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083B1 - 전동 칫솔 - Google Patents

전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083B1
KR102070083B1 KR1020147020386A KR20147020386A KR102070083B1 KR 102070083 B1 KR102070083 B1 KR 102070083B1 KR 1020147020386 A KR1020147020386 A KR 1020147020386A KR 20147020386 A KR20147020386 A KR 20147020386A KR 102070083 B1 KR102070083 B1 KR 102070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toothbrush
head
vibration
moto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078A (ko
Inventor
아이 와타나베
준 모리구치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41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5Handles or detai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81Vibrating brush body, e.g. by using eccentric weights

Abstract

구강 내에서의 이닦기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헤드부를 확실하게 진동시킬 수 있고, 또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어 휴대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적인 전동 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동 칫솔(10)은 헤드부(13), 네크부(12), 조작부(11)로 이루어지는 전동 칫솔로서, 헤드부 저면측에는 코인형 진동 모터(17), 헤드부 상면측에는 착탈 가능한 식모 플레이트(22)를 갖는 헤드부(13)와, 조작부(11)에는 전지와 스위치부를 수용하고, 상기 전지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칫솔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칫솔{ELECTRIC TOOTHBRUSH}
본 발명은 휴대성이 우수한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3월 23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2-068043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가정 내뿐만 아니라 근무처나 여행처라는 외출처에서도 이닦기를 행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칫솔에는 휴대성이 요구되지만, 전동 칫솔의 경우, 전체가 대형화되기 때문에 휴대성이 뒤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전동 칫솔로서는 복수의 브러시가 식모된 헤드부가 회전하는 회전식과, 복수의 브러시가 식모된 헤드부가 진동하는 진동식이 알려져 있다. 진동식은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된 편심추에 의해 브러시 전체를 진동시키는 구성이며, 구성 부품이 적기 때문에 회전식에 비해 전동 칫솔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진동식의 전동 칫솔로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전동 칫솔(1)을 들 수 있다.
전동 칫솔(1)은 사용자가 악지(握持) 조작하는 조작부(2)와, 조작부(2)에 장착된 네크부(3)와, 네크부(3)의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4)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2)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단4 전지 등의 전원(5)과, 전원(5)으로부터 전원 공급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6)와, 모터(6)의 출력축(6a)에 장착된 편심추(7)와, 모터(6)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스위치(8) 등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6) 및 편심추(7)는 네크부(3)를 통해 헤드부(4)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발생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네크부(3)와 헤드부(4)는 일체화되어 네크부(3)를 조작부(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동 칫솔에 있어서는 조작부에 적어도 모터 등의 전동기나 전지 등의 전원 등을 장비해야 하는 점에서 소형화의 면에서 아직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휴대하기 위해서는 불편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래서, 소형이며 휴대성이 우수한 전동 칫솔을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브러시가 식설된 헤드부와 네크부가 일체인 2개의 칫솔체를 구동부 등을 구비한 조작부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그 2개의 칫솔체와 조작부를 함께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한 것(특허문헌 1), 조작부에 장착된 칫솔체를 통형상의 칫솔 케이스로 덮는 것(특허문헌 2), 모터를 네크부의 근원측에 배치해서 소형화를 도모한 것(특허문헌 3, 4)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또는 헤드부에 소위 리니어 모터를 매설한 전동 칫솔(특허문헌 5, 6)이나, 교환부에 구동부, 브러시부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특허문헌 7)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8-80220호 공보 일본 특허 제 46810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3-93415호 공보 일본 특허 제 47482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9-1063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9-4520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1-143057호 공보
그러나, 예를 들면 2개의 칫솔체와 조작부를 함께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사용 시에는 칫솔체를 조작부의 구동축에 장착하고, 미사용 시에는 구동축으로부터 칫솔체를 분리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착탈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근무처와 같은 제한된 좁은 스페이스의 세면소 등에서는 이닦기 작업을 행하고 있는 동안 다른 1개의 칫솔체를 수납한 케이스를 두는 곳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었다.
조작부에 장착된 칫솔체를 통형상의 칫솔 케이스로 덮는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구체적인 치수 관계가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의 크기는 추측이 되지만 적어도 그 전체 사이즈는 휴대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은 가정용과 대략 동일한 사이즈가 되어 휴대성에 특화된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은 것이었다.
모터를 네크부의 근원측에 배치해서 소형화를 도모한 특허문헌 3, 4에 있어서는 네크부의 근원측이 극단적으로 굵어져 네크부의 선단측의 길이를 어느 정도 확보하지 않으면 칫솔 작업의 작업성이 저해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과 같이 브러시체와 일체인 네크부의 내부에 모터를 고착시켰을 경우, 칫솔체의 소모에 의해 교환 시기가 되었을 때에는 모터를 포함하는 네크부 전체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앙등해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헤드부에 소위 구동부(리니어 모터)를 매설한 특허문헌 5에 있어서는 리니어 모터의 소형화가 곤란하며, 헤드부가 커지거나 무거워지거나 해서 사용성이 손상된다. 또한, 리니어 모터에서는 브러시의 모에 대하여 그 연장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것뿐이며, 양호한 청소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또한, 리니어 모터는 소비 전력이 크기 때문에 전원을 빈번하게 교환하거나, 또는 전원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전원을 크게 하면 조작부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다.
또한, 헤드부에 구동부(리니어 모터)를 탑재한 특허문헌 6에 있어서 브러시 교체 시에는 리니어 모터를 구비한 헤드부째 교환할 필요가 있어 경제적이지 않다.
또한, 헤드부에 구동부(리니어 모터)를 탑재한 특허문헌 7에 있어서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중공의 헤드부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사양으로 함으로써 헤드부, 모터 사양을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칫솔이다. 그러나, 편심 분동이 부착된 모터를 포함한 지지체를 중공의 브러시 헤드부에 삽입함으로써 브러시부가 박육이 되어 강도에 불안이 남는다. 강도 확보를 위해서 두껍게 할 수 있지만, 네크부가 굵어져 구강 내 조작성이 뒤떨어진다.
그 외에, 진동식의 전동 칫솔을 소형화하는 수단으로서는 네크부를 짧게 하는, 전지를 작은 것(버튼 전지 등)으로 한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네크부를 짧게 하면 헤드부를 어금니까지 도달시키기 위해서는 굵은 조작부까지 입 안에 넣게 되어 조작성이 손상된다. 또한, 조작부를 짧게 하기 위해서 전지를 버튼 전지 등의 작은 것으로 하면 모터의 토크 부족이 발생하거나, 전지를 빈번하게 교환하거나, 충전을 빈번하게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구동부(코인형 진동 모터)를 헤드부에 탑재하고, 식모부(식모 플레이트, 솔)만을 교환 가능한 카세트식으로 함으로써 구동부를 버릴 필요가 없고, 또한 네크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구강 내 조작성이 우수한 전동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성을 손상하는 일 없고, 소형이며 휴대성이 우수하고, 확실하게 진동을 헤드부에 부여할 수 있는 전동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의 제 1 실시형태는
[1] 헤드부, 네크부, 및 조작부로 이루어지는 전동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의 저면측에는 코인형 진동 모터를, 상기 헤드부의 상면측에는 착탈 가능한 식모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조작부에는 전지와 스위치부를 수용하고, 상기 전지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코인형 진동 모터에 의해 칫솔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전동 칫솔에 의하면, 구강 내에서의 이닦기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헤드부를 확실하게 진동시킬 수 있고, 또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어서 휴대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의 제 2 실시형태는
[2] [1]에 있어서, 네크부에 진동을 차단하는 부재를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이다.
이러한 구성의 전동 칫솔에 의하면, 조작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할 수 있고, 조작부를 악지한 사용자의 손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의 제 3 실시형태는
[3] [1]에 있어서, 슬라이드식/조출식/접이식/캡 교체식의 방법으로 사용 시에는 핸들이 연장되는 기구를 구비한 전동 칫솔이다.
이러한 구성의 전동 칫솔에 의하면, 사용 시의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미사용 시의 콤팩트화를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의 제 4 실시형태는
[4] [1]에 있어서, 상기 코인형 진동 모터 상면에 진동 전달부를 구비한 전동 칫솔이다.
이러한 구성의 전동 칫솔에 의하면, 진동수를 증폭시키는 것이나, 진동의 방향성을 특이적으로 결정하는 것, 또한 진폭을 변화키시는 것이 가능하고, 구강 내의 청소성을 향상할 수 있다. 진동수를 증폭시키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섬유의 배향성을 코인형 모터의 진동 방향과 맞춘 것이 있다. 또한, 진동의 방향성을 제어하는 것으로서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섬유의 배향성을 일정한 방향으로 맞춤으로써 그 섬유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의 진동을 증폭시켜 수직 방향으로의 진동을 감쇠하는 것이 있다. 또한, 무게를 부여함으로써 진폭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은 구동부(코인형 진동 모터)를 헤드부에 탑재하고, 식모부(식모 플레이트, 솔)만을 교환 가능한 카세트식으로 함으로써 구동부를 버릴 필요가 없고, 또한 네크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구강 내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사용성을 손상하는 일 없고, 소형이며 휴대성이 우수하고, 확실하게 진동을 헤드부에 부여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을 나타내고, 전동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을 나타내고, 전동 칫솔 요부의 배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을 나타내고, 전동 칫솔 헤드부 단면도의 변형예의 확대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을 나타내고, 전동 칫솔 헤드부 단면도의 변형예의 확대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을 나타내고, 전동 칫솔 헤드부 단면도의 변형예의 확대도이다.
도 1f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을 나타내고, 전동 칫솔 헤드부 단면도의 변형예의 확대도이다.
도 1g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을 나타내고, 전동 칫솔 헤드부 단면도의 변형예의 확대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의 변형예 1을 나타내고, 비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의 변형예 1을 나타내고, 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의 변형예 2를 나타내고, 비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의 변형예 2를 나타내고, 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의 변형예 3을 나타내고, 비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의 변형예 3을 나타내고, 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의 변형예 4를 나타내고, 비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의 변형예 4를 나타내고, 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전동 칫솔의 설명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동 칫솔에 있어서의 적합한 구체예이며,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의 한정을 부여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기재가 없는 한,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는 적당히 기존의 구성 요소 등과의 치환이 가능하며, 또한 다른 기존의 구성 요소와의 조합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기재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a~도 1g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칫솔을 나타내고, 도 1a는 전동 칫솔의 단면도, 도 1b는 요부의 배면도, 도 1c~도 1g는 헤드부 단면도의 변형예의 확대도이다.
도 1c는 헤드부(13d)에 진동 전달부(90)를, 예를 들면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진동 모터(17)와 바로 접하도록, 또한 식모 플레이트(22)를 브러시(21)측으로 압박하도록 볼록형상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한다. 그 후에 헤드부(13e)를 접착한다. 진동 전달부(90)와 모터(17)가 접하고 있으므로 진동 모터의 진동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3d)와 식모 플레이트(22)의 감합 강도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1d는 헤드부(13d)에 진동 전달부(90)를, 예를 들면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진동 모터(17)와 바로 접하도록 설치하고, 진동 전달부(90)는 헤드부(13d)로부터 브러시(21)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한다. 진동 전달부(90)와 모터(17)가 접하고 있으므로 진동 모터의 진동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c 및 도 1d의 경우, 진동 전달부(90)를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진동 모터(17)와 접하도록 설치하는 이외에 진동 전달부(90)를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헤드부(13d)를 성형한 후, 진동 모터(17)를 헤드부(13e)에서 각 오목부에 수용해서 접착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진동 모터(17)를 포함하는 헤드부(13e)를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성형한 후에 진동 전달부(90)를 포함하는 헤드부(13d)와 접착해도 좋다.
도 1e는 헤드부(13d)와 헤드부(13e)에서 진동 모터(17)를 끼워 넣고, 수분이 침입하지 않도록 접착한다. 헤드부(13d)에는 미리 진동 전달부(90)를, 예를 들면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설치할 수도 있다. 그때에 진동 전달부(90)를 식모 플레이트(22)를 브러시(21)측으로 압박하도록 볼록형상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함으로써 진동 모터의 진동을 효율 좋게 전달하고, 헤드부(13d)와 식모 플레이트(22)의 감합 강도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1f는 헤드부(13d)와 헤드부(13e)에서 진동 모터(17)를 끼워 넣고, 수분이 침입하지 않도록 접착한다. 헤드부(13d)에는 미리 진동 전달부(90)를, 예를 들면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설치할 수도 있고, 진동 전달부(90)는 헤드부(13d)로부터 브러시(21)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한다. 진동 전달부(90)와 모터(17)가 근접하고 있으므로 진동 모터의 진동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g는 헤드부(13d)와 헤드부(13e)에서 진동 모터(17)를 끼워 넣고, 수분이 침입하지 않도록 접착한다. 그때, 진동 모터(17)의 헤드부(13d)측에 있어서 식모 플레이트(22)를 브러시(21)측으로 압박하도록 돌출 형상으로 볼록형상부(진동 전달부에 상당한다)를 형성함으로써 진동 모터의 진동을 효율 좋게 전달하고, 헤드부(13d)와 식모 플레이트(22)의 감합 강도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1a~도 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칫솔(10)은 사용자가 악지 조작하는 조작부(11)와, 조작부(11)에 장착된 네크부(12)와, 네크부(12)의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11)는 수지제의 원통형상의 손잡이(14)와, 이 손잡이(1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지, 예를 들면 교환식의 단4형(단3형, 단5형 등이어도 좋다) 또는 충전식의 전지인 전원(15)과, 전원(15)의 구동을 조작하는 스위치부(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원(15)에 충전식 전지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공지의 충전부가 후단에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조작부(11)에 전동 모터나 편심추(전달 기구를 포함한다)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조작부(11)의 소형화(직경의 단경화 및 길이의 단축화)에 공헌할 수 있어 휴대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조작부(11)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손잡이(14)를 축선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한 내외 2층 구조로 하고, 그 외측을 연장부로서 조작부(11)의 후단을 향해서 슬라이드 변위시킴으로써 조작부(11)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그 연장부에 스위치부(16)를 연휴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손잡이(14)의 장/단간의 가변 조작과 동시에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조작부(11)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전동 칫솔에 사용되는 재료, 예를 들면 ABS 수지 등이 사용되지만, 그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네크부(12)는 손잡이(14)와 같은 재료이며, 선단측, 즉 헤드부(13)를 향해 끝이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끝이 가늘어지는 것을 손잡이(14)의 직경의 중심과 동축으로 할지 변위시킬지는 임의이다. 또한, 재질이나 색조를 손잡이(14)와 다르게 해도 좋다.
네크부(12)의 선단에는 헤드부(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헤드부의 저면측에는 코인형의 진동 모터(이하, 간단히 진동 모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네크부(12)의 내부에는 전원(15)과 진동 모터(1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18, 19)이 배열되어 있다. 이 배선(18, 19)은 배선 코드이어도 좋고, 네크부(12)를 사출 형성할 때에 인서트 성형한 플레이트상의 것이어도 좋고, 이들을 병용한 것이어도 좋다. 즉, 전원(15)으로부터 진동 모터(17)로의 급전을 확보할 수 있으면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네크부(12)는, 예를 들면 배선 코드가 관통하는 통형상의 중공체이어도 좋고, 적어도 헤드부(13)의 끝이 가늘어지는 부분을 중실체(비중공체)로 해도 좋다. 또한, 네크부(12) 그 자체를 탄성체로 형성해서 네크부(12)의 전체를 진동 흡수부와 겸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네크부(12)의 중도부에는 진동 흡수체(20)가 개재되고, 이것에 의해 네크부(12)가 분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진동 흡수체(20)보다 손잡이(14)측(근원측)의 네크부(12a)는 중공체로 구성되어 배선(18, 19)에 코드를 사용하고, 진동 흡수체(20)보다 헤드부(13)측(선단측)의 네크부(12b)는 중실체로 구성되어 배선(18, 19)은 인서트 성형으로 하고 있다.
진동 흡수체(20)는 진동 모터(17)의 진동을 네크부(12)와 조작부(11) 사이에서 적어도 조작부(11)로 전달하기 어렵게 하는 진동 흡수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크부(12)는 진동 흡수체(20)로부터 근원측의 네크부(12a)로 타액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전원(15)으로부터 네크부(12)의 내부를 경유해서 진동 모터(17)에 접속되는 배선(18, 19)은 이 진동 흡수체(20)를 관통하고 있지만, 적당히 접점 구조를 채용해서 전기적인 접속 관계는 확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진동 흡수체(20)는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올레핀계나 스티렌계)나 실리콘(실리콘 고무를 포함한다) 등이 사용되고 있다.
헤드부(13)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식모 플레이트가 형성된 헤드부의 상면측을 구성하는 부분을 헤드부(13d), 다른쪽의 헤드부의 저면측을 구성하는 부분을 헤드부(13e)로 한다. 상면측이란 헤드부의 브러시가 식설된 측의 방향을 가리키고, 저면측이란 헤드부의 베이스부(13a)측의 방향을 가리킨다.
헤드부(13d)의 상면측, 즉 헤드부(13d)의 식모 플레이트(22)에 면하는 측에는 식모 플레이트(22)와 감합하는 볼록부(13b)가 형성된다. 볼록부(13b)와 대면하는 식모 플레이트(22) 두께는 1.5㎜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2.5㎜ 이하이다.
헤드부(13e)에는 진동 모터(17)가 배치되는 오목부(13c)가 형성되고, 헤드부(13d)에도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서 진동 모터(17)를 수납, 고정하고, 각 헤드부(13d 및 13e)를, 예를 들면 초음파 접착 등에 의해 수밀하게 밀착해서 일체화하고 있다. 식모 플레이트(22)가 끼워 넣어지는 헤드부(13d)의 볼록부(13b)는 진동 모터가 배치되어 있는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진동 전달부(90)는 헤드부(13d)에 구비되고, 헤드부(13d)의 볼록부(13b)에 배치되어 있다.
진동 전달부(90)는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진동 모터(17)와 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e 및 도 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헤드부(13d)에 설치하여 진동 모터(17)와 진동 전달부(90)가 접하지 않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모 플레이트(22)를 브러시(21)측으로 압박하도록 볼록형상부를 형성함으로써 진동 전달부로 하는 경우도 있다.
도 1c 및 도 1d의 경우, 진동 전달부(90)와 진동 모터(17)를 포함하는 헤드부(13d)를 성형한 후, 헤드부(13e)를 접착한다. 진동 전달부(90)와 모터(17)가 접하므로 진동 모터의 진동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진동 전달부(90)를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헤드부(13d)를 성형한 후, 진동 모터(17)를 헤드부(13e)에서 각 오목부에 수용해서 접착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진동 모터(17)를 포함하는 헤드부(13e)를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성형한 후에 진동 전달부(90)를 포함하는 헤드부(13d)와 접착해도 좋다.
도 1e 및 도 1f의 경우, 진동 전달부(90)를 포함하는 헤드부(13d)와 헤드부(13e)에서 진동 모터(17)를 끼워 넣고, 수분이 침입하지 않도록 접착한다.
도 1g의 경우, 헤드부(13d)와 헤드부(13e)에서 진동 모터를 끼워 넣고, 수분이 침입하지 않도록 접착한다.
도 1c, 도 1e에 있어서 진동 전달부(90)를 식모 플레이트(22)를 브러시측으로 압박하도록 볼록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헤드부(13d)와 식모 플레이트(22)의 감합 강도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식모 플레이트(22)에는 적당한 경도나 굵기의 이닦기용의 브러시(21)가 식모되어 있다. 식모 플레이트(22)의 재질은 식모 강도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강도가 높은 POM, PBT, PTT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식모 플레이트(22)와 브러시(21)를 식모부라고 한다.
식모 플레이트(22)는 슬라이드식으로 고정해도, 언더컷으로 고정해도 좋다.
헤드부(13)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전동 칫솔에 사용되는 재료, 예를 들면 POM수지 등이 사용되지만, 그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식모 플레이트에 식모되는 솔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예: 6-12나일론, 6-10나일론), 폴리에스테르(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예: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솔의 모끝 형상에 대해서는 모끝을 둥글게 한 것, 모끝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의 것, 또한 스패튤라형상, 구형상, 끝이 벌어진 형상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솔의 모 길이는 성인용에서 8㎜ 이상 13㎜ 이하, 아동용에서 6㎜ 이상 9㎜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택된 솔의 직경이 작으면 구강 내의 사용성이나 사용감의 점으로부터 솔의 모 길이도 짧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감이나, 브러싱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해서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솔을 임의로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모끝의 프로파일에 대해서는 조금도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치부(16)는 조작부(11)의 후단에 설치한 공지의 회전식 이외에 조작부(11)의 측면에 설치한 공지의 슬라이드식이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드식으로 했을 경우에는 불의에 슬라이드가 변위해서 온이 되지 않도록 록킹 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 모터(17)는, 소위 편심 모터이며, 예를 들면 코인형의 용기 내에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축에 설치된 반원형의 회전자가 구비되고, 회전축을 회전시켰을 때에 진동 모터(17)의 중심이 치우침으로써 전체가 진동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진동 모터(17)는, 예를 들면 두께 1.5㎜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2.5㎜ 이하, 직경 φ8.0㎜ 이상 12.0㎜ 이하, 바람직하게는 φ10㎜ 이상 12㎜ 이하 정도의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진동 모터(17)를 사용함으로써 전동 칫솔(10)을 콤팩트하며 또한 경량인 것으로 할 수 있고, 사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7)는 브러시(21)를 그 지름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브러시(21)의 가동 영역을 크게 해서 이닦기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7)는 리니어 모터 등에 비해 소비 전력이 작기 때문에 단3~5형의 작은 전지 1개로 충분히 구동할 수 있고, 또한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조작부를 콤팩트화하는 데에 적합하다.
또한, 진동 모터(17)에는, 예를 들면 그 진동수를 7500rpm/min 이상 20000rpm/min 이하로 확보할 수 있으면 그 크기는 상술한 것보다 작아도 좋다.
진동 전달부(90)는 헤드부(13d)에 구비되고, 헤드부(13d)의 볼록부(13b)에 배치된다.
진동 전달부(90)는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진동 모터(17)와 접할 수도 있고, 도 1e 및 도 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진동 모터(17)와 접하지 않고 헤드부(13d)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모 플레이트(22)를 브러시(21)측으로 압박하도록 볼록형상부를 형성함으로써 진동 전달부로 하는 경우도 있다.
진동 전달부(90)에서는 진동수를 증폭시키는 것이나, 진동의 방향성을 특이적으로 결정하는 것, 또한 진폭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어도 좋고, 식모 플레이트(22)와 헤드부의 감합 부분의 진동 로스를 감소하기 위해서 헤드부(13d)의 진동 모터(17)의 배치부 위치의 상부에 브러시(21) 방향을 향해서 돌출된 볼록부를 헤드부(13d)와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해서 감합 상태를 확실하게 하여 진동 로스를 감소하도록 해도 좋다. 진동수의 증폭 또는 진동의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 또한 진폭을 변화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재질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진동 모터(17)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13)의 폭(예를 들면, 8.5㎜ 이상 13.0㎜ 이하)보다 소경인 것을 사용하여 헤드부(13)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판된 진동 모터(17)로서는, 예를 들면 LE10E0H(φ10㎜, 두께 2.0㎜, 질량=약 1g, 회전수 9000rpm, LEXIN JAPAN LTD.제) 등을 들 수 있다.
진동 모터(17)는 헤드부(13)에 감입 또는 매입함으로써 그 진동을 전달 기구 등을 통하는 일 없이 직접 헤드부(13)를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강 내의 이닦기 조작을 행할 때에는 그 진동이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진동에 의한 이닦기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진동을 직접 전달함으로써 적용하는 진동 모터(17)의 소형화나 회전수가 적은 저렴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7)는 사용 시에는 구강 내에 있는 점에서 초음파 접착에 의한 밀폐 구조나, 패킹 등에 의한 방수성의 확보, 진동 모터(17)의 외표면에 방수 코팅 처리를 실시하는 인서트 성형, 용착 등의 공지의 수단을 사용해서 방수성 또는 밀폐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3d)와 헤드부(13e)는 진동 모터(17)를 내장하도록 접합함으로써 진동 모터(17)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헤드부(13e)에는 진동 모터(17)가 배치되는 오목부(13c)가 형성되고, 헤드부(13d)에도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서 진동 모터(17)를 수납, 고정한다. 각 헤드부(13d) 및 헤드부(13e)는, 예를 들면 초음파 접착 등에 의해 수밀하게 밀착해서 일체화되어 있다. 헤드부(13d) 및 헤드부(13e)의 재질은 진동을 견딜 수 있도록 강도가 높은 POM, PBT, PP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진동 모터(17)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모터의 흔들림을 없애기 위해서 간극을 메우기 위한 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7)를 고정하기 위한 볼록부가 수 개소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탄성 재료로서는 실리콘 고무,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그 중에서도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헤드부(13)의 저면측에 진동 모터(17)를 배치함으로써 조작부(11) 및 네크부(12)의 콤팩트화를 실현하여 조작부(11)의 소경화뿐만 아니라 그 길이도 짧게 할 수 있었다. 단, 사용 시에는 이용자가 파지 조작하기 위한 길이가 짧아져 버리기 때문에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사양으로 했다.
(실시예 1)
헤드부에 코인형 진동 모터를 갖는 상기 형태의 전동 칫솔을 사용한다.
도 2a 및 도 2b는 전동 칫솔의 조작성이나 콤팩트화를 향상하기 위한 변형예 1을 나타내고, 도 2a는 비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단면도, 도 2b는 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일부의 도시를 생략함과 아울러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1)의 후단에 인로우 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한 유저 원통형상의 캡(24)을 연장부로서 설치하고, 미사용 시에는 캡(24)을 조작부(11)의 선단측에 끼워 넣음으로써 헤드부(13)와 네크부(12)를 덮을 수 있고, 사용 시에는 조작부(11)의 후단측에 캡(24)을 끼워 넣음으로써 조작부(11)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는 미사용 시에는 네크부(12)와 헤드부(13)를 덮은 상태로 조작부(11)의 선단측과 계합하고, 사용 시에는 조작부(11)의 후단측과 계합하는 캡(24)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전동 칫솔에 의하면 미사용 시에는 헤드부의 브러시의 위생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 시에는 두는 곳을 고려하는 일 없이 조작부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네크부(12)의 끝이 가늘어지는 것은 캡(24)에 의한 조작부(11)로의 감입과 커버 기능을 고려하면 조작부(11)의 중심보다 일방측(헤드부의 이면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장부는 전동 칫솔(10)로서의 전체 길이가 미사용 시, 즉 도 2a의 형태에 있어서 110㎜ 이상 150㎜ 이하의 길이로 하면, 예를 들면 여성이 외출 시에 들고 다니는 화장 파우치 등에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 또한, 연장부는 전동 칫솔(10)로서의 전체 길이가 사용 시에 있어서, 즉 도 2b의 형태에 있어서 170㎜ 이상 180㎜ 이하로 할 수 있으면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캡(24)과 조작부(11)의 랩값(D4)은 5㎜ 이상 50㎜ 이하로 한다.
따라서, 캡(24)을 연장부로서 사용했을 경우, 조작부(11)의 선단측 및 후단측의 캡(24)의 랩값(D1)은 5㎜ 이상 10㎜ 이하, 캡(24)의 전체 길이(D2)는 65㎜ 이상 80㎜ 이하, 네크부(12)와 헤드부(13)를 합한 길이(D3)는 캡(24)의 길이(D2)와 랩값(D1)을 고려한 후에 60㎜ 이상 70㎜ 이하 정도로 하면 조작부(11)의 길이를 50㎜ 이상 70㎜ 이하로 확보할 수 있어 전원(15)(단5형 전지: 길이 30.2㎜, 단4형 전지: 길이 44.5㎜, 단3형 전지: 길이 50.5㎜) 및 스위치부(16)의 수납 스페이스는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2)
헤드부에 코인형 진동 모터를 갖는 상기 형태의 전동 칫솔을 사용한다.
도 3a 및 도 3b는 이러한 콤팩트화를 향상하기 위한 변형예 2를 나타내고, 도 3a는 비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 도 3b는 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일부의 도시를 생략함과 아울러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31)는 상술한 조작부(11)보다 길어지고, 미사용 시, 즉 도 3a의 형태에 있어서 네크부(12) 및 헤드부(13)가 숨는 길이 120㎜ 이상 155㎜ 이하가 되고 있다. 또한, 조작부(31)는 전원(15)보다 선단측으로 네크부(12)와 헤드부(13)를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근원측의 네크부(12a)에는 전원(15)의 선단측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31)에는 네크부(12)를 헤드부(13)와 일체로 조작부(31)로부터 출몰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 조작용의 노브(32)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 시, 즉 도 3b의 형태에 있어서 170㎜ 이상 180㎜ 이하로 할 수 있으면 조작부(31)는 사용 시에 이닦기 조작이 용이한 길이를 확보함과 아울러 미사용 시에는 네크부(12)와 헤드부(13)를 수납해서 콤팩트화에 공헌할 수 있다. 이때, 조작부(31)와 네크부(12)의 랩값(D5)은 5㎜ 이상 50㎜ 이하로 한다.
(실시예 3)
헤드부에 코인형 진동 모터를 갖는 상기 형태의 전동 칫솔을 사용한다.
도 4a 및 도 4b는 이러한 콤팩트화를 향상하기 위한 변형예 3을 나타내고, 도 4a는 미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 도 4b는 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일부의 도시를 생략함과 아울러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41)는 상술한 조작부(11)보다 길어지고, 미사용 시에 있어서, 즉 도 4a의 형태에 있어서 네크부(12) 및 헤드부(13)가 숨는 길이 65㎜ 이상 80㎜ 이하가 되고 있다. 또한, 조작부(41)는 전원(15)보다 선단측으로 네크부(12)와 헤드부(13)를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근원측의 네크부(12a)에는 전원(15)의 선단측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41)는 네크부(12)를 헤드부(13)와 일체로 조작부(41)로부터 돌출할 수 있도록 기단측 조작부(43)와 선단측 조작부(42)로 분할되고, 그 사이에는 네크부(12)를 헤드부(13)와 일체로 조작부(41)로부터 출몰시킬 수 있도록 회전 조작용의 노브(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의 출몰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네크부(12)를 기단측 조작부(43)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네크부(12)와 선단측 조작부(42)를 나선 홈, 나선 돌조에 의해 계합시켜 기단측 조작부(43)를 파지 고정한 후에 선단측 조작부(42) 및 노브(4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출몰이 가능해진다. 사용 시, 즉 도 4b의 형태에 있어서 170㎜ 이상 180㎜ 이하로 할 수 있으면 조작부(41)는 사용 시에 이닦기 조작이 용이한 길이를 확보함과 아울러, 미사용 시에는 네크부(12)와 헤드부(13)를 수납해서 콤팩트화에 공헌할 수 있다. 이때, 조작부(41)와 네크부(12)의 랩값(D6)은 5㎜ 이상 50㎜ 이하로 한다.
(실시예 4)
헤드부에 코인형 진동 모터를 갖는 상기 형태의 전동 칫솔을 사용한다.
도 5a 및 도 5b는 이러한 콤팩트화를 향상하기 위한 변형예 4를 나타내고, 도 5a는 미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 도 5b는 사용 시의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일부의 도시를 생략함과 아울러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51)는 상술한 조작부(11)보다 길어지고, 미사용 시에 있어서, 즉 도 5a의 형태에 있어서 네크부(12) 및 헤드부(13)를 핀(52)을 중심으로 해서 접음으로써 이들이 숨는 길이 100㎜ 이상 120㎜ 이하로 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51)는 전원(15) 및 스위치부(16)를 배치함과 아울러, 네크부(12)와 헤드부(13)가 수납 가능해지도록 단면 대략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 시, 즉 도 5b의 형태에 있어서 170㎜ 이상 180㎜ 이하로 할 수 있으면 조작부(51)는 사용 시에 이닦기 조작이 용이한 길이를 확보함과 아울러, 미사용 시에는 네크부(12)와 헤드부(13)를 수납해서 콤팩트화에 공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 칫솔(10)에 있어서는 헤드부, 네크부, 및 조작부로 이루어지는 전동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의 저면측에는 코인형 진동 모터를, 상기 헤드부의 상면측에는 착탈 가능한 식모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조작부에는 전지와 스위치부를 수용하고, 상기 전지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코인형 진동 모터에 의해 칫솔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전동 칫솔에 의하면 구강 내에서의 이닦기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헤드부를 확실하게 진동시킬 수 있고, 또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휴대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적이다.
또한, 코인형의 진동 모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브러시(21)를 상기 코인형 진동 모터의 지름 방향으로 진동시켜서 이닦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인형의 진동 모터는 소비 전력이 작기 때문에 단3~5형의 작은 전지 1개로 충분히 구동할 수 있으며, 또한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칫솔(10)에 있어서는 헤드부(13)와 조작부 사이에 진동 모터(17)의 구동에 수반되는 진동이 조작부(11)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는 진동 흡수체(20)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조작부(11)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할 수 있고, 조작부(11)를 악지한 사용자의 손에 진동이 전달되는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칫솔(10)에 있어서는 조작부(11)의 전체 길이가 미사용 시에는 짧으며 또한 사용 시에는 길어지는 연장부[예를 들면, 캡(24)]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사용 시의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미사용 시의 콤팩트화를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를 미사용 시에는 네크부(12)와 헤드부(13)를 덮은 상태로 조작부(11)의 선단측과 계합하고, 사용 시에는 조작부(11)의 후단측과 계합하는 캡으로 하면 미사용 시에는 헤드부(13)의 브러시(21)의 위생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 시에는 두는 곳을 고려하는 일 없이 조작부(11)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칫솔(10)에 있어서는 진동 모터(17)의 직경은 헤드부(13)의 폭보다 소경임으로써 헤드부(13)의 콤팩트화에 공헌할 수 있고, 또한 구강 내에서의 이닦기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칫솔(10)에 있어서 진동 전달부(90)는 헤드부(13d)에 구비된다.
진동 전달부(90)는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진동 모터(17)에 접할 수도 있고, 도 1e 및 도 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공지의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헤드부(13d)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모 플레이트(22)를 브러시(21)측으로 압박하도록 볼록형상부를 형성함으로써 진동 전달부로 하는 경우도 있다.
진동 전달부(90)에서는 진동수를 증폭시키는 것이나, 진동의 방향성을 특이적으로 결정하는 것, 또한 진폭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진동수의 증폭, 진동의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 또한 진폭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재질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진동 전달부(90)는 식모 플레이트(22)와 헤드부의 감합 구조의 진동 로스를 감소하기 위해서 헤드부(13d)의 진동 모터(17)의 배치부 위치의 상부에 브러시(21) 방향을 향해서 돌출된 볼록부를 헤드부(13d)와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해서 감합 상태를 확실하게 하여 진동 로스를 감소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칫솔(10)에 있어서는 구동부, 즉 코인형 모터를 헤드부에 탑재하고, 식모부(식모 플레이트, 솔)만을 교환 가능한 카세트식으로 함으로써 구동부를 버릴 필요가 없고, 또한 네크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구강 내 조작성이 우수한 전동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흡수체가 근원측의 네크부 근처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흡수체는 헤드부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위치 사이 중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진동 흡수체는 2차 성형에 의해 네크부의 일부를 엘라스토머로 피복한 피복체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13d 및 13e)를 접합해서 진동 모터를 배치시키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헤드부의 베이스부의 이면에 개구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베이스부의 이면측으로부터 진동 모터가 삽입되고, 오목부의 개구면을 덮개체로 수밀하게 밀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오목부의 개구면을 수밀하게 밀봉하는 구성으로서는 덮개체 둘레 가장자리에 고무 패킹을 설치하는 등 종래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비교예 1)
모터의 부착 위치가 조작부에 있고, 전체 길이가 180㎜ 정도인 전동 칫솔(덴타시스테마 음파 어시스트 브러시, Lion Corporation)을 사용했다.
(비교예 2)
모터의 부착 위치가 조작부의 브러시 부착축에 있고, 전체 길이가 160㎜ 정도인 전동 칫솔(포켓 돌츠, Panasonic Corporation)을 사용했다.
(평가 방법)
외출 시에 이닦기를 행하는 여성 16명에게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전동 칫솔을 갖고 다니게 하고, 그 사용성·사용감 평가를 행했다.
Figure 112014068214987-pct00001
A: 좋다고 회답한 사람이 12~16명
B: 좋다고 회답한 사람이 7~11명
C: 좋다고 회답한 사람이 0~6명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은 휴대 시의 사이즈가 좋음, 사용 시의 사이즈가 좋음, 헤드부로 전달되는 진동이 좋음, 손에 전달되는 진동의 불쾌감이 없음, 구강 내 조작성 모두 「A」이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전동 칫솔은 네크부가 가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구강 내 조작성 및 사용 시의 사이즈의 좋음은 우수했다. 그러나, 전동 칫솔의 사이즈가 작아지지 않기 때문에 휴대에는 불편하다.
비교예 2의 전동 칫솔은 여성의 화장 파우치에 겨우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이지만, 비스듬하게 하지 않으면 들어가지 않는다는 의견도 많아 보다 콤팩트화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네크가 굵어서 구강 내 조작성이 나쁘다.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은 구동부(코인형 모터)를 헤드부에 탑재하고, 식모부(식모 플레이트, 솔)만을 교환 가능한 카세트식으로 함으로써 구동부를 버릴 필요가 없고, 또한 네크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구강 내 조작성이 우수한 전동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성을 손상하는 일 없고, 소형이며 휴대성이 우수하고, 확실하게 진동을 헤드부에 부여할 수 있다.
10 : 전동 칫솔 11 : 조작부
12 : 네크부 12a : 네크부(근원측)
12b : 네크부(선단측) 13 : 헤드부
13a : 헤드부(13)의 베이스부 13b : 헤드부(13d)의 볼록부
13c : 헤드부(13e)의 오목부 13d : 헤드부(상면측)
13e : 헤드부(저면측) 14 : 손잡이
15 : 전원 16 : 스위치부
17 : 진동 모터 18 : 배선
19 : 배선 20 : 진동 흡수체(진동 흡수부)
21 : 브러시 22 : 식모 플레이트
23 : 패킹 24 : 캡
90 : 진동 전달부

Claims (4)

  1. 헤드부, 네크부, 및 조작부로 이루어지는 전동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는 저면측 헤드부와, 상면측 헤드부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면측 헤드부의 상면과 상기 상면측 헤드부의 저면 사이에 장착되는 코인형 진동 모터와,
    상기 상면측 헤드부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모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조작부에는 전지와 스위치부를 수용하고, 상기 전지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코인형 진동 모터에 의해 칫솔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네크부에 진동을 차단하는 부재를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식, 조출식, 접이식, 캡 교체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 시에는 핸들이 연장되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형 진동 모터의 상면측의 상기 상면측 헤드부에 진동 전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KR1020147020386A 2012-03-23 2013-03-22 전동 칫솔 KR102070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8043 2012-03-23
JPJP-P-2012-068043 2012-03-23
PCT/JP2013/058294 WO2013141359A1 (ja) 2012-03-23 2013-03-22 電動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078A KR20140147078A (ko) 2014-12-29
KR102070083B1 true KR102070083B1 (ko) 2020-01-28

Family

ID=4922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386A KR102070083B1 (ko) 2012-03-23 2013-03-22 전동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22839B2 (ko)
KR (1) KR102070083B1 (ko)
CN (1) CN104203148B (ko)
WO (1) WO20131413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600A (ko) 2018-12-17 2021-08-05 다조케어 테크놀로지 (썬전) 컴퍼니 리미티드 수직 브러싱 전동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471B1 (ko) * 2009-03-06 2015-04-14 한국과학기술원 전동 치실 장치
US9889066B2 (en) 2013-07-01 2018-02-13 Good Fortune 5, Llc Massaging device having a heat sink
BR112015029464A2 (pt) 2014-04-16 2017-07-25 Koninklijke Philips Nv sistema para mitigar choque mecânico em uma escova de dentes elétrica
EP3215050B1 (en) 2014-12-24 2023-11-29 Colgate-Palmolive Company Powered oral care implement
WO2016135780A1 (ja) * 2015-02-27 2016-09-01 大作商事株式会社 口内洗浄用装置
US10583625B2 (en) 2015-06-30 2020-03-10 Braun Gmbh Plurality of mass-produced multi-component plastic housings
US10226315B2 (en) * 2015-06-30 2019-03-12 Braun Gmbh Multi-component plastic housing
US10059046B2 (en) 2015-06-30 2018-08-28 Braun Gmbh Process for making a multi-component plastic housing
CN105395291A (zh) * 2015-11-15 2016-03-16 陈玲 一种便携式电动牙刷
CN107361869A (zh) * 2017-08-09 2017-11-21 黄炎 一种电动牙刷结构
EP3801737A1 (en) 2018-06-11 2021-04-1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device
US11019918B2 (en) 2018-06-11 2021-06-0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device
CN110638547B (zh) * 2019-09-26 2021-02-26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口腔电动清洁器
RU2733248C1 (ru) * 2020-03-13 2020-09-30 Орлан Дулушович Ондар Электр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415A (ja) * 2001-09-26 2003-04-02 Topland:Kk 電動歯ブラシおよび電動歯ブラシにおける振動伝達方法
US20060156496A1 (en) 1999-10-19 2006-07-20 Trisa Holding Ag Interdental treatment device with vibrating head part
KR100999270B1 (ko) 2010-04-08 201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동 칫솔
JP6042495B2 (ja) * 2015-07-03 2016-12-14 株式会社カプコン 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コンピュータ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495Y2 (ja) * 1976-05-17 1985-12-27 株式会社ケンウッド Fm検波器
JPH0642495Y2 (ja) * 1989-04-25 1994-11-09 ライオン株式会社 携帯用歯刷子
JPH0880220A (ja) 1994-09-12 1996-03-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動歯ブラシ装置
JP2007061209A (ja) * 2005-08-29 2007-03-15 Marriene:Kk 超音波歯ブラシ
JP2009045202A (ja) 2007-08-20 2009-03-05 Lion Corp 電動歯ブラシ及び取替用ブラシ
JP2009106355A (ja) * 2007-10-26 2009-05-21 Lion Corp 電動歯ブラシ
JP4748267B2 (ja) 2009-12-25 2011-08-1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JP2011143057A (ja) 2010-01-14 2011-07-28 Omron Healthcare Co Ltd 口腔ケア装置
KR20120113035A (ko) * 2011-04-04 2012-10-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진동효율이 우수한 전동칫솔
KR20110113129A (ko) * 2010-04-08 2011-10-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동칫솔
JP4681079B2 (ja) 2010-05-24 2011-05-11 協和工業株式会社 携帯電動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6496A1 (en) 1999-10-19 2006-07-20 Trisa Holding Ag Interdental treatment device with vibrating head part
JP2003093415A (ja) * 2001-09-26 2003-04-02 Topland:Kk 電動歯ブラシおよび電動歯ブラシにおける振動伝達方法
KR100999270B1 (ko) 2010-04-08 201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동 칫솔
JP6042495B2 (ja) * 2015-07-03 2016-12-14 株式会社カプコン 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コンピュータ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600A (ko) 2018-12-17 2021-08-05 다조케어 테크놀로지 (썬전) 컴퍼니 리미티드 수직 브러싱 전동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22839B2 (ja) 2017-04-26
CN104203148B (zh) 2016-05-04
CN104203148A (zh) 2014-12-10
KR20140147078A (ko) 2014-12-29
JPWO2013141359A1 (ja) 2015-08-03
WO2013141359A1 (ja)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083B1 (ko) 전동 칫솔
RU2506058C1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JP6703716B2 (ja) 電動歯ブラシ
JP5847847B2 (ja) 口腔衛生装置用アタッチメント
EP3892236B1 (en) Handl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oral care implement and personal oral care implement
US20080120795A1 (en) Toothbrush
JP2013523312A (ja) 振動効率に優れた電動歯ブラシ
JP4773489B2 (ja) 電動ヘアーブラシ
KR20130102643A (ko) 구강관리기구
KR20220149739A (ko) 개인 케어 기구의 손잡이를 위한 유닛 및 개인 케어 기구
KR20220149738A (ko) 전동식 개인 케어 기구를 위한 손잡이 및 개인 케어 기구
KR20220150360A (ko) 개인 케어 기구를 위한 손잡이 및 개인 케어 기구
JP2007061209A (ja) 超音波歯ブラシ
RU255580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ых щеток с универсальным сердечником
JP2009136486A (ja) 電動歯ブラシ
JP2003245288A5 (ko)
JP4873095B2 (ja) 電動歯ブラシ
WO2012091166A1 (ja) 歯ブラシ兼用電動歯間ブラシ
EP3395199B1 (en) Oral care appliance and its care head
KR20130106150A (ko)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KR102433087B1 (ko) 칫솔용 진동 손잡이
KR102084434B1 (ko) 일체형 칫솔 헤드부가 구비된 슬림형 진동칫솔
CN211560459U (zh) 一种具有刷牙功能的电动舌套
JP2021037108A (ja) 電動歯ブラシ
JP3103580U (ja) 超音波作動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