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051B1 -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1051B1 KR102071051B1 KR1020180000806A KR20180000806A KR102071051B1 KR 102071051 B1 KR102071051 B1 KR 102071051B1 KR 1020180000806 A KR1020180000806 A KR 1020180000806A KR 20180000806 A KR20180000806 A KR 20180000806A KR 102071051 B1 KR102071051 B1 KR 1020710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xide semiconductor
- thin film
- semiconductor thin
- nanostructure
- film transis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4—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active materials
- H10D30/6755—Oxide semiconductors,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or cadmium stannate
-
- H01L29/7869—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 H01L29/0665—
-
- H01L29/78618—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04—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 H10D30/6713—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17—Shapes of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18—Nanostructure semiconductor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나노구조체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킨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과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을 제거한 후 형성된 그물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을 도시한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나노구조체 용액을 상이한 회전 속도로 도포하였을 때 형성된 그물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광학현미경 이미지(Optical Microscope) 및 전기적(전압-전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의 형성, 산화물 반도체 물질의 증착 및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의 제거 공정의 반복 횟수에 따른 그물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광학현미경 이미지(Optical Microscope) 및 전기적(전압-전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필름 형태의 IGZ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물 구조의 IGZO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도당 센서에 응용한 경우의 포도당 농도별 전기적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플렉서블 기판상에 형성하여 벤딩 테스트(Bending test)를 진행하는 모습 및 벤딩 테스트시 벤딩 반경(Bending radius)을 각각 10R, 20R 및 30R로 조건을 달리하여 측정한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게이트 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10 : 기판
111 : 게이트 전극
112 : 게이트 절연층
113 : 소스 전극
114 : 드레인 전극
Claims (9)
-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는 소스/드레인 전극; 및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그물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
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은 스핀코팅(spin coating)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나노구조체가 분산된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 시켜 형성된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 상에 산화물 반도체 물질을 증착한 후 상기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을 제거하여 형성되며,
상기 그물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은 열처리(annealing)를 통하여 활성화되고,
상기 나노구조체가 분산된 용액이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스핀코팅되는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산화물 반도체 박막의 그물 구조 간격 및 그물 구조 선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은
스핀코팅(spin coating)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나노구조체가 분산된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 시켜 형성된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 상에 산화물 반도체 물질을 증착한 후 상기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을 제거하는 공정이 적어도 1회 이상 반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체가 분산된 용액의 나노구조체 및 용매의 질량비는 0.1%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은
스핀코팅(spin coating)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나노구조체가 분산된 용액을 도포한 후 자연 건조시켜 형성되며, 상기 자연 건조는 0℃ 내지 500℃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체가 분산된 용액의 자연 건조는 1분 내지 6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50℃ 내지 500℃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1분 내지 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반도체 물질은 InGaZnO, ZnO, ZrInZnO, InZnO, AlInZnO, ZnO, InGaZnO4, ZnInO, ZnSnO, In2O3, Ga2O3, HfInZnO, GaInZnO, HfO2, SnO2, WO3, TiO2, Ta2O5, In2O3SnO2, MgZnO, ZnSnO3, ZnSnO4, CdZnO, CuAlO2, CuGaO2, Nb2O5 또는 TiSr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서로 이격되는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스핀코팅(spin coating)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나노구조체가 분산된 용액을 도포 및 건조시켜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 상에 산화물 반도체 물질을 증착한 후 상기 나노구조체 기반 템플릿을 제거하여 그물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열처리(annealing)를 통하여 상기 그물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을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구조체가 분산된 용액이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스핀코팅되는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산화물 반도체 박막의 그물 구조 간격 및 그물 구조 선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0806A KR102071051B1 (ko) | 2018-01-03 | 2018-01-03 |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0806A KR102071051B1 (ko) | 2018-01-03 | 2018-01-03 |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3190A KR20190083190A (ko) | 2019-07-11 |
KR102071051B1 true KR102071051B1 (ko) | 2020-01-30 |
Family
ID=6725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0806A Active KR102071051B1 (ko) | 2018-01-03 | 2018-01-03 |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105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80630B1 (ko) * | 2023-06-28 | 2025-03-1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층 채널 구조를 갖는 금속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
KR102750377B1 (ko) * | 2023-09-22 | 2025-01-09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메쉬 구조에 기반하는 박막태양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7189B1 (ko) * | 2008-03-14 | 2010-08-2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다결정 금속산화물 반도체층을 이용한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그 제조방법 |
KR101328427B1 (ko) * | 2012-05-24 | 2013-11-14 | 전자부품연구원 | 금속나노와이어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복합 도전성 박막 및 그의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7209B1 (ko) * | 2010-10-07 | 2014-06-16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세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 채널 트랜지스터 및 미세 채널 발광트랜지스터의 형성방법 |
KR101766828B1 (ko) | 2015-04-28 | 2017-08-0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메탈 메쉬 형성 방법 및 메탈 메쉬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
-
2018
- 2018-01-03 KR KR1020180000806A patent/KR10207105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7189B1 (ko) * | 2008-03-14 | 2010-08-2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다결정 금속산화물 반도체층을 이용한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그 제조방법 |
KR101328427B1 (ko) * | 2012-05-24 | 2013-11-14 | 전자부품연구원 | 금속나노와이어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복합 도전성 박막 및 그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3190A (ko) | 2019-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2697B1 (ko) | 산화물 반도체 박막 포토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
CN103140920B (zh) | 薄膜晶体管、其制造方法以及装备有该薄膜晶体管的图像显示装置 | |
Xiao et al. | Room-temperature-processed flexible amorphous InGaZnO thin film transistor | |
CN104934481B (zh) |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 | |
CN102104072B (zh) | 晶体管、制造晶体管的方法和包括晶体管的电子装置 | |
TWI712175B (zh) | 薄膜電晶體及其製造方法 | |
KR101682501B1 (ko) | 은 나노와이어 패턴층 및 그래핀층을 포함하는 투명전극 및 그 제조방법 | |
CN107146773B (zh) | Tft基板的制作方法 | |
JP2010123913A (ja) |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Li et al. | Precise Patterning of Large‐Scale TFT Arrays Based on Solution‐Processed Oxide Semiconductors: A Comparative Study of Additive and Subtractive Approaches | |
KR102071051B1 (ko) |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
CN108183165B (zh) | 有机晶体管、阵列基板、显示装置及相关制备方法 | |
KR101884561B1 (ko) | 질소 도핑된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구비하는 금속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4409635B (zh) | 一种有机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显示装置 | |
CN112447831B (zh) | 提升铁电晶体管性能的器件结构及制备方法 | |
CN105304651A (zh) | 阵列基板、显示器及阵列基板的制备方法 | |
JP2011187509A (ja) | 電子素子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2036971B1 (ko) |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
JP2008071898A (ja) |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900045B1 (ko) | 고유전율 유전체를 이용한 전이금속 칼코게나이드 채널을 포함하는 트랜지스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트랜지스터 | |
KR102038552B1 (ko) |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을 이용한 전계 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 |
CN107833927A (zh) | 一种氧化物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 | |
CN102723437A (zh) | 光存储单元、光存储器及其制备方法 | |
CN106992116B (zh) | 制造半导体器件的方法、阵列基板和显示装置 | |
US20140197405A1 (en) | Rfid tags based on self-assembly nanopart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