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471B1 - 전동 치실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치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471B1
KR101509471B1 KR20090019062A KR20090019062A KR101509471B1 KR 101509471 B1 KR101509471 B1 KR 101509471B1 KR 20090019062 A KR20090019062 A KR 20090019062A KR 20090019062 A KR20090019062 A KR 20090019062A KR 101509471 B1 KR101509471 B1 KR 10150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vibration
vibration motor
flo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273A (ko
Inventor
양민양
김성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09001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47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61C15/047Flossing tool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치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는, 그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몸통부, 그 외주면에 치실이 걸쳐질 수 있는 고정링과, 고정링과 몸통부 사이에 연결되어 몸통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고정링으로 전달시키는 전달봉으로 이루어진 헤드부를 포함하고, 헤드부의 고유 진동수는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보다 크고,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1.3배보다 작다.
전동 치실 장치, 진동 모터, 고정링, 고정홈, 헤드부

Description

전동 치실 장치{ELECTROMOTIVE DENTAL FLOSS}
본 발명은 전동 치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가 건강하다는 것은 오복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치아는 우리의 생명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우리의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치아는 우리의 삶이 윤택해지면서 음식을 씹는 기능뿐 아니라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최근 들어, 건강과 미용의 관점에서 입안의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치아와 치아 사이에 플라그 및 음식물 잔사 등이 끼어있을 경우, 세균과 세균이 반응하여 치석을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치주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칫솔 또는 치실을 이용하여 플라그 및 음식물 잔사 등을 제거해오고 있다.
여기서, 치실은 왁스로 코팅되어 있는 실로서, 칫솔로 닦기 어려운 치아와 치아 사이를 닦아 플라그를 없애고, 치아 사이에서 음식물 잔사가 부폐하여 나는 입냄새를 효과적으로 줄여준다. 또한, 잇몸건강도 현격히 좋아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치아의 구석구석을 기존의 치실을 사용하여 치실질을 하는 것 은 상당히 수고스러운 작업이다. 치실은 치아 사이에 끼워서 사용하여야 하는데, 넣었다 빼는 것이 쉽지 않을 때도 있다. 또한, 치아 사이에 치실을 끼운 채로 앞, 뒤, 상, 하로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움직여야 하는데, 많은 시간과 큰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치실 홀더를 이용한 방법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5907호의 치실 지지대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치실 지지대 사이의 간격으로 인한 제약 때문에, 앞, 뒤로의 반복적인 움직임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치실을 계속해서 교체하는 것에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치실에 전달하여주는 것에 의하여, 구강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플라그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전동 치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의 고유 진동수가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와 유사하게 되어 있어, 헤드부에 걸쳐져 있는 치실에 진동이 크게 전달될 수 있는 전동 치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을 통해 치실을 치아 사이에 쉽게 끼우고 뺄 수가 있고, 떨림에 의해서 치실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치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링의 외주면에 치실이 걸쳐질 수 있는 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치실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전동 치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는, 그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몸통부, 그 외주면에 치실이 걸쳐질 수 있는 고정링과, 고정링과 몸통부 사이에 연결되어 몸통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고정링으로 전달시키는 전달봉으로 이루어진 헤드부를 포함하고, 헤드부의 고유 진동수는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보다 크고,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1.3배보다 작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에 의하면, 진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치실에 전달하여주는 것에 의하여, 구강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플라그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헤드부의 고유 진동수가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와 유사하게 되어 있어, 헤드부에 걸쳐져 있는 치실에 진동이 크게 전달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에 있어서, 고정링의 외주면에 치실이 걸쳐질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에 의하면, 고정링의 외주면에 치실이 걸쳐질 수 있는 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치실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에 있어서, 몸통부는, 그 외주면에 진동 모터의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에 의하면, 몸통부의 외주면에 진동 모터의 온오프 스위치를 설치하여 진동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시켜주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간단한 조작으로 전동 치실 장치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 실 장치에 있어서, 몸통부와 헤드부 사이에 장착되고, 치실이 감겨져 있는 치실패가 설치된 치실 보관부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에 의하면, 몸통부와 헤드부 사이에 치실이 감겨져 있는 치실패가 설치된 치실 보관부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치실을 간단하게 뽑아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치실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는,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에 있어서, 치실 보관부에는 치실을 뽑아내고, 치실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전동 치실 장치에 의하면, 치실 보관부에 설치된 절단부를 통하여 사용된 치실을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치실에 전달하여주는 것에 의하여, 구강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플라그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의 고유 진동수가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와 유사하게 되어 있어, 헤드부에 걸쳐져 있는 치실에 진동이 크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모터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을 통해 치실을 치아 사이에 쉽게 끼우고 뺄 수가 있고, 떨림에 의해서 치실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 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링의 외주면에 치실이 걸쳐질 수 있는 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치실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의 헤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는, 몸통부(100)와 헤드부(200)로 구성된다.
몸통부(100)는, 그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미도시, 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몸통부(100)는 사용자가 잡기 편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에 사용되는 진동모터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모터의 회전축에 편심을 발생하기 위해 반달형의 편심캠이 부착된 모터가 사용될 수 있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가 부착된 진동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를 사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그 진동이 치실로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몸통부(100)는, 그 외주면에 진동 모터의 온오프 스위치(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진동 모터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헤드부(200)는, 그 외주면에 치실이 걸쳐질 수 있는 고정홈(211)이 형성된 고정링(210)과, 고정링(210)과 몸통부(100) 사이에 연결되어 몸통부(100)에서 발생된 진동을 고정링(210)으로 전달시키는 전달봉(2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헤드부(200)는, 그 고유 진동수가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에 비해 소정 범위의 고유진동수를 가지도록 그 고유형상(도 2a 및 2b참조)을 가진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헤드부(200)는, 그 고유 진동수가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보다 크고,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1.3배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부(200)의 고유 진동수가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와 유사하게 되어 있어, 헤드부(200)에 걸쳐져 있는 치실에 진동이 크게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는, 진동 모터의 진동이 치실에 크게 전달되기 때문에, 치아 사이에 치실을 끼우고 빼는 것과, 치아 사이의 이물질이나 플라그를 제거하는 것과, 양 손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치실 질을 하는 것에 있어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행할 수 있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의 헤드부(200)는, 그 외주면에 치실이 걸쳐질 수 있는 고정홈(211)이 형성된 고정링(210)과, 고정링(210)과 몸통부(100) 사이에 연결되어 몸통부(100)에서 발생된 진동을 고정링(210)으로 전달시키는 전달봉(2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달봉(220)의 하단에는 전달봉(220)을 몸통부(10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단 구조물(212, 2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헤드부(200)의 수치는,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가 150~170Hz이고, 그 회전수가 9000~10000rpm 정도인 진동 모터를 일 예로 하여 산출된 값이다. 이에 따라, 고정링(210)과 전달봉(220)의 구체적인 치수를 살펴보면, 고정링(210)의 직경은 φ10이고, 전달 봉(220)의 직경은 φ4이며, 다단의 구조물(212a, 212b, 213)의 직경들은 각각 φ6, φ8, φ22를 가진다. 또한, 헤드부(200)의 전체 높이는 34mm이고, 고정링(210)의 높이는 8mm이며, 고정 홈(211)의 높이는 2mm이고, 전달 봉(220)의 높이는 6mm이며, 다단의 구조물(212a, 212b, 213)의 높이들은 각각 3mm, 3mm, 7mm를 가진다. 이와 같은 수치를 사용하여 제작된 헤드부(200)의 고유 진동수는 약 190Hz 정도가 된다. 따라서, 헤드부(200)는, 그 고유 진동수인 190Hz 가 진동 모터의 진동파수인 150~170Hz의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보다 크고,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1.3배보다 작은 수치를 가진다. 만약, 헤드부(200)의 고유 진동수와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가 실제로 일치할 경우에는, 공진에 의해서 헤드부(200)가 파괴될 수 있으므로, 헤드부(200)의 고유 진동수를 상기 범위에 맞도록 설계하는 것이 헤드부(200)에 걸쳐질 치실에 진동 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이 크게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는, 그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110)가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진동 모터의 온오프 스위치(150)가 설치되는 몸통부(100), 그 외주면에 치실이 걸쳐질 수 있는 고정링(210)과, 고정링(210)과 몸통부(100) 사이에 연결되어 몸통부(100)에서 발생된 진동을 고정링(210)으로 전달시키는 전달봉(220)으로 이루어진 헤드부(200), 몸통부(100)와 헤드부(200) 사이에 장착되고, 치실이 감겨져 있는 치실패(144)가 설치된 치실 보관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치실 보관부(140)에는 치실을 뽑아내고, 치실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143)가 설치된다. 치실을 치실 보관부(140)에 내장하여 치실을 절단부(140)를 통하여 꺼내어 사용하는 구조이다.
 몸통부(100)는, 그 내부에 진동 모터(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부(120)가 설치된다. 회로부(1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진동 모터(110)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진동이 발생된다. 여기서, 진동 모터(110)는 회로부(120)의 상부 측에 배열된다. 회로부(120)의 하부 측에는 회로부(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30)가 위치한다. 또한, 전원부(130)의 하측으로 덮개(131)가 설치된다. 전원부(130)는 축전지(130a)와 충전유닛(130b)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충전대에 삽입하여 외부의 전원을 축전지(130a)에 충전하여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식 전원부를 일 예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건전지를 이용하여 건전지 교체식 전원부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몸통부(100)의 외주면의 일 지점상에는 회로부(120)를 구동시키는 온 오프스위치(150)가 설치된다. 따라서, 몸통부(100)에 설치된 온오프 스위치(150)를 온으로 하면, 전원이 회로부(120)에 공급되면서 진동 모터(110)가 구동된다. 진동 모터(110)가 구동되면, 헤드부(200)가 그에 따라 진동되면서, 헤드부(200)의 고정링(210)에 걸쳐져 있는 치실이 떨리게 된다.
전달봉(220)은 몸통부(100)내로부터 헤드부(200)를 관통하도록 몸통부(100)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전달봉(220)은 몸통부(10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전달봉(220)은, 진동 모터(110)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헤드부(200)에 전달하여준다. 또한, 진동 모터(110)로부터 발생된 진동의 헤드부(200)로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달봉(220)의 두께보다 두꺼운 형상의 진동자(1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실 보관부(140)는 내부에 치실을 사용후 교환할 수 있도록 치실패(144)를 구성한다. 또한, 절단부(143)를 설치하여, 치실을 뽑아내어 헤드부(200)의 고정링(210)에 걸치도록 한다. 여기서, 절단부(143)는 치실을 사용 후 절단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그리고, 치실 보관부(140)의 외부 또는 내부에 고정부(142)를 설치하여, 치실패(144)를 고정해둘 수 있게 한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의 사용 예 를 설명하자면, 사용자의 한 손(H1)으로 전동 치실 장치를 파지하고, 사용자의 다른 손(H2)으로 치실(300)을 고정링(210)에 3바퀴 정도 감아서 고정을 한 뒤에, 치실(300)의 한 쪽 끝은 사용하기 적절한 길이로 다른 손(H2)의 손가락에 감아서 고정한다. 그런 다음, 전동 치실 장치를 파지한 손(H1)으로 온오프 스위치(150)를 켜서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런 다음, 치실(300)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거리를 조절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치아(T)의 부위에 치실(300)을 끼워서 치실질을 실시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에 의하면, 치실을 헤드부의 고정 홈에 걸어서 사용하게 되면, 진동모터에 의해서 발생된 진동이 치실 전체로 전달되어 치실이 떨리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해서 치실을 치아 사이에 쉽게 끼우고 뺄 수가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플라그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다. 또한, 헤드부의 고유 진동수가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와 유사하게 되어 있어, 헤드부에 걸쳐져 있는 치실에 진동이 크게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의 헤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 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5)

  1. 그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몸통부; 및
    그 외주면에 치실이 걸쳐질 수 있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과 상기 몸통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몸통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고정링으로 전달시키는 전달봉으로 이루어진 헤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의 고유 진동수는 상기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보다 크고, 상기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1.3배보다 작은,
    전동 치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에 상기 치실이 걸쳐질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동 치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그 외주면에 상기 진동 모터의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전동 치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장착되고, 치실이 감겨져 있는 치실패가 설치된 치실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 치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보관부에는 상기 치실을 뽑아내고, 상기 치실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전동 치실 장치.
KR20090019062A 2009-03-06 2009-03-06 전동 치실 장치 KR10150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9062A KR101509471B1 (ko) 2009-03-06 2009-03-06 전동 치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9062A KR101509471B1 (ko) 2009-03-06 2009-03-06 전동 치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273A KR20100100273A (ko) 2010-09-15
KR101509471B1 true KR101509471B1 (ko) 2015-04-14

Family

ID=4300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9062A KR101509471B1 (ko) 2009-03-06 2009-03-06 전동 치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497B1 (ko) 2019-09-30 2020-01-08 김우일 전동치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401574B1 (it) * 2010-07-22 2013-07-26 Monicelli Strumento odontoiatrico per l'igiene dentale
KR101865221B1 (ko) * 2017-12-05 2018-06-07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전동 치실장치
KR200490379Y1 (ko) * 2019-08-01 2019-11-05 송남호 치실걸이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364A (ko) * 2008-08-27 2010-03-09 한국과학기술원 초음파 가진 치실, 초음파 가진 칫솔 및 음파 가진 칫솔
KR20120134576A (ko) * 2011-06-02 2012-12-12 김지현 원 핸드 전동 치실
KR20140147078A (ko) * 2012-03-23 2014-12-29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칫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364A (ko) * 2008-08-27 2010-03-09 한국과학기술원 초음파 가진 치실, 초음파 가진 칫솔 및 음파 가진 칫솔
KR20120134576A (ko) * 2011-06-02 2012-12-12 김지현 원 핸드 전동 치실
KR20140147078A (ko) * 2012-03-23 2014-12-29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497B1 (ko) 2019-09-30 2020-01-08 김우일 전동치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273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5945B1 (en) Orbitally vibrating apparatus for interproximal plaque removal
US5323796A (en) Automated dental flosser
CN108601443A (zh) 电动牙刷
US5150492A (en) Ultrasonic toothbrush
US5738575A (en) Orbitally vibr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oximal plaque removal
US5855216A (en) Dental flossing device
US20050000537A1 (en) Vibratory cleaning devices and methods
KR101604403B1 (ko) 치간칫솔 내장형 칫솔
KR101509471B1 (ko) 전동 치실 장치
US20140295373A1 (en) Device for treating gingiva/ mucosa at teeth or implants
US8505557B1 (en) Powered dental cleaner
JP2009072427A (ja) 電動歯ブラシ
KR101295631B1 (ko) 구강 탈착형 양치 장치
JP2008237276A (ja) 歯肉マッサージ装置
CN209220560U (zh) 一种电动牙刷的传动装置
KR20090011402A (ko) 진동칫솔
JP4306681B2 (ja) 電動歯ブラシ
US20160206413A1 (en) Toothbrush element
JP5717258B2 (ja) 歯ブラシ兼用電動歯間ブラシ
CN209203588U (zh) 一种电动牙刷收容装置
JP2013215337A (ja) 口内洗浄器
KR20100025364A (ko) 초음파 가진 치실, 초음파 가진 칫솔 및 음파 가진 칫솔
JP3202837U (ja) 歯茎洗浄器
KR20120140137A (ko) 자외선 엘이디 치실장치
CN109091263A (zh) 一种新型电动牙缝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