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913B1 -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 Google Patents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913B1
KR102130913B1 KR1020190041039A KR20190041039A KR102130913B1 KR 102130913 B1 KR102130913 B1 KR 102130913B1 KR 1020190041039 A KR1020190041039 A KR 1020190041039A KR 20190041039 A KR20190041039 A KR 20190041039A KR 102130913 B1 KR102130913 B1 KR 102130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xing member
projection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운경
Original Assignee
황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운경 filed Critical 황운경
Priority to KR102019004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8Plate-holders
    • A47G19/10Devices for securing plates to the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1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integral means to prevent the glass from slipping or tipping-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47G23/0225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attachable to a plate, tab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6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using vacuum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또는 밥그릇과 같은 용기를 바닥면에서 쉽게 넘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와 고정부재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용기는, 고정부재가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세워질 때,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하강하여 흡착부가 용기의 하면에 부착되고, 밀착부가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통기구가 폐쇄되며, 통기구의 흡입력에 의해 밀착부가 바닥면에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바닥면에서 쉽게 넘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Container with a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컵 또는 밥그릇과 같은 용기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고, 용기를 테이블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료수를 마실 때 사용하는 컵 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하부에 고정부재가 결합하고, 진공흡입력을 통해 고정부재가 바닥면과의 밀착성이 증대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컵 또는 용기가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손님에게 커피나 주스 등과 같은 음료를 제공하고자 할 때,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찻잔이나 컵 등과 같은 용기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음료가 담긴 용기를 쟁반 또는 탁자 올려놓고 운반하거나 마시게 되는바. 쟁반 또는 탁자에 놓인 용기가 운반 및 시식 중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측 방향으로 넘어지거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 내부의 음료 또는 음식이 외부로 쏟아지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용기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이에 최근에는, 컵 등과 같은 용기가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되어 안전성을 도모하도록 된 장치 및 기구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66157호(명칭: 컵 미끄럼방지 자화 접시)가 제안되었다.
상기 자화 접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음료 컵 등을 받침 하기 적당한 형태의 컵 받침 접시 부와, 이 컵 받침 접시 부 중앙에 부착되며 컵을 얹기 적합한 크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자석을 조립 부착하기 위한 자석 홈을 갖고 있는 컵 지지 부와, 이 컵 지지 부 중앙에 자석 홈을 이용하여 설치한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력에 의해 컵의 고정이 향상되어 쉽게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6157호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는, 자력을 이용하여 용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자석을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단가가 증대되며, 유리 등과 같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용기에는 적용하기 힘든 다수의 문제점을 갖는 종래의 컵 미끄럼 방지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의 하중에 의해 고정부재가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밀폐되고, 이로 인한 고정부재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용기가 쉽게 넘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를 필요 또는 선택에 따라 용기의 하부에 자유롭게 탈부착 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 바닥면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테이블 바닥면에 밀착하는 밀착부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용기의 하면에 부착되는 흡착부가 상부에 형성되는 흡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체결부의 체결에 의해 상기 용기가 고정부재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분리되고,
상기 용기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흡착부가 용기의 하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며,
상기 흡착부가 용기의 하면에서 이격시, 상기 용기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소정 길이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체결부는, 상기 용기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돌기체의 이동을 지지하는 안내편; 및 상기 안내편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체가 소정 높이 상승하다가 걸리는 차단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상기 돌기부는, 소정 길이의 몸체; 및 용기의 하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체결부는,
상기 결합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체가 삽입되는 세로홈;
상기 세로홈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용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체가 이동하는 가로홈; 및
상기 가로홈의 끝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기체가 내부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용기를 테이블 등의 바닥면에 세울 때, 용기의 하중에 의해 용기와 고정부재가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부재가 바닥면에 밀착되고, 고정부재의 흡착부가 용기의 하면에 부착되면서 발생되는 진공흡입력에 의해 고정부재가 바닥면에 단단히 고정되며, 이로 인해 고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용기가 테이블의 바닥면에 쉽게 넘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와 고정부재가 간단하고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되고, 고정부재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 용기만을 휴대 및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용기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평면과 저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와 고정부재의 분해도 및 고정부재의 분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기체결부의 확대도 및 고정부재의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체결부의 확대도 및 결합판의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음료 또는 음식물 등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0); 및 상기 용기(10)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고, 테이블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내부 압력이 진공 또는 외부 압력보다 낮은 저압 상태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에 단단히 고정되며, 이로 인해 바닥면에 세워진 용기(1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재(10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는 컵, 텀블러 또는 밥그릇 등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용기일 수 있고, 상부에 뚜껑(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용기(1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 공간 또는 소정 부피의 수용체가 더 구비될 수 있고, 하부에는 단턱에 의해 내측으로 들어간 결합턱(10a)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고정부재(100)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부(11)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용기(10)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고, 용기(10)가 테이블 바닥면에서 넘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 및 고정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용기(10)와 결합수단(A)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용기(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용기(10)에 밀착되거나 이격되어 틈새(D)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관통공(111)이 형성되며, 제1 체결공(112)이 상기 관통공(111)의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판(110); 상기 결합판(110)의 하부에 형성되고, 테이블 바닥면에 안착하는 밀착부(124)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밀착부(124)의 내측으로 단턱에 의해 소정 높이 들어간 제1 공간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공(112)에 대응하는 제2 체결공(12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1)에 대응하는 연통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1)을 통과하여 용기(10)의 하면에 탈부착되는 흡착부(121a)가 상부에 형성되는 흡착판(120); 및 상기 흡착판(120)의 제1 공간부(125)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공(122) 및 제1 체결공(112)에 삽입되는 지지돌기(132)가 형성되며, 연통구(121)에 삽입되는 통기구(131)를 갖는 지지판(13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A)은, 용기(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부(11); 및 상기 돌기부(11)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판(110)에 형성되는 돌기체결부(11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와 고정부재(100)는 상기 돌기부(11)와 돌기체결부(113)의 체결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착부(121a)가 용기(10)의 하면에 부착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돌기부(11)는, 소정 길이의 몸체(11a); 및 상기 몸체(11a)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체(11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체결부(113)는, 상기 용기(1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돌기체(11b)를 지지하는 안내편(113a); 및 상기 안내편(113a)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체(11b)가 소정 높이 상승하다가 걸리는 차단편(113b);을 포함한다.
즉, 상기 돌기체결부(113)는, 상기 결합판(110)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어 상면 또는 전면을 통해 돌기체(11b)가 내부로 삽입되며, 용기(1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체(11b)가 내부에서 후단부로 이동하고, 후단부의 상부에는 돌기체(11b)가 상승하다가 걸리는 차단편(113b)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10)는 회전에 의해 돌기부(11)와 돌기체결부(113)가 체결되고, 고정부재(100)와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00)의 상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돌기부(11)와 돌기체결부(113)의 분리 또는 체결 해제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판(110)은, 소정 높이의 측면이 형성되고, 측면의 상부가 상기 용기(10)의 하부 결합턱(10a)에 결합하며, 용기(10)의 돌기부(11)가 체결되는 돌기체결부(113)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체결부(11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113aa)과 배면(113ab)을 갖는 "ㄱ"자 형상의 안내편(113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113aa)의 선단부는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113aa)의 후측부에는 돌기체(11b)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113c)가 형성되고, 안내편(113a)의 배면(113ab) 상부에는 차단편(113b)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편(113a)은 제1 측면(113aa)과 마주하는 제2 측면(113ac)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돌기체결부(11b)의 상부와 전면이 개방되며, 상기 돌기체(11b)가 돌기체결부(113)의 개방된 전면 또는 상부를 통해 돌기체결부(113) 내부로 삽입되고, 용기(10)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제1 측면(113aa)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며, 배면(113ab) 또는 차단편(113b)에 걸려 멈추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1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113c)는 제1 측면(113aa) 또는/및 제2 측면(113ac) 후측부에는 형성될 수 있고, 돌기체(11b)의 가압력에 의해 제1 측면(113aa) 또는/및 제2 측면(113ac)이 외측으로 벌어지며, 돌기체(11b)가 지나간 후에는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고, 용기(10)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안내편(113a)의 후단부로 이동한 돌기체(11b)의 이동을 제한하여 용기(10)가 반시계방향으로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림돌기(113c)는 제1 측면(113aa)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체결부(113)는 상기 돌기부(11)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고, 용기(10)의 회전에 의해 돌기부(11)가 돌기체결부(113)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이로 인해 용기(10)가 고정부재(100)와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되고, 용기(10)와 고정부재(100)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가 고정부재(10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상승하여 이격되거나 하강하여 결합판(110)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흡착부(121a)가 용기(10)의 하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며, 상기 흡착부(121a)가 용기(10)의 하면에 밀착시 연통구(121)가 밀폐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밀착부(124)가 테이블 바닥며에 단단히 밀착되어서 고정부재(100)가 테이블 바닥면에 지지 및 고정되며, 반대로 상기 흡착부(121a)가 용기(10)의 하면에서 분리시에는 상기 연통구(121)가 개방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밀착부(124)가 테이블 바닥면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체결부(113)는 안내편(113a)의 높이가 돌기체(11b)의 두께보다 더 높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돌기체(11b)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안내편(113a)의 후단부 상부에 차단편(113b)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체결부(113)의 후단부 형상은 돌기체(11b) 형상의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편(113b)과 상하로 마주하는 상기 결합판(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차단편(113b)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통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11)는 용기(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기체결부(113)에 지지되어 이동하고, 안내편(113a)의 후단부로 이동시 걸림돌기(113c)에 의해 고정되며, 용기(10)가 고정부재(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용기(10)가 고정부재(100)의 상부에서 상하 이동함에 따라 흡착부(121a)가 용기(10)의 하면에 밀착되거나 분리되고, 상기 돌기부(11)는 상기 돌기체결부(113) 내부에서 상승하다가 상기 차단편(113b)에 돌기체(11b)가 걸림으로써 상승이 제한된다.
다음,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체결부(11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돌기체결부(113)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결합판(110) 내부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1)의 이동을 지지 및 차단하는 안내편(113a); 및 상기 안내편(113a)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체(11b)가 상기 안내편(113a)의 상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차단하며, 상기 안내편(113a)의 후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져 상기 돌기체(11b)가 상기 안내편(113a)의 후단부로 이동시 하강하도록 하는 차단편(113b);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편(113a)은 전면과 상하부가 개방되는 "ㄱ"자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편(113b)은 상기 안내편(113a)의 내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편(113b)은 안내편(113a)의 후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져 상기 돌기체(11b)가 돌기체결부(113) 내부에서 후단부로 이동시 상기 차단편(113b)에 의해 하강하며, 상기 돌기체(11b)의 하강에 따라 고정부재(100) 상부에 이격되어 있던 용기(10)가 하강하여 고정부재(100)에 밀착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100)는, 용기(10)의 시계방향 회전시, 돌기체결부(113) 내부에서 후단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차단편(113b)에 의해 하강하는 돌기부(11)에 의해 상부의 용기(10)가 하강하고, 상기 용기(10)의 하강에 따라 상기 흡착부(121a)가 용기(10)의 하면에 부착되면서 연통구(121)가 밀폐되어 테이블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0)는, 테이블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를 반시계방향 회전시키면서 들어올리게 되면, 돌기부(11)가 돌기체결부(113)의 후단부에서 선단부로 이동하여 상기 용기(10)가 상승하고, 상기 용기(10)의 상승에 따라 상기 흡착부(121a)가 용기(10)의 하면에서 분리되며, 상기 연통구(121)가 개방되어 테이블 바닥면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돌기체결부(113)가 결합판(110)의 측면 내주연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결합판(110)의 측면이 제1 측면(113aa)에 대응하고, 결합판(110)의 측면 내주연에 배면(113ab) 및 걸림돌기(113c)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돌기체결부(113)는, 상기 결합판(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체(11b)가 삽입되는 세로홈(미도시); 상기 세로홈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용기(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체(11b)가 이동하는 가로홈(미도시); 및 상기 가로홈의 끝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기체(11b)가 내부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안내홈(안내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돌기체(11b)는 용기(10)의 하부 결합턱(10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홈은 결합판(110)의 상부 내주연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돌기체(11b)가 세로홈에 삽입되어 하강하며, 용기(1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돌기체(11b)가 세로홈의 하부에 연장되는 가로홈 내부에서 이동하여 안내홈으로 이동하고, 용기(1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상기 돌기체(11b)가 상기 안내홈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로홈과 안내홈의 경계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체결부(113)는 결합판(110)의 내부 바닥면에 소정 깊이 파여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돌기부(11)의 돌기체(11b)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깊이의 결합구(미도시)를 형성하고, 결합구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소정 길이의 가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로홈의 상부는 돌기체(11b)의 지름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판(110)은 중앙부에 소정 반경의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1)의 외측에 다수의 제1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판(110)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공(111)의 외측에 요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공(112)이 상기 요홈(114)과 연통된다.
즉, 상기 결합판(110)은 중앙부에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관통공(111)의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공(112)과 연통하는 요홈(114)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돌기체결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체결공(112)과 돌기체결부(113) 사이에는 소정높이의 차단벽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판(110)의 하면 테두리부에는 단턱에 의해 들어간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요홈(114)까지 적어도 하나의 단턱에 의해 계단식으로 상승하는 다수 층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판(110)의 하면은 테두리부의 수용홈에서 중앙부의 관통공(111)까지 점차 높이가 상승하면서 들어간 나팔 또는 혼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판(110)의 하부에는 테이블 등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흡착판(120)이 결합한다.
상기 흡착판(120)은 하면 테두리부에 테이블 등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밀착부(124)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관통공(111)에 대응하는 연통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121)의 외측에는 상기 제1 체결공(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구(121)는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관통공(111)에 삽입되거나 상부가 관통공(111)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연통구(121)의 상부에는 빨판 형상의 흡착부(121a)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10)가 바닥면에 세워질 때, 용기(10)가 하강하면서 상기 흡착부(121a)가 용기(10)의 하면에 부착되고, 이로 인해 연통구(121)가 밀폐되면서 진공의 흡입력이 발생하여 밀착부(124)가 테이블 바닥면에 단단히 고정된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하면에는 상기 흡착부(121a)에 대응하는 접촉부(10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흡착부(121a)가 상기 접촉부(10b)에 쉽게 밀착 또는 흡착되어 용기(10)와 결합판(110)의 밀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판(120)의 상면은 상기 결합판(110)의 요홈(114)에 대응하는 돌출부(12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3)에는 제1 체결공(112)에 대응하는 제2 체결공(12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3)에서 테두리부까지 다수의 단턱에 의해 높이가 계단식으로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흡착판(120)은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판(110)과 결합할 수도 있고, 접착수단 없이도 상기 요홈(114)과 돌출부(123)의 체결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으며, 상기 결합판(110)과 흡착판(12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착판(120)의 하면에는 상기 밀착부(124)의 내측으로 단턱에 의해 소정 높이 들어간 제1 공간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121) 및 제2 체결공(122)은 상기 제1 공간부(125)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밀착부(124)가 바닥면에 밀착되고, 흡착부(121a)가 용기(10) 하면의 접촉부(10b)에 부착됨으로써 연통구(121)가 밀폐되며, 연통구(121)의 밀폐에 따른 진공 흡입력에 의해 밀착부(124)가 바닥면에 단단히 밀착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흡착판(120)의 제1 공간부(125)에는 상기 흡착판(120)의 하부를 지지하고, 흡착판(120)이 결합판(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판(13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130)은, 상기 제2 체결공(122) 및 제1 체결공(112)에 삽입되는 지지돌기(132); 및 상기 연통구(121)에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통기구(13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111)의 내부에는 연통구(121) 및 통기구(131)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돌기(132)는 상기 제2 체결공(122)을 관통하여 제1 체결공(112)에 억지끼움될 수 있고, 제2 체결공(122) 및 제1 체결공(112)에 억지끼움될 수 있으며, 제1 체결공(112) 및 제2 체결공(122)을 관통한 후 상단부가 결합판(110)에 스폿용접 또는 너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흡착판(120)은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판(110)에 결합하거나, 상기 요홈(114)과 돌출부(123)에 의해 결합판(110)에 결합하거나, 상기 지지판(130)에 의해 결합판(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30)의 하면에는 단턱에 의해 소정 반경 들어간 제2 공간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131)는 상기 제2 공간부(133)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흡착판(120)은 상기 지지판(130)의 결합에 의해 결합판(110)의 하부에 고정될 때, 밀착부(124)의 외측부는 지지판(130)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게 되고, 이로 인해 밀착부(124)가 바닥면에 접촉할 때 밀착부(124)의 외측부가 먼저 바닥면에 접촉되면서 제2 공간부(133) 및 통기구(131)가 밀폐될 수 있다.
다음,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고정부재(100)에 의해 용기(10)가 바닥면에 세워진 상태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용기(10)를 바닥면에 세우기 전, 고정부재(100)를 용기(10)의 하부에 결합한다. 이때, 용기(10) 하부의 돌기부(11)를 돌기체결부(113)에 삽입하고, 용기(10) 또는 고정부재(100)의 회전에 의해 돌기부(11)가 돌기체결부(113)에 체결되며, 이로 인해 용기(10)와 고정부재(100)가 쉽게 결합한다.
상기 용기(100)는 상기 고정부재(100)가 바닥면에 안착한 상태에서 결합할 수도 있다.
용기(10)의 하부에 고정부재(100)가 결합한 상태에서 용기(10)를 바닥면에 세울 경우, 상기 고정부재(100)의 밀착부(124)가 바닥면에 안착하고, 용기(10)의 자중에 의해 용기(10)가 결합판(110)으로 하강하여 밀착되며, 이로 인해 상기 흡착부(121a)가 용기(10) 하면의 접촉부(10b)에 부착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00)와 용기(10)가 밀착되고 밀착부(124)가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외부 공기가 고정부재(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모든 통로가 차단되며, 상기 연통구(121) 및/또는 통기구(131)가 밀폐되고, 상기 연통구(121) 및/또는 통기구(131)가 내부가 진공 상태 또는 진공에 가까운 저압의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0)가 테이블 바닥면에 안착하고, 고정부재(100)의 상부에 용기(1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1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부(11)와 돌기체결부(113)가 체결되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상기 돌기부(11)의 돌기편(11b)이 돌기체결부(113) 내부에서 안내편(113a)에 지지되면서 안내편(113a)의 후단부로 이동하고, 안내편(113a)의 후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차단편(113b)에 의해 하강하며, 이로 인해 용기(10)가 하강하여 고정부재(100)와 밀착하고, 상기 용기(10)의 하강에 따라 상기 흡착부(121a)가 용기(10)의 하면에 부착되면서 테이블 바닥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연통구(121) 또는 통기구(131)가 용기(10)에 부착되는 흡착부(121a)와 테이블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24)에 의해 밀폐되고, 연통구(121) 또는 통기구(131)의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밀착부(124)가 바닥면에 단단히 밀착 고정되며, 이로 인해 고정부재(100)가 테이블 바닥면에 넘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기 용기(10)가 테이블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이다.
다음, 도 10은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부재(100)를 바닥면에서 분리하여 용기(10)를 들어 올릴 때 용기(10)와 고정부재(100)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용기(10)를 소정 힘으로 들어 올리면, 돌기체(11b)가 돌기체결부(113)에서 상승하고, 흡착부(121a)가 용기(10) 하면에서 분리되어 이격되며, 상기 연통구(121) 또는/및 통기구(131)가 개방되어서 연통구 및/또는 통기구(131)의 진공 또는 저압의 상태가 해제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밀착부(124)가 바닥면에서 쉽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용기(10) 사용자는 소정 힘으로 용기(10)를 들어 올리면, 용기(10)와 고정부재(100) 사이의 틈새(D)가 형성되고, 흡착부(121a)가 용기(10)에서 분리되어통기구(131)의 진공이 해제되며, 이로 인해 고정부재(100)가 테이블 바닥면에서 쉽게 분리되어 용기(10)를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에 용기(10)가 체결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100)가 테이블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면서 소정의 힘으로 들어올린다.
용기(10)의 회전에 따라 돌기체(11)가 돌기체결부(113) 내부에서 안내편(113a)에 지지되면서 돌기체결부(113)의 선단부로 이동하고, 돌기체결부(113)의 선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차단편(113b)에 의해 상기 돌기체(11)가 이동하면서 쉽게 상승하며, 용기(10)가 상승 이동하여 흡착부(121a)가 용기(10)의 하면에서 분리되어 개방되고, 이로 인해 흡착부(121a)가 개방되어 밀착부(124)가 테이블 바닥면에서 쉽게 분리됨으로써, 고정부재(100)가 테이블 바닥면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용기 11 : 돌기부
11a : 몸체 11b : 돌기체
100 : 고정부재 110 : 결합판
111 : 관통공 112 : 제1 체결공
113 : 돌기체결부 113a : 안내편
113b : 차단편 113c : 걸림돌기
114 : 요홈 120 : 흡착판
121 : 연통구 121a : 흡착부
122 : 제2 체결공 123 : 돌출부
124 : 밀착부 125 : 제1 공간부
130 : 지지판 131 : 통기구
132 : 지지돌기 133 : 제2 공간부
A: 결합수단 D : 틈새

Claims (13)

  1. 테이블 바닥면에 고정부재(100)에 의해 지지되는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소정 높이의 측면을 갖고, 중앙부에 관통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1)의 외측에 제1 체결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10)가 결합수단(A)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판(110);
    상기 결합판(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테이블 바닥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밀착부(12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1)의 상측에서 용기의 하면에 부착되는 흡착부(121a)를 갖는 연통구(121)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공(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체결공(122)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124)의 내측에서 소정 높이 들어간 제1 공간부(125)를 갖는 흡착판(120); 및
    상기 제1 공간부(125)에 삽입되고, 중앙부에는 연통구(121)에 삽입되는 통기구(1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공(122)을 통과하여 제1 체결공(1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돌기(132)가 상기 통기구(131)의 외측에 형성되는 지지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A)은,
    상기 용기(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부(11); 및 상기 돌기부(11)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판(110)에 형성되는 돌기체결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11)는,
    상기 용기(10)의 하면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11a); 및 상기 몸체(11a)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체(11b);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체결부(113)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결합판(110) 내부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며, 선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을 통해 상기 돌기체(11b)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돌기부(11)의 이동을 지지 및 차단하고, 내주연 후측에는 상기 돌기체(11b)가 후단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걸림돌기(113c)가 형성되는 안내편(113a); 및 상기 안내편(113a)의 내주연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편(113a)의 후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며, 상기 돌기체(11b)가 상기 안내편(113a)의 후단부로 이동시 하강하도록 하는 차단편(113b);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10)가 고정부재(1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돌기체(11b)가 상기 안내편(113a)의 내부로 유입되어 후단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차단편(113b)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돌기체(11b)의 하강에 따라 상기 용기(10)가 하강하며, 상기 용기(10)의 하강에 따라 상기 흡착부(121a)가 용기(10)의 하면에 부착되면서 연통구(121)가 밀폐되어서 상기 고정부재(100)가 테이블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편(113a)은,
    제1 측면(113aa)과 배면(113ab)을 갖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113aa)의 선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113aa)의 후측부에 상기 걸림돌기(11b)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110)의 하면에서 관통공(111)의 외측에 형성되는 요홈(114); 및
    상기 흡착판(120)의 상면에서 상기 요홈(114)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돌출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90041039A 2019-04-08 2019-04-08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KR102130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039A KR102130913B1 (ko) 2019-04-08 2019-04-08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039A KR102130913B1 (ko) 2019-04-08 2019-04-08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913B1 true KR102130913B1 (ko) 2020-07-06

Family

ID=7157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039A KR102130913B1 (ko) 2019-04-08 2019-04-08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9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3793A1 (fr) * 2021-06-09 2022-12-16 Eric Berthes Dispositif de fixation modulaire pour seau, notamment seau a glace
KR102704593B1 (ko) * 2023-08-31 2024-09-11 주식회사 배러댄랩스 뚜껑을 이용하여 용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식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157Y1 (ko) 2004-07-22 2004-11-04 신석균 컵 미끄럼방지 자화접시
CN204133048U (zh) * 2014-11-18 2015-02-04 楼新多 一种不易翻倒的杯子
KR101664779B1 (ko) * 2016-07-18 2016-10-12 박명혜 진공흡착수단을 갖춘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157Y1 (ko) 2004-07-22 2004-11-04 신석균 컵 미끄럼방지 자화접시
CN204133048U (zh) * 2014-11-18 2015-02-04 楼新多 一种不易翻倒的杯子
KR101664779B1 (ko) * 2016-07-18 2016-10-12 박명혜 진공흡착수단을 갖춘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3793A1 (fr) * 2021-06-09 2022-12-16 Eric Berthes Dispositif de fixation modulaire pour seau, notamment seau a glace
KR102704593B1 (ko) * 2023-08-31 2024-09-11 주식회사 배러댄랩스 뚜껑을 이용하여 용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7418B2 (en) Self-anchoring low-profile container anchor with directional release and attachment capability
US11312546B2 (en) Container with automatic lid closure
US7506756B2 (en) Container lid with disc shaped media and method of use
US5607073A (en) Valve
US8025169B2 (en) Self-anchoring beverage container with directional release and attachment capability
KR102130913B1 (ko)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JP3624258B2 (ja) ドリンク容器のための密閉体
US5295597A (en) Infant's bottle with valved cap
US9504342B2 (en) Closure assembly for a drinking cup
TWM602185U (zh) 旋轉閉合氣閥式真空吸附裝置
WO2006009345A1 (en) Vacuum vessel having improved airtightness
US10589905B2 (en) Airtight container
US7328791B1 (en) Container lid with disc shaped media
JP3229796U (ja) 磁気ホルダ
KR101875498B1 (ko) 텀블러 뚜껑
KR20190002991A (ko) 분리형 진공 텀블러
US20130075554A1 (en) Suction Disc Device
KR101863201B1 (ko) 진공 텀블러
KR20160140110A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KR20090006407U (ko) 음식물용기 뚜껑
US20220183488A1 (en) Drink holder with stabilizer
JP3026757U (ja) 容器転倒防止具
KR20160002035U (ko) 흡착이 용이한 컵
JP2000139664A (ja) 袴、茶托、碗、徳利、瓶および碗の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