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798A - 전기 압력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798A
KR20110078798A KR1020090135696A KR20090135696A KR20110078798A KR 20110078798 A KR20110078798 A KR 20110078798A KR 1020090135696 A KR1020090135696 A KR 1020090135696A KR 20090135696 A KR20090135696 A KR 20090135696A KR 20110078798 A KR20110078798 A KR 20110078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inner pot
main body
pressur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287B1 (ko
Inventor
이호섭
이충희
신홍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to KR102009013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2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가열원으로 사용하여 고온 고압상태에서 취사 및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기 압력조리기에 관한 기술로서, 전기 압력조리기를 사용하기 전이나 또는 사용 후에 사용자가 오염된 뚜껑과 패킹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리 중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증기를 내솥뚜껑과 압력뚜껑 사이의 공간에 포집하여 보관하고, 조리 후에 보온 조건에서 별도의 가열공정을 통해 조리물에 재공급하므로 조리물의 신선도를 향상시키는 전기 압력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본체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솥과; 상기 본체뚜껑에 결합되고 외주연에 내측패킹이 끼워져 결합되는 압력뚜껑과; 상기 압력뚜껑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솥을 개폐하며 내솥패킹과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내솥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뚜껑의 외주연 일측에 설치되고 내솥뚜껑이 착탈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대향쪽에 위치하도록 압력뚜껑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내솥뚜껑이 착탈되는 서포트;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전기 압력조리기, 내솥, 내솥뚜껑, 세척, 착탈

Description

전기 압력조리기{Electric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전기를 가열원으로 사용하여 고온 고압상태에서 취사 및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기 압력조리기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솥뚜껑이 분리되는 전기 압력조리기에서 내솥뚜껑과 내솥패킹이 별도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본체뚜껑에 구비된 압력뚜껑의 외주면에서 서포트와 고정부에 장착되게 구현하여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기 압력조리기를 사용하기 전이나 또는 사용 후에 사용자가 오염된 뚜껑과 패킹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리 중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증기를 내솥뚜껑과 압력뚜껑 사이의 공간에 포집하여 보관하고, 조리 후에 보온 조건에서 별도의 가열공정을 통해 조리물에 재공급하므로 조리물의 신선도를 향상시키는 전기 압력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압력조리기(압력보온밥솥)는 전기를 가열원으로 사용하여 내솥에 담긴 곡식류 등의 음식재료를 취사하는 주방기기로서, 곡식류 등의 음식재료가 담긴 내솥을 고온 고압으로 유지시켜 정상 기압보다 높은 상태에서 취사를 수 행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그 맛을 더해주고 있다.
이러한 전기 압력조리기는 본체의 내부공간에 내솥이 수용되고, 상기 본체와 내솥을 덮어줌으로써 내솥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본체뚜껑 및 내솥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곡식류 등의 음식재료가 담기는 내솥은 본체에 내장된 발열기기에 의해 가열되면서 취사가 이루어진다.
종래 전기 압력조리기에서 뚜껑은 취사가 진행될 경우 곡식류 등의 음식재료가 담긴 내솥을 밀폐시켜 고압으로 유지하고, 취사가 종료된 후에 내솥의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안전한 상태로 취사를 수행하도록 증기 배출장치와 안전밸브 등이 구비된다.
전기 압력조리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안에 수용되고 곡식류 등의 음식재료가 담기는 내솥(30)과,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본체뚜껑(20)과, 상기 본체뚜껑(20)의 저면부에 결합되고 내솥(30)을 개폐하는 내솥뚜껑(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 전기 압력조리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체(10)는 내부에 수용된 내솥(30)을 가열할 수 있도록 발열기기와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본체뚜껑(20)은 본체(10)에 힌지로 결합되어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한편 내솥(30)은 곡식류 등의 음식재료가 담긴 상태에서 본체(10)의 발열기기로부터 가열되어 그 내부가 고온 고압의 상태를 유지하여 음식재료의 조리가 수행되며, 내솥뚜껑(21)은 내솥(30)의 가열로 인한 열기와 압력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 록 내솥(30)을 밀폐하도록 설치된다.
전기 압력조리기에서 내솥뚜껑은 본체뚜껑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이유는 사용자가 내솥뚜껑을 본체뚜껑에서 분리하고 이를 다시 결합할 때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결합하지 않으면 압력 조절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기 때문으로 즉, 음식재료가 조리되는 내솥의 밀폐가 불완전할 경우 조리과정에서 고압을 유지할 수 없고, 음식재료가 정상적으로 조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리가 완료되었을 때 내솥에 잔류하는 고온 고압의 증기가 비정상적으로 불안전하게 배출됨에 따라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이와 반면에, 내솥뚜껑을 본체뚜껑에서 분리할 수 없을 경우 야기되는 문제점들도 무시할 수 없는데, 즉 음식재료를 조리한 후에 내솥뚜껑에 붙은 음식재료의 부산물과 찌꺼기를 세척해야 하나, 내솥뚜껑을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세제를 사용한 물세척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청결한 세척이 어렵고, 비위생적인 상태로 장기간 방치됨에 따라 위생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자 선행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857579호(내솥 뚜껑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 압력 조리기)가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내솥뚜껑이 조리 중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압력을 직접 받도록 구현되고, 별도의 압력뚜껑이 없는 구조로서 압력에 의한 내솥뚜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솥뚜껑의 재질ㆍ강도ㆍ두께 등 내구성의 제한이 있으며, 내솥뚜껑의 잠금부가 조리가 수행되는 안쪽에 위치함에 따라 사용 후 고온으로 인한 화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잠금부의 해제가 난해할 뿐만 아니라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은 내솥뚜껑이 단순히 조립된 구조로 이루어져 내솥을 밀폐하는 내솥패킹이 압력뚜껑에 부착됨에 따라 내솥패킹의 세척이 어렵고, 내솥뚜껑의 잠금부가 조리가 수행되는 안쪽에 위치하므로 위생적이지 못하며, 내솥뚜껑과 잠금부를 위생적으로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전기 압력조리기의 선행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전기 압력조리기를 사용하기 전이나 또는 사용 후에 사용자가 오염된 뚜껑과 패킹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리 중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증기를 내솥뚜껑과 압력뚜껑 사이의 공간에 포집하여 보관하고, 조리 후에 보온 조건에서 별도의 가열공정을 통해 조리물에 재공급하여 조리물의 신선도를 향상시키고자 내솥뚜껑이 분리되는 전기 압력조리기에서 내솥뚜껑과 내솥패킹이 별도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본체뚜껑에 구비된 압력뚜껑의 외주면에서 서포트와 고정부에 장착되도록 구현하므로 사용자에 의해 내솥뚜껑과 패킹이 용이하게 착탈되는 전기 압력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본체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솥과; 상기 본체뚜껑에 결합되고 외주연에 내측패킹이 끼워져 결합되는 압력뚜껑과; 상기 압력뚜껑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솥을 개폐하며 내솥패킹과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내솥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뚜껑의 외주연 일측에 설치되고 내솥뚜껑이 착탈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대향쪽에 위치하도록 압력뚜껑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내솥뚜껑이 착탈 되는 서포트;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내솥뚜껑이 분리되는 전기 압력조리기에서 내솥뚜껑과 내솥패킹이 별도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본체뚜껑에 구비된 압력뚜껑의 외주면에서 서포트와 고정부에 장착되도록 구현하여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기 압력조리기를 사용하기 전이나 또는 사용 후에 사용자가 오염된 뚜껑과 패킹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하므로 위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리 중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증기를 내솥뚜껑과 압력뚜껑 사이의 공간에 포집하여 보관하고, 조리 후에 보온 조건에서 별도의 가열공정을 통해 조리물에 재공급하므로 조리물의 신선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도면에 도시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전기 압력조리기를 사용하기 전이나 또는 사용 후에 사용자가 오염된 뚜껑과 패킹을 쉽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하므로 위생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한편 조리 중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증기를 내솥뚜껑과 압력뚜껑 사이의 공간에 포집하여 보관하고, 조리 후에 보온 조건에서 별도의 가열공정을 통해 조리물에 재공급하여 조리물의 신선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조리기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가 개방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본체뚜껑(2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솥(30)과; 상기 본체뚜껑(20)에 결합되고 외주연에 내측패킹(41)이 끼워져 결합되는 압력뚜껑(40)과; 상기 압력뚜껑(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솥(30)을 개폐하며 내솥패킹(22)과 고정부재(23)가 결합되는 내솥뚜껑(21);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뚜껑(40)의 외주연 일측에 설치되고 내솥뚜껑(21)이 착탈되는 고정부(70)와; 상기 고정부(70)의 대향쪽에 위치하도록 압력뚜껑(40)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내솥뚜껑(21)이 착탈되는 서포트(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본체(10)는 일반적으로 내부공간에 곡식류 등의 음식재료가 담기는 내솥(30)이 안치되어 발열기기로부터 가열되고, 본체(10)의 후면부에 본체뚜껑(20)이 힌지 결합되어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본체뚜껑(2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내솥뚜껑(21)이 내솥(30)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에서 본체뚜껑(2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본체뚜껑(20)은 상부에서 하부로 톱커버ㆍ로워커버(60)ㆍ로킹링(50)ㆍ압력뚜껑(40)ㆍ내솥뚜껑(21)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압력뚜껑(40)은 저면부 에 내솥뚜껑(21)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증기 배출장치와 안전밸브 등이 설치된다.
내솥뚜껑(21)은 압력뚜껑(40)에 착탈되는 구조로서, 압력뚜껑(40)의 외주연 둘레에 끼워져 결합된 내측패킹(41)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외주연 둘레에 내솥(30)을 고온 고압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내솥패킹(22)이 결합되는 한편 내솥패킹(22)을 고정하기 위하여 가장자리 둘레에 고정부재(23)가 결합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압력뚜껑(40)에서 내솥뚜껑(21)이 분리되는 본체뚜껑(20)의 구조에서 내솥뚜껑(21)의 착탈을 위하여 압력뚜껑(40)에 설치되는 고정부(70)와 서포트(8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고정부(70)는 탄성 지지되는 후크(73)에 내솥뚜껑(21)의 일측이 착탈되고, 서포트(80)는 고정부(70)의 대향쪽에 위치하여 내솥뚜껑(21)의 타측이 착탈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에서 고정부(70)와 서포트(80)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고정부(70)는 본체뚜껑(20)에서 힌지부의 대향쪽에 위치하도록 압력뚜껑(40)의 외주연에서 저면부 일측에 설치되고, 서포트(80)는 고정부(70)의 대향쪽 즉, 본체뚜껑(20)에서 힌지부의 위치에 놓이도록 압력뚜껑(40)의 외주연에서 저면부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고정부(70)는 중간 부분에 체결공간(72)이 형성되고 압력뚜껑(40)의 외주연 저면부에 부착 설치되는 후크홀더(71)와; 상기 후크홀더(71)의 체결공간(72)에 끼워져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돌기(73a)가 형성된 후크(73)와; 상 기 후크홀더(71)의 내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후크(73)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74);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고정부(70)에서 후크홀더(71)는 압력뚜껑(40)의 외주연 둘레에서 저면부의 일측에 체결볼트로 부착 설치되고, 후크(73)는 후크홀더(71)의 체결공간(72)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일자 형태의 탄성부재(74)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내측 방향에 걸림돌기(73a)가 형성되는 한편 외측 방향에 이탈돌기(73b)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서포트(80)는 본체뚜껑(20)에서 힌지부의 위치에 놓이도록 압력뚜껑(40)의 외주연 둘레에서 저면부의 일측에 체결볼트로 부착 설치되고, 내측 방향에 걸림테(81)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압력뚜껑(40)에 설치된 고정부(70)와 서포트(80)에 착탈되는 구조의 내솥뚜껑(21)은 고정부(7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고정부재(23)의 외측에 걸림돌기(23b)가 형성되고, 또한 서포트(8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고정부재(23)의 외측에 걸림돌기(23a)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솥뚜껑(21)의 착탈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내솥뚜껑(21)을 압력뚜껑(40)의 고정부(70)와 서포트(80)에 결합하는 과정은 본체뚜껑(20)이 열린 상태에서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먼저 서포트(80)의 걸림테(81)에 내솥뚜껑(21)의 고정부재(23)에 형성된 걸림돌기(23a)를 끼운 다음, 도면에서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고정부(70)의 후크(73)가 위치한 방향으 로 내솥뚜껑(21)을 가압하여 결합하면, 내솥뚜껑(21)의 고정부재(23)에 형성된 걸림돌기(23b)에 후크(73)의 걸림돌기(73a)가 접촉하여 후크(73)가 외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고정부재(23)의 걸림돌기(23b)가 후크(73)의 걸림돌기(73a)에 걸리면서 내솥뚜껑(21)이 압력뚜겅(40)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내솥뚜껑(21)을 분리하는 과정은 도면에서 도 8과 같이, 고정부(70)에서 후크(73)의 걸림돌기(73a)에 고정부재(23)의 걸림돌기(23b)가 걸려서 압력뚜껑(40)에 내솥뚜껑(21)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후크(73)에 형성된 이탈돌기(73b)를 외측 방향으로 밀면, 후크(73)의 걸림돌기(73a)에서 고정부재(23)의 걸림돌기(23b)가 이탈되면서 고정부(70)에서 내솥뚜껑(21)이 분리되고, 서포트(80)의 걸림테(81)에서 고정부재(23)의 걸림돌기(23a)를 이탈시켜 내솥뚜껑(21)을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솥뚜껑(21)이 고정부(70)와 서포트(80)에 착탈됨에 따라 압력뚜껑(40)에 내솥뚜껑(21)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압력뚜껑(40)에서 내솥뚜껑(21)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전기 압력조리기를 사용하기 전이나 또는 사용 후에 사용자가 오염된 내솥뚜껑(21)과 내솥패킹(22)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전기 압력조리기의 위생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력뚜껑(40)의 저면부에 공간이 구비된 상태로 내솥뚜껑(21)이 결합됨에 따라 취사 및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증기와 열기가 내솥뚜껑(21)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을 통해 내솥뚜껑(21)과 압력뚜껑(40) 사이의 공간에 포집되고, 여기서 포집된 증기와 열기는 음식물의 조리 후에 보온 조건에서 별도의 가열공정을 통하여 조리물에 재공급되므로 조리물의 신선도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내솥뚜껑(21)에서 내솥패킹(22)을 고정하는 기능의 고정부재(23)를 내솥뚜껑(21)의 외주연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내솥뚜껑(21)의 외주연 둘레에 고정부재(23)의 형상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솥패킹(22)이 고정될 수 있고, 내솥뚜껑(21)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 압력조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기 압력조리기에서 본체뚜껑의 열림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뚜껑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솥뚜껑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솥뚜껑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솥뚜껑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본체뚜껑
21: 내솥뚜껑 22: 내솥패킹
23: 고정부재 30: 내솥
40: 압력뚜껑 41: 내측패킹
50: 로킹링 60: 로워커버
70: 고정부 71: 후크홀더
73: 후크 74: 탄성부재
80: 서포트 81: 걸림테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본체뚜껑(2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솥(30)과;
    상기 본체뚜껑(20)에 결합되고 외주연에 내측패킹(41)이 끼워져 결합되는 압력뚜껑(40)과;
    상기 압력뚜껑(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솥(30)을 개폐하며 내솥패킹(22)과 고정부재(23)가 결합되는 내솥뚜껑(21);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뚜껑(40)의 외주연 일측에 설치되고 내솥뚜껑(21)이 착탈되는 고정부(70)와;
    상기 고정부(70)의 대향쪽에 위치하도록 압력뚜껑(40)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내솥뚜껑(21)이 착탈되는 서포트(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70)는,
    중간 부분에 체결공간(72)이 형성되고 압력뚜껑(40)의 외주연 저면부에 부착 설치되는 후크홀더(71)와; 상기 후크홀더(71)의 체결공간(72)에 끼워져 이동 가능 하게 설치되고 걸림돌기(73a)가 형성된 후크(73)와; 상기 후크홀더(71)의 내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후크(73)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7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후크(73)는,
    내측 방향에 걸림돌기(73a)가 형성되는 한편 외측 방향에 이탈돌기(73b)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조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서포트(80)는,
    본체뚜껑(20)에서 힌지부의 위치에 놓이도록 압력뚜껑(40)의 외주연 저면부에 부착 설치되고, 내측 방향에 걸림테(81)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조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내솥뚜껑(21)의 고정부재(23)는 고정부(7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측에 걸 림돌기(23b)가 형성되고, 서포트(8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측에 걸림돌기(23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조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내솥뚜껑(21)의 외주연 둘레에 고정부재(23)의 형상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조리기.
KR1020090135696A 2009-12-31 2009-12-31 전기 압력조리기 KR101086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696A KR101086287B1 (ko) 2009-12-31 2009-12-31 전기 압력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696A KR101086287B1 (ko) 2009-12-31 2009-12-31 전기 압력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798A true KR20110078798A (ko) 2011-07-07
KR101086287B1 KR101086287B1 (ko) 2011-11-24

Family

ID=4491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696A KR101086287B1 (ko) 2009-12-31 2009-12-31 전기 압력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2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317B1 (ko) * 2011-07-25 2014-04-28 주식회사 리홈쿠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KR20140083328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압력 밥솥용 패킹 구조체
WO2017104896A1 (ko) * 2015-12-15 2017-06-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20180010793A (ko) * 2016-07-22 2018-01-3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180027841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145B1 (ko) 2015-12-14 2021-11-23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102322412B1 (ko) 2017-09-26 2021-11-09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전기압력밥솥
KR102350876B1 (ko) 2017-09-26 2022-01-13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커버
KR102382250B1 (ko) 2017-09-27 2022-04-05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전기압력밥솥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3023B2 (ja) 2006-07-03 2011-08-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炊飯器
JP2008067898A (ja) 2006-09-14 2008-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
JP4946351B2 (ja) 2006-10-24 2012-06-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炊飯器
JP2008119074A (ja) 2006-11-09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317B1 (ko) * 2011-07-25 2014-04-28 주식회사 리홈쿠첸 내솥 커버의 개방구조체
KR20140083328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압력 밥솥용 패킹 구조체
WO2017104896A1 (ko) * 2015-12-15 2017-06-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20180010793A (ko) * 2016-07-22 2018-01-3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180027841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287B1 (ko)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287B1 (ko) 전기 압력조리기
KR20170071130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101118053B1 (ko) 내솥뚜껑 착탈형 전기압력조리기
KR100857577B1 (ko) 내솥 뚜껑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 압력 조리기
KR20110117819A (ko) 내솥뚜껑 착탈형 전기압력조리기
CN106308478B (zh) 煮饭器和用于煮饭器的盖体组件
KR100857579B1 (ko) 내솥 뚜껑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 압력 조리기
JP2006255062A (ja) 炊飯器
KR200323694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100756643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덮개부
KR102330145B1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100872895B1 (ko)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1086285B1 (ko) 내솥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조리기의 안전장치
KR200448322Y1 (ko) 전기압력조리기
CN217243840U (zh) 蒸格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3624247B2 (ja) 炊飯器
JP2002028075A (ja) 電気炊飯器
JP2004223136A (ja) 炊飯器
KR101388508B1 (ko) 전기조리기
KR101912357B1 (ko) 전기압력밥솥의 보온 커버구조체
CN214678600U (zh) 烹饪器具
KR200158086Y1 (ko) 전기밥솥의 속뚜껑 착탈구조
KR102426297B1 (ko) 전기압력밥솥
KR20130055357A (ko) 전기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