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68B1 -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68B1
KR102071668B1 KR1020180039214A KR20180039214A KR102071668B1 KR 102071668 B1 KR102071668 B1 KR 102071668B1 KR 1020180039214 A KR1020180039214 A KR 1020180039214A KR 20180039214 A KR20180039214 A KR 20180039214A KR 102071668 B1 KR102071668 B1 KR 102071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uenza virus
composition
extract
fra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926A (ko
Inventor
서상권
조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8003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68B1/ko
Priority to PCT/KR2018/006413 priority patent/WO2019194358A1/ko
Publication of KR2019011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Smilacaceae (Catbrier family), e.g. greenbrier or sarsapari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복령(Smilax china), 노회(Aloe), 모정향(Syzygium aromaticum Merrill et Perry), 연자육(Nelumbinis Semen) 및 편축(Polygoni Avicularis Herb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파 및 증식에 관여하는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comprising medicinal herb extract or its fraction}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H1N1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또는 H3N2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의 MDCK 세포 감염을 억제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쏘믹소바이러스(orthomyxovirus)에 속하며, 인체에 급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다. 해마다 전세계적으로 집단감염이나 대유행을 야기하여 면역력이 취약한 영유아, 고령자, 기저질환자의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게 하는 바이러스 중 하나이다. 1918년에 미국 시카고에서 창궐하여 2년간 전세계에서 약 5000만명의 목숨을 앗아간 스페인독감 이외에도 지난 세기동안 1957년, 1968년, 1977년 등에도 대유행이 발생하여 발생 때마다 최소 100만명에서 최대 200만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의 세 가지 형이 있다. 이 중 사람 간에 전염되어 대유행을 야기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주로 A형이며, B형도 A형만큼은 아니지만 사람 간의 전염력이 강하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에는 당단백질인 적혈구 응집소(hemagglutinin, HA)와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라는 두 종류의 표면 항원이 존재하며, 내부에는 8개의 분절된 RNA가 존재한다. HA는 숙주세포의 표면에 있는 시알산(sialic acid) 잔기와 결합하여 바이러스를 숙주세포에 부착시켜 바이러스가 숙주세포로 침투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뉴라미니데이즈는 감염된 숙주세포 내에서 증식한 바이러스가 세포 표면의 올리고사카라이드 부분과 뉴라민산(neuraminic acid) 잔기 사이의 알파-케토시딕 결합(α-ketosidic bond)을 끊어서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밖으로 나갈 수 있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 두 가지 표면 항원은 여러가지 아형이 발견되어 있으며, 아형에 따라 분류를 하고 있으며, 이 분류법에 따르면 1918년에 유행했던 스페인독감은 H1N1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1957년에 유행했던 아시아독감은 H2N2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1968년에 유행했던 홍콩독감은 H3N2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에 해당한다. 요즘은 특히 교통이 발달함에 따라 한 곳에서 독감이 발생하여 전세계적으로 퍼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매우 짧아져서 해마다 계절성 독감이 유행하고 있고, 2009년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대변이를 일으켜,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신종플루가 발생하는 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큰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바이러스 백신의 접종 또는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복용이 있다. 바이러스 백신은 바이러스의 감염 자체를 차단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나, 유행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아형과 백신에 존재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아형이 맞지 않으면 효과가 매우 낮고, 아형이 맞는 경우에도 감염을 완벽히 억제하지 못 하기 때문에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개발의 필요성이 중요하다.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는 여러 기전으로 다양한 약들이 개발되어 있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약으로는 바이러스 유전자의 전사 및 복제의 억제제인 리바비린(ribavirin), M2 채널(M2 channel) 억제제인 아만타딘(amantadine)과 리만타딘(rimantadine), NA 활성 억제제인 자나미비어(zanamivir)와 오셀타미비어(oseltamivir) 등이 있다. 이 중 리바비린은 독감뿐 아니라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대표적으로 C형 간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나, 독감유사증상(발열, 오한, 근육통 등), 우울증, 불면증, 빈혈, 가려움, 탈모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어 독감 치료에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으며, M2 채널 억제제인 아만타딘과 리만타딘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에만 효과가 있고,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가 다수 발견되고 있고, 신경계 및 위장에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여 최근에는 점차 사용을 하지 않는 추세이다. 최근에 독감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NA 활성 억제제인 자나미비어(상품명 리렌자)와 오셀타미비어(상품명 타미플루)로, 이들은 상대적으로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 발생 빈도가 적고, 사람 간의 감염력이 높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에 모두 효과를 보인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구토증세 또는 낮은 생체이용률 등의 문제점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제제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의 출현이 점차적으로 보고되고 있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억제 효과가 뛰어나고, 자나미비어나 오셀타미비어에 내성을 가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까지를 모두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토복령(土茯, Smilax china)은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며, Smilax china의 뿌리줄기를 말린 약재이다. 일반적으로 바깥면은 회색을 띤 황갈색이며, 윗면에는 군데군데 줄기의 잔기가 돌출되어 있다. 꺾은 면은 타원형 내지 둔한 삼각형의 모양을 이루며, 색은 유백색 내지 엷은 적백색이다. 대체로 편압되지 않고 고르지 않은 원형 내지 덩어리형이다. 맛은 싱겁다. 토복령에는 다수의 플라보놀이 들어 있으며, 대표적인 활성 성분으로는 캄페스테롤(Campesterol), 퀘르세틴(Quercetin), 캠페롤(Kaempferol), 아스틸빈(Astilbin), 페룰릭산(Ferulic acid), 엔젤레틴(Engeletin) 등이 있다. 한방에서는 독성을 풀어주는 효능, 부스럼을 없애는 효능,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 설사를 그치게 하는 효능이 있음이 기재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토복령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한다는 보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노회(蘆, Aloe)는 백합과 알로에속에 속하며, 약재로서 노회는 Aloe barbadensis Miller, Aloe ferox Miller, Aloe africana Miller 또는 Aloe spicata Baker의 잡종의 잎에서 추출한 즙액(汁液)을 말린 것을 말한다. 대체로 길고 끝이 뾰족한 잎의 양쪽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의 가시가 돋고, 황색 또는 주황색의 꽃이 핀다. 뿌리와 줄기에 달려있는 잎은 서로 어긋나게 나와있고, 뒷면은 둥글고 앞면은 약간 들어가서 반원기둥의 형태를 갖는다. 독특한 냄새가 나며, 맛은 쓰다. 주요 화학 성분은 알로인(aloin), 이소발바로인(isobarbaloin), 베타-발바로인(beta-barbaloin) 등이며, 한방에서는 배변작용을 촉진하고, 열을 내리며, 살충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모정향(母丁香, Syzygium aromaticum Merrill et Perry))은 정향(丁香)의 열매를 말린 것이다. 긴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바깥 면은 황갈색 또는 진한 갈색이고 가는 주름이 있다. 비교적 단단하여 부수기 어렵고, 향기로운 냄새가 있으며 맛은 얼얼하다. 한방에서는 모정향이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성기능을 높이며,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여러 가지 종기를 낫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모정향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한다는 보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연자육(蓮子肉, Nelumbinis Semen)은 수련과의 연꽃(Nelumbo nucifera Gaertner)의 씨로서 종피를 벗겨 말린 약재를 말한다. 황백색의 타원형 또는 구형모양이고, 냄새는 거의 없으며, 맛은 약간 달고 떫다. 연자육에는 메티오닌과 엽산이 풍부하며, 한방에서는 비장의 기능을 보호하고, 설사를 멎게하며, 성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아직까지 연자육의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에 대한 보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편축(蓄, Polygoni Avicularis Herba)은 여뀌과 식물인 마디풀(Polygonum aviculare L.)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줄기는 가는 원기둥 모양이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어긋나 있으며, 마디에는 연한 노란색 또는 갈색의 얇은 엽초와 꽃이 붙어있다. 냄새가 없으며 맛은 떫다. 한방에서는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열을 내리며 기생충을 구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약리 실험에서 이뇨 작용 촉진, 혈압 강하 효과 등이 밝혀졌다. 다만, 아직까지 편축의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에 대한 보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이 NA 활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및 증식을 억제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10-1458763 (2014.01.03) 한국공개특허 10-2015-0019642 (2016.08.18.)
본 발명의 목적은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토복령(Smilax china )"은 Smilax china의 뿌리줄기를 말린 약재이며, 한방에서 독성을 풀어주는 효능, 부스럼을 없애는 효능,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 설사를 그치게 하는 효능 등으로 사용해온 천연식물이다. 토복령(Smilax china)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해서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노회(Aloe)"는 백합과 알로에속에 속하며, 약재로서 노회는 Aloe barbadensis Miller, Aloe ferox Miller, Aloe africana Miller 또는 Aloe spicata Baker의 잡종의 잎에서 추출한 즙액(汁液)을 말린 것을 말한다. 배변작용을 촉진하고, 열을 내리며, 살충 효과가 있는 천연식물이며,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해서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모정향"은 정향(丁香, Syzygium aromaticum Merrill et Perry )의 열매를 말린 것이며,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성기능을 높이는 효능이 있는 천연식물이다. 모정향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해서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연자육(Nelumbinis Semen)"은 수련과의 연꽃(Nelumbo nucifera Gaertner)의 씨로서 종피를 벗겨 말린 약재로서, 비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설사를 멎게하는 효능이 있는 천연 식물이다. 연자육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해서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편축(Polygoni Avicularis Herba)"은 여뀌과 식물인 마디풀(Polygonum aviculare L.)의 전초를 말린 것으로서, 이뇨작용을 촉진하고 혈압 강하 등의 효과가 있는 천연식물이다. 편축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해서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이 억제되거나 발병이 지연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H1N1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H2N3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조류독감, 돼지독감 또는 염소독감 등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단순 수추출물, 유기용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용매분획물, 다당류분획물을 포함 할 수 있으며, 상기 단순 수추출물, 유기용매 추출물,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의 혼합물 또는 복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이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과정은 크게 추출 단계, 농축 단계, 건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단계에서 추출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발효주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건조된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분량에 1배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배 내지 3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100℃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 내지 40℃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실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시간 내지 48시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시간 내지 30시간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24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1회 내지 5회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회 내지 4회 반복 추출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3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농축 단계에서는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과정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조 단계는 상기 감압 농축 과정을 거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WT NA와 H274A MT NA의 활성을 모두 억제하며, H1N1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H2N3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의 MDCK 세포감염을 억제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획물"이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분획물은 용매분획물, 다당류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분획방법의 예로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 상기 추출물을 냉침법과 원심분리법을 사용하여 다당류를 침지하고 회수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이용하여 분획하는 이상, 그 추출 또는 분획 방법에 제한 없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예 2에서는 각각의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을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수득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 바람직하게는 현탁액을 여과한 후, 약 1 내지 5배 부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및 물을 이용하여 극성에 따른 분획화 과정을 거치면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예 3에서는 각각의 추출물의 다당류분획물을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수득하였다.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을 8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열수 환류장치를 통하여 2 내지 12 시간, 바람직하기로는 6 시간 추출한 후, 상기 열수추출물을 냉침법과 원심분리법을 통하여 상등액을 획득하고 상기 상등액을 바람직하게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2 내지 6 브릭스, 바람직하게는 4 브릭스로 희석시킨 후 에탄올 1 내지 4배 부피를 연속적으로 드롭핑(dropping) 하면서 교반시킨 다음, 냉침법을 이용하여 다당류를 침지시키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다당류를 회수하면 다당류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품은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함량은 제형에 따라 식품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중량% 내지 100중량%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구체적으로는 약 5 g 내지 12 g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성) 식품"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으며, 휴대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구체적으로 약 0.02 ~ 0.03 g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중량부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 조성물"이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주사, 직장 내 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본 발명의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mg/kg 내지 100 mg/kg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01 mg/kg 내지 10 mg/kg일 수 있으며, 하루 1회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의약외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야생형(wild type, WT) NA의 활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오셀타미비어에 내성을 지니는 변이형(mutant, MT) H274Y NA의 활성도 잘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MDCK 세포에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및 증식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퍼져나가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는 NA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호흡기관 내 다른 세포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면서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을 억제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증식을 억제하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일 뿐이므로,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추출물의 제조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1)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을 세척 및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수득한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분말 1000 kg에 물을 가하여 70℃에서 열수 추출하는 단계;
3) 단계 2)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4) 단계 3)의 여과된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
5) 단계 4)의 농축된 추출물을 건조하여 약 1000g의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추출물을 얻는 단계.
제조예 2: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의 제조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1)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추출물을 제조한 후 수득한 열수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여과된 추출물에, 여과된 추출물의 약 1 내지 5배 부피의 발효주정을 가하여 분획하는 단계;
3) 단계 2)에서 수득한 분획물을 분리하여, 각각의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을 얻는 단계.
제조예 3: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추출물의 다당류분획물의 제조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추출물의 다당류분획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1)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을 세척 및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수득한 분말 1000 kg에 열수를 가하여 2 내지 12시간 동안 열수 환류장치를 통하여 추출하는 단계;
3) 단계 2)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냉침법 및 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4) 단계 3)의 상등액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2 내지 6 브릭스로 희석하는 단계;
5) 단계 4)의 희석된 추출물에, 희석된 추출물의 1 내지 4배 부피의 에탄올을 연속적으로 드롭핑하면서 교반시키는 단계;
6) 냉침법 단계 5)의 혼합물에서 다당류를 침지시키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다당류를 회수하여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추출물의 다당류분획물을 얻는 단계.
제조예 4: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추출물과 이로부터 얻은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 혼합물의 제조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또는 편축 추출물과 이로부터 얻은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 혼합물은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에서 준비된 각각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각각 동일한 양의 소재로부터 제조된 추출물 및 분획물의 수율에비례하도록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하에서 "추출물과 이로부터 얻은 용매분획물 및 다당류분획물의 혼합물"은 편의상 "혼합물"로 약칭한다.
실시예 1: 시험관 모델에서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의 WT NA 억제 효능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는 감염된 숙주세포 내에서 증식한 바이러스가 세포 표면의 올리고사카라이드(oligosaccharide) 부분과 뉴라민산(neuraminic acid) 잔기 사이의 알파-케토시딕 결합(α-ketosidic bond)을 끊어서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밖으로 나갈 수 있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뉴라미니데이즈의 활성은 체내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밖으로 나가는 능력과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이 억제되는 것은 체내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파 및 성장 능력이 저해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WT NA에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을 처리한 후, WT NA의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을 0.5 mg/ml 또는 1 mg/ml 농도로 희석한 후 각각 5㎕를 취하여 5㎕의 WT NA (R&D Systems) 와 혼합하였다. 그 후 Neuraminidase activity assay kit (Sigma)에서 제공하는 시약을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설명서에 따라 혼합하여 첨가한 후(40㎕) 30℃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A20)하였고, 다시 30℃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A50)하였다. 각 처리군의 WT NA 활성은 A50에서 A20을 뺀 값으로 계산하였고, 하기 표 1에 WT NA 활성 저해율(100 - WT NA 활성, %)값으로 표시하여 기재하였다.
Figure 112018033564712-pat00001
그 결과,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의 WT NA의 활성 저해율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파 및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시험관 모델에서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의 H274A MT NA 억제 효능
H274A MT NA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독감 치료제인 오셀타미비어(상품명: 타미플루)에 내성을 가지는 형태의 NA로 보고되어 있다. 오셀타미비어는 NA 활성을 억제함을 통해 독감을 치료하는 독감 치료제인데, H274A MT NA를 가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들은 오셀타미비어에 의해 전파 및 성장이 억제되지 않는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H274A MT NA의 활성이 억제되는 것은 체내에서 타미플루 내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파 및 성장 능력이 저해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H274A MT NA에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을 처리한 후 H274A MT NA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을 1mg/ml 농도로 희석한 후 5㎕를 취하여 5 ㎕의 H274A MT NA (Sino Biological Inc.)와 혼합하였다. 그 후 Neuraminidase activity assay kit (Sigma)에서 제공하는 시약을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설명서에 따라 혼합하여 첨가한 후(40㎕) 30℃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A20)하였고, 다시 30℃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A50)하였다. 각 처리군의 H274A MT NA 활성은 A50에서 A20을 뺀 값으로 계산하였고, 하기 표 2에 NA 활성 저해율(100 - H274A MT NA 활성, %)값으로 표시하여 기재하였다.
Figure 112018033564712-pat00002
그 결과, H274A MT NA의 오셀타미비어에 대한 내성으로 인해, 오셀타미비어의 H274A MT NA 활성 저해율은 매우 낮게 측정되었으나,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은 상대적으로 H274A MT NA의 활성 저해율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이 H274A MT NA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타미플루에 내성을 지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파 및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타미플루에 내성을 지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세포주 모델에서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 효능
시험관 모델에서 확인한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NA 활성 억제 효능이 세포주 모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MDCK (Madin-Darby Canine Kidney) 세포를 배양한 후 H1N1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H3N2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를 감염시키고 35℃에서 1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을 여러 농도로 처리한 후 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각각 하기 표 3, 표 4 및 표 5에 IC50 (㎍/ml)값으로써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33564712-pat00003
Figure 112018033564712-pat00004
Figure 112018033564712-pat00005
그 결과,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이 H1N1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H3N2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에 의한 세포 감염을 매우 잘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토복령, 노회, 모정향, 연자육 및 편축 각각의 혼합물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NA의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주 모델에서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파 및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토복령(Smilax china), 모정향(Syzygium aromaticum Merrill et Perry), 연자육(Nelumbinis Semen) 및 편축(Polygoni Avicularis Herb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용매분획물 또는 다당류 분획물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삭제
  7. 토복령(Smilax china), 모정향(Syzygium aromaticum Merrill et Perry), 연자육(Nelumbinis Semen) 및 편축(Polygoni Avicularis Herb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토복령(Smilax china), 모정향(Syzygium aromaticum Merrill et Perry), 연자육(Nelumbinis Semen) 및 편축(Polygoni Avicularis Herb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의약외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180039214A 2018-04-04 2018-04-04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214A KR102071668B1 (ko) 2018-04-04 2018-04-04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8/006413 WO2019194358A1 (ko) 2018-04-04 2018-06-05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214A KR102071668B1 (ko) 2018-04-04 2018-04-04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817A Division KR20200013005A (ko) 2020-01-22 2020-01-22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926A KR20190115926A (ko) 2019-10-14
KR102071668B1 true KR102071668B1 (ko) 2020-01-30

Family

ID=6810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214A KR102071668B1 (ko) 2018-04-04 2018-04-04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1668B1 (ko)
WO (1) WO2019194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7629B (zh) * 2020-06-05 2022-06-17 福建农林大学 一种莲子活性多糖、莲子活性物质及其提取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648B1 (ko) * 2016-06-08 2017-11-20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로에-이모딘 및 오메가-3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3738A1 (en) * 2001-12-27 2003-07-02 2QR Research BV Negatively charged polysaccharide derivable form Aloe Vera
KR100941595B1 (ko) * 2008-06-05 2010-02-11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바이러스 억제제로서 유용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
KR101189823B1 (ko) * 2009-11-23 2012-10-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640286B1 (ko) 2013-08-14 2016-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트리머 방전을 이용한 폴리실리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458763B1 (ko) 2014-01-03 2014-11-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KR20170030689A (ko) * 2015-09-09 2017-03-20 주식회사 유니베라 인플루엔자 백신 보조제용 알로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백신 조성물
CN107373142A (zh) * 2017-08-10 2017-11-24 田东雄桂牧业有限公司 一种预防流感猪饲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648B1 (ko) * 2016-06-08 2017-11-20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로에-이모딘 및 오메가-3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YDISKIS R. J. 외 4명, Inactivation of Enveloped Viruses by Anthraquinones Extracted from Plants,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35권, 12호, p.2463-2466, (1991년 12월)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926A (ko) 2019-10-14
WO2019194358A1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515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688791B (zh) 具有生物利用度提高的皂素的组合物
JP5718468B2 (ja) ハリグワ及びヨクイニンを含む肥満抑制又は血糖降下用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JP5275251B2 (ja) 肝臓疾患を予防及び処置するための組合せ薬草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JP2010504370A (ja) 抗アレルギー性鼻炎作用、抗アトピー性皮膚炎作用及び抗喘息活性を示す複合生薬抽出物からなる組成物
WO2015046486A1 (ja) 肥満抑制組成物
KR102024987B1 (ko)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020095A (ko) 멀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JPWO2006137122A1 (ja) 抗エイズ剤
KR20200013005A (ko)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4616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1271601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773303B2 (ja) シクンシ抽出物を含む前立腺肥大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20140104652A (ko) 딱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2071668B1 (ko)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7010144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210002378A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443510B1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805395A (zh) 一种保护肝脏的保健食品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20220018953A (ko) 고사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217264B1 (ko) 코디움 속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54031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101520428B1 (ko) 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20200089782A (ko) 생강, 병풀 및 모시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