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010A - 전기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010A
KR20170007010A KR1020150098578A KR20150098578A KR20170007010A KR 20170007010 A KR20170007010 A KR 20170007010A KR 1020150098578 A KR1020150098578 A KR 1020150098578A KR 20150098578 A KR20150098578 A KR 20150098578A KR 20170007010 A KR20170007010 A KR 20170007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lid
pot cover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형
주명용
문광오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098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7010A/ko
Publication of KR20170007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과 내솥 커버를 자성체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내솥 커버를 상기 뚜껑에 쉽게 결합 또는 분리시켜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Electric-pressure rice cooker}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에 결합되는 내솥 커버를 분리형 내솥 커버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내솥 커버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기압렵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쌀을 조리하는데 쓰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밥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리기기이다.
이러한 전기압력밥솥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과, 상기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기압력밥솥은 음식물이 수용된 내솥을 가열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상태를 만들어 쌀을 조리한다.
이 경우, 상기 내솥을 밀폐하는 것이 내솥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고온고압이 유지되므로 취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며, 또한, 보온시에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에 유리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개폐하는 뚜껑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뚜껑에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뚜껑에는 상기 내솥을 개폐하는 내솥 커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솥 커버는 분리 여부에 따라 고정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는 위생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내솥 커버가 쉽게 분리되어 청소가 용이한 분리형 내솥 커버가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전기압력밥솥의 뚜껑과 상기 뚜껑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솥 커버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압력밥솥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389317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0878255호(이하, '특허문헌 2' 라 한다)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3327호(이하, '특허문헌 3' 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내솥 커버(50)의 타측 말단은 뚜껑 본체(3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36)에 안착되고, 내솥 커버(50)의 선단은 고정부재(13)의 걸림부(13c)에 고정되어 결합되며, 누름버튼(11)을 누르면, 상기 내솥 커버(50)가 상기 걸림부(13c)로 부터 분리되는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경우, 상기 내솥 커버(50)를 고정하여 결합시키는 상기 고정부재(13)와, 상기 내솥 커버(50)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누름버튼(11) 등을 포함하는 개방구조체(10)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비싸지고, 잦은 고장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의 경우, 내솥 뚜껑(40)에 결합용 호울(43)이 형성되고, 본체 뚜껑(30)의 저면부에 결합단(31)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단(31)이 상기 결합용 호울(43)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단(31)에는 고정구(32)가 끼워지는 구조로 내솥 뚜껑(40)과 본체 뚜껑(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2의 경우, 상기 본체 뚜껑(30)에서 상기 내솥 뚜껑(40)을 분리할 때마다 별도로 상기 고정구(32)를 상기 결합단(31)에서 분리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의 경우, 탑 플레이트(100)에 고정 부재(120)이 구비되어, 내솥 커버의 단부 또는 내솥 커버의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120)에 끼워져 상기 내솥 커버가 상기 탑 플레이트(100)에 고정되고, 탑 플레이트(100)에 고정돌기(110)가 형성되고, 상기 내솥 커버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상기 고정돌기(110)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내솥 커버가 상기 탑 플레이트(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3의 경우와 같이, 단순히 상기 고정돌기(110)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돌기(110)를 분리함으로써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으면, 상기 내솥 커버를 상기 탑 플레이트(100)에서 분리하는 것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110)가 마모되거나, 상기 결합홈이 헐거워지게 되어, 부품의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389317호. 한국등록특허 제0878255호.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332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과 내솥 커버를 자성체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내솥 커버를 상기 뚜껑에 쉽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내부에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개폐하는 내솥 커버; 상기 내솥 커버를 상기 뚜껑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자성체는 상기 내솥 커버와 상기 뚜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솥 커버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에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에 상기 내솥 커버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압력밥솥의 온도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내솥을 개폐하는 내솥 커버를 자성체를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전기압력밥솥과 달리, 간단한 구조로 분리형 내솥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뚜껑과 상기 내솥 커버가 결합되므로, 별도의 고정구 등이 없어도 상기 뚜껑과 상기 내솥 커버의 결합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솥 커버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의 결합을 자성체의 자기력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의 마모가 생길 염려가 없고, 상기 홈 또한 헐거워질 염려가 없으므로, 오랜 시간동안 상기 내솥 커버와 상기 뚜껑을 결합하고 분리시키더라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고, 부품의 교체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뚜껑을 도시한 도.
도 3은 도 1의 내솥 커버를 도시한 도.
도 4는 도 1의 뚜껑에 내솥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5는 도 1의 뚜껑에 내솥 커버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뚜껑을 도시한 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솥 커버를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도 1의 뚜껑에 내솥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5는 도 1의 뚜껑에 내솥 커버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솥(200)과, 본체(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300)과, 뚜껑(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솥(200)을 개페하는 내솥 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본체(100)의 내부에는 후술할 내솥(200)이 수용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후술할 내솥(200)을 가열하는 가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부는 내솥(200)의 바닥을 가열하는 종래의 열판식 전기압력밥솥의 가열부로 구성되거나, 내솥(200)의 바닥 및 측면에 코일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종래의 IH식 전기압력밥솥의 가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내솥(200)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솥(2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수용된다.
따라서, 내솥(200)이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면, 내솥(200)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이 가열되어 조리된다.
또한, 내솥(200)은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며, 후술할 뚜껑(300)을 닫으면, 뚜껑(300)에 결합된 내솥 커버(400)가 내솥(200)의 개방된 상부에 덮여 내솥(200)을 밀폐시킨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0)은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솥(200)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증기배출부(310) 및 제2증기배출부(320)와, 내솥 커버(4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330)와, 내솥 커버(400)가 결합되는 홈(340)을 포함하며 구성된다.
제1증기배출부(310)는 뚜껑(300)의 상면과 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내솥(200)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증기배출부(31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3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밸브(311)는 제1증기배출부(310)의 개폐를 제어한다.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시, 솔레노이드 밸브(311)로 제1증기배출부(310)를 개방시켜 본체(100) 내부에 발생하게 되는 증기를 배출시켜줌으로써, 전기압력밥솥(10)이 높은 압력에 의해 폭발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증기배출부(310)의 하부 단부는 뚜껑(300)의 밑면에 형성된 제1증기배출구(312)와 연통되어 있다.
제1증기배출구(312)는 뚜껑(300)의 밑면에 제1증기배출부(310)와 연통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솥(200)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제1증기배출부(310)로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증기배출부(320) 또한, 뚜껑(300)의 상면과 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1증기배출부(310)와 같이 내솥(200)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2증기배출부(320)의 상부에는 압력추(321)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추(321)는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많아지게 되면, 상기 증기가 압력추(321)를 밀어올려, 압력추(321)가 상방향으로 올라감으로써, 증기를 배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전기압력밥솥(10)이 높은 압력에 의해 폭발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증기배출부(320)의 하부 단부는 뚜껑(300)의 밑면에 형성된 제2증기배출구(322)와 연통되어 있다.
제2증기배출구(322)는 뚜껑(300)의 밑면에 제2증기배출부(320)와 연통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솥(200)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제2증기배출부(320)로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330)는 뚜껑(300)의 하면에 형성되며, 후술할 내솥 커버(400)의 돌기(4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홈(340)은 뚜껑(300)의 하면 중심부에 형성되며, 후술할 내솥 커버(400)의 돌출부(430)가 홈(340)에 삽입되어 뚜껑(300)과 내솥 커버(400)를 결합시킨다.
홈(340)에는 홈(340)과 돌출부(430)의 단부가 접촉하는 면에 제1자성체(341)가 구비되며, 제1자성체(341)는 후술할 돌출부(430)의 제2자성체(431)와 상호 작용한다.
즉, 돌출부(430)의 단부가 홈(340)에 삽입되면, 돌출부(430)의 제2자성체(431)와 홈(340)의 제1자성체(341)가 자기력으로 결합함으로써, 내솥 커버(400)와 뚜껑(300)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뚜껑(300)과 내솥 커버(400)는 제1, 2자성체(341, 431)의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내솥 커버(400)에 하향으로 힘을 줌으로써, 쉽게 뚜껑(300)과 내솥 커버(4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홈(340)의 내부에는 패킹부재(3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패킹부재(342)는 돌출부(430)가 홈(340)에 삽입을 도와주고, 삽입된 후에 돌출부(430)가 홈(340)을 완전 밀착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패킹부재(342)는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 커버(400)는 내솥(200)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유동되는 구멍(410)과, 뚜껑(300)의 고정부(330)에 끼워지는 돌기(420)와, 뚜껑(300)의 홈(340)에 삽입되는 돌출부(430)와, 내솥(200)을 밀봉시키는 패킹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내솥 커버(400)는 뚜껑(300)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뚜껑(300)을 닫을 때, 내솥(200)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멍(410)은 내솥 커버(4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다수개 형성되며, 내솥 커버(400)가 뚜껑(300)에 결합시, 내솥(200)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구멍(410) 및 뚜껑(300)의 제1, 2증기배출구(312, 322)를 통해 제1, 2증기배출부(310, 320)로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기압력밥솥(10)을 이용하여 내솥(200)의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는 내솥 커버(400)의 구멍(410), 뚜껑(300)의 제1, 2증기배출구(312, 322), 제1, 2증기배출부(310, 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돌기(420)는 내솥 커버(40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420)가 고정부(330)에 끼워지면, 돌기(420)의 하면이 고정부(330)의 하면에 접촉하여, 내솥 커버(400)가 하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돌출부(430)는 내솥 커버(400)가 뚜껑(300)과 결합시, 전술한 뚜껑(300)의 홈(340)과 대향되도록 내솥 커버(400)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430) 내부에는 제1자성체(341)와 상호 작용하는 제2자성체(431)가 구비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430)가 홈(340)에 삽입되면, 돌출부(430)의 제2자성체(431)와 홈(340)의 제1자성체(341)가 자기력으로 상호 결합함으로써, 내솥 커버(400)와 뚜껑(300)이 결합하게 된다.
패킹부(440)는 내솥 커버(40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뚜껑(300)을 닫아 내솥 커버(400)가 내솥(200)의 상부를 밀폐할 때, 내솥 커버(400)와 내솥(200)이 완전히 밀봉될 수 있게 한다.
즉, 패킹부(440)의 내주면이 내솥(200)의 개방된 상부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외주면을 감싸게 되고, 이렇게 내솥 커버(400)가 내솥(200)의 개방된 상부를 완전히 밀봉시켜 폐쇄하게 됨으로써, 내솥(200)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 뚜껑(300)과 내솥 커버(400)를 결합시키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뚜껑(300)의 고정부(330)에 내솥 커버(400)의 돌기(420)가 끼워져 뚜껑(300)과 내솥 커버(400)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뚜껑(300)의 홈(340)에 내솥 커버(400)의 돌출부(430)가 삽입되어 뚜껑(300)과 내솥 커버(4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뚜껑(300)의 하면에 내솥 커버(400)를 결합시키기 위해,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내솥 커버(400)를 기울인 상태에서 내솥 커버(40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420)를 뚜껑(300)의 고정부(330)에 끼워 넣는다.
돌기(420)가 고정부(330)에 끼워진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내솥 커버(400)의 돌출부(430)가 뚜껑(300)의 홈(340)에 삽입되도록 기울어진 내솥 커버(400)를 상향으로 힘을 가하면, 돌출부(430)가 홈(340)에 삽입되게 된다.
돌출부(430)가 홈(340)에 삽입되면, 돌출부(430)에 구비되는 제2자성체(431)와 홈(340)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341)가 상호 작용, 즉, 자기력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결합된 뚜껑(300)과 내솥 커버(400)는 제1, 2자성체(341, 431)의 자기력에 의해 결합될 뿐만 아니라 홈(340)에 구비되는 패킹부재(342)가 홈(340)과 돌출부(430)를 단단히 고정시키고 있으며, 또한, 내솥 커버(4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420)가 고정부(33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기압력밥솥(1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뚜껑(300)과 내솥 커버(400)가 제1, 2자성체(341, 431)의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고정부(330)를 지지점으로 삼아 내솥 커버(400)의 타측(내솥 커버(40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420)의 반대측)에 하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손쉽게 내솥 커버(400)를 뚜껑(3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300)과 내솥 커버(400)를 제1, 2자성체(341, 431)에 의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장치가 없어도 내솥 커버(400)를 뚜껑(300)에 결합할 있으며, 사용자가 단순히 내솥 커버(400)에 힘을 가하여 내솥 커버(400)가 뚜껑(300)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쉽게 내솥 커버(400)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는 뚜껑(300)의 홈(340)에 제1자성체(341)가 구비되고, 내솥 커버(400)의 돌출부(430)에 제2자성체(431)가 구비된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2개의 자성체가 아닌 하나의 자성체, 즉, 돌출부(430)와 홈(340) 중 어느 하나에만 자성체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의 재질을 자성체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뚜껑(300)과 내솥 커버(40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전기압력밥솥 100: 본체
200: 내솥 300: 뚜껑
310: 제1증기배출부 311: 솔레노이드 밸브
312: 제1증기배출구 320: 제2증기배출부
321: 압력추 322: 제2증기배출구
330: 고정부 340: 홈
341: 제1자성체 342: 패킹부재
400: 내솥 커버 410: 구멍
420: 돌기 430: 돌출부
431: 제2자성체 440: 패킹부

Claims (4)

  1. 내부에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개폐하는 내솥 커버;
    상기 내솥 커버를 상기 뚜껑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자성체는 상기 내솥 커버와 상기 뚜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커버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상기 내솥 커버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KR1020150098578A 2015-07-10 2015-07-10 전기압력밥솥 KR20170007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578A KR20170007010A (ko) 2015-07-10 2015-07-10 전기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578A KR20170007010A (ko) 2015-07-10 2015-07-10 전기압력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10A true KR20170007010A (ko) 2017-01-18

Family

ID=5799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578A KR20170007010A (ko) 2015-07-10 2015-07-10 전기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70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40B1 (ko) * 2018-10-15 2020-02-07 (주)쿠첸 조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55B1 (ko) 2007-06-13 2009-01-12 쿠쿠전자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KR101389317B1 (ko) 2011-07-25 2014-04-28 주식회사 리홈쿠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KR20140083327A (ko)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압력 밥솥의 내솥 커버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55B1 (ko) 2007-06-13 2009-01-12 쿠쿠전자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KR101389317B1 (ko) 2011-07-25 2014-04-28 주식회사 리홈쿠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KR20140083327A (ko)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압력 밥솥의 내솥 커버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40B1 (ko) * 2018-10-15 2020-02-07 (주)쿠첸 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033B1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RU255562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даптации капсулы с пищевым продуктом к держателю капсулы
RU2488333C2 (ru) Варочная камера и варочная машина с одной такой варочной камерой
JP2015171586A (ja) ゴムパッキングのない電気圧力炊飯器及び圧力式調理器具
KR20110021601A (ko)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KR101086287B1 (ko) 전기 압력조리기
CN108477979B (zh) 降温装置及蒸箱
KR20170007010A (ko) 전기압력밥솥
KR100542335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CN111513538A (zh) 烹饪器具
KR101244277B1 (ko) 중탕기
KR101468136B1 (ko) 휴대용 발열용기
KR101965664B1 (ko) 전기 밥솥의 뚜껑 닫힘 방지 장치
KR100660823B1 (ko) 찜구이기
KR102330145B1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20110117822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뚜껑 탈거형 전기압력조리기
KR101593035B1 (ko) 스팀 중탕기
KR20180001795A (ko) 밥솥
KR100872895B1 (ko)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1450123B1 (ko) 중탕기로 사용되는 조리용 냄비
KR200483145Y1 (ko) 그릴판 탈부착용 단속구가 구비된 밀폐형 양면전기그릴
KR101906822B1 (ko) 내열을 이용한 이중가열식 조리기구
JP2007253996A (ja) 加熱容器
KR101905883B1 (ko) 분리 가능한 이중 조리장치
KR100521404B1 (ko) 조리장치의 밀폐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