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20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20B1
KR102071620B1 KR1020140127423A KR20140127423A KR102071620B1 KR 102071620 B1 KR102071620 B1 KR 102071620B1 KR 1020140127423 A KR1020140127423 A KR 1020140127423A KR 20140127423 A KR20140127423 A KR 20140127423A KR 102071620 B1 KR102071620 B1 KR 102071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rear seat
air
auxiliary blower
main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126A (ko
Inventor
김태완
공태윤
김인혁
서정훈
정재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20B1/ko
Priority to DE102015116032.3A priority patent/DE102015116032A1/de
Priority to US14/863,571 priority patent/US9931904B2/en
Priority to CN201510616552.XA priority patent/CN105437911B/zh
Publication of KR2016003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2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실내의 좌,우측 및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하는 쓰리 존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메인 블로어의 회전단수와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함으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부분의 "공기 토출량 변화"와 "풍량배분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통해, 좌,우측부분의 "공기 토출량"과 "풍량배분비"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측통로와 후석통로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좌,우측통로와 후석통로에 공기를 송풍하는 메인 블로어와, 좌,우측통로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좌,우측통로로 도입되는 풍량을 배분하는 풍량배분도어 및, 후석통로를 따라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과 풍압을 높이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메인 블로어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메인 블로어 보상값들을 내장하는 제 1메모리부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시에, 메인 블로어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에 대응되는 메인 블로어 보상값을 제 1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메인 블로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메인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실내의 좌,우측부분과 후석부분을 각각 독립적으로 냉, 난방하는 쓰리 존 타입(3 Zone Type)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메인 블로어의 회전단수와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능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부분의 "공기 토출량 변화"와 "풍량배분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좌,우측부분의 "공기 토출량"과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실내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과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하는 쓰리 존 타입(3 Zone Type) 공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와 후석통로(18)를 형성하고, 형성된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와 후석통로(18) 각각에 템프 도어(Temp. Door)(20, 22, 24)를 설치한 다음, 좌,우측 및 후석 템프도어(20, 22, 24)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좌,우측 및 후석통로(14, 16, 18)의 냉,온기 흐름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흐름량이 조절된 좌측통로(14)의 냉,온기는 차실내의 좌측부분에 공급하고, 흐름량이 조절된 우측통로(16)의 냉,온기는 차실내의 우측부분에 공급하며, 흐름량이 조절된 후석통로(18)의 냉,온기는 차실내의 후석부분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차실내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과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한다.
한편, 이러한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는,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풍량배분도어(30)를 더 갖추고 있다.
풍량배분도어(30)는, 좌측통로(14)의 입구(14a)와 우측통로(16)의 입구(16a)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로 도입되는 메인 블로어(40)의 풍량을 배분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또한,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는, 후석통로(18) 상에 설치되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50)를 더 갖추고 있다.
후석용 보조 블로어(50)는, 후석통로(18)를 따라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과 풍압을 추가적으로 높인다. 따라서,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과 풍압을 높인다. 이로써, 후석부분의 냉,난방 성능을 높인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수동제어 또는 자동제어에 의해 변화될 경우, 후석통로(18)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변화되는데, 이러한 후석통로(18)의 "공기 유입량 변화" 때문에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로 유입되는 공기량도 변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송풍되는 냉,온기량이 변화되면서 차실내의 "좌,우측부분 냉,난방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높아지면, 후석통로(18)의 공기 유입량은 증가되는데, 이러한 후석통로(18)의 "공기 유입량 증가" 때문에 좌,우측통로(14, 16)의 공기 유입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송풍되는 냉,온기량이 저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실내의 "좌,우측부분 냉,난방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공조장치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경우, 좌,우측통로(14, 16)에 작용하는 정압(靜壓)도 각각 변화되는데, 이러한 좌,우측통로(14, 16)의 "정압 변화 현상" 때문에 좌,우측통로(14, 16) 간의 "정압차"가 심화되면서 좌,우측통로(14, 16)로의 "풍량배분비율"이 변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풍량배분도어(50)에 의해 서로 다른 개도량(단면적)으로 제어된 좌,우측통로(14, 16)는, 서로 간의 개도량 차이로 인해 양자 간에 "정압차"가 발생한다.
그런데, 이때,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변화되면, 좌,우측통로(14, 16)에 작용하는 정압도 각각 변화되고, 이러한 "정압 변화 현상" 때문에 좌,우측통로(14, 16) 간의 "정압차"도 변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공기의 "정압"은, 통로의 단면적에 따라 각기 다르므로, 개도량(단면적)이 서로 다른 좌,우측통로(14, 16)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정압변화율"도 서로 다를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서로 다른 "정압변화율" 때문에 좌,우측통로(14, 16)로 도입되는 메인 블로어(40)의 "풍량배분비율"도 변화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해, 개도량(단면적)이 적은 좌측통로(14)의 "정압변화율"이, 개도량(단면적)이 많은 우측통로(16)의 "정압변화율"에 비해 낮을 수 밖에 없는데, 이렇게 좌측통로(14)의 낮은 "정압변화율" 때문에 좌측통로(14)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이전에 비해 증가될 수 밖에 없으며, 그 결과, 좌,우측통로(14, 16)로 도입되는 블로어(18)의 "풍량배분비율"도 변화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좌,우측통로(14, 16)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제어값"대로 정확하게 제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풍량"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제어되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그 결과, 차실내의 쾌적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메인 블로어의 회전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경되더라도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이 원래의 제어값대로 제어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경되더라도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이 원래의 제어값대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토출 풍량"이 원래의 상태대로 제어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정압차 변화와, 그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되더라도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제어값대로 제어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되더라도,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제어값대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풍량"이 원래의 상태대로 제어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좌측통로와 우측통로와 후석통로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좌,우측통로와 후석통로에 공기를 송풍하는 메인 블로어와, 상기 좌,우측통로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상기 좌,우측통로로 도입되는 풍량을 배분하는 풍량배분도어 및, 상기 후석통로를 따라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과 풍압을 추가적으로 높이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로어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메인 블로어 보상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제 1메모리부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시에, 상기 메인 블로어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에 대응되는 메인 블로어 보상값을 상기 제 1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메인 블로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상기 메인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블로어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제 2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시에, 상기 메인 블로어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에 대응되는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상기 제 2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상기 좌,우측통로에 대한 상기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변화되는 조건인 경우에만, 상기 메인 블로어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블로어의 회전단수와 상기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메모리부에 내장된 상기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메인 블로어 보상값은, 상기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가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상기 메인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점차 높이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메모리부에 내장된 상기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은, 상기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가 커질수록, 상기 좌,우측통로 중, 개도량이 적은 곳은 점차 개도량을 증가시키고, 개도량이 많은 곳은 점차 개도량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풍량배분도어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메인 블로어의 회전속도를 능동적으로 보정하는 구조이므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구조이므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 변화"를 보상할 수 있으므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경되더라도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이 원래의 제어값대로 제어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경되더라도 좌,우측통로의 "공기 유입량"이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토출 풍량"과 "냉,온기 풍량비"가 원래의 제어값대로 제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능동적으로 보정하는 구조이므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정압차 변화와, 그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회전단수 변화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풍량"과 "냉,온기 풍량비"가 원래의 제어값대로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와 후석통로(18)를 형성하고, 형성된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와 후석통로(18) 각각에 템프 도어(Temp. Door)(20, 22, 24)를 설치한다.
그리고 설치된 좌,우측 및 후석 템프도어(20, 22, 24)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좌,우측 및 후석통로(14, 16, 18)의 냉,온기 흐름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는,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풍량배분도어(30)를 더 갖추고 있다.
풍량배분도어(30)는, 좌측통로(14)의 입구(14a)와 우측통로(16)의 입구(16a)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로 도입되는 메인 블로어(40)의 풍량을 배분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또한,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는, 후석통로(18) 상에 설치되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50)를 더 갖추고 있다.
후석용 보조 블로어(50)는, 후석통로(18)를 따라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과 풍압을 추가적으로 높인다. 따라서,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과 풍압을 높인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를 감지하는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수단(60)을 구비한다.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수단(60)은,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 각각에 설치되는 회전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이러한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수단(60)은,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를 감지한 다음, 감지된 "메인 블로어 회전단수 신호(S1)"와 "보조 블로어 회전단수 신호(S2)"를 후술하는 제어부(70)에 입력시킨다.
경우에 따라,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수단(60)은,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유닛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또는 "차실내,외 온도"와 "사용자 설정온도"에 따라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를 제어하는 것으로,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제어를 위한 "블로어 회전단수 제어신호"를 통해서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제어유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구동회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제어부(7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제 1메모리부(72)와 제 2메모리부(74)와 판단부(76)와 산출부(78)를 포함한다.
제 1메모리부(72)는,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메인 블로어 보상값"이 내장되어 있다.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메인 블로어 보상값"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변화되었을 시에, 예를 들면,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되었을 시에,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상승에 의한 좌,우측통로(14, 16)의 "공기 유입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메인 블로어(40)의 제어값으로서,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에 따라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다.
제 2메모리부(74)는,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이 내장되어 있다.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변화되었을 시에, 예를 들면,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되었을 시에,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상승에 의한 좌,우측통로(14, 16)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풍량배분도어(30)의 제어값으로서,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에 따라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다.
판단부(76)는,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수단(60)으로부터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실시간으로 입력되면, 입력된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부(76)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는지의 조건만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출부(78)는, 일종의 연산프로그램으로서, 판단부(76)로부터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변화된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와, 메인 블로어(40)의 회전단수를 연산 처리하여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를 산출한다.
한편, 제어부(70)는, 산출부(66)에서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가 산출되면, 산출된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에 대응한 "메인 블로어 보상값"과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제 1 및 제 2메모리부(72, 74)에서 각각 검출한다.
그리고 "메인 블로어 보상값"과 "풍량배분도어 보상값"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70)는, 검출된 "메인 블로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메인 블로어(40)의 회전단수를 보정하고, 아울러 검출된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풍량배분도어(30)의 개도위치를 보정한다.
예를 들면, 메인 블로어(40)의 회전단수를 상승시키고, 풍량배분도어(30)의 개도위치를 "A"위치에서, "B"위치로 보정한다.
따라서,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상승으로 인한 좌,우측통로(14, 16)의 "공기 유입량 변화"와, 그로 인한 차실내의 좌,우측부분 "냉,온기 토출량 변화" 및,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상승으로 인한 좌,우측통로(14, 16)의 정압차 변화와, 그로 인한 좌,우측통로(14, 16)의 "풍량배분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상승으로 인한 좌,우측통로(14, 16)의 "공기 유입량 변화"와, 좌,우측통로(14, 16)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그 결과,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됨에도 불구하고, 좌,우측통로(14, 16)의 "공기 유입량"과, 좌,우측통로(14, 16)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상승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풍량"과, "냉,온기 풍량비"가 원래의 상태대로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메모리부(72)에 저장된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메인 블로어 보상값"은,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가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메인 블로어(40)의 회전단수를 점차 높이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되어, 메인 블로어(40)와 보조 블로어(50) 간 회전단수 편차가 커질수록, 좌,우측통로(14, 16)의 "공기 유입량"이 점차 저감되므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되어, 메인 블로어(40)와 보조 블로어(50) 간 회전단수 편차가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메인 블로어(40)이 회전단수를 높임으로써, 좌,우측통로(14, 16)로 도입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좌,우측통로(14, 16)의 "공기 유입량 저감현상"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될수록 심화되는 좌,우측통로(14, 16)의 "공기 유입량 저감현상"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2메모리부(74)에 저장된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은,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가 커질수록,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많은 곳을 향해 풍량배분도어(30)를 점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가 커질수록,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적은 곳은 그 개도량이 점차 증가되게 하고, 개도량이 많은 곳은 그 개도량이 점차 저감되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예를 들어,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되어, 메인 블로어(40)와 보조 블로어(50) 간의 회전단수 편차가 커질수록, 좌,우측통로(14, 16)의 서로 다른 "정압변화율" 때문에,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적은 곳은 풍량의 배분이 더 감소되고, 개도량이 많은 곳은 풍량의 배분이 더 증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되어, 메인 블로어(40)와 보조 블로어(50) 간의 회전단수 편차가 커질수록,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적은 곳은 그 개도량을 점차 증가시키고, 개도량이 많은 곳은 그 개도량을 점차 저감시킴으로써, 개도량이 적은 통로측에서는 풍량배분이 증가되게 하고, 개도량이 많은 통로측에서는 풍량배분이 저감되게 한다.
그 결과, 개도량이 적은 통로측에서의 "풍량배분 부족현상"과, 개도량이 많은 통로측에서의 "과다 풍량배분현상"을 보상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변화되는 지를 판단한다(S103). 예를 들면,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상승에 따라 좌,우측통로(14, 16)의 "냉,온풍량"과 "풍량배분비"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제어부(70)는, 상승된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와, 메인 블로어(40)의 회전단수를 연산 처리하여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를 산출한다(S105).
그리고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의 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70)는, 산출된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에 대응되는 "메인 블로어 보상값"과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제 1 및 제 2메모리부(72, 74)에서 각각 검출한다(S107).
그리고 "메인 블로어 보상값"과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70)는, 검출된 "메인 블로어 보상값"과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메인 블로어(40)의 회전단수와 풍량배분도어(30)의 개도위치를 보정한다(S109). 예를 들어, 메인 블로어(40)의 회전단수를 높이고, 풍량배분도어(30)의 개도위치를 "A"위치에서, "B"위치로 보정한다.
그러면,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상승으로 인한 좌,우측통로(14, 16)의 "냉,온풍량 변화"와 "풍량배분비 변화"가 보상된다(S111).
이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됨에도 불구하고, 좌,우측통로(14, 16)의 "냉,온풍량"과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 상승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풍량"과 "냉,온기 풍량비"가 원래의 제어값대로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이 개선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메인 블로어 보상값"과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이 제 1 및 제 2메모리부(72, 74)에 각각 미리 저장되어 있고, 이를 통해, 메인 블로어(40)의 회전단수와 풍량배분도어(3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메인 블로어 보상값"과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미리 설정된 연산 프로그램으로 연산 처리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제어부(70)는, "메인 블로어와 보조 블로어 간 회전단수 편차"별, "메인 블로어 보상값"과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산출하기 위한 별도의 연산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10: 공조케이스(Case) 14: 좌측통로
16: 우측통로 18: 후석통로
20: 좌측 템프 도어(Temp. Door) 22: 우측 템프 도어
24: 후석 템프도어 30: 풍량배분도어(Door)
40: 메인 블로어(Main Blower) 50: 후석용 보조 블로어(Blower)
60: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수단 70: 제어부
72: 제 1메모리부 74: 제 2메모리부
76: 판단부 78: 산출부

Claims (5)

  1. 삭제
  2.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와 후석통로(18)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좌,우측통로(14, 16)와 후석통로(18)에 공기를 송풍하는 메인 블로어(40)와, 상기 좌,우측통로(14, 16)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상기 좌,우측통로(14, 16)로 도입되는 풍량을 배분하는 풍량배분도어(30) 및, 상기 후석통로(18)를 따라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과 풍압을 추가적으로 높이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5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 간 회전단수 편차별, 메인 블로어 보상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제 1메모리부(72)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시에, 상기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 간 회전단수 편차에 대응되는 메인 블로어 보상값을 상기 제 1메모리부(72)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메인 블로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상기 메인 블로어(40)의 회전단수를 보정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 간 회전단수 편차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제 2메모리부(7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변화될 시에, 상기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 간 회전단수 편차에 대응되는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상기 제 2메모리부(74)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상기 좌,우측통로(14, 16)에 대한 상기 풍량배분도어(3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50)의 회전단수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변화되는 조건인 경우에만, 상기 메인 블로어(4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50) 간 회전단수 편차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블로어(40)의 회전단수와 상기 풍량배분도어(3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메모리부(72)에 내장된 상기 메인 블로어(40)와 보조 블로어(50) 간 회전단수 편차별, 메인 블로어 보상값은,
    상기 메인 블로어(40)와 보조 블로어(50) 간 회전단수 편차가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상기 메인 블로어(40)의 회전단수를 점차 높이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메모리부(72)에 내장된 상기 메인 블로어(40)와 보조 블로어(50) 간 회전단수 편차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은,
    상기 메인 블로어(40)와 보조 블로어(50) 간 회전단수 편차가 커질수록, 상기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적은 곳은 점차 개도량을 증가시키고, 개도량이 많은 곳은 점차 개도량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풍량배분도어(30)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40127423A 2014-09-24 2014-09-24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71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23A KR102071620B1 (ko) 2014-09-24 2014-09-24 차량용 공조장치
DE102015116032.3A DE102015116032A1 (de) 2014-09-24 2015-09-23 Klimaanlagen-System für Motorfahrzeuge
US14/863,571 US9931904B2 (en) 2014-09-24 2015-09-24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N201510616552.XA CN105437911B (zh) 2014-09-24 2015-09-24 车辆用空调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23A KR102071620B1 (ko) 2014-09-24 2014-09-2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126A KR20160036126A (ko) 2016-04-04
KR102071620B1 true KR102071620B1 (ko) 2020-01-31

Family

ID=5579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423A KR102071620B1 (ko) 2014-09-24 2014-09-24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585B1 (ko) * 2017-04-25 2021-10-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10356190B (zh) * 2018-04-11 2022-12-20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辆用空调机的送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138A (ja) * 1995-09-25 1997-03-31 Mazda Motor Corp 車両の空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126A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4281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8744673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vehicle air conditioner
US10017029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US8011597B2 (en) Auto A/C solar compensation control
KR1020716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190009639A1 (en) Vehicular air-conditioner
KR1011746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US9931904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0716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7031237B2 (ja) 空調装置
KR10219642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717620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67544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67038B1 (ko)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20372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833628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方法、及び車両用空調装置
KR20160093766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5343390A (ja) 風量独立制御エアコンユニットの制御方法
JP2887416B2 (ja) 車両用左右独立型空調装置の偏日射補正装置
JP551199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67323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40518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70220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1719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449582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