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1단계에서 상기 교반은 95 ~ 120℃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95 ~ 110℃ 하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 105℃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온도가 95℃ 미만이면 왁스 성분이 정제석유계 용제에 잘 용해되지 않고, 용해 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20℃를 초과하면 작업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2단계에서 상기 교반은 2,000 ~ 4,000rpm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2,500 ~ 3,500rpm 하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 3,000rpm 하에서 호모믹서와 패들로 동시 교반시키는 것이 균일 교반 및 점도를 낮추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2단계에서 반응이 시간은 호모믹서와 패들 동시 교반으로 40 ~ 50분간 반응시켜서, 바람직하게는 42 ~ 47분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43 ~ 46분간 반응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2단계의 반응액은 2단계의 반응생성물 등을 포함하는 용액을 의미한다.
또한, 3단계는 난연 용제를 투입한 후, 패들 교반 및 추가 반응시킨 후, 냉각수를 투입하여, 온도를 24℃ 이하로, 바람직하게는 15 ~ 24℃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 20℃ 낮춰서 냉각된 반응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냉각된 반응액은 3단계의 반응생성물 등을 포함하는 용액을 의미한다.
4단계의 필터링은 냉각된 반응액 내 불필요한 고형분 및 불순물 등을 제거하고, 최종 반응생성물인 본 발명의 친환경 이형제 얻기 위한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필터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는 인화점이 75℃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6 ~ 88℃, 더욱 바람직하게는 76 ~ 8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친환경 이형제는 점도가 25℃에서의 점도가 20 ~ 200cps, 바람직하게는 50 ~ 150cps,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100cps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친환경 이형제는 비중이 0.8 ~ 1.3, 바람직하게는 비중이 1.00 ~ 1.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1.08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친환경 이형제는 비등점이 170 ~ 350℃, 바람직하게는 200 ~ 3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MOLD폼용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는 고형분 함량이 이형제 전체 중량 중 5.0 ~ 7.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6.8 중량%로 매우 큰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성형폼의 외부 이형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의 제조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를 비방향족 정제석유계 용제에 투입한 후, 온도를 100℃까지 올린 후, 이 온도에서 패들을 가동하여 교반 및 용해시켜서 왁스 용해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비방향족 정제석유계 용제가 투입되어 있는 탱크믹서에 폴리실록산으로 개질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셀 안정제) 및 촉매를 투입한 다음, 상기 왁스 용해액을 투입하였다. 이때, 상기 촉매는 DBTDL 및 TMEDA를 1 : 1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100℃ 이하에서 호모믹서와 패들로 45분간 동시 교반 및 반응시켜,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액에 난용 용제인 디브로모메탄을 투입한 후, 패들 교반 및 추가 반응시킨 다음, 냉각수 투입 및 교반시켜서 20 ~ 21℃의 냉각된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된 반응액을 여과, 필터링하여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친환경 난연성 이형제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에 사용된 조성의 조성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실시예 5 및 비교예 1 ~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형제를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를 가지도록 하여 이형제 각각을 제조하여 실시예 2 ~ 5 및 비교예 1 ~ 8을 실시하였다.
구분 왁스
(중량%)
촉매 폴리우레탄 셀 안정제
(중량%)
난연
용제
(중량%)
정제석유계
용제
(중량%)
DBTDL 및 TMEDA 혼합 중량비 함량
(중량%)
실시예 1 3.5 1 : 1 0.74 0.12 35 잔량
실시예 2 4.5 1 : 0.9 0.72 0.12 33 잔량
실시예 3 5.0 1 : 0.8 0.70 0.12 30 잔량
실시예 4 4.1 1 : 1 0.50 0.30 25 잔량
실시예 5 3.7 1 : 0.9 0.72 0.20 45 잔량
비교예 1 2.5 1 : 1 0.74 0.12 35 잔량
비교예 2 8.0 1 : 1 0.74 0.12 35 잔량
비교예 3 3.5 1 : 1 0.05 0.05 35 잔량
비교예 4 3.5 1 : 1 1.75 0.30 35 잔량
비교예 5 3.5 1 : 1 0.74 0.005 25 잔량
비교예 6 3.5 1 : 1 0.74 1.0 35 잔량
비교예 7 3.5 1 : 1 0.74 0.12 17 잔량
비교예 8 3.5 1 : 1 0.74 0.12 53 잔량
실험예 1 : 난연성 이형제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이형제의 인화점, 점도, 비중, 고형분 함량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인화점 측정
KS M ISO 3679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점도 측정
KS A 0531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3) 비중 측정
KS A 0601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4) 고형분 함량 측정
KS M ISO 3251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인화점(℃) 점도(25℃) 비중 고형분 함량(중량%)
실시예 1 78 60 1.05 6.20
실시예 2 77 67 1.04 6.37
실시예 3 76 70 1.02 6.56
실시예 4 75 77 1.06 6.64
실시예 5 81 55 1.00 5.65
비교예 1 80 38 1.18 5.41
비교예 2 72 95 1.01 7.22
비교예 3 74 51 0.89 5.04
비교예 4 79 105 1.11 7.03
비교예 5 75 60 1.04 6.12
비교예 6 79 61 1.05 6.36
비교예 7 71 112 1.13 7.10
비교예 8 83 34 0.94 5.14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파라핀왁스 적게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점도가 낮고 폴리우레탄 성형폼의 셀 안정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으며, 파라핀왁스를 너무 많이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인화점이 낮고, 빌드업(build up)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촉매를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전반적으로 물성이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으며, 촉매를 1.5 중량% 초과한 비교예 4의 경우, 인화점, 점도, 비중 등 물성은 적정하나, 비교예 4의 난연성 이형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 성형폼의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폴리우레탄 셀 안정제를 0.01 중량%를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5 및 폴리우레탄 셀 안정제를 0.5 중량%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6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인화점, 점도, 비중, 고형분 함량에 큰 차이는 없으나,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난연성 이형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 폼의 셀 안정성이 좋지 않거나, 또는 폴리우레탄 폼의 셀 입자가 너무 작고, 탈형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난연용제를 2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7의 경우, 인화점이 너무 낮은 문제가 있으며, 난연용제를 50 중량% 초과 사용한 비교예 8의 경우, 인화점은 높으나, 점도가 너무 낮았으며, 이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폼 발포시, 성형의 셀이 깨지고, 루즈 스킨(loose skin)이 발생하여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와 달리 실시예 1 ~ 5의 경우, 적정 물성값을 가졌으며,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 성형폼이 외관 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이형제 내 동일 면적 당 고형분 함량을 줄이면서도, 톨루엔 등의 유해 성분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이형제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비방향족 정제석유계 용제에 왁스를 투입한 다음, 95 ~ 110℃ 하에서 교반 및 용해시켜서 왁스 용해액을 제조하는 1단계;
    비방향족 정제석유계 용제가 투입되어 있는 탱크믹서에 폴리우레탄 셀 안정제, 촉매 및 상기 왁스 용해액을 차례대로 투입한 후, 호모믹서와 패들로 동시 교반을 40 ~ 50분간 수행하여 반응시켜서 반응액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반응액을 난연 용제를 투입한 후, 패들 교반 및 추가 반응시킨 다음, 냉각수를 투입하여 24℃ 이하로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3단계; 및
    냉각된 반응액을 필터링하는 4단계;를 포함하며,
    4단계에서 제조된 난연성 이형제는 왁스 3 ~ 5 중량%, 촉매 0.1 ~ 1.5 중량%, 폴리우레탄 셀 안정제 0.01 ~ 0.5 중량%, 난연용제 25 ~ 45 중량% 및 잔량의 비방향족 정제석유계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 용제는 디브로모메탄을 포함하며,
    4단계에서 제조된 난연성 이형제는 고형분 함량이 이형제 전체 중량 중 5.5 ~ 7.0 중량%이고, 인화점이 75 ~ 88℃이며, 25℃에서의 점도가 55 ~ 1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90074126A 2019-06-21 2019-06-21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친환경 이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6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126A KR102076707B1 (ko) 2019-06-21 2019-06-21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친환경 이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126A KR102076707B1 (ko) 2019-06-21 2019-06-21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친환경 이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707B1 true KR102076707B1 (ko) 2020-02-12

Family

ID=6956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126A KR102076707B1 (ko) 2019-06-21 2019-06-21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친환경 이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7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2816A (ja) * 1988-07-22 1990-02-02 Yushiro Chem Ind Co Ltd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型用離型剤
JPH06226752A (ja) * 1993-02-02 1994-08-16 Konishi Kk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用水性離型剤組成物
KR20090009161A (ko) * 2007-07-19 2009-01-22 에보니크 골트슈미트 게엠베하 무용제 이형제 및 폴리우레탄 몰딩 제조의 용도
KR20090099845A (ko) * 2008-03-18 2009-09-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그린 타이어 외부 이형제 조성물
KR20150121063A (ko) 2013-02-19 2015-10-28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폴리우레탄 물질을 위한 내부 이형제
KR101917355B1 (ko) * 2018-03-06 2019-01-24 황윤익 폴리우레탄 성형폼용 이형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2816A (ja) * 1988-07-22 1990-02-02 Yushiro Chem Ind Co Ltd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型用離型剤
JPH06226752A (ja) * 1993-02-02 1994-08-16 Konishi Kk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用水性離型剤組成物
KR20090009161A (ko) * 2007-07-19 2009-01-22 에보니크 골트슈미트 게엠베하 무용제 이형제 및 폴리우레탄 몰딩 제조의 용도
KR20090099845A (ko) * 2008-03-18 2009-09-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그린 타이어 외부 이형제 조성물
KR20150121063A (ko) 2013-02-19 2015-10-28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폴리우레탄 물질을 위한 내부 이형제
KR101917355B1 (ko) * 2018-03-06 2019-01-24 황윤익 폴리우레탄 성형폼용 이형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0803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likonverbindungen, die durch kontakt mit der umgebungsfeuchtigkeit, durch waermezufuhr oder durch vermischung der bestandteile aushaerten
EP2358819B1 (de) Lagerstabile zweikomponentige siliconkleb- und dichtstoffe mit verlängerter mischeroffenzeit
EP2202276B1 (de) Siliconzusammensetzung mit beschleunigter Vernetzung
JP6255604B2 (ja) 潤滑方法
KR101466988B1 (ko) 무용제 이형제 및 폴리우레탄 몰딩 제조의 용도
DE2838379A1 (de) Mit silazan behandelte siliciumdioxid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09023346A6 (ja) ポリウレタン成形品の製造時に溶剤を含まない剥離剤およびその使用。
KR101917355B1 (ko) 폴리우레탄 성형폼용 이형제의 제조방법
DE102015106999A1 (de) Verfahren und Zusammensetzungen zur Herstellung von keramischen Gegenständen
KR20130062576A (ko) 내 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 도료
KR102076707B1 (ko) 폴리우레탄 폼 성형용 난연성 이형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친환경 이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EP1795322A1 (de) Trennmittel und seine Verwendung bei der Herstellung von Polyurethan-Formkörpern
US3201361A (en) Rubber compounded with a releasing composition containing a branched chain alcohol and stearic acid
EP0313482A1 (fr) Composition organopolysiloxane à fonction cetiminoxy comportant un hydrogel comme agent de durcissement
KR101677568B1 (ko) Pvc 컴파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995376B2 (ja) コンクリート剥離用塗料および該塗料を塗装した型枠
KR101174389B1 (ko) 이형 효과를 개선시킨 가류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51401B1 (ko) 패킹용 실리콘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3360A (ko) 홈케어용 발수 코팅 조성물
KR101680881B1 (ko) 타이어 몰드 형성용 고무조성물
JP5828950B1 (ja)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封止材及び電気電子部品
JP2010150476A (ja)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樹脂
KR100517431B1 (ko) 이형제 조성물
JP5622633B2 (ja) 軟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品用離型剤組成物
JPS60151014A (ja) 反応射出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