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383B1 -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 Google Patents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383B1
KR102070383B1 KR1020180103686A KR20180103686A KR102070383B1 KR 102070383 B1 KR102070383 B1 KR 102070383B1 KR 1020180103686 A KR1020180103686 A KR 1020180103686A KR 20180103686 A KR20180103686 A KR 20180103686A KR 102070383 B1 KR102070383 B1 KR 102070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support
outer housing
stabilizer ba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만승
김진영
배상은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383B1/ko
Priority to US16/406,420 priority patent/US10987990B2/en
Priority to DE102019112081.0A priority patent/DE102019112081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8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means varying the stiffness of the stabil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주행시에 회전이 발생할 경우 스프링의 상수에 의한 반력으로 스테빌라이저바의 롤 강성을 가지며, 선회 중의 회전이 크게 발생할 경우 스프링은 압축이 되고 암부와 중앙부가 컨택이 되어 일반적인 스테빌라이저 바와 동일한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Semi-active Anti-roll Stabilizer Bar}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는 차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차량 하부에서 좌우 차륜 측을 서로 연결하며 장착된다.
스테빌라이저 바는, 특히 차량의 곡선로 주행 시에, 원심력에 의한 횡방향 가속도에 의해 차체에 롤링이 발생하며 곡선로에 대한 반경방향 내측 차륜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테빌라이저 바는 롤링에 의한 전복 방지, 즉 안전성 측면에서는 차륜이 지면에 지속적으로 닿아 있도록 할 필요에서 강성이 강한 것이 좋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안전성이 문제되지 않는 경우로서 예컨대 평지 주행 시에는, 승차감 향상을 위해 차체에 대한 차륜의 주행 하중 전달이 최소화되도록 강성이 약하거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각도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이내까지는 평지 주행 상황으로서 강성이 매우 약하다가도 그 기준 각도 이상에서는 강성이 강해지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스테빌라이저 바로서, 단일 환봉 또는 파이프 소재를 적정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를 요구되는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열처리와 쇼트피닝 및 도장 등의 공정을 거쳐 제작하는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이 단일 소재로 제작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경우,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단가가 낮은 이점이 있으나,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고유의 강성이 항상 일정하게 작용하여 강성이 조절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스테빌라이저 바를 좌측과 우측으로 분할하고, 그 사이에 액추에이터를 설치한 능동 롤 스테빌라이저 바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엑추에이터는 전기 모터, 유압 모터, 전자석 등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힘으로 바꾸어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좌우 스테빌라이저 바를 비틀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능동 롤 스테빌라이저 바의 경우, 상황에 따라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줌으로써 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능동 스테빌라이저 바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센서 및 제어장치가 반드시 필요하여 생산단가가 높은 것은 물론이며, 액추에이터의 큰 부피로 인하여 차량 설치 시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성 조절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는 하중 센서이기 때문에,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각도를 반영하여 강성을 가변하지는 못하는 단점이 있다.
능동 스테빌라이저 바는 특히 가격 및 중량 문제로 인해 고가 차량에만 적용되어 사용될 뿐 중저가 차량에는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차량의 안전성 및 승차감에 대한 요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낮은 생산 원가 및 경량화 된 구조이면서 주행 상황에 맞추어 강성이 가변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로서 중저가 차량에 적합한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주행 상황에 따라 반능동적으로(능동형과 달리 센서와 액추에이터가 필요 없음) 강성이 가변되는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체의 횡가속도가 아닌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의 비틀림 각도에 따라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비틀림 각도가 작을 때, 즉 평지 주행시에는 강성이 약하여 플렉시블하게 변형됨에 따라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곡선로 주행시와 같이 차체 롤링이 소적 크기 이상으로 작용할 때에는 전복 방지를 위해 강성이 강해지는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는 아우터 하우징, 이너 하우징, 탄성체, 회전베어링, 제1스텝바 및 제2스텝바를 포함한다.
아우터 하우징은 원통형이며, 내부가 비어있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이너 하우징은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이너 하우징은 수용공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일 수 있다.
탄성체는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회전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발휘한다.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 사이에는 회전 베어링이 설치된다.
제1스텝바는 일단은 차량의 일측 차륜 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아우터 하우징과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제2스텝바는 일단은 차량의 타측 차륜 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이너 하우징과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아우터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탄성체를 수용하는 탄성체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 중 다른 하나는 아우터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이 상대 회전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체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포함될 수 있다.
탄성체 수용부는, 지지부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에 형성된 제1탄성체 수용부와 시계 방향에 형성된 제2탄성체 수용부를 포함한다.
탄성체는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제1탄성체는 제1탄성체 수용부에 설치되며 아우터 하우징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지지부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을 시계 방향으로 작용시킨다.
제2탄성체는 제2탄성체 수용부에 설치되며 아우터 하우징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지지부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을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시킨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부는 아우터 하우징에 형성되고, 탄성체 수용부는 이너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는 각각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탄성체 및 복수의 제2탄성체는 각각 상기 지지부 측 단부들이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제1탄성체 및 복수의 제2탄성체 각각은, 외측 코일스프링과 외측 코일스프링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내측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탄성체들의 지지부측 단부들은 지지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단계적으로 압축되도록 하우징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계단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탄성체들의 지지부측 단부들은 지지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단계적으로 압축되도록 하우징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계단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탄성체들은 서로 길이가 동일하며, 지지부 측 단부의 반대측 단부들도 길이방향에 따라 계단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탄성체들은 서로 길이가 동일하며, 지지부 측 단부의 반대측 단부들도 길이방향에 따라 계단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탄성체 수용부는 제1탄성체의 양단이 지지되면서 폭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설치되는 제1홈을 포함한다.
제2탄성체 수용부는 제2탄성체의 양단이 지지되면서 폭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설치되는 제2홈을 포함한다.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각각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제1탄성체 수용부 및 제2탄성체 수용부 각각은 각각의 코일스프링의 지지부 반대 측 단부에 대해 코일스프링의 폭방향의 절반 이상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전기 액추에이터 없이 롤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주행시에 회전이 발생할 경우 스프링의 상수에 의한 반력으로 스테빌라이저바의 롤 강성을 가지며, 선회 중의 회전이 크게 발생할 경우 스프링은 압축이 되고 암부와 중앙부가 컨택이 되어 일반적인 스테빌라이저 바와 동일한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의 분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에서 이너 하우징과 아우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에서 탄성체가 제1홈 및 제2홈에 평행하게 병렬로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에서 탄성체가 수축할 때의 강성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에서 동일한 길이의 탄성체가 제1홈 및 제2홈에 계단식으로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에서 길이가 서로 다른 탄성체가 제1홈 및 제2홈에 병렬로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에서 탄성체가 수축할 때의 강성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에서 탄성체 내부에 작은 탄성체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에서 탄성체가 수축할 때의 강성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개시된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는 아우터 하우징(110), 이너 하우징(100). 탄성체, 회전베어링(200), 제1스텝바(130) 및 제2스텝바(120)를 포함한다.
아우터 하우징(11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아우터 하우징(110)은 양단을 막아주는 제1덮개(111) 및 제2덮개(112)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10)에는 아우터 하우징(110) 및 이너 하우징(100)이 상대 회전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체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180)를 포함한다.
제1덮개(111)는 아우터 하우징(110)에 나사결합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2스텝바(120)가 이너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이너 하우징(100)과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덮개에(112)는 제1스텝바(130)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2덮개(112)가 아우터 하우징(110)에 나사결합 또는 용접 결합되면 제1스텝바(130)는 아우터 하우징(110)과 함께 회전된다.
이너 하우징(100)은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된다.
이너 하우징(100)에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후술할 탄성체를 수용하는 탄성체 수용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체 수용부는 아우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지지부(180)는 이너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 수용부는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지지부(180)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CCW)에 형성된 제1탄성체 수용부와 시계 방향(CW)에 형성된 제2탄성체 수용부를 포함한다.
제1탄성체 수용부는 제1탄성체의 양단이 지지되면서 폭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설치되는 제1홈(160)을 포함한다.
제2탄성체 수용부는 제2탄성체의 양단이 지지되면서 폭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설치되는 제2홈(170)을 포함한다.
제1홈(160)과 제2홈(170)은 탄성체가 폭 방향으로 최소한 절반 정도 삽입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는 제1홈(160)과 제2홈(170)에 설치되어 아우터 하우징(110)과 이너 하우징(10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회전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발휘한다.
탄성체는 아우터 하우징(110)이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할 때 지지부(180)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을 시계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제1코일스프링(140)과, 아우터 하우징(110)이 시계 방향(CW)으로 회전할 때 지지부(180)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을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제2코일스프링(15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80)는 제1코일스프링(140) 또는 제2코일스프링(150)의 폭 방향의 절반 정도만 지지한다. 이 경우 제1코일스프링(140) 또는 제2코일스프링(150)이 압축되면 지지부(180)가 제1코일스프링(140) 또는 제2코일스프링(150) 일단 전체를 압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압축시 힘이 골고루 분산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제1코일스프링(140) 또는 제2코일스프링(150)의 타단은 지지부(180)가 압축하는 부분이 다소 어긋난 상태로 제1코일스프링(140) 또는 제2코일스프링(150)을 압축하기 때문에 탄성 압축시에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너 하우징(100)에는 제1코일스프링 또는 제2코일스프링의 후방(지지부(180)의 반대측)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부(19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코일스프링(140)과 제2코일스프링(150)은 압축되는 과정에서 휘어지거나 코일스프링(140, 150)이 정위치에서 빠져 버리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회전베어링(200)은 아우터 하우징(110)과 이너 하우징(100) 사이에 설치되어 이너 하우징(100)과 아우터 하우징(1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베어링(200)은 본 실시예에서 아우터 하우징(110) 및 이너 하우징(100)에 대해 양단에 하나씩 설치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코일스프링(140, 150)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1실시예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롤 강성(또는 비틀림 강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너 하우징(100)이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고 아우터 하우징(110)이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되면 복수의 제1코일스프링(140)은 압축이 된다. 압축될 때까지는 도 5에 도시된 그래프가 완만하게 토크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제1코일스프링(140)이 완전히 압축되면 제1코일스프링(140)은 압축에 대해서는 더 이상 탄성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강체로 작용하게 되어 제1스텝바(130) 및 제2스텝바(120)의 자체 비틀림 강성이 주로 작용하게 된다. 도 5의 그래프에서 보면 θM 지점부터는 기울기가 종래의 S/T Bar와 동일한 정도의 기울기로 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즉, θM 이전까지는 약한 강성이 작용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종래의 S/T Bar와 동일한 정도의 강성 상태가 되는 것이다.
차량에 설치된 스테빌라이저 바의 주행 중 비틀림 각도는 차종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략 최대 18도 정도가 되는데, θM을 18도 미만의 소정 각도에 맞추어 설계하여 해당 설정 각도 이하에서는 스프링들(10, 150)에 의한 비교적 플렉시블한 강성이 작용하도록 하여 주행 시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그 이상의 각도에서는 강성이 강화되어 차량의 롤링에 의한 전복 방지를 통해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θM은 바람직하게는 15 도 또는 10 도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평지 주행 시에 스테빌라이저 바에 나타나는 비틀림 각도는 대략 수 도 정도, 예컨대 5 도 또는 2~3 도 정도일 것을 고려하면, 이때까지의 비틀림 강성은 약한 것이 바람직하므로 θM을 그 각도에 맞추어 설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의한 코일스프링(140, 150)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그 실시예들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롤 강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은 서로 다른 길이의 코일스프링(140, 150)이 병렬로 배치된 것이고 도 7은 동일한 길이의 코일스프링(140, 150)이 계단식으로 배치된 것이다.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스프링들은 길이가 짧을수록 강성을 더 크게 하여 만들 수도 있고, 또는 길이는 다르지만 스프링 소선의 굵기를 달리하여 강성은 동일하게 만들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서도 스프링들은 모두 동일한 길이와 동일한 강성을 가지도록 만들 수도 있고, 또는 길이는 갖지만 강성은 다르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스프링들을 동일하게 만들면 그만큼 부품 종류 수가 절감되어 생산 원가 및 부품 관리 비용은 절감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 이너 하우징(100)이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고 아우터 하우징(110)이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되면 아우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지지부(180)에 의해 복수의 제1코일스프링(140)은 단계적으로 압축이 된다. 즉, 길이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제1코일스프링들(140)은 그 지지부(180) 측 단부들이 지지부(180)를 기준으로 θ1, θ2, θ3씩 이격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지지부(180)는 회전하면서 단계적으로 θ1, θ2, θ3에서 각각의 제1코일스프링(140)과 차례로 접하며 강성이 강화되며, 그로 인해 롤 강성은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커지게 된다.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도 제1코일스프링(140)이 완전히 압축되면 제1코일스프링(140)는 그 압축 방향에 대해 강체와 같은 상태가 되는데 이 경우 스테빌라이저 바는 자체 비틀림 강성이 작용되게 된다. 그래서, 도 8의 그래프에서도 θM 지점부터는 기울기가 종래의 S/T Bar와 동일한 정도로 변경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코일스프링(140, 150)내부에 작은 코일스프링(140a, 150a)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4실시예에 의해 코일스프링(140, 150)이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롤 강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4실시예는 복수의 외측 코일스프링(140) 및 복수의 외측 코일스프링(150) 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코일스프링(140a, 150a)이 삽입된 구조이며, 외측 코일스프링(140, 150)이 압축되다가 내측 코일스프링(140a, 150a)이 같이 압축되면 추가로 강성이 증가하여 롤 강성이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θ1, 까지는 외측 코일스프링만 압축되기 때문에 반발 토크의 증가가 완만하다가 θ1 이후부터 내측 코일스프링(140a)에 의해 탄성력이 증가되면서 토크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θM 이후부터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S/T Bar와 동일한 정도의 강성이 발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코일스프링(140a, 150a)이 한 개 삽입된 구조이나 실시예에 따라 코일스프링을 내부에 다른 사이즈로 여러 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제2코일스프링(150)이 압축되는 과정도 제1코일스프링(140)이 압축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위 제2, 3, 4 실시예에서 적어도 θ1, θ2, θ3까지의 각 강성들(즉, 도 8 및 도 10에서 θ1, θ2, θ3까지의 기울기들)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θM 까지의 강성(즉, 도 5에서θM 까지의 기울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3, 4 실시예에서는 평지 주행 시에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의 비틀림 강성이 제1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약하게 되며, 따라서 승차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위 실시예들과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θ1, θ2, θ3까지의 각 강성들, 또는 θ1, θ2까지의 각 강성들, 또는 θ1까지의 강성이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θM 까지의 강성보다 더 크게 설정되도록 설계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압축 대신에 인장되어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인장 타입에 대한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들로부터 쉽게 만들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0: 이너 하우징
110: 아우터 하우징
111: 덮개
120: 제1스텝바
130: 제2스텝바
140: 제1코일스프링
140a: 내측 코일스프링
150: 제2코일스프링
150a: 내측코일 스프링
160: 제1홈
170: 제2홈
180: 지지부
190: 스프링고정부
200: 회전베어링

Claims (10)

  1.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아우터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인 이너 하우징;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회전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베어링;
    일단은 차량의 일측 차륜 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1스텝바; 및
    일단은 상기 차량의 타측 차륜 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너 하우징과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2스텝바
    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탄성체를 수용하는 탄성체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이 상대 회전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상기 탄성체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수용부는,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에 형성된 제1탄성체 수용부와 시계 방향에 형성된 제2탄성체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탄성체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지지부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을 시계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체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지지부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을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 수용부는 상기 이너 하우징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탄성체 및 복수의 제2탄성체는 각각 상기 지지부 측 단부들이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 또는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탄성체 및 복수의 제2탄성체 각각은, 외측 코일스프링과 상기 외측 코일스프링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내측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탄성체들의 상기 지지부측 단부들은 상기 지지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단계적으로 압축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계단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탄성체들의 상기 지지부측 단부들은 상기 지지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단계적으로 압축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계단식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탄성체들은 서로 길이가 동일하며, 상기 지지부 측 단부의 반대측 단부들도 상기 길이방향에 따라 계단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탄성체들은 서로 길이가 동일하며, 상기 지지부 측 단부의 반대측 단부들도 상기 길이방향에 따라 계단식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 수용부는 상기 제1탄성체의 양단이 지지되면서 폭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설치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체 수용부는 상기 제2탄성체의 양단이 지지되면서 폭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설치되는 제2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각각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 수용부 및 제2탄성체 수용부 각각은 상기 각각의 코일스프링의 상기 지지부 반대 측 단부에 대해 상기 코일스프링의 폭방향의 절반 이상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KR1020180103686A 2018-08-31 2018-08-31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KR102070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686A KR102070383B1 (ko) 2018-08-31 2018-08-31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US16/406,420 US10987990B2 (en) 2018-08-31 2019-05-08 Semi-active anti-roll stabilizer bar
DE102019112081.0A DE102019112081B4 (de) 2018-08-31 2019-05-09 Semi-aktive stabilisatorst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686A KR102070383B1 (ko) 2018-08-31 2018-08-31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383B1 true KR102070383B1 (ko) 2020-01-28

Family

ID=6937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686A KR102070383B1 (ko) 2018-08-31 2018-08-31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87990B2 (ko)
KR (1) KR102070383B1 (ko)
DE (1) DE102019112081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075A (ko) * 2020-06-19 2021-12-28 대원강업주식회사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20210157082A (ko) * 2020-06-19 2021-12-28 대원강업주식회사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5526B3 (de) * 2017-09-05 2019-03-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altbare Stabilisatoranordnung eines Fahrzeuges
GB2611776B (en) * 2021-10-14 2024-02-07 Jaguar Land Rover Ltd Active roll bar damper assembly
CN115570926B (zh) * 2022-10-21 2024-01-23 青岛方正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悬架拉杆机构
US20240278615A1 (en) * 2023-02-22 2024-08-22 AirBoss Flexible Products, LLC Adaptive stabilizer bar with cycloidal dri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925A (ko) * 2008-08-05 2010-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JP2011031735A (ja) * 2009-07-31 2011-02-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スタビライザ装置
CN106274331A (zh) * 2015-05-27 2017-01-04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扭转梁、扭转梁式悬架、汽车
KR20170086962A (ko) * 2016-01-19 2017-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7712A1 (de) 1978-04-22 1979-10-31 Daimler Benz Ag Wankstabilisierung fuer kraftfahrzeuge,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US5027667A (en) * 1984-01-30 1991-07-02 Weyer Paul P Spring actuator with rollers
GB9304570D0 (en) * 1993-03-05 1993-04-21 Jaguar Cars Vehicle suspension systems
US6022030A (en) * 1998-07-30 2000-02-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ll stabilizer for motor vehicle
US7207574B2 (en) * 2003-05-01 2007-04-24 The Timken Company Stabilizer bar with variable torsional stiffness
DE102009006385A1 (de) * 2009-01-28 2010-07-2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Getriebemotor für einen Wankstabilisator
DE102013211021B4 (de) 2013-05-31 2017-01-26 Ovalo Gmbh Torsionsvorrichtung und Fahrwerkbeeinflussungsvorrichtung mit einer Torsionsvorrichtung
DE102014223076B4 (de) * 2014-11-12 2021-07-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lastomerkupplung und zugehöriger Wankstabilisator
DE102015220173B4 (de) 2014-11-12 2023-02-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ankstabilisator
DE102015206064A1 (de) * 2015-04-02 2016-10-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ankstabilisator für ein mehrspuriges Kraftfahrzeug
DE102015209885A1 (de) 2015-05-29 2016-12-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ankstabilisator für eine Radachse eines Kraftfahrzeugs
TWI540058B (zh) * 2015-10-15 2016-07-01 Metal Ind Res & Dev Ct Variable rigid anti - roll bar device
US9878589B2 (en) * 2015-11-10 2018-01-30 Hyunda Mobis Co., Ltd. Stabilizer
DE102017215526B3 (de) * 2017-09-05 2019-03-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altbare Stabilisatoranordnung eines Fahrzeuges
KR102168446B1 (ko) * 2019-05-31 2020-10-21 대원강업주식회사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925A (ko) * 2008-08-05 2010-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JP2011031735A (ja) * 2009-07-31 2011-02-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スタビライザ装置
CN106274331A (zh) * 2015-05-27 2017-01-04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扭转梁、扭转梁式悬架、汽车
KR20170086962A (ko) * 2016-01-19 2017-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075A (ko) * 2020-06-19 2021-12-28 대원강업주식회사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20210157082A (ko) * 2020-06-19 2021-12-28 대원강업주식회사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102349847B1 (ko) * 2020-06-19 2022-01-11 대원강업주식회사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102362991B1 (ko) * 2020-06-19 2022-02-16 대원강업주식회사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112081A1 (de) 2020-03-05
US20200070617A1 (en) 2020-03-05
US10987990B2 (en) 2021-04-27
DE102019112081B4 (de)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383B1 (ko)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US9416849B2 (en) Actuator of vehicle
US8827287B2 (en) Axle control element of a motor vehicle
US7828308B2 (en) Stabiliser bar for a vehicle
US4513990A (en) Bushing structure in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6860167B2 (en) Transmission for a stabilize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chassis
CN107636347B (zh) 用于多列车轮式机动车的摆动稳定装置
KR20130120452A (ko) 하이브리드 크로스 액시스 볼 조인트 부싱
CN107002796B (zh) 弹性体联轴器和所属的摆动稳定器
US11285777B2 (en)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KR20220015498A (ko) 서스펜션 시스템 및 조향 능력
JP7193964B2 (ja) スタビライザ装置
JP2023552365A (ja) 回転軸を有する振り子ロッカーダンパー
JP2008247182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8202570B (zh) 用于车辆的车轮的车轮悬挂装置
KR102362991B1 (ko)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102070384B1 (ko)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JP2004050906A (ja) 懸架コイルばね
KR102545404B1 (ko)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KR20170048268A (ko) 반능동 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JP6997808B2 (ja) 歯車伝動装置のための歯車
KR102349847B1 (ko)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102466955B1 (ko) 댐핑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액티브 롤 스테빌라이저
JPH026208A (ja) 筒形サスペンションブッシュ
US3087716A (en) Spring suspension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