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36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36B1
KR102071636B1 KR1020140127424A KR20140127424A KR102071636B1 KR 102071636 B1 KR102071636 B1 KR 102071636B1 KR 1020140127424 A KR1020140127424 A KR 1020140127424A KR 20140127424 A KR20140127424 A KR 20140127424A KR 102071636 B1 KR102071636 B1 KR 102071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temporal
opening position
ai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127A (ko
Inventor
김태완
공태윤
김인혁
서정훈
정재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36B1/ko
Priority to DE102015116032.3A priority patent/DE102015116032A1/de
Priority to US14/863,571 priority patent/US9931904B2/en
Priority to CN201510616552.XA priority patent/CN105437911B/zh
Publication of KR20160036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3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경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능동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정압차 변화와, 그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측통로와 우측통로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좌,우측통로의 냉,온기량을 조절하는 템프 도어 및, 좌,우측통로 사이에서 양자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좌,우측통로로 도입되는 풍량을 배분하는 풍량배분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화될 시에,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되는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좌,우측통로에 대한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하는 듀얼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경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능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정압차 변화와, 그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실내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하는 듀얼 타입 공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듀얼 타입 공조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분리판(12)을 설치하여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로 구획하고, 구획된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 각각에 템프 도어(Temp. Door)(20, 30)를 설치한 다음, 좌,우측 템프 도어(20, 30)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좌,우측통로(14, 16)의 냉,온기 흐름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흐름량이 조절된 좌측통로(14)의 냉,온기는 차실내의 좌측부분에 공급하고, 흐름량이 조절된 우측통로(16)의 냉,온기는 차실내의 우측부분에 공급한다. 따라서, 차실내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한다.
여기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들은, 내,외기온도와 일사량 등이 변화될 시에, 이에 맞춰 회전운동하면서 그 개도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내,외기온도와 일사량 변화에 맞춰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자동제어한다. 이로써, 내,외기온도와 일사량 변화에 관계없이 차실내로 도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춰 항상 일정하게 제어한다.
한편, 이러한 듀얼 타입 공조장치는,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풍량배분도어(40)를 더 갖추고 있다.
풍량배분도어(40)는, 좌측통로(14)의 입구(14a)와 우측통로(16)의 입구(16a)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로 도입되는 블로어(18)의 풍량을 배분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풍량배분도어(40)가 좌,우측통로(14, 16)의 개도량을 "특정 비율"로 제어한 상태에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변경될 경우, 히터코어(19)에 대한 공기의 흐름 경로가 변경되면서 좌,우측통로(14) 간의 "정압차"가 변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좌,우측통로(14, 16)로의 "풍량배분비율"이 변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예를 들면, 풍량배분도어(40)가 좌,우측통로(14, 16)의 개도량을 3 : 7의 비율로 제어하면, 좌,우측통로(14, 16)의 정압(靜壓)은, 서로 간의 개도량(단면적) 차이로 인해 "편차"가 발생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최대냉방위치(X)"에서 "최대난방위치(Y)"로 변경되면, 좌,우측통로(14, 16)의 공기는 공기저항체인 히터코어(19)를 통과하게 되고, 이러한 히터코어(19)로의 공기 통과로 인해, 좌,우측통로(14, 16)의 상류측 정압이 커지면서 변화될 수 밖에 없으며, 그 결과, 좌,우측통로(14, 16) 간의 "정압차"도 변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공기의 "정압"은, 통로의 단면적에 따라 각기 다르므로, 개도량(단면적)이 서로 다른 좌,우측통로(14, 16)는, 공기의 히터코어(19) 통과로 인한, 이전 대비 "정압변화율"도 서로 다를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서로 다른 "정압변화율" 때문에 좌,우측통로(14, 16)로 도입되는 블로어(18)의 "풍량배분비율"도 변화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공기의 히터코어(19) 통과로 인해, 개도량(단면적)이 적은 좌측통로(14)의 "정압변화율"이, 개도량(단면적)이 많은 우측통로(16)의 "정압변화율"에 비해 낮을 수 밖에 없는데, 이렇게 좌측통로(14)의 낮은 "정압변화율" 때문에 좌측통로(14)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이전에 비해 증가될 수 밖에 없으며, 그 결과, 좌,우측통로(14, 16)로 도입되는 블로어(18)의 "풍량배분비율"도 변화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좌,우측통로(14, 16)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제어값"대로 정확하게 제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풍량"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제어되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그 결과, 차실내의 쾌적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경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정압차 변화와, 그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제어값대로 제어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제어값대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풍량"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제어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좌측통로와 우측통로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좌,우측통로의 냉,온기량을 조절하는 템프 도어 및, 상기 좌,우측통로 사이에서 양자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상기 좌,우측통로로 도입되는 풍량을 배분하는 풍량배분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화될 시에, 상기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되는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상기 좌,우측통로에 대한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템프 도어는, 상기 좌측통로의 냉,온기량을 조절하는 좌측 템프 도어와, 상기 우측통로의 냉,온기량을 조절하는 우측 템프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화될 시에,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되는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상기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화될 시에, 변화된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와, 변화되기 이전의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를 연산 처리하여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한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따라 상기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들은, 내,외기온도와 일사량이 변화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회전운동하면서 그 개도위치가 자동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자동 제어되면서 변화될 시에,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에 내장된 상기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들은,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온풍통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과, 냉풍통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으로 각각 구분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온풍통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에는, 상기 좌,우측통로 중, 개도량이 적은 방향으로 상기 풍량배분도어가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부의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이 설정되고;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냉풍통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에는, 상기 좌,우측통로 중, 개도량이 많은 방향으로 상기 풍량배분도어가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부의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경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풍량배분도어의 개도위치를 능동적으로 보정하는 구조이므로,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정압차 변화와, 그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좌,우측통로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좌,우측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경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풍량"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듀얼 타입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듀얼 타입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분리판(12)을 설치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로 구획한다.
그리고 좌측통로(14)에는 좌측 템프 도어(20)를, 우측통로(16)에는 우측 템프 도어(30)를 각각 설치하고, 설치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좌,우측통로(16)의 냉,온기 흐름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여기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들은, 내,외기온도와 일사량 등이 변화될 시에, 이에 맞춰 회전운동하면서 그 개도위치가 자동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내,외기온도와 일사량 변화에 맞춰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자동제어한다. 이로써, 내,외기온도와 일사량 변화에 관계없이 차실내로 도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춰 항상 일정하게 제어한다.
그리고 듀얼 타입 공조장치는,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풍량배분도어(40)를 더 갖추고 있다.
풍량배분도어(40)는, 좌측통로(14)의 입구(14a)와 우측통로(16)의 입구(16a)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로 도입되는 블로어(18)의 풍량을 배분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를 감지하는 템프도어 개도위치 감지수단(50)을 구비한다.
템프도어 개도위치 감지수단(50)은, 좌,우측 템프 도어(20, 30) 각각에 설치되는 도어센서(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이러한 템프도어 개도위치 감지수단(50)은,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를 후술하는 제어부(60)에 실시간으로 입력시킨다.
여기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는, 좌,우측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각기 독립적으로 제어되더라도, "사용자 설정온도"에 의한 최초 개도위치만 독립적으로 제어될 뿐, 이후, 내,외기온도와 일사량 변화에 따른 개도위치 변화는 양자가 서로 동일하게 제어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제어부(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메모리부(62)와 판단부(64)와 산출부(66)를 포함한다.
메모리부(62)는,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이 내장되어 있다.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은,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변화되었을 시에,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화에 의한 좌,우측통로(14, 16)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풍량배분도어(40)의 제어값으로서,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에 따라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풍통로(7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한 것과, 냉풍통로(7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한 것이 서로 구분되게 내장됨은 물론이다.
판단부(64)는, 템프도어 개도위치 감지수단(50)으로부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실시간으로 입력되면, 입력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변화되는 지를 판단한다.
산출부(66)는, 일종의 연산프로그램으로서, 판단부(64)로부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변화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와, 변화되기 이전의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를 연산 처리하여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을 산출한다.
한편, 제어부(60)는, 산출부(66)에서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이 산출되면, 산출된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한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메모리부(62)에서 검출한다.
그리고 "풍량배분도어 보상값"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검출된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풍량배분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한다. 예를 들면, 풍량배분도어(40)의 개도위치를 "A"위치에서, "B"위치로 보정한다.
따라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14, 16)의 정압차 변화와, 그로 인한 좌,우측통로(14, 16)의 "풍량배분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14, 16)의 "풍량배분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그 결과,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좌,우측통로(14, 16)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경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풍량비"가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62)에 저장된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온풍통로(7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과, 냉풍통로(7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으로 각각 구분하여 설정된다(도 2참조).
이때,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온풍통로(7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에는,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적은 곳을 향해 풍량배분도어(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온풍통로(70)에 대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화각이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적은 곳을 향해 풍량배분도어(40)를 점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온풍통로(70)에 대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화각이 커질수록,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적은 곳의 개도량이 점차 더 저감되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온풍통로(7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에는,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적은 통로의 "정압변화율"이, 개도량이 많은 통로의 "정압변화율" 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정압변화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통로(개도량이 적은)측으로 더 많은 량의 풍량배분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풍량배분도어(40)를 개도량이 적은 통로측 방향으로 제어하여, 통로의 개도량을 더 줄여줌으로써, 개도량이 적은 통로측 방향으로의 "과다 풍량배분현상"을 보상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냉풍통로(7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에는,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많은 곳을 향해 풍량배분도어(40)를 제어하도록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냉풍통로(72)에 대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화각이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많은 곳을 향해 풍량배분도어(40)를 점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풍통로(70)에 대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화각이 커질수록,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많은 곳의 개도량이 점차 더 저감되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냉풍통로(7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에는,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적은 통로의 "정압변화율"이, 개도량이 많은 통로의 "정압변화율" 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정압변화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통로(개도량이 적은)측으로의 풍량배분이 급속하게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풍량배분도어(40)를 개도량이 많은 통로측 방향으로 제어하여, 개도량이 적은 통로의 개도량을 더 증가시킴으로써, 개도량이 적은 통로측 방향으로의 "풍량배분 부족현상"을 보상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변화되는 지를 판단한다(S103).
판단 결과,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는,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화에 따라 좌,우측통로(14, 16)의 풍량배분비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제어부(60)는, 변화된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와, 변화되기 이전의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를 연산 처리하여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을 산출한다(S105).
그리고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의 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산출된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되는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메모리부(62)에서 검출한다(S107).
그리고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검출된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풍량배분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한다(S109). 예를 들어, 풍량배분도어(40)의 개도위치를 "A"위치에서, "B"위치로 보정한다.
그러면,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경으로 인한 좌,우측통로(14, 16)의 "풍량배분비 변화"가 보상된다(S111).
이로써,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좌,우측통로(14, 16)의 "풍량배분비"가 원래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경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좌,우측부분으로 공급되는 "냉,온기 풍량비"가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이 개선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좌,우측통로(14,16) 각각에 좌,우측 템프 도어(20, 30)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는 구조를 일례로하여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좌,우측통로(14,16)에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 일체형 "템프 도어"가 설치되는 구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일체형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경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풍량배분도어(40)의 개도위치를 능동적으로 보정하도록 구성된다.
10: 공조케이스(Case) 12: 분리판
14: 좌측통로 16: 우측통로
18: 블로어(Blower) 19: 히터 코어(Heater Core)
20: 좌측 템프 도어(Temp. Door) 30: 우측 템프 도어(Temp. Door)
40: 풍량배분도어(Door) 50: 템프도어 개도위치 감지수단
60: 제어부 62: 메모리부
64: 판단부 66: 산출부
70: 온풍통로 72: 냉풍통로

Claims (6)

  1. 삭제
  2.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좌,우측통로(14,16)의 냉,온기량을 조절하는 템프 도어 및, 상기 좌,우측통로(14, 16) 사이에서 양자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상기 좌,우측통로(14, 16)로 도입되는 풍량을 배분하는 풍량배분도어(4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부(62)와;
    상기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화될 시에, 상기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되는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상기 좌,우측통로(14, 16)에 대한 풍량배분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고;
    상기 템프 도어는,
    상기 좌측통로(14)의 냉,온기량을 조절하는 좌측 템프 도어(20)와, 상기 우측통로(16)의 냉,온기량을 조절하는 우측 템프 도어(3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변화될 시에,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되는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상기 메모리부(62)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상기 풍량배분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변화될 시에, 변화된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와, 변화되기 이전의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를 연산 처리하여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을 산출하는 산출부(66)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부(66)에서 산출된 상기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한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상기 메모리부(62)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따라 상기 풍량배분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들은,
    내,외기온도와 일사량이 변화될 시에, 이에 대응하여 회전운동하면서 그 개도위치가 자동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자동 제어되면서 변화될 시에,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풍량배분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좌측통로(14)와 우측통로(16)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좌,우측통로(14,16)의 냉,온기량을 조절하는 템프 도어 및, 상기 좌,우측통로(14, 16) 사이에서 양자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상기 좌,우측통로(14, 16)로 도입되는 풍량을 배분하는 풍량배분도어(4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들을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부(62)와;
    상기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가 변화될 시에, 상기 템프 도어의 개도위치 변화각에 대응되는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에 의거하여 상기 좌,우측통로(14, 16)에 대한 풍량배분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62)에 내장된 상기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들은,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온풍통로(7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과, 냉풍통로(7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으로 각각 구분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온풍통로(7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에는,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화각이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상기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적은 곳을 향해 상기 풍량배분도어(40)가 점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부(62)의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이 설정되고;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가 냉풍통로(7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때의 조건에는, 상기 좌,우측 템프 도어(20, 30)의 개도위치 변화각이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상기 좌,우측통로(14, 16) 중, 개도량이 많은 곳을 향해 상기 풍량배분도어(40)가 점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부(62)의 템프 도어 개도위치 변화각별 풍량배분도어 보상값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40127424A 2014-09-24 2014-09-24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71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24A KR102071636B1 (ko) 2014-09-24 2014-09-24 차량용 공조장치
DE102015116032.3A DE102015116032A1 (de) 2014-09-24 2015-09-23 Klimaanlagen-System für Motorfahrzeuge
US14/863,571 US9931904B2 (en) 2014-09-24 2015-09-24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N201510616552.XA CN105437911B (zh) 2014-09-24 2015-09-24 车辆用空调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24A KR102071636B1 (ko) 2014-09-24 2014-09-2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127A KR20160036127A (ko) 2016-04-04
KR102071636B1 true KR102071636B1 (ko) 2020-01-31

Family

ID=5579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424A KR102071636B1 (ko) 2014-09-24 2014-09-24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1829S1 (en) * 2018-12-21 2021-09-28 Sony Corporation Speaker box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5649A (ja) * 1998-03-05 1999-09-14 Sanden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127A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4673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vehicle air conditioner
US10286749B2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10286748B2 (en) Un-partitioned HVAC module control for multi-zone and high performance operation
KR1020716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716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9931904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35876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7507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차량의 공조장치
JP200717620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748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93766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924901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551199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372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72458A (ko)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77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120463A (ko) 차량용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배출 풍량비 보정 장치 및 보정 방법
JP2005335473A (ja) 風量独立制御エアコンユニットの制御方法
KR20160098647A (ko) 차량용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풍량 보정 방법
US9776471B2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emperature-conditioned air
KR10162773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59516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2003731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9146361A (ja) サーボ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KR20160141147A (ko) 차량용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덕트별 토출온도 균일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