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317B1 -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 Google Patents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317B1
KR101389317B1 KR1020110073562A KR20110073562A KR101389317B1 KR 101389317 B1 KR101389317 B1 KR 101389317B1 KR 1020110073562 A KR1020110073562 A KR 1020110073562A KR 20110073562 A KR20110073562 A KR 20110073562A KR 101389317 B1 KR101389317 B1 KR 101389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pot cover
push button
lid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394A (ko
Inventor
임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홈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홈쿠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홈쿠첸
Priority to KR102011007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3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솥 커버의 개방 버튼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하고, 디자인에 따라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제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내측에 설치되는 내솥 커버를 고정 또는 이탈시키도록 설치되는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로서, 상기 뚜껑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솥의 상단과 체결되는 잠금링의 바깥쪽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 버튼; 상기 누름 버튼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양측이 상기 뚜껑 내측에 힌지 연결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과 맞닿도록 설치되고, 상기 뚜껑 내측에서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링크부재가 회동되면, 상기 내솥 커버를 고정하는 걸림턱이 이동하여 상기 내솥 커버를 분리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OPENING ASSEMBLY FOR THE INNER POT COVER}
본 발명은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솥 커버의 개방 버튼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하고, 디자인에 따라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제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쌀을 조리하는데 쓰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밥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리기기이다. 이러한 전기압력밥솥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기압력밥솥은 음식물이 수용된 내솥을 가열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상태를 만들어 쌀을 조리한다. 이때, 상기 내솥을 밀폐하는 것이 내솥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고온고압이 유지되므로 취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며 또한 보온시에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에 유리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압력밥솥용 커버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참조하여 종래의 압력밥솥용 커버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의 전기압력밥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내솥 커버의 개방 구조체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밥솥용 커버 어셈블리(1)는 본체(2)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합성수지 재질의 뚜껑(3)과, 상기 뚜껑(3)의 하부에 내솥(4)의 상부를 덮는 금속 재질의 내솥 커버(5)와, 상기 내솥 커버(5)의 하측 테두리부에 내솥(4)의 가열에 따른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내솥 커버(5)가 닫히게 되면 상기 내솥커버(5)와 내솥(4)의 틈을 밀폐하는 내솥 패킹(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압력밥솥용 커버 어셈블리는 내솥 커버의 청소 용이성을 위해서 분리형 내솥 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즉, 내솥 커버는 분리 여부에 따라 고정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되는데, 근래 들어 위생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내솥 커버를 쉽게 분리해서 청소할 수 있도록 분리형 내솥 커버가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는, 도 2와 같이 잠금링(6)의 내측의 협소한 공간에 개방 버튼(7)이 설치되어, 이 개방 버튼(7)을 누르면 내솥 커버(5)가 뚜껑(3)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개방 버튼(7)은 잠금링(6)의 내측에 위치되어 버튼의 설치영역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개방 버튼(7)이 잠금링(6)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개방 버튼(7)을 누르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내솥 커버의 개방 버튼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하고, 디자인에 따라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제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내측에 설치되는 내솥 커버를 고정 또는 이탈시키도록 설치되는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로서, 상기 뚜껑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솥의 상단과 체결되는 잠금링의 바깥쪽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 버튼; 상기 누름 버튼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양측이 상기 뚜껑 내측에 힌지 연결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과 맞닿도록 설치되고, 상기 뚜껑 내측에서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링크부재가 회동되면, 상기 내솥 커버를 고정하는 걸림턱이 이동하여 상기 내솥 커버를 분리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뚜껑 내측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잠금링의 작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뚜껑의 잠금링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뚜껑의 테두리부 전방 측에 가깝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뚜껑의 중앙선상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상기 누름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연장축부와 연동되어 상기 링크부재를 회동시키고, 상기 고정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내솥 커버가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뚜껑 본체의 잠금링 외측에 누름 버튼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고, 디자인에 따라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제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전기압력밥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내솥 커버의 개방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의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상태에서 누름 버튼이 눌러져 내솥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의 설치된 상태(겉 케이스를 탈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의 일부 구성을 절개한 상태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누름 버튼이 눌러져 내솥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 본체와 잠금링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의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10)는 뚜껑 본체(30)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뚜껑 본체(30)의 중앙선상의 최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잠금링(60)의 내측에 개방구조체(10)의 고정부재(13)가 마련되고, 잠금링(60)의 외측에 누름 버튼(11)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방 구조체(10)를 작동할 수 있고, 또한 개방 구조체(10)의 설치영역에 대한 제한이 없어 제작 성능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누름 버튼이 눌러져 내솥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4와 같이, 내솥 커버(50)는 주위로 밀폐를 위한 패킹(51)이 설치된다. 또한 내솥 커버(50)는 고정부재(13)의 의해 가장자리 선단이 고정되고, 내솥 커버(50)의 타측 말단은 뚜껑 본체(3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36)에 안착된 상태로 장착이 이루어진다.
한편, 뚜껑 본체(30)에는 잠금링(60; 내솥의 플랜지와 결합되어 밀폐됨)을 구동시키 위한 잠금 레버(31)가 구비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개방 구조체(10)는 누름 버튼(11)과 링크부재(12) 및 고정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누름 버튼(11)은 뚜껑 본체(30)의 테두리부(35)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름 버튼(11)은 스프링(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링크부재(12)는 도 7과 같이 양측에 힌지부(12a,12b)가 각각 형성되어 뚜껑 본체(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누름 버튼(11)을 누르게 되면 링크부재(12)의 일단을 누름 버튼(11)의 말단이 밀어 올려 링크부재(12)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링크부재(12)의 회동축에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어 회동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3)는 링크부재(12)의 말단에 맞닿은 위치에 설치되고, 도 5와 같이 힌지축(13b)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일측에 스프링(13a)을 통해 탄성지지되어 일측으로 회동되었다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3)의 말단에는 내솥 커버(50)의 선단이 걸려서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걸림부(13c)가 돌출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의 설치된 상태(케이스를 탈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의 일부 구성을 절개한 상태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누름 버튼이 눌러져 내솥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 본체와 잠금링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과 같이, 뚜껑 커버(30)는 상부커버(30a)와 하부커버(30b)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하부커버(30b)는 커버 본체(60b)에서 잠금링(61)이 일정각도로 이동됨으로써 내솥의 플랜지와 결합될 수 있는데, 개방 구조체(10)의 구성요소 중 고정부재(13)가 잠금링(61)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잠금링(61)의 작동과 간섭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일반적인 상태(평상시 내솥 커버의 고정상태)를 이루다가,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누름 버튼(11)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링크부재(12)를 회동시키고, 링크부재(12)의 말단이 회동되어 고정부재(13)를 일측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고정부재(13)의 걸림부(13c)에 고정된 상태의 내솥 커버(5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도 5와 같이, 내솥 커버가 분리됨).
이에 따라, 사용자가 뚜껑 본체(30)를 개방한 후, 간편하게 내솥 커버(50)를 뚜껑 본체(30)에서 이탈시켜 세척을 실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솥 커버(50)의 간편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뚜껑 본체(30)의 테두리부(35; 잠금링의 외측 공간)에 누름 버튼(11)을 설치할 수 있어 누름 버튼(11)의 면적을 종래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누름 버튼(11)의 위치를 뚜껑 본체(30)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Lo)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부재(12)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축부(14)를 형성한다. 이때 연장축부(14)의 양측에는 힌지부(14a,14b)가 형성되어 일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링크부재(12)의 양측에 힌지부(12a)가 형성되어 링크부재(12)와 누름버튼(11)은 같은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이하 작동방식(고정부재를 구동시켜 내솥 커버를 분리하는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잠금링(60; 도 3 참조)의 외측 테두리부(35)에 누름 버튼(11)을 형성할 수 있어 공간의 제약 없이 누름 버튼(11)을 테두리부(35) 어느 곳에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협소한 부위(잠금링의 내측 공간)에 누름 버튼을 설치함으로써 발생되었던, 접근의 불편함과 제조상의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개방 조립체 11: 누름 버튼
12: 링크부재 13: 고정부재
13a: 스프링 13b: 힌지축
13c: 걸림부 30: 뚜껑 본체
35: 테두리부 50: 내솥 커버
51: 패킹 60: 잠금링

Claims (5)

  1.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내측에 설치되는 내솥 커버를 고정 또는 이탈시키도록 설치되는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로서,
    상기 뚜껑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솥의 상단과 체결되는 잠금링의 바깥쪽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 버튼;
    상기 누름 버튼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양측이 상기 뚜껑 내측에 힌지 연결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맞닿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내솥 커버를 고정하는 걸림턱의 일단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누름 버튼이 상승되면 상기 링크부재가 회동되어 상기 걸림턱을 일측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것으로 상기 내솥 커버를 분리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잠금링의 작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잠금링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뚜껑의 테두리부 전방 측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잠금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누름 버튼에 양단이 각각 맞닿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솥 커버의 개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뚜껑 내측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뚜껑의 중앙선상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상기 누름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연장축부와 연동되어 상기 링크부재를 회동시키고, 상기 고정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내솥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솥 커버의 개방 구조체.


KR1020110073562A 2011-07-25 2011-07-25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KR101389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562A KR101389317B1 (ko) 2011-07-25 2011-07-25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562A KR101389317B1 (ko) 2011-07-25 2011-07-25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394A KR20130012394A (ko) 2013-02-04
KR101389317B1 true KR101389317B1 (ko) 2014-04-28

Family

ID=4789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562A KR101389317B1 (ko) 2011-07-25 2011-07-25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10A (ko)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170057707A (ko)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압력밥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477B1 (ko) * 2015-04-30 2021-09-15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밥솥의 분리형 커버 장착 구조
KR101696283B1 (ko) * 2015-09-21 2017-01-13 (주)쿠첸 전기밥솥의 내솥 커버 감지 장치
KR101696271B1 (ko) * 2015-09-21 2017-01-13 (주)쿠첸 전기밥솥의 내솥 커버 감지 장치
JP6967724B2 (ja) * 2017-08-25 2021-1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圧力式炊飯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580A (ja) * 2000-09-26 2002-04-02 Zojirushi Corp 炊飯器の蓋
JP2005211315A (ja) * 2004-01-29 2005-08-11 Zojirushi Corp 炊飯器の放熱板取付け構造
JP2007296046A (ja) * 2006-04-28 2007-11-15 Yoshino Kogyosho Co Ltd 蓋付き高気密容器
KR20110078798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리홈 전기 압력조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580A (ja) * 2000-09-26 2002-04-02 Zojirushi Corp 炊飯器の蓋
JP2005211315A (ja) * 2004-01-29 2005-08-11 Zojirushi Corp 炊飯器の放熱板取付け構造
JP2007296046A (ja) * 2006-04-28 2007-11-15 Yoshino Kogyosho Co Ltd 蓋付き高気密容器
KR20110078798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리홈 전기 압력조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10A (ko)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170057707A (ko)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압력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394A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317B1 (ko)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KR100878255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KR102156136B1 (ko) 압력밥솥
KR102231033B1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JP5662419B2 (ja) 食品を調理する容器の取っ手の取り付け・取り外しシステム
KR101118053B1 (ko) 내솥뚜껑 착탈형 전기압력조리기
JP6652876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CN105054767B (zh) 家用电器保温盖防漏装结构及家用电器
KR200442116Y1 (ko) 전기압력밥솥
KR20110117819A (ko) 내솥뚜껑 착탈형 전기압력조리기
KR100878254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CN205697189U (zh) 烹饪器具
JP2010252825A (ja) 電動調理器
KR20100000564U (ko) 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CN110623533A (zh) 烹饪器具
KR101468137B1 (ko) 내솥 커버의 착탈구조체
KR20110117822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뚜껑 탈거형 전기압력조리기
CN203106757U (zh) 双模式烹饪器具
KR200459407Y1 (ko)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KR102330145B1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20170139013A (ko) 신형 더블 라이너 전기밥솥
CN205083290U (zh) 家用电器开盖及保温盖防漏装结构和家用电器
KR102329141B1 (ko) 전기 가열조리기의 뚜껑열림 버튼 어셈블리
KR200448322Y1 (ko) 전기압력조리기
KR102301477B1 (ko) 밥솥의 분리형 커버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