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407Y1 -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 Google Patents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407Y1
KR200459407Y1 KR2020090015079U KR20090015079U KR200459407Y1 KR 200459407 Y1 KR200459407 Y1 KR 200459407Y1 KR 2020090015079 U KR2020090015079 U KR 2020090015079U KR 20090015079 U KR20090015079 U KR 20090015079U KR 200459407 Y1 KR200459407 Y1 KR 200459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d
closing
hol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260U (ko
Inventor
배수호
박범식
박종원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5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40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2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2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4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제품의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고안은 뚜껑에 탄성 및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 개방보조장치가 장착되는 전기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솥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테두리부로부터 연장된 제1개폐보조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제1개폐보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폐보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힌지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배치된 뚜껑; 상기 제1개폐보조부 및 제2개폐보조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압착부; 상기 압착부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부분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형성된 고정지지부;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지지부에 걸림지지되어 장착되되, 상기 압착부에 가압되어 신축되며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개방보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를 제공한다.
개방보조장치, 압착부, 전기조리기기

Description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electric cooker with auxiliary opening device}
본 고안은 전기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에 탄성 및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 개방보조장치가 장착됨으로써 제품의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기는 음식을 조리하는데 이용되는 기구로서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조리기기(10)는 조리물이 담겨지는 내솥(11), 상기 내솥(11)이 안착되는 본체(13), 힌지부(15)에 연결되어 개폐되도록 장착되는 뚜껑(17) 및 상기 내솥(11)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류(미도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뚜껑(17)은 상기 본체(13)에 형성된 힌지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뚜껑(17)에는 상기 힌지부(15)의 힌지스프링에 의해 상향으로 탄력적인 회전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본체(13)에 구비된 열림버튼(21)의 조작을 통해 상향 개방된다. 즉, 상기 본체(13)에 구비된 열림버튼(21)과, 상기 뚜껑(17) 에 상기 열림버튼(21)과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돌기(23)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해 상기 뚜껑(17)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그러나, 취반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17)이 개방될 경우, 취반 중 상기 뚜껑(17)의 내면으로 튀어 점착된 밥물 등의 조리잔여물과 내솥 내부의 증기에 의해 상기 뚜껑(17)이 쉽게 개방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상기 뚜껑(17)의 열림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작동핀(30)이 상기 본체(13)의 상부에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작동핀(30)이 상기 본체(13)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뚜껑(17)이 닫히는 경우, 상기 뚜껑(17)의 하면과 상기 작동핀(25)의 상면이 밀착됨에 따라 상기 작동핀(25)에 구비된 코일스프링(미도시)이 압축되면서 상기 뚜껑(17)이 상기 작동핀(25)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되는 상태로 닫히게 되고, 상기 뚜껑(17)의 열림동작이 이루질 경우,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핀(25)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17)의 하면을 상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작동핀(25)은 상기 뚜껑(17)의 열림동작을 보조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작동핀이 구비된 전기조리기기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홈에 코일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작동핀이 끼워진 후,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작동핀의 멈춤홈에 고정핀이 끼움결합되어 설치되므로, 조립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해서 제품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코일스프링, 코일스프링 지지대 및 고정핀 등 구성부품의 수가 많아 제품의 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뚜껑에 탄성 및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 개방보조장치가 장착됨으로써 제품의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내솥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테두리부로부터 연장된 제1개폐보조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제1개폐보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폐보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힌지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배치된 뚜껑; 상기 제1개폐보조부 및 제2개폐보조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압착부; 상기 압착부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부분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형성된 고정지지부;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지지부에 걸림지지되어 장착되되, 상기 압착부에 가압되어 신축되며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개방보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보조장치는 상기 관통홀에 개재되도록 일정반경의 외주면을 가지면서 일정길이로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외주면 일정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림지지되는 걸림부와, 상기 돌기부의 일단에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관통홀 타측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구속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개방보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탄성작용을 위한 수축 및 복원을 완충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분리 형성된 여유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더욱이, 상기 돌기부 및 상기 개방보조부는 탄성 및 신축성 재질로 일체로 사출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날개부의 하면과 밀착되어 상기 날개부에 발생되는 탄성복원력이 지지되도록 돌출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고안의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전기조리기기에 상기 개방보조장치가 장착될 시 상기 개방보조장치에 형성된 걸림부와 날개부만으로 장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개방보조장치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구비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전기조리기기의 제작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상기 개방보조장치가 장착될 경우, 돌기부를 손이나 펜치 등의 보조공구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걸림부가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수축 변형된 뒤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그 형상이 회복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지지되어 장착되므로,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본체의 제1개폐보조부 및 상기 뚜껑의 제2개폐보조부에 상기 개방보조장치와 상기 압착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 내부에 내솥이 없는 경우 에도 상기 뚜껑의 개방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전기조리기기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개방보조부에 의해 상기 뚜껑의 열림동작을 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뚜껑의 닫힘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여주어 상기 전기조리기기의 시장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50)는 본체(51), 뚜껑(53), 개방보조장치(55), 압착부(77), 고정지지부(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51)에는 상기 내솥(57)이 수용되는 수용부(61)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부(63)로부터 연장된 제1개폐보조부(65)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개폐보조부(65)는 상기 테두리부(63)의 일정측면에서 상기 본체(51)의 상측 내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뚜껑(53)이 닫혀진 경우 닫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뚜껑(53)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51)와 힌지연결된 상기 뚜껑(53)에는 상기 제1개폐보조 부(6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폐보조부(69)가 형성된다. 즉, 상기 뚜껑(53)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내솥(57)의 개구부가 덮히는 보조수용부(91)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수용부(91)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상기 제2개폐보조부(6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뚜껑(53)에는 상기 본체(51)에 형성된 걸림돌기(67)와 대향되는 위치에 걸림후크(71)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71)를 작동시키기 위한 열림버튼(73)이 상기 뚜껑(53)의 상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53) 하부에 형성된 상기 보조수용부(91)에는 상기 내솥(57)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내솥패킹(75)이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53)이 닫혀있는 경우, 상기 뚜껑(53)에는 힌지스프링에 의한 회전력과 상기 내솥패킹(75)에 의한 고무복원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열림버튼(73)이 작동되면 상기 걸림후크(71)가 상기 걸림돌기(67)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력과 상기 고무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뚜껑(53)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그러나, 취반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53)을 여는 경우, 취반 과정에서 상기 뚜껑(53)의 내면으로 튀어 점착된 밥물 등의 조리잔여물과 내솥 내부의 증기에 의해 상기 힌지스프링의 회전력과 상기 내솥패킹(75)의 복원력만으로는 상기 뚜껑(53)이 쉽게 열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상기 뚜껑(53)의 열림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개방보조장치(55)가 상기 제1개폐보조부(65) 또는 상기 제2개폐보조부(69)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방보조장치(55)의 장착을 위해서 상기 제1개폐보조부(65) 및 상기 제2개폐보조부(69) 중 어느 하나에 압착부(77)가 구비되며, 상기 압착부(77)에 대향되는 부분에 상기 개방보조장치(55)가 장착되는 고정지지부(8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착부(77)는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압착부(77)의 상부는 상기 개방보조장치(55)와 밀착되도록 평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압착부(77)의 측부는 상기 개방보조장치(55)에 발생된 탄성복원력이 지지되도록 경사진 외주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부(87)에는 관통홀(81)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81)의 전후방에 각각 안착홈(83)과 걸림턱(85)이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고정지지부(87)가 상기 제2개폐보조부(69)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8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81)의 전방에는 걸림턱(8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후방에 상기 안착홈(8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전기조리기기(50)는 제품의 형태나 제작의 편의를 고려하여 상기 압착부(77)와 상기 고정지지부(87)를 상기 제1개폐보조부(65)와 상기 제2개폐보조부(69) 중 선택하여 각각 형성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착부(77)는 상기 제1개폐보조부(65)에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부(87)는 상기 제2개폐보조부(69)에 형성한 구성으로 후술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보조장치와 고정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방보조장치(55)는 돌기부(55a), 걸림부(55b) 및 개방보조부(55c)로 구성되며, 상기 개방보조부(55c)는 몸체부(55i)와 날개부(55j)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방보조장치(55)의 상기 돌기부(55a) 및 상기 개방보조부(55c)는 탄성 및 신축성 재질인 합성고무 및 천연고무 등으로 일체로 사출성형됨이 바람직하나 제작 편의에 따라 상기 개방보조부(55c)를 따로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55a)와 상기 개방보조부(55c)를 결합수단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55a)는 상기 뚜껑(53)에 형성된 관통홀(85)에 개재되도록 일정외경의 외주면을 가지면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부(55a)가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조립작업 시 상기 돌기부(55a)를 상기 관통홀(85)에 개재시키기가 쉽고, 손이나 펜치 등의 보조공구에 의한 당김작업만으로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55b)는 상기 돌기부(55a)의 외주면 일정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55b)는 일방향으로 확관된 형태로서 탄성 및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55b)가 상기 관통홀(85)에 끼워지면 상기 걸림부(55b)는 수축변형되어 상기 관통홀(85)을 쉽게 통과할 수 있고,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걸림부(55b)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지지된다.
또한, 상기 개방보조부(55c)는 상기 돌기부(55a) 일단에 구비된 몸체부(55i)와 상기 몸체부(55i)를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안착 홈(83)에 구속되는 날개부(55j)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55j)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부(55i)의 외주면 사이에는 탄성작용을 위한 수축 및 복원을 완충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분리 형성된 여유부(55d)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55j)의 끝단이 상기 안착홈(83)의 내면과 바닥면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부에 의해 상기 날개부(55j)가 가압될 경우, 상기 날개부(55j)는 상기 여유부(55d)에 의해 소정의 형태로 변형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날개부(55j)에는 탄성복원력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55i)도 함께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부(55i)에도 수축에 따른 탄성복원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되려는 상기 개방보조부(55c)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방보조장치(55)는 상기 뚜껑(53)의 열림동작을 보조하게 되므로 상기 전기조리기기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시 간단한 당김작업만으로 상기 개방보조장치(55)의 장착작업이 완료되므로 제품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개방보조부(55c)와 상기 걸림부(55b)로 상기 개방보조장치(55)가 고정장착되므로 상기 개방보조장치(55)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뚜껑의 개폐동작에 따른 상기 개방보조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전기조리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방보조장치(55)는 상기 제2개폐보조부(69)에 형성된 고정지지부(87)에 장착되되, 개방보조부(55c)의 몸체부(55i) 가 관통홀(81)에 개재되어 걸림부(55b)의 단턱(55z)이 걸림턱(85)에 걸림지지된 상태에서 날개부(55j)의 외면이 상기 안착홈(83)의 내면에 맞닿고, 상기 날개부(55j)의 끝단이 상기 안착홈(83)의 바닥면에 맞닿아 구속됨으로써 상기 개방보조장치(55)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방보조장치(55)가 상기 뚜껑(5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55)을 닫게 되면, 상기 몸체부(55i)의 하면이 상기 압착부(77)의 상부 평면(77b)에 밀착되어 가압됨과 동시에 상기 날개부(55j)는 변형되어 상기 압착부(77)의 측부 경사면(77a)에 감싸지듯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55i)가 상기 압착부(77)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몸체부(55i)에는 압축에 따른 탄성복원력이 발생되고, 상기 날개부(55j)에는 변형에 따른 소정의 탄성복원력이 발생된다.
이후, 상기 뚜껑(53)의 개방을 위해 열림버튼을 작동시킬 시 힌지스프링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뚜껑(53)의 열림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부(55i)와 상기 날개부(55j)가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되려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뚜껑(53)의 열림동작을 보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53)에 장착된 상기 개방보조장치(55)와 상기 본체(51)에 구비된 압착부(77)에 의해서 상기 본체(51) 내부에 내솥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뚜껑(53)의 개방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전기조리기기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보조장치(55)의 개방보조부(55c)는 상기 뚜껑(53)의 열림동작을 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뚜껑(53)의 닫힘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 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보조장치와 고정지지부의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뚜껑의 개폐동작에 따른 상기 개방보조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전기조리기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전기조리기기 51: 본체
53: 뚜껑 55: 개방보조장치
55a: 돌기부 55b: 걸림부
55c: 개방보조부 55d: 여유부
55i: 몸체부 55j: 날개부
61: 수용부 63: 수용부의 테두리부
65: 제1개폐보조부 67: 걸림돌기
69: 제2개폐보조부 71: 걸림후크
73: 열림버튼 73: 내솥패킹
81: 관통홀 83: 안찬홈

Claims (5)

  1. 내솥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테두리부로부터 연장된 제1개폐보조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제1개폐보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폐보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힌지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배치된 뚜껑;
    상기 제1개폐보조부 및 제2개폐보조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압착부;
    상기 압착부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부분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형성된 고정지지부;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지지부에 걸림지지되어 장착되되, 상기 압착부에 가압되어 신축되며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개방보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보조장치는 상기 관통홀에 개재되도록 일정반경의 외주면을 가지면서 일정길이로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외주면 일정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림지지되는 걸림부와, 상기 돌기부의 일단에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관통홀 타측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구속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개방보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탄성작용을 위한 수축 및 복원을 완충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분리 형성된 여유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개방보조부는 탄성 및 신축성 재질로 일체로 사출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날개부의 하면과 밀착되어 상기 날개부에 발생되는 탄성복원력이 지지되도록 돌출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KR2020090015079U 2009-11-20 2009-11-20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KR200459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079U KR200459407Y1 (ko) 2009-11-20 2009-11-20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079U KR200459407Y1 (ko) 2009-11-20 2009-11-20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260U KR20110005260U (ko) 2011-05-26
KR200459407Y1 true KR200459407Y1 (ko) 2012-03-23

Family

ID=4762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079U KR200459407Y1 (ko) 2009-11-20 2009-11-20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4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329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리홈쿠첸 비노출형 전기 밥솥
KR20170003336U (ko) * 2016-03-17 2017-09-27 (주)동양금속 전기밥솥의 내솥커버 조립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622Y1 (ko) * 1998-12-19 2002-02-20 구자홍 압력조리기의뚜껑열림보조장치
KR200253623Y1 (ko) 1998-12-26 2002-02-20 구자홍 압력밥솥의탑커버열림보조장치
KR20050083505A (ko) *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 압력솥의 탑 커버 보조 개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622Y1 (ko) * 1998-12-19 2002-02-20 구자홍 압력조리기의뚜껑열림보조장치
KR200253623Y1 (ko) 1998-12-26 2002-02-20 구자홍 압력밥솥의탑커버열림보조장치
KR20050083505A (ko) *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 압력솥의 탑 커버 보조 개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329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리홈쿠첸 비노출형 전기 밥솥
KR101965661B1 (ko) * 2012-12-24 2019-04-04 (주)쿠첸 비노출형 전기 밥솥
KR20170003336U (ko) * 2016-03-17 2017-09-27 (주)동양금속 전기밥솥의 내솥커버 조립장치
KR200484601Y1 (ko) 2016-03-17 2017-09-28 (주)동양금속 전기밥솥의 내솥커버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260U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255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JP6211323B2 (ja) 改善された制御装置を有する、圧力下で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調理器具
KR20170071130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20170057707A (ko) 압력밥솥
JP6306746B2 (ja) 分離が容易な電源プラグ及び電源プラグアダプター
KR200459407Y1 (ko) 개방보조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기
CN105105645A (zh) 家用电器开盖及保温盖防漏装结构和家用电器
JP2008167890A (ja) 炊飯器
KR20110117819A (ko) 내솥뚜껑 착탈형 전기압력조리기
KR100878254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CN204015973U (zh) 电热水壶的自动二次开盖结构
CN111023181B (zh) 烹饪电器及其门体
KR101583779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CN205083290U (zh) 家用电器开盖及保温盖防漏装结构和家用电器
CN211673749U (zh) 锅盖防转动结构和压力锅
KR102301477B1 (ko) 밥솥의 분리형 커버 장착 구조
KR20170070600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CN203762845U (zh) 多功能烹饪装置
CN208590900U (zh) 烹饪装置
CN209678166U (zh) 烹饪器具
CN215777286U (zh) 烹饪器具
JPS5856599Y2 (ja) 電気調理器
CN109875379B (zh) 烹饪器具
CN210842610U (zh) 烹饪器具
CN210018921U (zh) 烹饪电器及烹饪电器盖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