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840B1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840B1
KR102074840B1 KR1020180122767A KR20180122767A KR102074840B1 KR 102074840 B1 KR102074840 B1 KR 102074840B1 KR 1020180122767 A KR1020180122767 A KR 1020180122767A KR 20180122767 A KR20180122767 A KR 20180122767A KR 102074840 B1 KR102074840 B1 KR 102074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ody
inner pot
handle
pot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12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조리 공간을 가지고,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내솥; 상기 내솥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진 외솥; 상기 내솥의 바닥 면에 밀착되어 열을 전달하고, 중앙에 공동이 형성된 열판; 및 상기 열판의 공동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솥의 바닥 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솥의 손잡이는 제1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솥은 상기 제1 자성체와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ing apparatus}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열판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리 장치는 외솥 뚜껑 개방 시, 내솥의 바닥 면에 위치한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내솥이 상승할 수 있었다. 상기 내솥의 상승은 상기 외솥 뚜껑의 개방을 어렵게 하였다.
또한, 상기 외솥 뚜껑 개방 후 상기 내솥은 상기 외솥 뚜껑과 분리되어 하강하여 상기 내솥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열판과 충돌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었고, 또한 상기 내솥 및 상기 열판의 물리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외솥 뚜껑 개방 시 내솥의 상승을 억제하여 외솥 뚜껑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외솥 뚜껑 개방 시 내솥의 상승을 억제하여 내솥과 열판의 충돌로 발생하는 소음 및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 번째 과제는 조리 장치 사용시 내솥과 열판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조리된 곡식류의 맛을 향상시키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조리 장치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조리 공간을 가지고,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내솥; 상기 내솥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진 외솥; 상기 내솥의 바닥 면에 밀착되어 열을 전달하고, 중앙에 공동이 형성된 열판; 및 상기 열판의 공동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솥의 바닥 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솥의 손잡이는 제1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솥은 상기 제1 자성체와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 장치의 상기 외솥은 상기 외솥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을 상기 외솥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고정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내솥의 손잡이에 매립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고정링의 내부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 장치의 상기 외솥은 상기 외솥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을 상기 외솥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고정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내솥의 손잡이에 매립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외솥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링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 장치의 상기 제2 자성체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영구 자석이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제2 자성체가 형성하는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상자성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 장치의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2 자성체는 영구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 장치의 상기 내솥의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두 개로 형성되어 상호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 장치의 상기 내솥의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솥의 중심 및 상기 손잡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에 따라 대칭되도록 나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 장치의 상기 내솥의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솥의 중심 및 상기 손잡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에 따라 대칭되도록 나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들에서, 상기 조리 장치의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손잡이의 중심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장치는 내솥의 손잡이 및 외솥의 상부에 자성체를 포함하여, 조리 후 상기 조리 장치의 외솥 뚜껑의 개방이 용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장치는 내솥의 손잡이 및 외솥의 상부에 자성체를 포함하여, 외솥 뚜껑의 개방 시 내솥과 열판 사이 충돌로 인한 소음 및 물리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장치는 내솥의 손잡이 및 외솥의 상부에 자성체를 포함하여, 조리 시 내솥의 바닥 면이 열판과 밀착될 수 있어서 내솥의 조리 공간 내 곡식류들이 고온에서 조리되어 상기 조리된 곡식류들의 맛이 좋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에 따른 조리 장치의 외솥, 고정링, 및 내솥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내솥의 손잡이 및 외솥의 고정링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에서 분리된 손잡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분리되었을 때의 내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성체를 포함하는 내솥의 상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개시의 조리 장치(100)는 외솥(11), 외솥 뚜껑(12), 내솥(13), 내솥 뚜껑(14), 열판(15), 탄성 부재(16), 및 고정링(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리 장치(100)의 외솥(11)은 내부에 개구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11)의 개구된 공간에는 상기 내솥(13)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솥 뚜껑(12)은 상기 외솥(11)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솥(11)의 개구된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외솥 뚜껑(12)은 상기 외솥(11)의 일 측에서 힌지(hinge)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외솥(11)의 개구된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내솥(13)은 곡식류 등의 조리 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된 조리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13)의 조리 공간은 조리 시 상기 내솥 뚜껑(14)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내솥(13)의 상부에는 손잡이(17)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내솥(13)의 손잡이(17)를 이용하여 상기 내솥(13)을 상기 외솥(1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14)은 상기 내솥 뚜껑(14)의 가장 자리에서 내솥 패킹(10)과 결합되어, 상기 내솥(13)의 개구된 조리 공간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13)의 조리 공간 내 곡식류들은 고온 고압에서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조리 시 곡식류들로부터 발생하는 대부분의 증기는 상기 내솥 뚜껑(14)의 표면에 맺힐 수 있어서, 상기 외솥 뚜껑(12) 및 상기 외솥 뚜껑(12)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부품들은 상기 발생한 증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14)은 상기 외솥 뚜껑(12)과 결합되어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솥 뚜껑(12)을 상부로 움직여서 상기 내솥(13)의 조리 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내솥 뚜껑(14)은 상기 외솥 뚜껑(12)과 결합하여 함께 상부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솥 뚜껑(12)을 하부로 움직여 상기 내솥(13)의 조리 공간을 밀폐할 때, 상기 내솥 뚜껑(14)은 상기 외솥 뚜껑(12)과 결합하여 함께 하부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열판(15)은 상기 내솥(13)의 바닥 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13)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 시 상기 열판(15)은 상기 내솥(13)의 바닥 면에 밀착되어 상기 열판(15)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내솥(13)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내솥(13)의 조리 공간 내 곡식류들은 고온에서 조리될 수 있다.
상기 열판(15)은 중앙에 공동이 형성된 링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링 형상의 열판(15)은 상기 내솥(13)의 바닥 면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판(15)은 열에 의한 변형이 적고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비금속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11)은 상부에서 고정링(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링(20)은 상기 내솥(13)에 형성된 걸림턱(미도시) 및 손잡이(17)를 지지하여 조리 시 상기 내솥(13)을 상기 외솥(11)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링(20)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6)는 상기 외솥(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열판(15)의 공동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6)는 탄성이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 부재(16)는 내부에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6)의 상부에는 상기 내솥(13)이 위치할 수 있다.
조리 시, 상기 외솥 뚜껑(12)은 상기 내솥(13)에 하부로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내솥(13)의 하부에 위치한 탄성 부재(16)는 압축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6)가 압축되면서 상기 내솥(13)의 바닥 면은 상기 열판(15)과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열판(15)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내솥(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조리 후, 상기 외솥 뚜껑(12)을 개방할 때, 상기 내솥(13)의 하부에 위치한 탄성 부재(16)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솥(11)에 상방으로 복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6)의 복원 압력에 의해, 상기 내솥(13)의 바닥 면은 상기 열판(15)과 이격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내솥(13)의 손잡이(17)를 손으로 잡고 위로 들어올려 상기 내솥(13)을 상기 외솥(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종래에는 조리 후 조리 장치의 외솥 뚜껑(12)을 개방할 때, 내솥(13)이 상기 탄성 부재(16)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져서 상기 외솥 뚜껑(12)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13)이 상기 외솥 뚜껑(12)과 함께 상부로 들어 올려져서 상기 외솥 뚜껑(12)의 개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내솥(13)이 상기 외솥 뚜껑(12)과 분리되면서 하강할 때, 상기 내솥(13)과 상기 열판(15)이 충돌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소음이 발생할 수 있었고 또한 상기 내솥(13) 및 상기 열판(15)의 물리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조리 장치(100)는 자성을 지닌 물질 즉,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솥(13)의 상기 손잡이(17)는 제1 자성체(18)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솥(11)은 상기 내솥(13)의 손잡이(17)가 안착되는 부분에서 제2 자성체(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18)와 상기 제2 자성체(19) 상호간에는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18)는 자기장이 가해지면 상기 자기장의 방향으로 자화되고, 상기 자기장이 제거되면 자화되지 않는 상자성체일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19)는 외부 자기장 없이도 자성을 띠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상기 제1 자성체(18)가 영구 자석일 수 있고, 상기 제2 자성체(19)가 상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성체(18) 및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호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화된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18) 및 상기 제2 자성체(19)에 의한 자기장은 본 개시의 조리 장치(100)의 외솥(11) 내부에 형성된 전기적 장치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리 장치(100)가 자력에 의한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상기 제1 자성체(18) 및 상기 제2 자성체(19)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내솥(13)은 상기 외솥(11)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후 상기 외솥 뚜껑(12)을 개방할 때, 상기 내솥(13)은 상기 내솥(13)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16)의 복원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상부로 들어올려지지 않고 상기 외솥(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솥(13)과 상기 외솥 뚜껑(12) 상호 간의 마찰이 감소할 수 있어서, 상기 외솥 뚜껑(12)의 개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솥(13)이 상기 외솥 뚜껑(12)과 분리되면서 하강할 염려가 없어, 상기 내솥(13)과 상기 열판(15) 사이 충돌로 인한 소음 및 물리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시에도 상기 내솥(13)이 자력에 의해 상기 외솥(11)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어서, 상기 내솥(13)의 바닥 면은 상기 열판(15)과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판(15)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내솥(13)으로 잘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내솥(13)의 조리 공간 내의 곡식류들은 고온에서 조리도리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된 곡식류들의 맛이 더 좋아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조리 장치(100)의 상기 내솥(13)의 손잡이(17)가 포함하는 상기 제1 자성체(18) 및 상기 외솥(11)이 포함하는 상기 제2 자성체(19)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에 따른 조리 장치의 외솥(11), 고정링(20), 및 내솥(13)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조리 장치의 내솥(13)은 상부에서 손잡이(1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7)를 손으로 잡고 위로 들어올려서, 상기 내솥(13)을 상기 외솥(1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는 상기 내솥(13)의 상부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7)는 상기 내솥(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7)는 상기 내솥(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고, 상호 마주 보는 형상으로 상기 내솥(13)의 상부에서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는 안착 영역(21) 및 그립 영역(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 영역(21)은 상기 고정링(20)의 지지 홈(23)에 삽입되어 상기 내솥(13)을 상기 외솥(11) 상에 안착시킬 수 있는 상기 손잡이(17)의 일 영역이다. 상기 안착 영역(21)은 상기 손잡이(17)의 하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20)의 지지 홈(23)은 상기 손잡이(17)의 안착 영역(21)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17)의 안착 영역(21)이 상기 고정링(20)의 지지 홈(23)에 삽입될 때, 상기 안착 영역(21)의 하면 및 측면은 상기 고정링(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내솥(13)을 상기 외솥(1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17)의 안착 영역(21)은 상기 고정링(20)의 지지 홈(23)의 크기보다 작게 제공되어 상기 손잡이(17)의 안착 영역(21)의 측면은 상기 지지 홈(23)의 내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그립 영역(22)은 상기 내솥(13)을 위로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자의 손이 직접적으로 닿는 상기 손잡이(17)의 일 영역이다. 상기 그립 영역(22)은 상기 상기 손잡이(17)의 상부 즉, 상기 손잡이(17)의 안착 영역(2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의 그립 영역(22)의 면적은 상기 안착 영역(2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솥(13)이 상기 외솥(11)의 수용 공간에 안착될 때, 상기 손잡이(17)의 그립 영역(22)의 가장 자리는 상기 외솥(11)의 수용 공간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7)의 그립 영역(22)을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는 상기 제1 자성체(18)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손잡이(17)의 상기 안착 영역(2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제1 자성체(18)와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자성체(18)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제1 자성체(18)와 수직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솥(11)의 상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조리 장치(100)를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제1 자성체(18) 및 상기 제2 자성체(19)는 공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18) 및 상기 제2 자성체(19)의 자력에 의한 인력으로 인해 상기 내솥(13)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외솥(11)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시 상기 내솥(13)의 바닥 면은 상기 열판(15)과 보다 밀착하여, 상기 열판(15)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내솥(13)의 바닥면으로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13)의 조리 공간 내의 곡식류들은 고온에서 조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된 곡식류들의 맛이 더 좋아질 수 있다.
조리 후 상기 외솥 뚜껑(12)을 개방할 때도, 상기 내솥(13)은 상기 탄성 부재(16)의 탄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자성체(18) 및 상기 제2 자성체(19) 상호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외솥(11)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솥 뚜껑(12)의 개방이 용이할 수 있고, 상기 내솥(13)과 상기 열판(15) 사이 충돌로 인한 소음 및 물리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0)의 내솥(13)의 손잡이(17) 및 외솥(11)의 고정링(20)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할 때, 상기 손잡이(17)는 상기 제1 자성체(18)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손잡이(17)의 상기 안착 영역(21)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자성체(18)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상기 내솥(13)의 손잡이(17)를 육안으로 관찰할 때 상기 제1 자성체(18)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할 때,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고정링(20)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할 때,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외솥(11)에 부착되어 돌출될 수 있고, 하부에 홈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링(20)은 상기 홈으로 상기 돌출된 제2 자성체(19)를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자성체(19)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상기 외솥(11) 및 상기 고정링(20)을 육안으로 관찰할 때 상기 제2 자성체(19)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0)의 제1 자성체(18a, 18b) 및 제2 자성체(19a, 19b)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a를 참조할 때, 상기 제1 자성체(18a)는 자기장이 가해지면 상기 자기장의 방향으로 자화되고, 상기 자기장이 제거되면 자화되지 않는 상자성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자성체(19a)는 철, 니켈, 백금 알루미늄 등과 같은 상자성의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19a)는 외부 자기장 없이도 자성을 띠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19a)는 강자성 물질일 수 있고, 상기 강자성 물질인 제2 자성체(19a)에 외부의 강한 자기장을 걸면 상기 제2 자성체(19a) 내의 자기모멘트들이 상기 자기장 방향으로 정렬되어, 상기 제2 자성체(19a)는 영구 자석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19a)가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제1 자성체(18a)는 자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자성체(18a) 및 상기 제2 자성체(19a) 상호간에 자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자성체인 상기 제1 자성체(18a)는 두께가 얇은 판 형상으로 상기 손잡이(17)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자성체(18a)의 두께는 상기 제2 자성체(19a)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실시예인 조리 장치(100)는 상기 제1 자성체(18a)가 영구 자석이고, 상기 제2 자성체(19a)가 상자성체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할 때, 상기 제1 자성체(18b) 및 상기 제2 자성체(19b)는 모두외부 자기장 없이도 자성을 띠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자성체(18b) 및 상기 제1 자성체(18b)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자성체(19b)는 같은 방향으로 자화된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자성체(18b) 및 상기 제2 자성체(19b) 상호간에 자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의 제1 자성체(18a, 18b) 및 제2 자성체(19a, 19b) 간의 자력에 의한 인력의 세기는 일반적인 성인이 상기 손잡이(17)를 잡고 상기 내솥(13)을 상부로 들어 올릴 때, 상기 내솥(13)이 큰 어려움 없이 상기 외솥(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세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성체(18a, 18b) 및 제2 자성체(19a, 19b) 간의 자력에 의한 인력의 세기는 조리 후 상기 외솥 뚜껑(12)을 개방할 때, 상기 내솥(13)이 상기 외솥 뚜껑(12)과 함께 상부로 들어 올려지지 않을 정도의 세기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18a, 18b) 및 제2 자성체(19a, 19b)의 자화 정도, 크기, 소재, 및 이격 거리 등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자성체(18a, 18b) 및 제2 자성체(19a, 19b) 간의 자력에 의한 인력의 세기는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3)에서 분리된 손잡이(17)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7)가 분리되었을 때의 내솥(13)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할 때,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손잡이(17)의 끼움 홈(5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의 끼움 홈(51)은 상기 손잡이(17)의 하부, 즉 상기 손잡이(17)의 안착 영역(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의 끼움 홈(51)은 상기 제1 자성체(18)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고정 돌기(52)는 삽입된 상기 제1 자성체(18)의 상부에 압력을 가해, 상기 제1 자성체(18)가 상기 끼움 홈(51)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제1 자성체(18)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는 볼트(61)와 너트(62)를 통해 상기 내솥(13)의 상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는 볼트 홈(53) 및 너트 홈(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13)의 상부에 고정된 너트(62)를 상기 손잡이(17)의 너트 홈(54)에 위치시킨 후, 상기 볼트(61)를 상기 볼트 홈(53)에 삽입하여 조이면 상기 손잡이(17)는 안정적으로 상기 내솥(13)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18)가 상기 손잡이(17)의 하부, 즉 상기 손잡이(17)의 안착 영역(2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제1 자성체(18)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자성체(19)와 용이하게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가 상기 내솥(13) 상에 고정되면,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손잡이(17)의 내부에 위치하여, 육안으로 상기 손잡이(17)를 관찰할 때 상기 제1 자성체(18)는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성체(18)를 포함하는 내솥(13)의 상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할 때, 상기 내솥(13)은 위에서 볼 때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는 상기 내솥(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손잡이(17)는 상호 마주보는 형상으로 상기 내솥(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솥(13)의 중심 및 상기 손잡이(17)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L)을 그었을 때, 상기 손잡이(17)는 제1 영역(71) 및 제2 영역(72)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의 제1 영역(71) 및 제2 영역(72)은 상기 제1 자성체(18)의 상기 손잡이(17) 내의 배치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영역이며, 상기 손잡이(17)를 육안으로 관찰할 때 상기 제1 영역(71) 및 상기 제2 영역(72)은 일체화되어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71)은 상기 내솥(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호 마주볼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72) 역시 상기 내솥(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호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손잡이(17)의 상기 제1 영역(71) 및 상기 제2 영역(72)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내솥(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영역(71) 및 상기 제2 영역(72)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a에서 상기 손잡이(17)의 상기 제1 영역(71) 및 상기 제2 영역(72)에서 각각 하나의 제1 자성체(18)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손잡이(17)는 상기 제1 영역(71) 및 상기 제2 영역(72)에서 다양한 개수의 제1 자성체(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제1 자성체(18)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제1 자성체(18)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자성체(18)와 수직선상에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제1 자성체(18)와 수직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솥(11)의 상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조리 장치(100)를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제1 자성체(18) 및 상기 제2 자성체(19)는 공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성체(18)를 포함하는 내솥(13)의 상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솥(13)의 중심 및 상기 손잡이(17)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L)을 그었을 때, 상기 손잡이(17)는 제1 영역(71) 및 제2 영역(72)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손잡이(17)의 상기 제1 영역(71)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72)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내솥(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영역(7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손잡이(17)의 상기 제2 영역(72)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역(71)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는 상기 제1 영역(71) 또는 상기 제2 영역(72)에서 다양한 개수의 제1 자성체(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제1 자성체(18)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제1 자성체(18)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자성체(18)와 수직선상에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제1 자성체(18)와 수직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솥(11)의 상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조리 장치(100)를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제1 자성체(18) 및 상기 제2 자성체(19)는 공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18)가 상기 손잡이(17)의 상기 제1 영역(71) 및 상기 제2 영역(72) 중 어느 하나에만 위치할 수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18)를 포함하는 상기 손잡이(17)의 제조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성체(18)가 상기 내솥(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내솥(13)을 상기 내솥(13)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후 상기 외솥(11)의 수용 공간에 상기 내솥(13)을 집어넣어도 상기 내솥(13)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외솥(11)에 안착될 수 있다.
도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성체(18)를 포함하는 내솥(13)의 상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손잡이(17)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자성체(18)는 상기 내솥(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손잡이(17)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는 상기 제1 영역(71) 또는 상기 제2 영역(72)에서 다양한 개수의 제1 자성체(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제1 자성체(18)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제1 자성체(18)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자성체(18)와 수직선상에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자성체(19)는 상기 제1 자성체(18)와 수직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솥(11)의 상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조리 장치(100)를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제1 자성체(18) 및 상기 제2 자성체(19)는 공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조리 공간을 가지고,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내솥;
    상기 내솥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진 외솥;
    상기 내솥의 바닥 면에 밀착되어 열을 전달하고, 중앙에 공동이 형성된 열판;
    상기 열판의 공동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솥의 바닥 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외솥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솥을 상기 외솥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고정링;
    을 포함하고,
    상기 내솥의 손잡이는 제1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솥은 상기 제1 자성체와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된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고정링에 안착되는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고정링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2 자성체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외솥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링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영구 자석이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제2 자성체가 형성하는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상자성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2 자성체는 영구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두 개로 형성되어 상호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솥의 중심 및 상기 손잡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에 따라 대칭되도록 나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솥의 중심 및 상기 손잡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에 따라 대칭되도록 나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손잡이의 중심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KR1020180122767A 2018-10-15 2018-10-15 조리 장치 KR102074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67A KR102074840B1 (ko) 2018-10-15 2018-10-15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67A KR102074840B1 (ko) 2018-10-15 2018-10-15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840B1 true KR102074840B1 (ko) 2020-02-07

Family

ID=6957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67A KR102074840B1 (ko) 2018-10-15 2018-10-15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8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061A (ja) * 2000-07-26 2002-04-09 Shiyouko Ishihara 蒸し器付き炊飯器及び補助蒸し器
KR100746406B1 (ko) * 2006-02-10 2007-08-03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제어장치
KR20170007010A (ko) *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061A (ja) * 2000-07-26 2002-04-09 Shiyouko Ishihara 蒸し器付き炊飯器及び補助蒸し器
KR100746406B1 (ko) * 2006-02-10 2007-08-03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제어장치
KR20170007010A (ko) *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32589A1 (zh) 电烹饪装置
KR102074840B1 (ko) 조리 장치
CN204133171U (zh) 烹饪器具及其上盖
KR101379001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CN203647128U (zh) 水壶的壶盖和水壶
CN204410530U (zh) 一种自动排气的电压力锅
EP3499129A3 (en) Cooking device
JP2000201824A (ja) 鍋蓋用つまみ
JP3168813U (ja) 電磁調理器用発熱板及びそれを備える電磁調理器用調理器具
KR200492915Y1 (ko) 요식업소용 전기식 가열장치의 컨트롤 박스 결합구조
CN109641693B (zh) 型材收纳容器
KR20100060601A (ko) 병마개
KR20130104664A (ko) 자석 척
KR102130913B1 (ko)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CN107752715B (zh) 电烹饪装置
CN202460675U (zh) 磁悬浮保温杯
CN208784260U (zh) 一种盖碗
CN207574662U (zh) 一种磁铁插销定位装置
KR20170002580U (ko) 밀폐용기 잠금장치
KR102119734B1 (ko)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CN207023940U (zh) 密封沥水锅盖
JP2010100325A (ja) 磁石式容器と蓋
CN207754990U (zh) 温控器及电烹饪炊具
RO126365A2 (ro) Capac multifuncţional cu mâner magnetic, detaşabil, pentru vase de gătit
KR101088258B1 (ko) 도어를 가지는 조리용기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