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446B1 -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 Google Patents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446B1
KR102168446B1 KR1020190064419A KR20190064419A KR102168446B1 KR 102168446 B1 KR102168446 B1 KR 102168446B1 KR 1020190064419 A KR1020190064419 A KR 1020190064419A KR 20190064419 A KR20190064419 A KR 20190064419A KR 102168446 B1 KR102168446 B1 KR 102168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inner housing
outer housing
stabilizer ba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만승
김진웅
배상은
김인섭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446B1/ko
Priority to DE102020206724.4A priority patent/DE102020206724B4/de
Priority to US16/887,899 priority patent/US1128577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1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not permanently interconnected, e.g. operative only on acceleration, only on deceleration or only at off-straight position of steering
    • B60G21/106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not permanently interconnected, e.g. operative only on acceleration, only on deceleration or only at off-straight position of steering transvers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4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not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5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not including lea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and also torsion-ba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8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means varying the stiffness of the stabil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4Mechanisms for force adjustment, e.g. constant forc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61Adjustable during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2Spring con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상태에 대응하여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단이 차량의 일측 차륜에 연결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 바와, 일측단이 차량의 타측 차륜에 연결되는 제2 스테빌라이저 바와,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의 타측단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중공부가 형성된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의 타측단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대 회전하는 이너 하우징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이 상대 회전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이너 하우징이 상대 회전시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상대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차량이 직선 주행 시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작은 강성이 작용하여 직선 주행 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곡선 주행 시에는 스테빌라이저 바에 의한 큰 강성이 작용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SEMI-ACTIVE STABILIZER DEVICE}
본 발명은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대응하여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는 차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차량 하부에서 좌우 차륜 측을 서로 연결하며 장착된다.
특히, 스테빌라이저 바는 차량의 곡선로 주행 시에 원심력에 의한 횡방향 가속도에 의해 차체에 롤링이 발생하여 곡선로에 대한 반경방향 외측 차륜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테빌라이저 바는 곡선로 주행 시 롤링에 의한 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성 측면에서는 강성이 큰 것이 좋다. 그러나, 차량이 직선 주행 시에는 승차감 향상을 위해 스테빌라이저 바에 의해 차체에 대한 차륜의 주행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각도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이내까지는 직선 주행 상황으로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이 매우 작게 작용하고, 소정 각도 이상에서는 강성이 크게 작용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스테빌라이저 바는 단일 환봉 또는 파이프 소재를 적정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를 요구되는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열처리와 쇼트피닝 및 도장 등의 공정을 거쳐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단일 소재로 제작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경우,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 단가가 낮은 이점이 있으나,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고유의 강성이 항상 일정하게 작용하여 강성이 조절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스테빌라이저 바를 좌측과 우측으로 분할하고, 그 사이에 액추에이터를 설치한 능동형 스테빌라이저 바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기 모터, 유압 모터, 전자석 등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힘으로 바꾸어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좌우 스테빌라이저 바를 비틀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능동형 스테빌라이저 바의 경우, 상황에 따라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줌으로써 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능동형 스테빌라이저 바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센서 및 제어장치가 반드시 필요하여 생산 단가가 높은 것은 물론이며, 액추에이터의 큰 부피로 인하여 차량 설치 시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주행 시에 순간적으로 변화되는 도로 상황을 미리 판단하여 액추에이터를 동작시켜 도로 상황에 맞게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해야 하는데 순간적인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어려움이 있어, 즉 반응속도가 느려서 실제 차량에 적용함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이 직선 주행 시에는 작은 강성이 작용하고, 곡선 주행 시에는 보다 큰 강성이 작용하도록 동작하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는, 일측단이 차량의 일측 차륜에 연결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 바; 일측단이 차량의 타측 차륜에 연결되는 제2 스테빌라이저 바;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의 타측단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중공부가 형성된 아우터 하우징;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의 타측단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대 회전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이 상대 회전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이 상대 회전시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상대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는,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정지면이 상기 이너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정지면 간의 간격이 서로 다른 스톱퍼가 복수로 마련되고, 정지면 간의 간격이 다른 스톱퍼로 교체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의 상대 회전이 가능한 각도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의 타측단에 체결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일측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제1 커버; 상기 이너 하우징이 삽입되게 중심이 관통 형성되고, 내측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지지되고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 상기 스톱퍼가 체결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제1 커버에 체결되는 아우터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의 타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타측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는, 상기 이너 하우징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톱퍼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스톱퍼의 양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 체결되는 스톱퍼 체결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너 하우징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의 타측단에 체결되는 이너 하우징 몸체; 상기 이너 하우징 몸체의 양측단에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가 삽입되어 상기 스톱퍼의 정지면과 일정 갭을 가지도록 스톱퍼홈이 형성된 플랜지부; 및 상기 이너 하우징 몸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지지되는 탄성부재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는,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탄성부재 수용부와, 시계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탄성부재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탄성부재 수용부에 배치되어 타측단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수용부에 배치되어 타측단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단이 삽입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대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따르면, 차량이 직선 주행 시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작은 강성이 작용하여 직선 주행 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곡선 주행 시에는 스테빌라이저 바에 의한 큰 강성이 작용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스테빌라이저 바 대비 큰 강성을 가지는 스테빌라이저 바를 적용할 수 있어 곡선 주행 시에 주행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 부분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I-II' 부분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서 아우터 하우징 몸체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서 이너 하우징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서 아우터 하우징 몸체에 이너 하우징과 탄성부재와 스톱퍼가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서 스톱퍼의 다양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서 다양한 실시예의 스톱퍼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0은 종래 스테빌라이저 바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의 롤 변위에 따른 인가 하중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I-I' 부분 및 II-II' 부분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상기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서 아우터 하우징 몸체 및 이너 하우징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에 이너 하우징과 탄성부재와 스톱퍼가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나아가, 도 8 및 도 9는 상기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에서 스톱퍼의 다양한 실시예 및 그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100)는 차량이 직선 주행 시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작은 강성이 작용하고, 곡선 주행 시에는 스테빌라이저 바에 의한 큰 강성이 작용하도록 동작하여, 직선 주행 시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면서 곡선 주행 시에는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테빌라이저 바를 분할하여 한쌍으로 제작하고, 좌측 차륜에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와 우측 차륜에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저 바를 서로 상대 회전하게 체결하고, 일정 각도 미만으로 상대 회전하는 경우 즉, 직선 주행 구간에서는 서로 상대 회전하되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일정 각도 이상으로 상대 회전하는 경우 즉, 곡선 주행 구간에서는 양 스테빌라이저 바가 서로 맞물려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에 의해 차량의 롤링 현상을 방지하도록 동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100)는 일측단(112)이 차량의 일측 차륜에 연결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와, 일측단(122)이 차량의 타측 차륜에 연결되는 제2 스테빌라이저 바(120)와,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의 타측단(111)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중공부가 형성된 아우터 하우징(200)과,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120)의 타측단(121)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대 회전하는 이너 하우징(300)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과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상대 회전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400), 그리고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상대 회전시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상대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스톱퍼(5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100)는 스테빌라이저 바가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와 제2 스테빌라이저 바(120) 2개로 분할되어 마련되고,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는 차량의 일측 차륜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120)는 차량의 타측 차륜과 상기 이너 하우징(300)에 체결되어 일정 각도 범위에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와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120)가 상대 회전하는 구간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적용되는 구간으로 강성이 매우 낮은 제1 강성 구간이고, 일정 각도 범위를 벗어나 상대 회전이 제한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와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120)가 구속되어 함께 회전하여 강성이 크게 작용하는 제2 강성 구간이다.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은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의 타측단(111)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와 함께 회전하고, 중공부에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은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의 타측단(111)에 체결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300)의 일측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제1 커버(210)와,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400)가 지지되며 일측면이 상기 제1 커버(210)에 체결되는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 그리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의 타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300)의 타측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제2 커버(2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커버(210)는 개방된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의 일측면에 체결되도록 원판 형태로 마련되고, 중심에 형성된 제1 스테빌라이저 바 체결홈(211)에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의 타측단(111)이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버(210)는 중심에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이너 하우징 지지돌기(212)가 상기 이너 하우징(300)에 삽입되어 상기 이너 하우징(300)을 회전되게 지지한다.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는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중심이 관통된 관 형태로 마련되고, 개방된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커버(210)와 상기 제2 커버(230)가 체결되어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에는 내측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즉, 상기 이너 하우징(300) 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21)는 반경 방향으로는 상기 이너 하우징(300)과 이격되어 있어 서로 구속되지 않고, 원주 방향으로는 상기 탄성부재(400)가 지지되고,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는 상기 스톱퍼(500)가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에는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톱퍼(5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스톱퍼(500)의 양측 모서리(520) 부분이 삽입 체결되게 스톱퍼 체결홈(22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톱퍼(500)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과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일정 각도 범위를 벗어나 회전하는 경우 상기 이너 하우징(300)과 접촉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과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함께 회전하도록 하중이 인가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스톱퍼 체결홈(225)은 상기 스톱퍼(500)가 회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정확히 하중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는 구성이다.
상기 제2 커버(230)는 개방된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의 타측면에 체결되도록 원판 형태로 마련되고, 중심에 형성된 제2 스테빌라이저 바 관통홀(231)에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120)가 관통 삽입되어 서로 구속되지 않고 상대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나아가,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에 상기 제1 커버(210)와 상기 제2 커버(230)를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커버(210, 230)에는 가이드 돌기(213, 233)와 볼트 삽입홈(214, 234)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의 양측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릿(223)과 볼트 체결홈(22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의 양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 커버(210, 230)를 밀착시키면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 슬릿(223)에 상기 제1 및 제2 커버(210, 230)의 가이드 돌기(213, 233)가 삽입되어 손쉽게 중심을 맞추어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커버(210, 23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볼트 삽입홈(214, 234)에 볼트(미도시)를 삽입시킨 후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에 형성된 볼트 체결홈(224)에 삽입하여 나사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커버(210)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커버(210)에 체결된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과 일체로 회전하게 구성된다.
상기 이너 하우징(300)은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120)의 타측단(121)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과 일정 각도 범위에서 상대 회전하고, 일정 각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스톱퍼(500)에 구속되어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이너 하우징(300)은 이너 하우징 몸체(310)와, 플랜지부(320)와 탄성부재 수용부(33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너 하우징 몸체(310)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고, 일측면에서 중심으로 관통 형성된 지지돌기 삽입홈(311)에 상기 이너 하우징 지지돌기(212)가 삽입되어 회전 지지되고, 타측면에서 중심으로 관통 형성된 제2 스테빌라이저 바 체결홈(312)에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120)의 타측단(121)이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1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320)는 상기 이너 하우징 몸체(310)의 양측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되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500)가 삽입되어 상기 스톱퍼(500)의 정지면(510)과 일정 갭을 가지도록 스톱퍼홈(3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톱퍼홈(321)에 상기 스톱퍼(50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일정 각도 범위를 벗어나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플랜지부(320)의 단부면(322)이 상기 스톱퍼(500)의 정지면(510)에 접촉하면서 상대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과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330)는 상기 이너 하우징 몸체(310)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400)가 삽입 지지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330)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221)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탄성부재 수용부(331)와, 시계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탄성부재 수용부(332)를 포함한다.
즉,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곡선 주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을 기준으로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400)는 제1 탄성부재(410)와 제2 탄성부재(420)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410)는 상기 제1 탄성부재 수용부(331)에 배치되어 타측단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221)에 지지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420)는 상기 제2 탄성부재 수용부(332)에 배치되어 타측단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221)에 지지되게 마련된다.
나아가,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330)에는 상기 탄성부재(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40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400)의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1 탄성부재 수용부(331)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수용부(332)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재 수용부(331, 332)에서 상기 지지부(221)에 인접한 측에 제1 고정돌기(33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21)에서 멀어지는 측에 제2 고정돌기(3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400)는 양측단이 상기 제1 고정돌기(333)와 상기 제2 고정돌기(334)에 각각 삽입되어 있어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33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21)에도 상기 탄성부재(40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400)가 압축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400)의 타측단이 삽입되는 지지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돌기(222)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에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이너 하우징(300)의 탄성부재 수용부(330)에 삽입되어 있는 탄성부재(400)의 타측단과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에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삽입 체결될 때는 상기 탄성부재(400)와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지만,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400)가 압축될 경우에는 상기 지지돌기(222)에 상기 탄성부재(400)의 타측단이 삽입된다.
나아가, 상기 제1 고정돌기(333)는 상기 지지돌기(222)와 함께 상기 탄성부재(400)의 타측단에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제1 고정돌기(333)와 상기 지지돌기(222)는 각각 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고정돌기(333)와 상기 지지돌기(222)가 함께 단면이 원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돌기(334)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일측단을 단독으로 지지하므로 상기 탄성부재(400)가 끼움 체결되도록 단면이 원 형태를 가지는 돌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과 상기 이너 하우징(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대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체(60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체(600)는 한쌍의 베어링으로 마련되어, 외륜이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의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에 각각 끼움 체결되고, 내륜에 상기 이너 하우징(300)의 이너 하우징 몸체(310)가 각각 끼움 체결되어,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과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스톱퍼(500)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에 형성된 지지부(221)의 길이 방향 양측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220)의 스톱퍼 체결홈(225)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상대 회전시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상대 회전하도록 제한한다.
즉, 상기 스톱퍼(500)는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정지면(510)이 상기 이너 하우징(300)의 플랜지부(320)의 양측 단부면(322)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있고, 상기 이너 하우징(300)이 상대 회전하면 상기 플랜지부(320)의 단부면(322)이 상기 정지면(510)에 접촉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300)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300)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이 함께 회전하도록 구속하여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110)와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120)가 함께 회전하여 롤링을 억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320)의 단부면(322)과 상기 스톱퍼(500)의 정지면(510) 간의 간격이 커지게 되면 곡선 주행 구간에 돌입하여도 제2 강성 구간 진입이 늦어지게 되어 곡선 주행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고,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직선 주행 구간에서 제2 강성 구간에 진입하게 되어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제2 강성 구간에 진입하기 위한 변곡 시점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모두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성능 평가를 통하여 각 차량에 최적의 변곡 시점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스톱퍼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정지면 간의 간격이 서로 다른 스톱퍼를 복수로 마련하고, 정지면 간의 간격이 다른 스톱퍼로 교체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200)과 상기 이너 하우징(300)의 상대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를 변경하여 제2 강성 구간에 진입하는 변곡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면 간의 간격이 서로 다른 스톱퍼를 3개 마련하였다. 제1 스톱퍼(501)는 정지면(511) 간의 간격(L1)이 제2 스톱퍼(502)의 정지면(512) 간의 간격(L2)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3 스톱퍼(503)는 정지면(513) 간의 간격(L3)이 제2 스톱퍼(502)의 정지면(512) 간의 간격(L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렇게, 정지면 간의 간격이 서로 다른 스톱퍼를 적용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톱퍼(501)의 정지면(511)과 플랜지부(320)의 단부면(322)이 이루는 각도(θ1)는 제2 스톱퍼(502)의 정지면(512)과 플랜지부(320)의 단부면(322)가 이루는 각도(θ2)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제1 스톱퍼(501)가 적용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가 제2 스톱퍼(502)가 적용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보다 제2 강성 구간에 진입하는 변곡 시점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제2 스톱퍼(502)의 정지면(512)과 플랜지부(320)의 단부면(322)이 이루는 각도(θ2)는 제3 스톱퍼(503)의 정지면(513)과 플랜지부(320)의 단부면(322)가 이루는 각도(θ3)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제2 스톱퍼(502)가 적용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가 제3 스톱퍼(503)가 적용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보다 제2 강성 구간에 진입하는 변곡 시점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제2 강성 구간에 진입하는 최적의 변곡 시점을 설정하면, 그에 대응하여 스톱퍼를 교체하여 최적의 주행 편의성과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스테빌라이저 바는 하나의 스테빌라이저 바로 마련되어 있어 항시 일정한 강성이 인가되므로, 직성 주행 시 편의성과 곡선 주행 시 안정성을 모두를 고려하여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설정하는데, 직선 주행 시 편의성을 고려하여 높은 강성을 가지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는 직선 주행 구간에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작게 하여 스테빌라이저 바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2 강성 구간에서의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종래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 대비 크게 할 수 있어 곡선 주행 구간에서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종래 스테빌라이저 바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의 롤 변위에 따른 인가 하중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롤 변위는 차륜에 연결된 스테빌리아저 바의 일측단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변위를 나타낸 것이고, 인가 하중은 롤 변위에 따라 스테빌라이저 바에 인가되는 하중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테빌라이저 바(A)는 하나의 스테빌라이저 바로 마련되어 양측단에 각각 차륜이 연결되어 있어 롤 변위가 변하게 되면 그에 비례하여 하중이 변화한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B)는 D1 롤 변위까지는 탄성부재의 탄성력만 인가되는 제1 강성 구간(K1)으로 강성이 매우 낮고, D1 롤 변위를 넘어가면 제1 스테빌라이저 바와 제2 스테빌라이저 바가 구속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 강성 구간(K2)으로 강성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종래의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보다 크게 마련하면, 제2 강성 구간(K1)에서 본 발명의 스테빌라이저 바가 종래 스테빌라이저 바와 비교하여 롤 변위에 대하여 하중 변화가 크게 작용하게 되어 D2 롤 변위를 넘어가면 인가 하중이 역전된다.
따라서, 차량이 가파른 곡선 구간을 주행하여 롤 변위가 크게 작용하면 즉, D2 롤 변위를 넘어가게 되면 본 발명의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가 종래 스테빌라이저 바와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롤링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110 : 제1 스테빌라이저 바
120 : 제2 스테빌라이저 바 200 : 아우터 하우징
210 : 제1 커버 220 : 아우터 하우징 몸체
221 : 지지부 222 : 지지돌기
230 : 제2 커버 300 : 이너 하우징
310 : 이너 하우징 몸체 320 : 플랜지부
321 : 스톱퍼홈 330 : 탄성부재 수용부
331 : 제1 탄성부재 수용부 332 : 제2 탄성부재 수용부
333 : 제1 고정돌기 334 : 제2 고정돌기
400 : 탄성부재 410 : 제1 탄성부재
420 : 제2 탄성부재 500 : 스톱퍼
510 : 정지면 600 : 회전 지지체

Claims (10)

  1. 일측단이 차량의 일측 차륜에 연결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 바;
    일측단이 차량의 타측 차륜에 연결되는 제2 스테빌라이저 바;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의 타측단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중공부가 형성된 아우터 하우징;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의 타측단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대 회전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이 상대 회전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이 상대 회전시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상대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정지면이 상기 이너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고,
    정지면 간의 간격이 서로 다른 스톱퍼가 복수로 마련되고, 정지면 간의 간격이 다른 스톱퍼로 교체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의 상대 회전이 가능한 각도 범위를 변경하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 바의 타측단에 체결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일측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제1 커버;
    상기 이너 하우징이 삽입되게 중심이 관통 형성되고, 내측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지지되고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 상기 스톱퍼가 체결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제1 커버에 체결되는 아우터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의 타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타측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제2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 몸체는,
    상기 이너 하우징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톱퍼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스톱퍼의 양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 체결되는 스톱퍼 체결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 바의 타측단에 체결되는 이너 하우징 몸체;
    상기 이너 하우징 몸체의 양측단에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가 삽입되어 상기 스톱퍼의 정지면과 일정 갭을 가지도록 스톱퍼홈이 형성된 플랜지부; 및
    상기 이너 하우징 몸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지지되는 탄성부재 수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는,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탄성부재 수용부와, 시계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탄성부재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탄성부재 수용부에 배치되어 타측단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수용부에 배치되어 타측단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단이 삽입되는 지지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대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1020190064419A 2019-05-31 2019-05-31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102168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19A KR102168446B1 (ko) 2019-05-31 2019-05-31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DE102020206724.4A DE102020206724B4 (de) 2019-05-31 2020-05-28 Semiaktive stabilisatorvorrichtung
US16/887,899 US11285777B2 (en) 2019-05-31 2020-05-29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19A KR102168446B1 (ko) 2019-05-31 2019-05-31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446B1 true KR102168446B1 (ko) 2020-10-21

Family

ID=7303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419A KR102168446B1 (ko) 2019-05-31 2019-05-31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85777B2 (ko)
KR (1) KR102168446B1 (ko)
DE (1) DE10202020672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5526B3 (de) * 2017-09-05 2019-03-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altbare Stabilisatoranordnung eines Fahrzeuges
KR102070383B1 (ko) * 2018-08-31 2020-01-28 대원강업주식회사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735A (ja) * 2009-07-31 2011-02-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スタビライザ装置
KR20110056988A (ko) * 2009-11-23 2011-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어셈블리
KR20170086962A (ko) * 2016-01-19 2017-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7712A1 (de) 1978-04-22 1979-10-31 Daimler Benz Ag Wankstabilisierung fuer kraftfahrzeuge,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JPS60150116U (ja) 1984-03-19 1985-10-0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スタビライザ装置
CN103303093B (zh) 2012-03-13 2016-03-3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式横向稳定装置
DE102013002714B4 (de) * 2013-02-16 2016-06-30 Audi Ag Drehfederanordnung für eine Radaufhäng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7109137B4 (de) 2017-04-28 2020-09-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ntkopplungseinheit für einen Wankstabilisator sowie Wankstabilisator mit der Entkopplungseinheit
DE102017215526B3 (de) * 2017-09-05 2019-03-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altbare Stabilisatoranordnung eines Fahrzeug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735A (ja) * 2009-07-31 2011-02-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スタビライザ装置
KR20110056988A (ko) * 2009-11-23 2011-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어셈블리
KR20170086962A (ko) * 2016-01-19 2017-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5777B2 (en) 2022-03-29
US20200376919A1 (en) 2020-12-03
DE102020206724A1 (de) 2020-12-03
DE102020206724B4 (de)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446B1 (ko)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US10816089B2 (en) Gear unit for motor vehicle
US10987990B2 (en) Semi-active anti-roll stabilizer bar
CN104943739A (zh) 动力转向装置
CN101367402B (zh) 方向盘的位置调节装置
KR102017465B1 (ko) 스테빌라이저용 클러치장치
US7543832B2 (en) Variable rate stabilizer bar
US6860167B2 (en) Transmission for a stabilize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chassis
KR102406076B1 (ko)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JP201901435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の製造方法
KR102362991B1 (ko)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CA3133724A1 (en) Suspension system and steering capabilities
KR102168454B1 (ko)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102349847B1 (ko)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101755890B1 (ko)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KR20170048268A (ko) 반능동 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KR101745538B1 (ko)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KR102070384B1 (ko)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KR102138773B1 (ko) 전동식 조향 장치
JP2008247174A (ja) 軸箱支持装置
KR101866192B1 (ko)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KR20180064580A (ko) 차량의 롤 강성 가변 장치
KR20140016089A (ko) 스티어링 기어의 랙 지지장치
KR100448780B1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바의 구조
KR102478053B1 (ko) 조향시스템용 댐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