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426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426B1
KR102196426B1 KR1020150033871A KR20150033871A KR102196426B1 KR 102196426 B1 KR102196426 B1 KR 102196426B1 KR 1020150033871 A KR1020150033871 A KR 1020150033871A KR 20150033871 A KR20150033871 A KR 20150033871A KR 102196426 B1 KR102196426 B1 KR 102196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olume
rear seat
blower
sea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731A (ko
Inventor
김태완
김태은
최의현
공태윤
김인혁
서정훈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42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는 쓰리 존 타입(3 Zone Type)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인 블로어의 송풍량 과다로 인한 후석부분의 풍량단수 제어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에 공기를 송풍하는 메인 블로어와,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과 풍압을 추가적으로 높이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 및,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후석풍량조절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메인 블로어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풍량단수 보다 미리 설정된 설정풍량단수 이상 높은 조건일 시에, 에너지 절감모드로 진입하면서 후석용 보조 블로어를 오프(OFF)시켜 메인 블로어의 풍량만으로 후석부분을 냉,난방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할 수 있는 쓰리 존 타입(3 Zone Type)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인 블로어의 송풍량 과다로 인한 후석부분의 풍량단수 제어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실내의 복수 공조영역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하는 공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차실내의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하는 쓰리 존 타입(3 Zone Type) 공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운전석측통로(12)와 조수석측통로(14)와 후석측통로(16)를 형성한 다음, 형성된 운전석측통로(12)와 조수석측통로(14)와 후석측통로(16)를 통해 차실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한다.
한편, 이러한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는, 후석측통로(16) 상에 설치되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20)를 더 갖추고 있다.
후석용 보조 블로어(2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석측통로(16)를 따라 송풍되는 냉,온풍의 풍량과 풍압을 추가적으로 높인다. 따라서,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냉,온풍의 풍량과 풍압을 높인다. 이로써, 후석부분의 냉,난방 성능을 높인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에 비해 높을 경우, 예를 들면,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8단이고,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가 1단일 경우,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메인 블로어(30)의 풍량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후석용 보조 블로어(20)가 불필요하게 작동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량의 연비가 저하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에 비해 높을 경우, 메인 블로어(30)로부터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이 과도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후석부분의 "풍량단수"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후석부분의 "풍량단수" 제어가 어려우므로, 후석부분의 "풍량단수"가 "목표풍량단수"로 제어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후석부분의 쾌적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후석측통로(16)에 후석풍량조절도어(40)를 설치한 다음, 이를 제어하여 후석부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을 제어하기도 한다.
그러나, 후석풍량조절도어(40)는, 후석부분의 "목표풍량단수"를 기준으로 제어될 뿐,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를 고려하여 제어되는 구조는 아니므로, 메인 블로어(3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이 과도할 시에, 이에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후석부분의 "풍량단수"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메인 블로어로부터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이 충분한 조건에서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작동없이 메인 블로어의 풍량만으로도 후석부분을 냉,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메인 블로어의 풍량이 충분한 조건일 시에 메인 블로어의 풍량만으로 후석부분을 냉,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작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작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비 저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메인 블로어의 풍량이 과도할 시에, 이에 대응하여 후석풍량조절도어를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메인 블로어의 풍량이 과도하더라도, 이에 영향받지 않고 후석부분의 "풍량단수"를 "목표풍량단수"로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 블로어의 풍량이 과도하더라도, 이에 영향받지 않고 후석부분의 "풍량단수"를 "목표풍량단수"로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 블로어의 과도한 공기송풍으로 인한 후석부분의 "풍량단수" 제어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석부분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에 공기를 송풍하는 메인 블로어와,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과 풍압을 추가적으로 높이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 및,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후석풍량조절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로어의 풍량단수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풍량단수 보다 미리 설정된 설정풍량단수 이상 높은 조건일 시에, 에너지 절감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를 오프(OFF)시켜 상기 메인 블로어의 풍량만으로 상기 후석부분을 냉,난방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블로어의 풍량단수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풍량단수보다 설정풍량단수 이상 높은 조건일 시에 대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저장하고 있되,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상기 메인 블로어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풍량단수들 간의 편차별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 절감모드로 진입할 시에, 상기 메인 블로어의 풍량단수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풍량단수들 간의 편차에 대응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상기 메인 블로어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풍량단수들 간의 편차별로 저장하고 있되, 상기 메인 블로어의 풍량단수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풍량단수 조건 별로 각각 다르게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 절감모드로 진입할 시에, 상기 메인 블로어의 풍량단수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풍량단수 조건의 해당 편차에 대응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후, 상기 메인 블로어의 풍량단수와,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전의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원래 풍량단수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편차가 설정풍량단수 미만으로 저하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블로어의 풍량단수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원래 풍량단수 보다 저하될 시에, 상기 에너지 절감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를 온(ON)시키고,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를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내장된 상기 설정풍량단수는, 4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메인 블로어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풍량단수"보다 높은 조건일 시에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를 오프(OFF)시키고 메인 블로어의 풍량만으로 후석부분을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작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작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비 저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 블로어에서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이 과도할 시에, 후석풍량조절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하여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보정하는 구조이므로, 메인 블로어의 풍량과다에 구애받지 않고, 후석부분의 "풍량단수"를 "목표풍량단수"에 맞춰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석부분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로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운전석측통로(12)와 조수석측통로(14)와 후석측통로(16)를 형성한 다음, 형성된 운전석측통로(12)와 조수석측통로(14)와 후석측통로(16)를 통해 차실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한다.
그리고 쓰리 존 타입 공조장치는, 후석측통로(16) 상에 설치되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와 후석풍량조절도어(40)를 구비한다.
후석용 보조 블로어(20)는, 후석측통로(16)를 따라 송풍되는 냉,온풍의 풍량과 풍압을 추가적으로 높인다. 따라서,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냉,온풍의 풍량과 풍압을 높인다. 이로써, 후석부분의 냉,난방 성능을 높인다.
후석풍량조절도어(40)는, 후석측통로(16)상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후석측통로(16)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차실내의 후석부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50)를 구비한다.
제어부(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비교부(52)와 메모리부(54)를 구비한다.
비교부(52)는,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를 서로 비교하여,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 보다 높은 조건인지를 비교한다.
특히,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보다 미리 설정된 "풍량단수"(이하, "설정풍량단수"라 칭함) 이상만큼 높은 조건인지를 비교한다.
예를 들면,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 보다 "4단" 이상 높은 조건인지를 비교한다.
메모리부(54)는,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보다 "설정풍량단수" 이상 높은 조건일 시에, 이에 대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다양하게 저장하고 있다.
특히,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보다 "설정풍량단수(4단)" 이상 높은 조건일 시에, 이에 대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이, 메인 블로어(3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들 간의 편차별로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블로어(30)가 "8단"(최고단수)일 경우, 메인 블로어(30)의 "8단"에 대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4단", "3단", "2단", "1단" 조건별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이 각각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블로어(30)가 "7단"일 경우, 메인 블로어(30)의 "7단"에 대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3단", "2단", "1단" 조건별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이 각각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블로어(30)가 "6단"일 경우, 메인 블로어(30)의 "6단"에 대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2단", "1단"조건별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이 각각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블로어(30)가 "5단"일 경우, 메인 블로어(30)의 "5단"에 대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1단"의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이 저장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메모리부(54)는,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보다 설정풍량단수 이상 높은 조건일 시에 대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저장하고 있되,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상기 메인 블로어(3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들 간의 편차별로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메인 블로어(3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들 간의 편차별로 저장하고 있되, 상기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 조건별로 각각 다르게 저장하고 있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50)는, 비교부(52)에서의 비교 결과,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보다 "설정풍량단수" 이상 높은 조건인 것으로 확인되면, 예를 들어,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 보다 "4단" 이상 높은 조건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50)는, 현재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보다 월등히 높으므로,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만으로도 후석부분을 충분히 냉,난방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이 들면, 제어부(50)는, "에너지 절감모드"로 진입하고, "에너지 절감모드"로 진입한 제어부(50)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20)를 오프(OFF)시킨다.
따라서,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 없이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만으로도 후석부분을 냉,난방한다. 이로써,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작동을 최소화시키고서도 후석부분을 냉,난방할 수 있다. 그 결과, 에너지 소모는 최소화시키고, 후석부분의 쾌적성은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비 저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0)는,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시에,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들 간의 편차에 대응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메모리부(54)에서 검출한다.
예를 들면, 메인 블로어(30)가 "8단"이고, 후석용 보조 블로어(20)가 "4단"일 시에, 메인 블로어(30) "8단"과, 후석용 보조 블로어(20) "4단" 간의 온도편차 "4단"에 대응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메모리부(54)에서 검출한다.
또는, 메인 블로어(30)가 "8단"이고, 후석용 보조 블로어(20)가 "3단"일 시에, 메인 블로어(30) "8단"과 후석용 보조 블로어(20) "3단" 간의 온도편차 "5단"에 대응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메모리부(54)에서 검출한다.
또한, 메인 블로어(30)가 "7단"이고, 후석용 보조 블로어(20)가 "3단"일 시에, 메인 블로어(30) "7단"과 후석용 보조 블로어(20) "3단" 간의 온도편차 "4단"에 대응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메모리부(54)에서 검출한다.
그리고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50)는, 검출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에 의거하여 후석풍량조절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한다. 특히, 후석측통로(16)에 대한 후석풍량조절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여,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재조정한다.
따라서,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시에,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오프(OFF) 상태와, 메인 블로어(30)의 과도한 송풍량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량이,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오프(OFF) 상태와, 메인 블로어(30)의 과도한 송풍량에 구애받지 않고, "목표풍량단수"로 원활하게 제어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후석부분의 쾌적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어부(50)는,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후,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와,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전의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원래 풍량단수"를 계속해서 비교한다.
이때,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원래 풍량단수" 간의 편차가 "설정풍량단수" 미만으로 저하되거나, 또는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원래 풍량단수" 보다 저하될 경우, "에너지 절감모드"로부터 해제된다.
그리고 "에너지 절감모드"에서 해제된 제어부(50)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20)를 다시 온(ON)시키고, 후석풍량조절도어(40)의 개도위치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원래의 모드 상태로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쓰리 존 공조모드" 상태에서(S101),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 보다 "설정풍량단수" 이상만큼 높은 조건인지를 판단한다(S103).
예를 들면,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 보다 "4단" 이상 높은 조건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 보다 "4단" 이상 높은 조건이면, 제어부(50)는, 현재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보다 월등히 높으므로,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만으로도 후석부분을 충분히 냉,난방할 수 있다고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따라 제어부(50)는, "에너지 절감모드"로 진입하고(S105), "에너지 절감모드"로 진입한 제어부(50)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20)를 오프(OFF)시킨다(S107).
그러면,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 없이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만으로도 후석부분이 냉,난방된다.
한편,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단계(S105)에서, 제어부(50)는,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들 간의 편차에 대응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메모리부(54)에서 검출한다.
그리고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50)는, 검출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에 의거하여 후석풍량조절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한다(S107).
그러면,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이 재조정된다. 따라서,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시에,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오프(OFF) 상태와, 메인 블로어(30)의 과도한 송풍량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량이,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오프(OFF) 상태와, 메인 블로어(30)의 과도한 송풍량에 구애받지 않고, "목표풍량단수"로 정확하게 제어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보다 높은 조건일 시에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20)를 오프(OFF)시키고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만으로 후석부분을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후석용 보조 블로어의 작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작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비 저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블로어(30)에서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이 과도할 시에, 후석풍량조절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여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보정하는 구조이므로, 메인 블로어(30)의 풍량과다에 구애받지 않고, 후석부분의 "풍량단수"를 "목표풍량단수"에 맞춰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석부분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케이스(Case) 12: 운전석측통로
14: 조수석측통로 16: 후석측통로
20: 후석용 보조 블로어(Blower) 30: 메인 블로어(Main Blower)
40: 후석풍량조절도어 50: 제어부
52: 비교부 54: 메모리부

Claims (5)

  1.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에 공기를 송풍하는 메인 블로어(30)와,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과 풍압을 추가적으로 높이는 후석용 보조 블로어(20) 및,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후석풍량조절도어(4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 보다 미리 설정된 설정풍량단수 이상 높은 조건일 시에, 에너지 절감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20)를 오프(OFF)시켜 상기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만으로 상기 후석부분을 냉,난방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고,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시에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여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보다 설정풍량단수 이상 높은 조건일 시에 대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저장하고 있되,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상기 메인 블로어(3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들 간의 편차별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에너지 절감모드로 진입할 시에, 상기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들 간의 편차에 대응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상기 메모리부(54)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며,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40)의 개도위치를 후석부분측 송풍 공기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54)는,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상기 메인 블로어(30)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들 간의 편차별로 저장하고 있되, 상기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와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 조건 별로 각각 다르게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에너지 절감모드로 진입할 시에, 상기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 조건의 해당 편차에 대응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을 상기 메모리부(54)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후석풍량조절도어 보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40)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후, 상기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와,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전의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편차가 설정풍량단수 미만으로 저하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블로어(30)의 풍량단수가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20)의 풍량단수 보다 저하될 시에,
    상기 에너지 절감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후석용 보조 블로어(20)를 온(ON)시키고, 상기 후석풍량조절도어(40)를 상기 에너지 절감모드 진입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에 내장된 상기 설정풍량단수는, 4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50033871A 2015-03-11 2015-03-11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96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71A KR102196426B1 (ko) 2015-03-11 2015-03-11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71A KR102196426B1 (ko) 2015-03-11 2015-03-11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731A KR20160110731A (ko) 2016-09-22
KR102196426B1 true KR102196426B1 (ko) 2020-12-31

Family

ID=5710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871A KR102196426B1 (ko) 2015-03-11 2015-03-11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2448B (zh) * 2020-09-09 2022-06-07 芜湖豫新世通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的混风结构
WO2024063385A1 (ko) * 2022-09-22 2024-03-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038A (ja) 1999-03-12 2000-09-2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9166828A (ja) * 2007-12-18 2009-07-30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501B1 (ko) * 2013-08-19 2016-11-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038A (ja) 1999-03-12 2000-09-2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9166828A (ja) * 2007-12-18 2009-07-30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731A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7029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US8744673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vehicle air conditioner
US1013120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hybrid vehicles
US10421333B2 (en) System of air-conditioning seat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785304B (zh) 车辆用空调方法及车辆用空调装置
KR10219642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210819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6082641A (ja) 車両の温度制御装置
KR10243743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716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748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605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7507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차량의 공조장치
KR101767038B1 (ko)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17663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716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800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8598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230182533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101469755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150130624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39036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296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180022183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KR20230049848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