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089B1 - 단부 패널, 그리고 단부 패널로 이중 이음매에 의해 규정된 용기 본체 또는 용기 - Google Patents

단부 패널, 그리고 단부 패널로 이중 이음매에 의해 규정된 용기 본체 또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089B1
KR102071089B1 KR1020147027522A KR20147027522A KR102071089B1 KR 102071089 B1 KR102071089 B1 KR 102071089B1 KR 1020147027522 A KR1020147027522 A KR 1020147027522A KR 20147027522 A KR20147027522 A KR 20147027522A KR 102071089 B1 KR102071089 B1 KR 102071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notch
container body
end panel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821A (ko
Inventor
미스터 진-마르크 니콜라스 레그레시
Original Assignee
아르다 엠피 그룹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다 엠피 그룹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아르다 엠피 그룹 네덜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4013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formed by rolling, or by rolling and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30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5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boxes, cigarette ca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이중 이음매에 의해 이음매 되어진 단부 패널(1)에 R관한 것으로, 이중 이음매는 용기 본체와 본체 후크에 의해 제한된 단부 후크를 포함하고, 단부 패널의 패널 가장자리는 단부 후크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치(2)가 제공되어 있고, 패널 가장자리는 제1 가장자리 부분이 제1 반경을 가지고 제2 가장자리 부분이 제2 반경을 가지거나 또는 직선 가장자리로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노치는 약 10 내지 50의 깊이 대 폭 비를 가지고, 그리고 용기 본체(18)와 그런 단부 패널이 제공된 용기에 대해 두 개의 인접하는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단부 패널, 그리고 단부 패널로 이중 이음매에 의해 규정된 용기 본체 또는 용기{END PANEL, AND A CONTAINER BODY OR CONTAINER PROVIDED BY A DOUBLE SEAMED WITH SUCH END PANEL}
본 발명은 단부 패널, 그리고 단부 패널로 이중 이음매(a double seam)에 의해 규정된 용기 본체 또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입의 용기들은 이중 이음매를 통하여 용기에 연결된 단부 패널을 포함한다. 이중 이음매는 본체 가장자리(a body edge)에 대하여 패널 가장자리(a panel edge)를 첫째로 놓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첫째 작업에서, 패널 가장자리는 본체 가장자리 위에서 방사상으로 밖으로 향하여 감겨진다. 그 후, 패널 가장자리는 그것에 의해 본체 가까이 또는 용기 본체에서 단부 후크를 형성할 때까지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어진다. 본체 가장자리는 그것에 의해 단부 가장자리, 컬부(a curl) 및 단부 패널의 인접 부분(an adjacent part)에 의해 형성된 패널 루프(a panel loop)로 제한도거나 또는 접혀지게 된다. 두 번째 작업에서, 패널 루프는 용기 본체로 밀려지고, 그것에 의해 패널 가장자리는 본체 가장자리와 용기 본체 사이에 제한되어진다. 형성된 이중 이음매에서, 패널 가장자리는 단부 후크를 형성하고, 본체 가장자리는 이중 이음매의 본체 후크를 형성한다.
패널 가장자리의 방사상 안쪽 이동 동안에 또한 본체 가장자리의 어느 정도까지 그것의 곡선 부분에서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직경에서 이런 감소는 가장자리의 금속 재료에서 접선 방향, 즉 패널 가장자리와 본체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르는 방향에서 압축 응력을 생성한다. 압축 응력은 국부적으로 금속에 결함을 생성하고, 그리고 결국 주름 또는 구김을 일으키게 된다.
이런 현상은 더 얇은 금속 단부 패널과 용기 본체를 사용할 때 좀 더 분명하게 된다. 구김 현상에 대한 가능한 해법은 단부 후크, 그리고 때때로 또한 본체 후크가 감소된 길이를 가지고, 따라서 이음매에 더 작은 거리 위의 정도까지 이중 이음매의 형성이다. 더 짧은 단부 후크를 구비하는 그런 이중 이음매와 아마 또한 더 짧은 본체 후크는, 특히 폐쇄된 용기의 내용물이 (일시적으로) 압력을 받을 때, 누설에 대한 더 높은 위험성을 가진다. 이런 내부 압력은 용기 본체와 단부 패널 위에 내부 분할하는 힘(an internal splitting force)을 생성하고, 결국 이중 이음매를 펼칠 수 있다.
구김은 패널 가장자리가 강제적으로 본체 가장자리를 더픈 패널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중 이음매에 관하여 고유한 문제이다. 구김 문제가 더 얇은 단부 패널과 용기 본체에 더 분명해지기 때문에, 이중 이음매를 압축(compressing) 또는 핀칭(pinching)하거나 실링 화합물(a sealing compound)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비용이 증가하는 추가적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더 얇은 단부 패널과 용기 본체를 가지고 신뢰성 있는 이중 이음매를 만드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미국특허 US 2,455,737은 사각형 클로저(a rectangular closure)로 형성된 사각형 용기를 개시하였다. 이 클로저는 패널 가장자리를 통하여 용기 본체에 이중 이음매되어 있다. 패널 가장자리는 날카로운 V-형상 노치(sharp V-shaped notches)들을 가진 패널 가장자리의 곡선 부분에 제공되어 있다. 노치들은 상당히 깊어서 노치가 패널 벽의 컬부와 단부 후크 사이에서 일시적인 벽(the transition wall)에 또한 존재한다. 날카로운 V-형상 노치들은 형성된 이중 이음매에서, 노치의 가장자리는 밀접한 접촉을 가져오게 되고, 노치는 폐쇄되어 연속 벽이 형성되는 그런 치수로 되어 있다. 이런 구성은 누설을 피하기 위하여 고려되어진 것이다.
그러나 노치가 충분히 닫히도록 폐쇄(the closing)가 제어될 수 없기 때문에 누설에 대한 위험성은 남아 있다. 게다가, 노치를 과폐쇄(over-closing)할 때 가장자리들은 더 이상 인접하지 않지만, 그러나 겹침(overlap)은 원주방향 응력(a circumferential stress)과 이중 이음매의 성형성(formation) 및 기밀성(tightness)과 간섭하는 불규칙한 "주름 잡힘(puckering)" 변형을 낳게 된다. 이는 다른 반경 및/또는 직선 가장자리(straight edges)를 가지고, 압축응력 및/또는 인장응력이 원주 위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노치가 비원형 단부 패널(a non-circular end panel)에 형성될 때 훨씬 더 틀림없는 사실이다.
게다가, V-형상 노치는 날카로운 바닥 단부(a sharp bottom end)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날카로운 V-형상은 가장자리가 이중 이음매의 패널 벽과 일시적인 벽 사이에 컬부의 형성 동안 방사상으로 바깥쪽과 안쪽으로 곡선이 이루어질 때 응력 때문에 균열 발생(crack initiation)을 일으키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문제들에 대한 해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그것이 목적을 가지고, 특히 비원형 용기 본체와 용기들의 단부 패널을 위한 더 얇은 재료를 사용하는 동안에 신뢰성 있는 이중 이음매를 만드는 것이 실현가능하게 만든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패널을 가진 본 발명으로 달성되어지고, 단부 후크를 포함하는 이중 이음매가 용기 본체와 본체 후크에 의해 제한되는 용기 본체에 이중 이음매에 의해 이어지게 되고, 단부 패널의 패널 가장자리는 후크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치가 제공되고, 상기 패널 가장자리가 제1 가장자리 부분이 제1 변경을 가지고, 제2 가장자리 부분은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가장자리 부분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직선 가장자리로 있고, 그리고 노치가 약 10에서 150의 깊이 대 폭 비(a width to depth ratio)를 가지고, 그리고 양쪽의 인접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은 노치가 단부 후크를 형성하려는 패널 가장자리의 부분에 단지 제공될 때 금속 패널 가장자리의 안쪽 이동 동안에 압축 응력이 더 적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생성되지 않을 때 구김이 회피될 수 있다는 통찰력에 기초를 두고 있다. 따라서 노치는 패널 가장자리의 바깥 부분에 제공되고, 그러나 국지적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깊이 대 폭의 비(a particular width to depth ratio)를 가져하며, 그리고 이중 이음매를 만드는 동안에 노치를 완전한 폐쇄 및/또는 노치가 패널 가장자리의 폭 부분 위로 연장할 필요도 없으나, 그러나 아직도 누설과 구김은 피해야 한다. 이 노치는 사이즈를 줄이고 생성된 압축 응력을 충분한 정도까지 그것에 측면으로 상쇄시키도록 압축되어지는 갭(a gap)을 형성한다. 효과적으로 노치는 방사상으로 안쪽 이동 동안에 형성될 때 재료의 과잉에 대한 여분의 공간을 제공한다. 압축 응력의 감소는 또한 구김의 덜하거나 또는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결과가 된다. 그래서 상기 발명은 이중 이음매의 형상과 높이를 변경하는 것 없이, 더 낮은 치수(lower gauges)의 재료, 즉 더 얇은 재료를 사용하여 이중 이음매를 만드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분명히, 노치의 크기와 수는 실질적으로 압축 응력의 발생이 특별한 용기에 회피되어지게 선택되어질 것이다.
발명은 압축된 노치를 포함하는 이중 이음매되는 용기에 반영되어질 뿐만 아니라 패널 단부와 가장자리는 이중 이음매를 만드는 작업 동안에 압축되어지게 될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제공되는 용기 본체에 또한 반영되어진다. 따라서 발명의 양 측면이 본 발명의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이 이후에 첫째로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중 이음매를 만드는 동안에 압축 응력 및/또는 크랙 형성 인장 응역이 이중 이음매에서 본체 후크를 형성하는 본체 가장자리에서 또한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용기는 본체 후크에 적어도 하나의 둘레 방향 노치가 제공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압축 응력은 실질적으로 이중 이음매의 부분에서 단지 생성되고, 안쪽 이동이 직경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되고, 그래서 재료의 과잉부에서 그런 부분이 굽은 부분이다. 따라서 노치는 두 개의 다른 반경 또는 반경과 직선 사이 천이부(遷移部)(the transition)에 나타난다. 분명히, 하나 이상의 노치는 첫 번째 노치에 인접부(1-5mm 내에서와 같이)에 나타난다.
직경 감소와 과잉 재료의 생성이 일어나기 때문에 압축 응력의 상쇄(the neutralization of the compression stresses)는 다른 반경을 가진 인접하는 가장자리 부분 사이 또는 굽은 가장자리 부분과 직선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천이부에서 보상되어지는 것이 유익하다. 연구는 충분한 보상은 이중 이음매를 만드는 것 때문에 형성된 추가적인 재료의 범위에서 차이가 있는 천이부에 노치가 나타날 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바람직하게, 높이 대 폭의 비는 약 20에서 100이고,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에서 80이다. 그러나 상기 비는 형성된 이중 이음매의 높이에 또한 종속하고, 그래서 단부 후크의 높이에 종속한다. 그래서 노치의 높이는 제한되어지고 약 0.1에서 0.8mm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변화하며, 그리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mm와 0.4mm 사이에서 변화한다. 폭은 형성된 추가적인 재료를 보상하도록, 일반적으로 약 2에서 200mm, 사실상 약 5에서 15mm와 같이 선택되어진다. 비교적 깊은 노치(약 0.3에서 0.6mm와 같은)가 좁은 노치와 조합으로 나타날 때, 그 때 비는 10에서 80이고, 30에서 80과 같은 범위가 된다.
발명은 제1 반경과 제2 반경의 비는 약 0.05에서 0.5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1에서 0.5의 범위,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0.1에서 0.3의 범위에 있는 단부 패널에 최적의 결과를 제공한다. 그래서 비교적 다르게 굽은 단부 패널과 대응하는 용기 본체가 사용되어진다. 예로서 단부 패널은 타원형 형상(an oval shape)을 가진다. 타원형 형상은 다른 반경을 가진 두 형상 사이에서 천이부가 모든 코너에 대해 같은 형상으로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결과를 위해, 노치는 제1 (또는 더 작은) 반경과 제2 반경 사이의 각 천이부에 형성되어진다.
발명은 배 형상(a pear shape)을 가진 단부 패널과 같이, 직선 형태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지고 덜 규칙적인 형상(a less regular shape)을 가진 단부 패널과 용기를 위해 또한 사용되어진다. 배 형상 용기와 단부 패널은 반경을 가진 굽은 부분과 직선 부분(반경 무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천이부를 가진다. 따라서 단부 패널은 제1 반경과 제2 반경 사이에 천이부와 직선 라인을 가진 천이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노치는 천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의 형태는 압축 응력과 생성된 변형(strains)이 압축된 노치를 형성하는 그것에 의해 노치의 측면 압축의 결과가 되는 것이어야 한다. 그래서 노치의 형태는 노치가 형성되는 가장자리의 두께, 굽은 부분에서 또는 굽은 부분 가까운 그것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한 기능을 허용하는 어떤 형태도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진다. 아직은 특별한 형태가 특정한 환경 아래에서 바람직하다. 노치는 노치 갭과 가장자리 사이에서 날카로운 또는 각 천이부를 가진 가장자리 노치(an edged notch)이다. 노치는 매끄럽고 평평한 이중 이음매 형성(a smooth and even double seam formation)을 위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둥근 노치(a rounded notch)이다. 압축 응력이 노치의 양 측면에서 생성되어질 때, 그 때 대칭 노치(a symmetrical notc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환경 아래에서, 노치는 또한 그것의 측면들 양쪽에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는 비대칭이다. 바람직하게, 노치는 굽은 형상(a curved shape)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단부 패널의 패널 가장자리는 단부 후크를 형성하고, 그리고 단부 패널은 본 방명에 따른 단부 패널로 있는, 이중 이음매가 용기 본체와 본체 후크에 의해 제한된 단부 후크를 포함하는 이중 이음매를 통하여 단부 패널에 연결된 용기 본체에 관한 것이다. 용기 본체는 단면에서 타원형 형상 또는 배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용기 본체와 단부 패널을 포함하는 용기를 생산하고, 단부 벽이 용기 본체와 본체 후크에 의해 제한된 단부 후크를 포함하는 이중 이음매를 통하여 용기 본체에 이음매 되어져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i)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ii) 발명에 따른 단부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iii) 패널 가장자리의 적어도 방사상 안쪽 이동 동안에 노치가 압축 응력 때문에 둘레 방향으로 압축되어지게 용기 본체에 패널 단부를 이중 이음매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고,
패널 가장자리가 용기 본체 위해 접혀진 후, 단부 패널의 패널 가장자리가 후크를 형성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제공되고, 패널 가장자리는 제1 가장자리 부분이 제1 반경을 가지고 제1 가장자리 단부는 제2 반경을 가지거나 또는 직선 가장자리로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노치가 약 10에서 150의 깊이 대 폭의 비를 가지고, 그리고 양쪽 인접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언급된 다른 특징들은 이들 실시 예로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하는 것 없이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 예들에 대한 아래의 설명에서 더 기재되고, 논의 되고 예시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노치가 단부 후크를 형성하려는 패널 가장자리의 부분에 단지 제공될 때 금속 패널 가장자리의 안쪽 이동 동안에 압축 응력이 더 적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생성되지 않을 때 구김이 회피될 수 있다는 통찰력에 기초를 두고 있다. 따라서 노치는 패널 가장자리의 바깥 부분에 제공되고, 그러나 국지적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깊이 대 폭의 비(a particular width to depth ratio)를 가져하며, 그리고 이중 이음매를 만드는 동안에 노치를 완전한 폐쇄 및/또는 노치가 패널 가장자리의 폭 부분 위로 연장할 필요도 없으나, 그러나 아직도 누설과 구김은 피해야 한다. 이 노치는 사이즈를 줄이고 생성된 압축 응력을 충분한 정도까지 그것에 측면으로 상쇄시키도록 압축되어지는 갭(a gap)을 형성한다. 효과적으로 노치는 방사상으로 안쪽 이동 동안에 형성될 때 재료의 과잉에 대한 여분의 공간을 제공한다. 압축 응력의 감소는 또한 구김의 덜하거나 또는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결과가 된다. 그래서 상기 발명은 이중 이음매의 형상과 높이를 변경하는 것 없이, 더 낮은 치수(lower gauges)의 재료, 즉 더 얇은 재료를 사용하여 이중 이음매를 만드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분명히, 노치의 크기와 수는 실질적으로 압축 응력의 발생이 특별한 용기에 회피되어지게 선택되어질 것이다.
도 1-3은 다르게 굽은 부분들 사이 또는 굽은 부분과 직선 부분 사이에서 노치를 가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비원형 단부 패널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단부 패널에 제공되는 사각형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5c는 이중 이음매 방법의 도 4b에서 라인 VA-VA 위의 단면도이다.
도 6a-6f는 본 발명에 따른 노치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 7b, 8a 및 8b는 본 발명의 배 형상 및 타원형 형상 용기에 대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원형 단부 패널(an oval end panel)(1)을 도시하고 있다. 단부 패널(1)은 인접하는 굽은 가장자리 부분(curved edge parts)(3, 4)에 노치(notches)(2)들이 제공되어 있다. 굽은 가장자리 부분(3)의 반경 R1(45mm)은 굽은 가장자리 부분(4)의 반경 R2(20mm)와 다르고 더 크다. 노치들은 반경 R1과 반경 R2 사이의 천이부(the transition)(5)에서 겹쳐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각형 단부 패널(a rectangular end panel)(6)을 도시하고 있다. 사각형 단부 패널(6)은 인접하는 굽은 가장자리 부분(7)과 직선 가장자리 부분(8)에 노치(2)가 제공되어 있다. 굽은 가장자리 부분(7)의 반경 R3는 예를 들어 20mm이다. 노치(2)는 굽은 가장자리 부분(7)과 직선 가장자리 부분(8) 사이의 천이부(9)에서 겹쳐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 형상 단부 패널(a pear shape end panel)(10)을 도시하고 있다. 배 형상 단부 패널(10)은 인접하는 굽은 가장자리 부분(11, 12), 그리고 굽은 가장자리 부분(11)과 직선 가장자리 부분(14) 사이에 노치(2)가 제공되어 있다. 굽은 가장자리 부분(11)의 반경 R4(150mm에서 190mm까지의 범위)는 굽은 가장자리 부분(12)의 반경 R5(30mm에서 50mm까지의 범위)와 다르고 그리고 더 크다. 노치는 반경 R4와 R5 사이의 천이부(15)에서 겹쳐진다. 노치(2)는 인접하는 굽은 가장자리 부분(11)과 직선 가장자리 부분(14)에 또한 있다. 굽은 가장자리 부분(11)의 반경 R4는 예를 들어 170mm이다. 노치(2)는 굽은 가장자리 부분(13)과 직선 가장자리 부분(14) 사이의 천이부(17) 및 굽은 가장자리 부분(11)과 굽은 가장자리 부분(13) 사이의 천이부(16)에서 겹쳐진다. 굽은 가장자리 부분(11)의 반경 R4(170mm)는 굽은 가장자리 부분(13)의 반경 R6(30mm)와 다르고 더 크다.
도 4a 및 4b는 사각형 용기 본체(18)에 사각형 패널(6)의 이중 이음매를 만드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용기 본체(18)는 굽은 패널 가장자리(19)가 용기 본체 가장자리(20)(도 5a 참조)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하는 패널(6)에 위치되어 있다. 패널 가장자리(19)는 굽은 가장자리 부분(7)과 직선 가장자리 부분(8)(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또한 노치(2)(도 5b 참조)를 포함하는 그것에 더 안쪽으로 굽어지고 굽혀진다. 나중에 패널 가장자리(19)는 이중 이음매(21)를 형성하는 그것에 의해 위쪽으로 감겨진다. 도 5d는 이중 이음매(21)를 도시하고, 초기의 패널 가장자리(7)는 패널 가장자리(7), 컬부 및 천이부 벽(the transitional wall)(22)에 의해 형성된 루프에 의해 지금 제한 또는 폐쇄되어지는 용기 본체 가장자리(19)를 지금 겹치게 하고 있다. 이중 이음매는 노치(2)를 포함하는 원래의 패널 가장자리(7)에 의해 형성된 소위 단부 후크를 포함한다. 단부 후크는 원래 용기 가장자리(20)에 의해 형성된 용기 본체(18)와 본체 후크(a body hook)(10)에 의해 제한 또는 폐쇄되어진다. 이중 이음매의 바깥쪽에서 천이부 벽(22)은 단부 패널(6)의 패널 벽(a panel wall)(24)을 가진 컬부(a curl)(23)를 통하여 단부 후크(7)를 연결하고 있다.
도 6a-6e는 본 발명에 따른 노치(2)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노치들은 모두 약 10에서 150의 깊이(D) 대 폭(W)의 비를 가지고 있고, 도 6f를 참조한다.
도 6a는 패널 가장자리(26)에 형성된 노치(25)를 나타내고 패널의 가장자리(5)의 림(17)을 향하는 후크 또는 각이진 천이부(angular transitions )(27)를 가지고 있다. 노치(25)는 약 30의 W:D의 비를 가지고 있다.
도 6b는 림(30)을 향하여 둥근 천이부(29)를 가진 노치(28)를 나타내고 있다. W:D의 비는 약 40이다.
도 6c는 둥근 또는 굽은 천이부(31)를 가진 노치(30)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러나 비대칭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런 비대칭 형태는 롤러 기구를 사용하는 이중 이음매 작업이 화살표(38)에 의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부터 림(30)을 따라 작동할 때 유익하다. 그러나 역방향(도 6c에서 왼쪽)으로부터 이음매 만들기가 또한 가능하다.
도 6d는 왼쪽 측에서 굽어진 천이부(a hooked transition)(35)와 일 측면에서 둥근 천이부(34)를 가지고 있는 노치(33)를 도시하고 있고, 반면에 오치 33은 더 비대칭이다. W:D의 비는 약 50이다.
도 6e는 대칭이고 둥근 천이부(37)를 가지고 있는 노치(36)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7b의 노치(28)보다 덜 경사지거나 더 낮은 깊이를 가지고 있으며, W:D의 비는 약 70이다.
도 7a 및 7b는 배 형상(a pear shape) 단면을 가지는 용기 본체(a container body)(38)에 위치된 배 형상 단부 패널(10)을 도시하고 있다. 직선 패널 가장자리(14), 그리고 굽은 가장자리(13)와 굽은 가장자리(11)가 천이부(40)에 제공되어 있다. 패널 가장자리는 본체 가장자리(39)를 넘어서 연장한다. 이중 이음매가 도 5a 내지 5c에 의해 예시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논의된 것처럼 형성된다.
유사하게, 도 8a 및 8b는 타원형 단부 패널(1) 위에 위치된 타원형 용기 본체(an oval container body)(41)를 도시하고 있다. 천이부 (40)에서 노치(2)를 가진 굽은 가장자리(3, 4)가 제공되어 있다.
상세하게 실시 예의 형태로 기재되지 않아도, 굽은 및 직선 가장자리는, 그곳으로부터 수 밀리미터 내에서와 같이, 노치(2)의 직접 인근에 추가적인 노치들을 포함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이중 이음매를 위해 사용된 재료는 강, 표면 처리된 강, 양철 및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특별한 금속이다. 금속 및 수지의 복합재가 압출(extrusion) 또는 상호 적층(co-lamination)에 의해 생산된 적층 강(laminated steel)과 같이, 또한 사용되어진다. 생산된 용기의 직경에 종속하여, 강이나 양철의 두께는 0.14mm 내지 0.32mm의 범위 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0.16mm 내지 0.22mm의 범위 이고, 그중에서도 캔 직경과 이음매 길이와 같은 변수(a parameter)에 의해 특정된 이중 이음매 타입에 종속한다.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에, 적어도 패널 가장자리(5)를 위한 금속의 두께는 0.16mm 내지 0.38mm의 범위 이고, 바람직하게는 0.18mm 내지 0.28mm의 범위 이고, 그중에서도 캔의 직경과 이중 이음매 타입, 그리고 이음매 길이에 종속한다.
연구와 실험들은 노치된 패널 가장자리와 가능한데로 노치된 용기 가장자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된 금속의 두께의 치수는 적어도 10%, 30%까지 추가적 이음매를 만드는 기하학적 수정,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0%까지 감소되어지는 것을 나타내었다. 분명하게, 금속의 두께는 또한 용기의 직경에 종속하게 된다.
1, 6, 10: 단부 패널
2: 노치
3, 4, 7, 11, 12, 13, 19: 굽은 가장자리 부분
5, 9, 15, 17: 천이부
8, 14: 직선 가장자리 부분
18: 용기 본체
20: 용기 본체 가장자리
21: 이중 이음매
23: 컬부

Claims (12)

  1. 용기 본체에 이중 이음매에 의해 이음매되어지는 단부 패널에 있어서,
    이중 이음매는 용기 본체와 본체 후크에 의해 제한된 단부 후크를 포함하고,
    단부 패널의 패널 가장자리는 단부 후크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치가 제공되고, 단부 가장자리는 제1 가장자리 부분이 제1 반경을 가지고 제2 가장자리 부분이 제2 반경을 가지거나 또는 직선 가장자리로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노치가 10 내지 150의 깊이 대 폭 비를 가지고, 그리고 두 개의 인접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깊이 대 폭 비는 20 내지 100, 30 내지 80, 또는 10 내지 80으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반경과 제2 반경의 비는 0.05 내지 0.5, 0.1 내지 0.5의 범위 또는, 0.1 내지 0.3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패널은 타원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노치들이 제1 반경과 제2 반경 사이의 각 천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패널은 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패널은 제1 반경과 제2 반경 사이에 천이부들과 직선 라인을 가진 반경들 사이에서 천이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노치들이 천이부들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굽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패널.
  9. 이중 이음매를 통하여 단부 패널에 연결된 용기 본체에 있어서, 이중 이음매는 용기 본체와 본체 후크에 의해 제한된 단부 후크를 포함하고, 단부 패널의 패널 가장자리는 단부 후크를 형성하고, 그리고 단부 패널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단부 패널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본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타원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본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배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본체.
  12. 청구항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 본체가 제공된 용기.


KR1020147027522A 2012-03-26 2013-03-25 단부 패널, 그리고 단부 패널로 이중 이음매에 의해 규정된 용기 본체 또는 용기 KR102071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61332.7 2012-03-26
EP12161332.7A EP2644296B1 (en) 2012-03-26 2012-03-26 End panel, and a container body or container with a double seam with such end panel
PCT/EP2013/056200 WO2013144055A1 (en) 2012-03-26 2013-03-25 End panel, and a container body or container provided by a double seamed with such end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821A KR20140138821A (ko) 2014-12-04
KR102071089B1 true KR102071089B1 (ko) 2020-01-29

Family

ID=4804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522A KR102071089B1 (ko) 2012-03-26 2013-03-25 단부 패널, 그리고 단부 패널로 이중 이음매에 의해 규정된 용기 본체 또는 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643750B2 (ko)
EP (1) EP2644296B1 (ko)
JP (1) JP6147845B2 (ko)
KR (1) KR102071089B1 (ko)
CN (1) CN104334294B (ko)
AU (1) AU2013241967A1 (ko)
BR (1) BR112014024000B1 (ko)
ES (1) ES2569862T3 (ko)
RU (1) RU2621498C2 (ko)
WO (1) WO2013144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1861B1 (fr) * 2019-10-14 2021-11-12 Groupe Daucy Méthode de fabrication d’une boîte de conser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6284B2 (en) 2001-10-16 2004-05-18 Elmer D. Werth End closure structure and method and container having reinforcing rib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921A (en) * 1883-02-27 tuckett
US530700A (en) * 1894-12-11 James j
US853143A (en) * 1906-03-13 1907-05-07 Artemas P Richardson Sheet-metal box.
US1209925A (en) * 1913-06-09 1916-12-26 Albert L Adams Bottom structure for metallic receptacles.
US1155751A (en) * 1913-08-12 1915-10-05 Patrick Wall Ice-can.
FR493777A (fr) * 1917-12-07 1919-08-21 Societe E W Bliss C Paris Perfectionnement aux fonds et couvercles des boites métalliques serties
US1446458A (en) * 1919-03-15 1923-02-27 Tin Decorating Company Of Balt Sheet-metal box
US2289193A (en) * 1939-09-07 1942-07-07 Continental Can Co Frozen vegetable box
US2455737A (en) 1944-07-29 1948-12-07 Continentai Can Company Inc Method of attaching metal closures to containers
US3670921A (en) * 1970-01-12 1972-06-20 Continental Can Co Stress relieved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62161619U (ko) * 1986-04-04 1987-10-14
JPS63281721A (ja) * 1987-05-15 1988-11-18 Toyo Seikan Kaisha Ltd 角罐の巻締方法
FR2645245B1 (fr) * 1989-03-30 1992-09-18 Applic Gaz Sa Boite pour fluide sous pression
US5269602A (en) * 1990-01-31 1993-12-14 Sanyo Electric Co., Ltd. Thermal insulation box
GB9224572D0 (en) * 1992-11-21 1993-01-13 Metal Box Plc Containers
JPH09225565A (ja) * 1996-02-23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缶 蓋
WO1999016684A1 (en) * 1997-10-01 1999-04-08 Osaka Shipbuilding Co., Ltd. Double pressurized container for charging undercup and double pressurized products using the container
CN1167584C (zh) * 2001-05-18 2004-09-22 王锐新 铝箔容器的成形工艺
WO2006079834A1 (en) * 2005-01-29 2006-08-03 Elopak Systems Ag Container, blank, mandel and method of forming the conainer
FI125014B (fi) * 2005-08-15 2015-04-30 Ensto Finland Oy Peltikotelo
JP4978775B2 (ja) * 2006-12-27 2012-07-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管状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6284B2 (en) 2001-10-16 2004-05-18 Elmer D. Werth End closure structure and method and container having reinforcing rib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21498C2 (ru) 2017-06-06
WO2013144055A1 (en) 2013-10-03
KR20140138821A (ko) 2014-12-04
ES2569862T3 (es) 2016-05-12
CN104334294B (zh) 2016-12-21
US20150076165A1 (en) 2015-03-19
JP6147845B2 (ja) 2017-06-14
EP2644296A1 (en) 2013-10-02
CN104334294A (zh) 2015-02-04
BR112014024000B1 (pt) 2020-12-01
RU2014142592A (ru) 2016-05-20
JP2015512839A (ja) 2015-04-30
AU2013241967A1 (en) 2014-10-16
US9643750B2 (en) 2017-05-09
EP2644296B1 (en)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16423A (ja) ダブルシ―ムが施された複合材コンテナ
AU2004278366B2 (en) Can shell and double-seamed can end
RU2437811C2 (ru) Торцевая крышка банки, снабженная усилением
US5911551A (en) Containers
US3367533A (en) Container seam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071089B1 (ko) 단부 패널, 그리고 단부 패널로 이중 이음매에 의해 규정된 용기 본체 또는 용기
ZA200602202B (en) Can shell and double seamed can end
US2210225A (en) Can
US3361291A (en) Thin walled easy opening can
US3295485A (en) End closure
WO2002057137A2 (en) Beverage can end with reduced countersink
JP5638236B2 (ja) 溶接缶体
JP5216073B2 (ja) 容器及び蓋体並びに容器の巻き締め方法
US2303019A (en) Method of flanging can bodies
JP6801718B2 (ja) 缶体、缶体の製造方法および缶体の製造装置
JPH0794255B2 (ja) 金属製容器
US2335916A (en) Method of flanging sheet metal can bodies
JP5359438B2 (ja) 缶体
US221539A (en) Improvement in sheet-metal cans
JP5620566B1 (ja) 極薄エキスパンド缶
US1318809A (en) sharp
US1940664A (en) Process of forming metal containers
JP2019011124A (ja) ビード付き3ピース缶
EP2383198A1 (en) Clamping ring and barrel assembly
JPH0270335A (ja) 金属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