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916B1 -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916B1
KR102071916B1 KR1020160172527A KR20160172527A KR102071916B1 KR 102071916 B1 KR102071916 B1 KR 102071916B1 KR 1020160172527 A KR1020160172527 A KR 1020160172527A KR 20160172527 A KR20160172527 A KR 20160172527A KR 102071916 B1 KR102071916 B1 KR 102071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ayer
optical film
meth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169A (ko
Inventor
김지영
김영진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7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9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2001/13363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광학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은 기재층과 액정층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우수하고, 액정의 배향성 및 코팅성도 우수한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 보상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필름{Optical film}
본 출원은 광학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에 대한 것이다.
광학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서 시야각 보상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광학 필름은 유방성 액정(lyotropic liquid crystal)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방성 액정은 일정한 조성 또는 농도에서 액정상을 발현할 수 있는 액정을 의미한다. 상기 광학 필름은 기재층 상에 유방성 액정 조성물을 직접 코팅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재층 상에 유방성 액정 조성물을 직접 코팅하는 경우 고온 및/또는 고습의 가혹한 조건 등에서 기재층과 액정층 사이에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두 층 간의 접착력 저하의 문제는 광학 필름의 내구성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써, 광학 필름의 성능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8,580,143호
본 출원은 기재층과 액정층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우수하고, 액정의 배향성 및 코팅성도 우수한 광학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기재층, 액정층 및 상기 기재층과 액정층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유방성 액정상을 나타내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필름은 상기 기재층과 상기 액정층의 사이에 접착제층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재층과 상기 액정층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이용함으로써 액정의 배향성 및 코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광학 필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광학 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100), 접착제층(200) 및 액정층(300)을 순차로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기재층과 상기 액정층 간의 접착 물성이 우수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다. 광학 필름의 접착 물성은, 크로스 컷 테스트에 박리 면적이 총 면적 대비 5% 이하인 것으로 대변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 필름은, 다른 예시에서, ASTM D3002/D3359에 따라서 측정한 크로스 컷 테스트에 따른 박리 면적이 총 면적 대비 5% 이하, 4% 이하, 3% 이하 또는 2%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크로스 컷 테스트는 후술하는 <실험예 1> 크로스-해치 접착력 측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필름은 기재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은 액정층 및 접착제층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하나의 예시에서, 기재층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 에스테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 셀룰로오스, 부틸 셀룰로오스 또는 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6-나일론 또는 6,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등의 유기 고분자로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층은 상기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 또는 중합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복수의 층을 적층 시킨 구조의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기재층에는 공지의 첨가제, 예컨대,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가소제, 윤활제, 착색제, 산화방지제 또는 난연제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표면이 개질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면 개질은, 예를 들면 화학적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기계적 처리, 자외선(UV) 처리, 활성 플라즈마 처리 또는 글로우 방전 처리 등의 처리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10 ㎛내지 3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예를 들면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1.0 내지 2.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광학 필름의 적절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정도의 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필름은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은 유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유방성 액정 화합물로서, 이색성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유방성 액정(LLC; Lyotropic Liquid Crystal)」은, 일정한 온도에서 액정의 특성을 나타내는 열방성(thermotropic) 액정과는 달리 일정한 조성 또는 농도 범위에서 액정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이색성 염료」는, 소정 파장의 범위에서 전자기선의 이방성 흡수 거동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예를 들면 특정한 방향으로 다른 방향보다 더 많은 빛을 흡수할 수 있는 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유방성 액정 화합물은, 예를 들면 로드 타입의 유방성 액정 화합물 일 수도 있고, 또는 디스크 타입의 유방성 액정 화합물 일 수도 있다.
상기 유방성 액정 화합물은 염료 발색단 코어 및 염 형태의 잔기를 포함하는 이색성 염료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방성 액정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23656813-pat00001
화학식 1에서 Q는 염료의 발색단 시스템이고, A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리덴기, -SO2NH-T-, -SO2-T-, -CONH-T-, -CO-T-, -O-T-, -S-T- 또는 -NH-T-이며, 상기에서 T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이고, R은 염 형태의 잔기이며, n은 Q에 결합된 A-R기의 수로서 1 내지 10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염료 발색단 시스템은 최대 흡수 파장이 350 nm 내지 900 nm, 바람직하게는 350 nm 내지 6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440 nm 내지 500 nm의 범위에 있는 염료 발색단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료 발색단 시스템은 분자량이 300 g/mol 내지 900 g/mol, 바람직하게는 450 g/mol 내지 8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g/mol 내지 900 g/mol인 발색단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단일 결합은, A로 표시된 부분에 별도의 원자가 존재하지 않고, Q와 R이 직접 연결된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A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리덴기일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리덴기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결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염 형태의 잔기는, 예를 들면, 상기 기술한 유방성 액정 화합물에 포함되는 잔기, 예를 들면, -XiO-Mi +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O3 -M+ 또는 -COO-M+일 수 있으며, 상기에서 M+은 H+; NH4 +, Li+, Na+, K+, Cs+, 1/2Mg++, 1/2Ca++, 1/2Ba++, 1/3Fe+++, 1/2Ni++ 또는 1/2Co++ 등의 무기 양이온; N-알킬피리디늄, N-알킬키놀리늄, N-알킬이미다졸리늄, N-알킬티아졸리늄, OH-(CH2-CH2O)m-CH2CH2-NH3 + (상기에서, m은 1 내지 9), RR'NH2 +, RR'R"NH+, RR'R"R*N+, RR'R"R*P+(상기에서, R, R', R", R*는 CH3, ClC2H4, C2H5, C3H7, C4H9, C6H5CH2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임) 또는 YH-(CH2-CH2Y)k-CH2CH2 (상기에서, Y는 O 또는 NH이고, k는 0 내지 10) 등일 수 있다.
상기 M+은 바람직하게는 무기 양이온, 보다 바람직하게는 Li+, Na+, K+ 또는 Cs+, 더욱 바람직하게는 Na+ 또는 Li+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일 수 있다.
화학식 1의 유방성 액정 화합물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6123656813-pat00002
화학식 2에서 U는 -N=N-, 또는 -O-(CH2)-(CHOH)-(CH2)-(CH2)-O-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 또는 고리 구성 원자가 6 내지 18개인 헤테로아릴기이며, R은 염 형태의 잔기이고, R1은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12의 할로알킬기, 옥소기 또는 -N=N-Ph를 나타내고, 상기에서 Ph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거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며, l 및 m은 X에 치환된 R의 수로서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를 나타내고, p 및 q는 X에 치환된 R1의 수로서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헤테로아릴기에서 고리 구성 원자로 포함되는 헤테로 원자는, 예를 들면, N 또는 O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헤테로아릴기의 고리 구성 원자 중에서 헤테로 원자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2개일 수 있다.
화학식 2에서 -U-는, 바람직하게는 -N=N-일 수 있고, X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또는 고리 구성 원자가 6 내지 12개인 헤테로아릴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일 수 있으며, R1은,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8의 할로알킬기, 옥소기 또는 -N=N-Ph(상기에서 Ph는 하나 이상의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거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할로알킬기, 옥소기 또는 -N=N-Ph(상기에서 Ph는 하나 이상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거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며, l 및 m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1이고, p 및 q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일 수 있다.
상기에서 할로알킬기에 치환될 수 있는 할로겐으로는 염소 또는 불소를 들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유방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면, 유방성 액정상의 형성과 유방성 액정 화합물에 기초한 액정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구조 및 레올로지 특성을 포함하는 콜로이드성-화학성의 변경을 위해 유방성 액정 화합물의 순도 이외의 매우 중요한 인자인 유방성 액정 화합물의 소수성-친수성 균형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방성 액정 화합물과 액정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특징은 2개 이상의 이온성기를 가지는 염료의 경우에 경우 특히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개 이상의 상이한 양이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각의 양이온은 그들의 특성, 또는 다른 특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증가된 용해성을 제공하는 Li+양이온과, 염료 분자의 응집도를 감소시키는 3개의 에탄올 암모늄 양이온 및 액방성 액정상을 안정화시키는 테트라-부틸암모늄 양이온의 조합은 단일 분자 및/또는 낮은 회합도를 가지는 분자상 염료 회합물(착물)에 기초한 액정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방성 액정 화합물이 선형 분자 구조를 가져서 네마틱 유방성 액정상의 형성을 촉진하고 액정층의 형성에 의한 더 높은 배향도를 제공하며, 그 결과 전자기선의 보다 효과적인 선택적 투과 및 반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2Mg++, 1/2Ca++, 또는 1/2Ba++ 등의 다가 양이온의 첨가는 분자상 착물 내의 응집도를 증가시키고, 높은 응집도, 예를 들면 50을 초과하는 응집도를 가지는 초분자상 착물의 유방성 액정상의 형성을 유발하며, 그 용해도는 계면활성 이온을 사용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예를 들면 50 중량% 이하의 개질제, 예를 들어 액정, 실리콘, 가소제, 래커, 비이온계, 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상이한 유형의 광, 친수성 및/또는 소수성 중합체의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액정층은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각 층에 포함되는 상기 유방성 액정 화합물은 서로 상이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광대역의 파장 범위의 광에 대하여 선택적인 투과 및 반사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액정층의 두께는 얻고자 하는 위상차, △n(복굴절률)×d(액정필름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0.1㎛ 내지 10㎛ 정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적 보상을 위한 적절한 범위의 위상차를 얻기 위해 액정층을 0.1㎛ 내지 10㎛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을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739,296호 등에 개시된 방법과 같이, 상기 액정 조성물의 층이 분포되는, 하나의 표면에서 다른 표면으로의 분리 시에 유발되는 전단력(shearing force) 또는 쐐기력(wedging forces)을 부과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기계적 배치(mechanical ordering)에 기초하는 방법에 의해 배향시켜서 상기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필름은 기재층 및 액정층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접착제층을 매개로 서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아크릴계 단량체와 스티렌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기재층과 액정층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액정의 배향성 및 코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단량체로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응집력, 유리전이온도 및 점착성의 조절 등을 고려하여, 탄소수가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확보되도록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 단량체로는 스티렌, 메틸스티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스티렌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스티렌의 공중합체 또는 부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스티렌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 내지 150,0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목적하는 접착 특성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공중합체를 5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목적하는 접착 특성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필름에 포함되는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0.1 내지 1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층은, 전술한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한 후, 경화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본 출원에 따른 접착제층은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층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접착제층은, 또한 경화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경화제는, 예를 들면 아민계 경화제, 이미다졸계 경화제, 페놀계 경화제, 산 무수물 경화제 또는 자외선 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화제는 유기 아민 화합물, 디시안디아미드 및 그 유도체;2-메틸이미다졸,2-에틸-4-메틸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 및 그 유도체;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브롬화 비스페놀 A, 나프탈렌디올, 4,4'-비페놀 등의 2가 페놀 화합물; 페놀이나 나프톨류와 포름알데하이드 혹은 크실렌 글리콜류와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노볼락 수지 혹은 아랄킬 페놀 수지; 무수 호박산, 무수 말레산, 무수 후탈산, 무수 헥사히드로프탈산, 메틸화 무수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 나딕산(nadic acid), 수소화 무수 나딕산(nadic acid), 무수 트리멜리트산, 무수 피로메리트산 등의 산 무수물; 아디프산 히드라지드 등의 히드라지드 화합물;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iso-프로필 에테르, α-메틸벤조인 등의 벤조인류; α-히드로키시이소브치르페논, 벤조페논, p-메틸벤조페논, p-클로로벤조페논, p-디에틸 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아세토페논, 9,10-안트라퀴논,1-클로로안트라퀴논, 2-클로로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류; 또는 디페닐 디설파이드,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술피드 등의 함유황 화합물류 등을 적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2 종류 이상을 이용해도 괜찮다.
또한 접착제층에는, 첨가제로서 경화 촉진제, 분산제, 충전제, 또는 산화 방지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필름은 또한, 하드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하드 코팅층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100)의 접착제층(200)이 접하는 면의 반대 면에 존재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100)의 양면에 존재할 수도 있다. 기재층(100)의 양면에 하드 코팅층(400)에 포함될 경우, 접착제층(200)의 양면은 각각 액정층(300) 및 하드 코팅층(400)과 접하고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드 코팅층은,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존재하여, 기재층의 평탄화, 광학 필름 내 각 층 간의 접착력 향상 및 각 층 간의 물성 차이에 따른 광학 특성 저하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하드 코팅층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중합 단위」는 소정 화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된 중합체의 주쇄 또는 측쇄 등의 골격에 상기 화합물이 중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2개 이상의 관능기, 예를 들면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관능기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 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 관능성 (메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 관능성 이상의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일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또한 기재층이나 접착제층과의 접착력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기재층이나 접착제층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극성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극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디올기, 티올기, 히드록시기,카복시기, 아민기, 이소시아네이트기, 글리시딜기, 에테르기 및 에스테르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예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카복시기를 가지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티올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티올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폴리 티올 화합물 일 수 있다.
구체적인 폴리 티올 화합물은, 비스(2-메르캅토에틸)설파이드,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티올, 2,2-비스(메르캅토메틸)-1,3-프로판디티올, 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메탄; 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3-디티올, 2-(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에탄티올, 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판닐)설피드, 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판닐)디설피드, 1,2-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3-메르캅토프로판, 1,2-비스(2-(2-메르캅토에틸티오)-3-메르캅토프로필티오)에탄, 비스(2-(2-메르캅토에틸티오)-3-메르캅토프로필)설피드, 2-(2-메르캅토에틸티오)-3-2-메르캅토-3-[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1-티올, 2,2 -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닐옥시메틸)-부틸 에스테르, 2-(2-메르캅토에틸티오)-3-(2-(2-[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에틸티오)프로판-1-티올, (4R,11S)-4,11-비스(메르캅토메틸)-3,6,9,12-테트라티아테트라데칸-1,14-디티올, (S)-3-((R-2,3-디메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1,2-디티올, (4R,14R)-4,14-비스(메르캅토메틸)-3,6,9,12,15-펜타티아헵탄-1,17-디티올,(S)-3-((R-3-메르캅토-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필)티오)프로필)티오)-2-((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티올, 3,3'-디티오비스(프로판-1,2-디티올), (7R,11S)-7,11-비스(메르캅토메틸)-3,6,9,12,15-펜타티어헥탄-1,17-디티올, (7R,12S)-7,12-비스(메르캅토메틸)-3,6,9,10,13,16-헥사티아옥타데칸-1,18-디티올,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트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비스펜타에리트리톨-에테르-헥사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1,1,3,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1,2,2-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탄, 4,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안 또는 2-(2,2-비스(메르캅토디메틸티오)에틸)-1,3-디티에탄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디올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디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올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노난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화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광학 필름은, 전술한 구성들을 통해, 각 층 간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가혹한 조건에서도 광학 물성이 유지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층 상에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유방성 액정 화합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층 상에 직접 액정 조성물을 코팅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접착력 저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재층 상에 특정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먼저 형성한 후, 액정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기재층과 액정층의 접착력 및 액정의 배향성 및 코팅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층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스티렌공중합체에 대해서는 상기 광학 필름의 항목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공지의 유기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 초산에틸 또는 톨루엔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접착제 조성물을 기재층 상에 코팅하는 방식은, 예를 들면 바 코팅, 스핀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팅, 그라비어 코팅, 딥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법 등 공지의 코팅 방식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기재층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한 후, 적절한 열을 인가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경화하는 방식 또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용매 등이 휘발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에서 접착제층을 경화시키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은 또한, 유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을 코팅하여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방성 액정 화합물에 대해서는 상기 광학 필름의 항목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방성 액정 화합물로는 유방성 액정 화합물은 전술한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액정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전술한 염료 분자 또는 초분자상 착물의 하나의 무작위적 상호 정위가 불가능해지며, 정렬된 LC 상태를 가져야만 하는 필요한 농도까지 희석액의 농도를, 예를 들면, 증발 또는 멤브레인 초여과 방식에 의해 점차 증가시키거나, 또는 물, 물/알코올, 2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예를 들면, DMFA(dimethyl formamide), DMSO(dimethyl sulfoxide), 셀로솔브,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과 혼화성인 다른 용매의 혼합물) 등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 건조 염료를 용해시켜 적절한 염료의 수성 용액, 수성-유기 용액 및 유기 용액의 어느 하나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농도에서는 유방성 액정 조성물 중 염료, 즉 유방성 액정 화합물의 농도는 0.5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 내지 15 중량%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방성 액정의 콜로이드-화학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은 용매 외에도 첨가제 및 개질제, 예를 들어 비이온계 및 이온계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필름 형성 반응물(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및 그의 에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 옥시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공중합체, 셀룰로스의 에틸- 및 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나트륨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아미드 계열로부터 히드로트로픽 (hydrotropic) 첨가제, 예를 들어 디메틸 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인산의 알킬아미드, 카르바미드 및 그의 N-치환 유도체, N-알킬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아미드와 글리콜류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첨가제의 사용은 조성물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염료 분자의 응집 과정을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유방성 액정상의 형성 과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히드로트로픽 첨가제의 첨가는 단일 유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 조성물은 50 중량% 이하의 개질제, 예를 들어 액정, 실리콘, 가소제, 래커, 비이온계, 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상이한 유형의 광, 친수성 및/또는 소수성 중합체의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접착제층이 형성된 기재층 상에 액정 조성물을 코팅하고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다. 코팅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방성 액정 조성물을 균일한 두께로 코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스핀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팅, 그라비어 코팅, 딥 코팅, 스프레이 코팅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코팅방법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매 제거는 대부분의 용매가 제거될 수 있고 코팅된 액정층이 흘러내리거나 심하게 유동하지 않는 이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어떠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용매 제거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실온건조, 건조오븐에서의 건조, 가열판 위에서의 가열건조, 적외선을 이용한 건조 등으로 행할 수 있다. 건조시간 및 건조온도는 용매의 종류 및 함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50℃ 내지 100℃에서 용매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구체적으로는 대략 30초 내지 300초 동안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범위에서 상기 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액정층 및 액정층 구성성분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용매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용매가 증발 제거된 후, 상기 액정층은, 예를 들면 광경화에 의해 경화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경화에 의해 수직 배향된 액정물질이 중합되고 수직 배향이 고정된다. 경화는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흡수하는 광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에 행하여질 수 있다. 한편, 자외선 조사는 대기 중에서 혹은 산소를 차단해서 반응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질소 분위기하에서 행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기로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약 100mW/cm2 이상의 조도를 갖는 중압 혹은 고압 수은 자외선 램프, 또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자외선 조사 시 필름 표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필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재와 자외선 램프(조사기) 사이에 콜드 미러(cold mirror) 혹은 냉각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광학 필름의 용도, 예를 들면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광학 필름은 그대로 편광판에 적용될 수 있으며, IPS 모드 등 다양한 형태의 LCD 모드에서 위상차 필름 또는 시야각 보상 필름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종류, 구조 및 구성 요소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광학필름이 포함되는 한,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모든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기재층과 액정층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우수하고, 액정의 배향성 및 코팅성도 우수한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 보상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광학 필름의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에 3의 광학 필름의 초기 및 400시간 방치 후의 외관의 이미지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출원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로 DSM사의 B-819(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스티렌의 공중합체, Mw: 40,000 )를 준비하였다. 상기 공중합체를 프로필아세테이트 용매에 5wt% 첨가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액정 조성물의 제조
유방성 액정상을 형성하는 이색성 염료로서의 Direct Yellow 12 염료의 양이온 Na+를 Li+로 치환한 이색성 염료를 증류류 수에 약 1 중량%의 농도로 용해시켜서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광학 필름의 제조
코로나 처리한 기재층(PET, 두께: 125㎛) 상에 상기 제조예 1의 접착제 조성물을 와이어 바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약 85℃의 건조 오븐에서 2분 동안 건조시켜 두께 약 2㎛의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접착제층 상에 제조예 12의 액정 조성물을 와이어 바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약 90℃의 건조 오븐에서 2분 동안 건조 시켜, 두께 약 1㎛의 액정층을 형성함으로써, 도 1의 구조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로 부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스티렌의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로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0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스티렌의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기재층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하지 않고, 바로 액정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접착제층으로 아크릴계 수지(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호모폴리머)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접착제층으로 아민계 수지(아민기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크로스-해치 접착력 측정
크로스 컷 시험 기준인 ASTM D3002/D3359의 규격에 준거하여, 실시예 및 비교에에 따른 광학 필름의 크로스 컷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액정층을 형성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한 즉시, 시편을 1 mm의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11줄씩 칼로 그어서 가로와 세로가 각각 1 mm인 100개의 정사각형 격자를 형성하였다. 그 후, Nichiban사의 CT-24 접착 테이프를 상기 재단 면에 부착한 후 떼어낼 때에, 함께 떨어지는 면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조건의 샘플을 100개씩 제조하여 상기 크로스컷 테스트 후 박리면적이 총면적 대비 5% 이하인 샘플의 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크로스컷 테스트는 접착제층 상에 유방성 액정층을 형성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한 즉시 상온에서 측정될 수 있다.
실시예 1 비교예 1
ASTM D3002/D3359 크로스컷 테스트 후 박리면적이 총면적 대비 5% 이하인 샘플 100/100 0/100
< 실험예 2> 광학 내구성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광학 필름을 유리 기판에 라미네이션하여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광학 필름의 내구성은 상기 광학 필름을 온도 60℃ 및 상대습도 90%에서 400시간 방치 후 단체 투과도(Ts) 및 편광도(DOP)를 측정하고, 샘플 외관에 얼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하기 표 2는 초기 및 400시간 방치 후의 단체 투과도 및 편광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도 4는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에 3의 광학 필름의 초기 및 400 시간 방치 후의 외관의 이미지이다. 하기 표 2에서 △400hr는 400시간 방치 후 측정값에서 초기 측정값을 뺀 값을 의미한다.
상기 단체 투과도 및 편광도는 분광광도계 (n&k spectrometer, n&k Technology 사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광학 필름을 40㎜×40㎜의 크기로 잘라, 이 시편을 측정 홀더에 고정시킨 후 자외가시광선분광계(V-7100, JASCO사 제조)를 이용하여 초기 단체 투과도(Ts) 및 초기 편광도(DOP)를 측정하였다. 상기, 단체 투과도(Ts)는 광학 필름 한 장에 대한 측정값이고, 편광도는 두 장의 광학 필름을 흡수축이 평행한 상태로 배치하였을 경우 얻어지는 평행 투과율(Tp)과 흡수축이 90°가 되도록 서로 직교시킨 후 얻어지는 직교 투과율(Tc)에 의해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된다.
[수학식 1]
편광도 = [(Tp - Tc) / (Tp + Tc)]1/2
비교예 1 비교예 3 실시예 1
TS(%) DOP(%) TS(%) DOP(%) TS(%) DOP(%)
초기 41.9 96.0 39.6 93.2 41.38 96.27
100hr 41.6 97.4 39.6 93.0 41.28 96.55
250hr 41.6 97.5 39.7 92.5 41.2 97.61
400hr 41.6 97.4 39.9 92.5 41.23 97.54
△400hr -0.30 1.40 0.30 -0.70 -0.15 1.27
100: 기재층
200: 접착제층
300: 액정층
400: 하드 코팅층

Claims (13)

  1. 기재층, 유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및 상기 기재층과 액정층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아크릴 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및 에틸렌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이 연신 또는 수축된 폴리머 필름인 것을 제외하며,
    상기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000 내지 150,000 범위 내에 있는 광학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성 액정 화합물은 염료 발색단 코어 및 염 형태의 잔기를 포함하는 이색성 염료인 광학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0.1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는 광학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접착제층을 매개로 서로 부착되어 있는 광학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를 5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광학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스티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0.1 내지 100㎛인 광학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하드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광학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12. 기재층 상에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층 상에 유방성 액정 화합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을 코팅하여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아크릴 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및 에틸렌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이 연신 또는 수축된 폴리머 필름인 것을 제외하며,
    상기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000 내지 150,000 범위 내에 있는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1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72527A 2016-12-16 2016-12-16 광학 필름 KR102071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527A KR102071916B1 (ko) 2016-12-16 2016-12-16 광학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527A KR102071916B1 (ko) 2016-12-16 2016-12-16 광학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169A KR20180070169A (ko) 2018-06-26
KR102071916B1 true KR102071916B1 (ko) 2020-01-31

Family

ID=6278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527A KR102071916B1 (ko) 2016-12-16 2016-12-16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339B1 (ko) * 2022-04-11 2023-06-02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솔루션즈 주식회사 데코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441A (ja) 2000-11-16 2002-05-22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189392A (ja) 2003-12-25 2005-07-14 Nitto Denko Corp 高輝度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789599B1 (ko) * 2005-04-13 2007-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9092825A (ja) 2007-10-05 2009-04-30 Nitto Denko Corp 光学積層体
JP2009251288A (ja) * 2008-04-07 2009-10-29 Nitto Denko Corp 楕円偏光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8886B2 (ja) 2008-11-05 2014-06-11 韓国生産技術研究院 リオトロピッククロモニック液晶組成物、リオトロピッククロモニック液晶コーティング膜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リオトロピッククロモニック液晶コーティング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441A (ja) 2000-11-16 2002-05-22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189392A (ja) 2003-12-25 2005-07-14 Nitto Denko Corp 高輝度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789599B1 (ko) * 2005-04-13 2007-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9092825A (ja) 2007-10-05 2009-04-30 Nitto Denko Corp 光学積層体
JP2009251288A (ja) * 2008-04-07 2009-10-29 Nitto Denko Corp 楕円偏光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169A (ko)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0481B2 (en) Optical alignment film composition, optical alignment film,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753779B2 (ja) マトリックスに紫外線吸収能及び/又は高屈折率を付与するための添加剤とそれを用いた樹脂部材
US10114160B2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JP2007297606A (ja) 紫外線硬化性組成物、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0408159B (zh) 固化膜形成用组合物、取向材料和相位差材料
WO2015133485A1 (ja) 偏光板用組成物、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子、偏光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化合物
KR101852693B1 (ko)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6383608B2 (ja) 偏光板用組成物、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子、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004493B1 (ko)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CN109791243A (zh) 液晶组合物、光学膜、偏振片及图像显示装置
US11314007B2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KR102071916B1 (ko) 광학 필름
CN115524776A (zh) 光学层叠体、视角控制系统及图像显示装置
KR101742845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US10160846B2 (en) Optical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mploying same
KR102010808B1 (ko) 광학 필름
KR101464943B1 (ko) 티오에폭시계 광학재료용 폴리티올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티오에폭시계 광학재료용 공중합체 조성물
KR102066921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N115427847A (zh) 光学各向异性膜、圆偏振片、显示装置
CN112041713B (zh) 固化膜形成用组合物、取向材及相位差材
JP2005134521A (ja) 光学素子
KR20200045771A (ko)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KR101582007B1 (ko) 오버코팅 조성물, 오버코팅막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4148B1 (ko) 가교성 조성물
KR102567607B1 (ko) 파이렌계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