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384B1 -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 Google Patents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384B1
KR102070384B1 KR1020180114624A KR20180114624A KR102070384B1 KR 102070384 B1 KR102070384 B1 KR 102070384B1 KR 1020180114624 A KR1020180114624 A KR 1020180114624A KR 20180114624 A KR20180114624 A KR 20180114624A KR 102070384 B1 KR102070384 B1 KR 10207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ounter surface
stabilizer bar
semi
active an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만승
김진영
배상은
김선준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9Mounting of transmission different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60G2800/012Rolling condition
    • B60G2800/0122Roll rigidity ratio; War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전기 액추에이터 없이 롤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Semi-active Anti-roll Stabilizer Bar}
본 발명은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한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는 차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차량 하부에서 좌우 차륜 측을 서로 연결하며 장착된다.
스테빌라이저 바는, 특히 차량의 곡선로 주행 시에, 원심력에 의한 횡방향 가속도에 의해 차체에 롤링이 발생하며 곡선로에 대한 반경방향 내측 차륜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테빌라이저 바는 롤링에 의한 전복 방지, 즉 안전성 측면에서는 차륜이 지면에 지속적으로 닿아 있도록 할 필요에서 강성이 강한 것이 좋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안전성이 문제되지 않는 경우로서 예컨대 평지 주행 시에는, 승차감 향상을 위해 차체에 대한 차륜의 주행 하중 전달이 최소화되도록 강성이 약하거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각도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이내까지는 평지 주행 상황으로서 강성이 매우 약하다가도 그 기준 각도 이상에서는 강성이 강해지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스테빌라이저 바로서, 단일 환봉 또는 파이프 소재를 적정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를 요구되는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열처리와 쇼트피닝 및 도장 등의 공정을 거쳐 제작하는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이 단일 소재로 제작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경우,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단가가 낮은 이점이 있으나,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고유의 강성이 항상 일정하게 작용하여 강성이 조절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스테빌라이저 바를 좌측과 우측으로 분할하고, 그 사이에 액추에이터를 설치한 능동 롤 스테빌라이저 바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기 모터, 유압 모터 등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힘으로 바꾸어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좌우 스테빌라이저 바를 비틀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능동 롤 스테빌라이저 바의 경우, 상황에 따라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줌으로써 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능동 스테빌라이저 바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센서 및 제어장치가 반드시 필요하여 생산단가가 높은 것은 물론이며, 액추에이터의 큰 부피로 인하여 차량 설치 시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성 조절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는 하중 센서이기 때문에,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각도를 반영하여 강성을 가변하지는 못하는 단점이 있다.
능동 스테빌라이저 바는 특히 가격 및 중량 문제로 인해 고가 차량에만 적용되어 사용될 뿐 중저가 차량에는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차량의 안전성 및 승차감에 대한 요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낮은 생산 원가 및 경량화 된 구조이면서 주행 상황에 맞추어 강성이 가변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로서 중저가 차량에 적합한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액추에이터와 센서 및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비틀림 강성이 가변될 수 있는 반능동 앤티 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는 제1스텝바, 제2스텝바, 제1회전체, 제2회전체, 회전지지수단, 제1탄성체,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제1스텝바는 일단은 차량의 일측 차륜 측과 연결된다.
제2스텝바는 일단은 차량의 타측 차륜 측과 연결된다.
제1회전체는 제1스텝바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제1대항면 및 제2대항면을 포함한다.
제1회전체는 원형 단면의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체는 제2스텝바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제1대항면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3대항면과 제2대항면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4대항면을 포함한다.
제2회전체는 제1회전체의 중앙부가 삽입되는 원형의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 수단은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가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 지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회전체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구름면과 제2회전체 중공부의 적어도 일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제1구름면이 회전 가능하게 내접하는 제2구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지지 수단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회전체의 중앙부 양단에서 중앙부의 외주면과 제2회전체 중공부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스텝바는 제1회전체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회전 지지 수단은, 중앙부의 양측에서 제1스텝바와 제2회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체는 제1대항면과 제3대항면 사이에 설치되어 그 원주방향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유연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다가, 제1대항면과 제3대항면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져 그 사이에서 완전히 압착되면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비틀림 하중을 다른 쪽으로 그대로 전달한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를 설계할 때, 제1탄성체가 그와 같이 완전히 압착될 때의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 사이의 상대 회전 각도를 정해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그 설정 각도까지는 제1탄성체의 변형으로 인해 롤 강성이 유연하게 작용하게 되며, 그 설정 각도 이상에서는 제1스텝바와 제2스텝바 자체의 롤 강성이 작용하게 되어 롤 강성이 커지게 된다.
제2탄성체는 제2대항면과 제4대항면 사이에 설치되어 그 원주방향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유연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다가, 제2대항면과 제4대항면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져 그 사이에서 완전히 압착되면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비틀림 하중을 다른 쪽으로 그대로 전달한다. 만찬가지로,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를 설계할 때, 제2탄성체가 그와 같이 완전히 압착될 때의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 사이의 상대 회전 각도를 정해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그 설정 각도까지는 제1탄성체의 변형으로 인해 롤 강성이 유연하게 작용하게 되며, 그 설정 각도 이상에서는 제1스텝바와 제2스텝바 자체의 롤 강성이 작용하게 되어 롤 강성이 커지게 된다.
제1대항면과 제3대항면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와 제2대항면과 제4대항면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는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 사이의 상대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일 때이다.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각각 반경방향 내측단에서 제1회전체에 고정 연결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각각 제1대항면 및 제2대항면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반경방향의 양단이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항상 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그 양단이 항상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와 접하게 되어, 접촉과 이탈의 반복에 의한 소음 발생이 방지되며 또한 내구성이 향상된다.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판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판스트링은 반경방향의 설정 거리에서 적어도 한 번 절곡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은 반경방향에 대해 적어도 일부에서 곡선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탄성체 및/또는 제2탄성체가 없는 경우에는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는 그 서로 대향하는 면들이 닿지 않는 범위인 설정 각도 이내의 상대 회전 범위 까지는 롤 강성이 작용하지 않다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상대회전되면 대향면들이 서로 접하면서 제1스템바와 제2스텝바가 마치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은 롤 강성이 발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전기 액추에이터와 센서 및 제어장치 없이 롤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의 측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의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가 서로 반대로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의 상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단면 중에서 제1구름면과 제2구름면으로 구성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6의 B-B단면 중에서 제1회전체의 중앙부가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6의 B-B단면 중에서 제1스텝바가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판스프링이 압축될 때 강성의 변화를 3가지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능동 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는 제1스텝바(100), 제2스텝바(110), 제1회전체(120), 제2회전체(130), 회전지지수단, 제1탄성체,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제1스텝바(100)는 일단은 차량의 일측 차륜(미도시) 측과 연결된다.
제2스텝바(110)는 일단은 차량의 타측 차륜(미도시) 측과 연결된다.
제1회전체(120)는 제1스텝바(100)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제1대항면(121) 및 제2대항면(122)을 포함하고, 원형 단면의 중앙부(123)를 포함한다. 제1회전체(120)의 중앙부(123)에는 제1스텝바(100)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제2회전체(130)는 제2스텝바(110)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제1대항면(121)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3대항면(131)과 제2대항면(122)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4대항면(132)을 포함한다. 제2회전체(130)는 제1회전체(120)의 중앙부(123)가 삽입되는 원형의 중공부(133)를 포함한다. 또한, 제1회전체(120)가 중공부(133)에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제2회전체(130)의 일측에 덮개(135)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지지 수단은 제1회전체(120)와 제2회전체(130)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데 제1회전체(120)가 제2회전체(130)의 중공부(133) 내에서 설정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회전지지수단은 본 발명에서 3가지 실시예를 통해 제1회전체(120)와 제2회전체(130)를 지지한다.
제1실시예에서의 회전 지지 수단은, 도 7를 참조하면 제1회전체(120) 중앙부(123)의 적어도 일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구름면(124)과 제2회전체(130) 중공부(133)의 적어도 일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제1구름면(124)이 회전 가능하게 내접하는 제2구름면(134)을 통해 지지된다. 이 경우 제1구름면(124)과 제2구름면(134)에는 윤활제가 발라져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그리스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의 회전 지지 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체(120)의 중앙부(123) 양단에서 중앙부(123)의 외주면과 제2회전체(130) 중공부(133)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체(120)는 축방향으로 양단의 베어링(16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된다.
제3실시예에서의 회전 지지 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텝바(100)는 제1회전체(120)의 중앙부(123)를 관통하고, 중앙부(123)의 양측에서 제1스텝바(100)와 제2회전체(130)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1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회전체(120)는 축방향으로 양단의 베어링(160) 사이에 설치되고 제1스텝바(100)가 베어링(16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된다.
제1탄성체는 제1대항면(121)과 제3대항면(131) 사이에 설치되고, 제2탄성제는 제2대항면(122)과 제4대항면(132)에 설치된다.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제1판스프링(140)은 도 5 (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회전체(120) 및 제2회전체(1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대항면(121)과 제3대항면(131)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탄성적으로 롤강성이 작용한다. 제1회전체(120) 및 제2회전체(1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대항면(121)과 제3대항면(131)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면 제1판스프링(140)이 완전히 압축된다. 이때 제1회전체(120) 및 제2회전체(13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더욱 회전되면 사실상 탄성체는 완전히 압축된 상태이고 제1판스프링(140)은 사실상 제1대항면(121)과 제3대항면(131) 사이에 금속판이 있는 것과 다를 바 없어 판스프링(140,150)의 탄성은 전혀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제1판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한 롤강성은 발생되지 않으며, 이때부터는 제1스텝바(100)와 제2스텝바(110)가 하나의 구성인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되어 제1스텝바(100)와 제2스텝바(110) 자체의 롤강성이 작용된다.
제2판스프링(150)은 도 5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2판스프링(150)이 제1회전체(120) 및 제2회전체(1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대항면(122)과 제4대항면(132)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탄성적으로 롤강성이 작용한다. 제1회전체(120) 및 제2회전체(1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대항면(122)과 제4대항면(132)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면 제2판스프링(150)이 완전히 압축된다. 이때 제1회전체(120) 및 제2회전체(13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더욱 회전되면 사실상 탄성체는 완전히 압축된 상태이고 제2판스프링(150)은 사실상 제2대항면(122)과 제4대항면(132) 사이에 있는 금속판이 있는 것과 다를 바 없어 판스프링(140,150)의 탄성은 전혀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제2판스프링(150)의 탄성에 의한 롤강성은 발생되지 않으며, 이때부터는 제1스텝바(100)와 제2스텝바(110)가 하나의 구성인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되어 제1스텝바(100)와 제2스텝바(110) 자체의 롤강성이 작용된다.
제1판스프링(140)은 및 제2판스프링(1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의 양단이 제1회전체(120) 및 제2회전체(13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항상 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제1판스프링(140) 및 제2판스프링(150)은 양단이 항상 접촉상태에 되어 제1회전체(120)와 제2회전체(13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판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제2판스프링(150)의 탄성력이 더해질 수도 있고 제1판스프링(140)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일 때 제2판스프링(150)이 일단이 제2회전체(130)에 접촉이 안 된 상태에서 반대방향 회전으로 인해 다시 접촉할 때 부딪히면서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판스프링(140)과 제2판스프링(150)을 이용한 롤 강성 구조가 설치된 부분의 반대측에 동일한 구조로 제1판스프링(140')이 제1대항면(121')과 제3대항면(131') 사이와 제2판스프링(150')이 제2대항면(122')과 제4대항면(132') 사이에 대칭으로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판스프링(140) 및 제2판스프링(1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반경방향 내측단 즉, 중앙부(123) 외주면에 고정 연결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각각 제1대항면(121) 및 제2대항면(122)으로 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제1회전체(120)와 제2회전체(1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대항면(121)과 제3대항면(131) 사이와 제2대항면(122)과 제4대항면(132) 사이는 항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판스프링(140) 또는 제2판스프링(150)이 휘어진 형상을 통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이 용이하도록 제1판스프링(14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1판스프링(140)의 C부분이 한번 절곡된 상태이다. 이 경우 제1판스프링(140) 압축될 때 먼저 A부분이 제1대항면(121)에 밀착되면서 θ1지점까지 1차로 반발토크가 발생된다. 그리고 나서 더욱 제1대항면(121)에 밀착되면 2차 반발토크가 발생되고 반발토크가 θMax 지점까지 가파르게 증가하게 된다. 그 다음 제1판스프링(140)이 완전히 압축되면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S/T Bar와 동일한 반발토크가 발생된다.(그래프 상에서는 θMax 이후의 기울기가 종래 S/T Bar의 기울기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제1판스프링(140)이 곡선으로 형성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제1판스프링(140)이 제1대항면(121)에 곡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밀착될 때 반발토크가 연속적으로 완만하게 증가된다. 곡선의 형상은 상기의 실시예처럼 어느 한 부분이 절곡된 것이 아니라 촘촘하게 여러번 절곡된 것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제1대항면(121)에 밀착되는 것이다. 그 다음 제1판스프링(140)이 완전히 밀착되면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S/T Bar와 거의 동일한 반발토크가 발생된다.(그래프 상에서는 θMax 이후의 기울기가 종래 S/T Bar의 기울기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제1판스프링(140)이 중간부분까지는 직선의 형태이다가 중간부분 이후부터는 곡선인 형상이다. 이 경우에는 (a)실시예와 (b)실시예에서 발생되는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다 즉 제1판스프링(140)이 압축되면 A부분이 먼저 제1대항면(121)에 밀착되면서 θ1 지점까지는 1차로 반발토크가 발생되고 그 다음에는 곡선이기 때문에 회전 각도에 따라 곡선적으로 강성이 변한다. 그 다음 제1판스프링(140)이 완전히 제1대항면(121)에 밀착되면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S/T Bar와 거의 동일한 반발토크가 발생된다.(그래프 상에서는 θMax 이후의 기울기가 종래 S/T Bar의 기울기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100: 제1스텝바
110: 제2스텝바
120: 제1회전체
121: 제1대항면
122: 제2대항면
123: 중앙부
124: 제1구름면
130: 제2회전체
131: 제3대항면
132: 제4대항면
133: 중공부
134: 제2구름면
135: 덮개
140: 제1판스프링
150: 제2판스프링
160: 베어링

Claims (10)

  1. 일단은 차량의 일측 차륜 측과 연결되는 제1스텝바;
    일단은 상기 차량의 타측 차륜 측과 연결되는 제2스텝바;
    상기 제1스텝바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제1대항면 및 제2대항면을 포함하는 제1회전체;
    상기 제2스텝바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대항면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3대항면과 상기 제2대항면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4대항면을 포함하는 제2회전체;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제2회전체가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지지 수단;
    제1대항면과 제3대항면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유연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다가, 상기 제1대항면과 상기 제3대항면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져 완전히 압착되면 상기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의 어느 하나의 비틀림 하중을 다른 하나로 그대로 전달하는 제1탄성체; 및
    제2대항면과 제4대항면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유연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다가, 상기 제2대항면과 상기 제4대항면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져 완전히 압착되면 상기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의 어느 하나의 비틀림 하중을 다른 하나로 그대로 전달하는 제2탄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판스프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반경방향의 설정 거리에서 적어도 한 번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반경방향에 대해 적어도 일부에서 곡선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는 원형 단면의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의 중앙부가 삽입되는 원형의 중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 수단은, 상기 제1회전체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구름면과 상기 제2회전체 중공부의 적어도 일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구름면이 회전 가능하게 내접하는 제2구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 수단은, 상기 제1회전체의 상기 중앙부 양단에서 상기 중앙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회전체 중공부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텝바는 상기 제1회전체의 상기 중앙부를 관통하고,
    상기 회전 지지 수단은,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서 제1스텝바와 상기 제2회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은, 각각 반경방향 내측단에서 상기 제1회전체에 고정 연결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각각 상기 제1대항면 및 제2대항면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각각 반경방향의 양단이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항상 압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바 장치.
KR1020180114624A 2018-09-27 2018-09-27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KR10207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624A KR102070384B1 (ko) 2018-09-27 2018-09-27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624A KR102070384B1 (ko) 2018-09-27 2018-09-27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384B1 true KR102070384B1 (ko) 2020-01-28

Family

ID=6937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624A KR102070384B1 (ko) 2018-09-27 2018-09-27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3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4790A (en) * 1988-06-01 1989-12-05 Paul Castrilli Nonlinear torsion spring
KR20070037079A (ko) * 2005-09-30 2007-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차감 향상 기능을 갖는 스테빌라이저 바 구조
KR20170081185A (ko) * 2014-11-12 2017-07-11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엘라스토머 커플링 및 그에 부속된 롤 스태빌라이저
KR20170082938A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 만도 댐핑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액티브 롤 스테빌라이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4790A (en) * 1988-06-01 1989-12-05 Paul Castrilli Nonlinear torsion spring
KR20070037079A (ko) * 2005-09-30 2007-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차감 향상 기능을 갖는 스테빌라이저 바 구조
KR20170081185A (ko) * 2014-11-12 2017-07-11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엘라스토머 커플링 및 그에 부속된 롤 스태빌라이저
KR20170082938A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 만도 댐핑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액티브 롤 스테빌라이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383B1 (ko)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US7392978B2 (en) Wheel suspension with spring adjustment for motor vehicles
US9216612B2 (en) Mecanum wheel and Mecanum-wheeled vehicle
DE102012206337B4 (de) Vorrichtung einer Radaufhängung eines zweispurigen Fahrzeugs
US6860167B2 (en) Transmission for a stabilize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chassis
JP2006001544A (ja) アクティブ車輪サスペンション
US20030011157A1 (en) Suspension system with a slider enabling camber
EP2683562B1 (fr) Dispositif de liaison d'une roue a une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US7735837B2 (en) Active anti-roll device
CN106062397A (zh) 伸缩式旋转传递轴
JP6891783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102070384B1 (ko) 반능동 앤티-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WO2017083358A1 (en) Leaf spring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3549166A (en) Vibration damper and preloader bearing assembly
KR102168446B1 (ko)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US6499753B2 (en) Vehicle rack and pinion steering
CN105109301B (zh) 一种稳定杆结构和汽车
JPH09300932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A1082234A (en) Sprung vehicles
JP7193964B2 (ja) スタビライザ装置
KR20170048268A (ko) 반능동 롤 스테빌라이저 바 장치
JP2008247174A (ja) 軸箱支持装置
CN114074506A (zh) 用于悬架的衬套和包括这种衬套的车辆
KR102168454B1 (ko)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KR102349847B1 (ko)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