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497B1 - 전동치실 - Google Patents

전동치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497B1
KR102063497B1 KR1020190120468A KR20190120468A KR102063497B1 KR 102063497 B1 KR102063497 B1 KR 102063497B1 KR 1020190120468 A KR1020190120468 A KR 1020190120468A KR 20190120468 A KR20190120468 A KR 20190120468A KR 102063497 B1 KR102063497 B1 KR 10206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floss
machine
lid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일
Original Assignee
김우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일 filed Critical 김우일
Priority to KR102019012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497B1/ko
Priority to PCT/KR2020/001252 priority patent/WO20210662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61C15/047Flossing tool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Abstract

전기모터의 회전운동을 치실의 좌우 왕복운동으로 바꾼 전동치실을 사용하면, 세면장에서 치약을 사용하여 이빨사이를 닦아내기 때문에, 방안에서 수동으로 치실질 할때보다 훨씬 깨끗하게 닦을수 있다.
또 수동일때 보다 치실질이 훨씬 빠르며, 기계 덕택에 치실질이 훨씬 쉬워진다.

Description

전동치실{dental floss driving by electrical motor}
본 발명은 이빨사이를 기계를 이용하여 쉽고, 빠르고, 깨끗하게 닦기위한 장치이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01
치솔의 털이 이빨사이를 닦아낼수 없기 때문에 양치질만으로는 이빨을 닦다마는 셈이된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02
따라서 이빨사이를 닦지 않았기 때문에 충치가 이빨사이에서 기생하게 된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03
방안에서 수동으로 치실질을 하게되면, 작업이 지저분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또 이빨사이가 깨끗하게 닦이지 않는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04
치과의사가 치실질방법을 가르쳐 주지만, 숙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9471호(2015.04.14 공개)
기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왕복운동하는 치실의 일부분에 나이론털이 붙어있기 때문에 치약을 사용하여 기계로 치실질 하게되면, 마치 이빨사이를 치솔질하듯이 닦아내기 때문에, 방안에서 수동으로 치실질 할때 보다 훨씬 깨끗하게 잘 닦아진다.
① 스카치요크기구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운동을 치실의 왕복운동으로 바꾼다.
② 기계의 머리가 기계의 목으로부터 90°꺽여있어 치실질이 편리하다.
③ 치실의 일부분에 나이론털이 붙어있어, 이빨사이를 치솔질하듯이 닦아낸다.
④ 주름진 고무막에 의해 감전사고가 예방된다.
⑤ 치실을 갈아끼울때 OPEN하는 뚜껑과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가 있어, 수명이 다된 치실을 새치실로 쉽게 교환할수 있다.
방안에서 수동으로 치실질할때 보다 기계를 이용하면
① 치실질이 훨씬 빠르다.
② 치실질이 훨씬 쉽다.
③ 세면장에서 치실질하므로 작업이 훨씬 깨끗하다.
④ 치약을 사용하므로 이빨사이가 훨씬 잘 닦인다.
⑤ 수동일때 보다 훨씬 빨리 끝나므로 덜 귀찮다.
① "도 1"은 기계전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② "도 3"은 치실만 따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③ "도 4"는 주름진 고무막의 연결상태를 자세히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05
"도 5a"는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의 전체모습이고
Figure 112019503073811-pat00006
"도 5b"는 치실구멍주변만 확대해서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07
"도 6a"는 기계외부모습을 옆에서 바라본 그림이고
Figure 112019503073811-pat00008
"도 6b"는 기계외부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그림이며
Figure 112019503073811-pat00009
"도 6c"는 뚜껑이 열린 기계머리부분의 속을 옆에서 들여다본 그림이고
Figure 112019503073811-pat00010
"도 6d"는 확대한 뚜껑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Figure 112019503073811-pat00011
"도 6e"는 기계의 머리부분에 뚜껑이 닫혀있는 상태와 뚜껑주변의 막대형스프링과 수평받침대의 위치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1) 기계구조
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원판(A)의 원둘레상한점에 핀(101)이 용접되 있다.
② 스카치요크(B)는 키홈(102)과 로드(103)를 갖고있다.
③ 회전원판(A)에 용접되 있는 핀(101)은 스카치요크(B)의 키홈(102)속에서 미끄러지면서 미끄럼키 역할을 한다.
④ 스카치요크(B)의 로드(103)는 직선고정가이드파이프(104)속에서 좌우로 미끄러진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12
늘어나지 않는 굵은 고무줄(D)의 한쪽끝은(105) 스카치요크(B)의 로드(103)와 단단하게 연결되 있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13
또 굵은 고무줄(D)의 다른쪽끝(106)은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E)와 단단하게 결합되 있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14
굵은 고무줄(D)은 아무리 세게 잡아당겨도 늘어나지 않으며, 구부러진 상태에서 구부러진 고정가이드파이프(107)속에서 미끄러지면서 왕복운동한다.
⑥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E)는 가늘고 긴 막대(108)에 치실구멍(110)이 있고, 치실구멍(110) 가까이에 치실을 눌러주는 짧은 미끄럼파이프(109)를 갖고있다.
⑦ "도 1"은 기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기계의 내부구조를 대충 그린 그림이고((기계를 원래 크기데로 그리면 너무 복잡해서‥…)) 고정가이드파이프(112)와 주름진 고무막(
Figure 112019503073811-pat00015
) 등은 제작회사의 설계방법에 따라 더 많이 필요할수도 있다.
(2) 동작 과정
① 먼저 제작회사가 인체공학적 설계에 의해 가장 효과적인 치실왕복속도를 선택한 후에 기어장치를 이용해 전기모터의 회전속도를 회전원판(A)의 회전속도로 감속시킨다.
② 회전원판(A) 원둘레상에 핀(101)이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원판(A)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핀(10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핀(101)이 키홈(102)속에서 미끄러지므로 스카치요크(B)는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게된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16
스카치요크(B)의 로드(103)가 직선고정가이드파이프(104)속에서 미끄러지면서 좌우로 왕복운동한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17
결국 로드(103)와 연결되 있는 치실이 회전원판(A)의 지름길이 만큼의 거리를 좌우로 왕복하게 된다.
(3) 치실에 대한 보충설명
① 낚시줄처럼 가늘고 질긴 나이론 재질의 치실의 가운데부분에 나이론털(111)이 붙어있어, 치실질할 때 잇몸을 보호하고, 또 나이론털(111)의 효과에 의해 훨씬 더 이빨사이를 깨끗하게 닦을수 있다. 치솔털이 나이론이기 때문에 치실재료도 나이론이 적당하다.
② "도 3"의 그림처럼 치실(F)의 양쪽끝부분에 검정표시점(301)이 있어, 사용자가 새치실을 끼울때 이점과 치실구멍(110)을 일치시켜 끼우면, 정확한 치실길이가 되어 기계는 항상 좋은성능을 유지할수 있게 된다.
③ 치약을 사용하여 치실질 하기 때문에 훨씬더 깨끗하게 잘 닦을수 있다.
④ 치실질이 끝난후에는 기계가 작동된 상태에서 떨어지는 수돗물 아래에서 나이론털(111)부분을 두손가락으로 잡고있으면 손가락사이에서 치실이 왕복하면서 저절로 깨끗하게 세척된다.
(4) 주름진 고무막에 대한 자세한 설명
① 주름진 고무막(
Figure 112019503073811-pat00018
)의 표면주름효과에 의해 고무막표면에 당겨지는 힘이 없어, 찢어질 염려가 없기 때문에 수명이 길고, 전기장치로 물이 들어갈 염려가 없어 감전사고가 예방된다.
② "도 4"는 원형 주름진 고무막(
Figure 112019503073811-pat00019
)의 단면도이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20
"401" 부분은 크램프로 조여진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21
"402" 부분은 볼트나사로 압축된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22
"403" 부분은 기계벽에 새겨진 나사선이며, 따라서 기계벽이 너트 역할을 한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23
"404" 부분은 짧은 파이프외부표면에 새겨진 나사선이므로 짧은 파이프가 볼트역할을 한다.
(5)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E)에 대한 자세한 설명
① 치실구멍(110)주변의 외부표면은 "501"과 같이 경사도가 아주 미소한 외부원뿔표면이고, 가늘고 긴 막대(108)의 표면에서 미끄러지고 있는 짧은 미끄럼파이프(109)의 내부표면도 경사도가 아주 미소한 원뿔표면인데, 두표면사이에 아주 미소한 각도차이가 있기 때문에 치실(F)을 치실구멍(110)에 끼운후 미끄럼파이프(109)를 치실구멍(110) 주변으로 밀어 올렸을때 쐐기효과에 의해 큰마찰력이 얻어지기 때문에 치실질하는 동안에 치실(F)이 절대 빠져나올수 없게된다.
② 가늘고 긴 막대(108)의 양쪽끝부분의 원뿔각도는 "501"과 "502"처럼 미끄럼파이프(109)의 내면 원뿔각도보다 크기때문에 미끄럼파이프(109)가 가늘고 긴 막대(108)의 양쪽끝을 통과하여 밖으로 빠져나갈수 없다.
(6) 기계의 겉모습에 대한 자세한 설명
① 그림설명
Figure 112019503073811-pat00024
"도 6a"는 기계를 옆에서 바라본 그림이고
Figure 112019503073811-pat00025
"도 6b"는 기계를 위에서 내려다본 그림이며, 나이론털(111)부분이 이빨사이에 끼워진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26
"도 6c"는 치실을 갈아끼울때 오픈하는 뚜껑(607)을 열고, 옆에서 기계의 머리(601)속을 들여다본 그림이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27
"도 6d"는 뚜껑(607)만 따로 떼어내서 그린 그림인데 그림에서와 같이 뚜껑(607)은 얇고 긴 사각판이다.
② 기계의 머리(601)
Figure 112019503073811-pat00028
기계의 머리(601)에는 뚜껑(607)이 양쪽으로 2개있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29
뚜껑(607)을 열면 "도 6c"와 같이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E)가 바로 나타난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30
"604"와 같이 기계의 머리(601)가 기계의 목(602)으로 부터 90°꺽여있어, 치실질이 편리해 진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31
입안과 기계의 머리(601)가 접촉하는 부분이 모두 라운딩 처리되어 있어, 입안과 기계가 부드럽게 접촉한다.
③ 기계의 몸통(603)속에는 전기모터, 기어장치, 재충전식밧데리, 기구장치 등이 들어 있으며, 이 기계는 재충전식밧데리로 구동된다.
④ 기계의 목(602)과 기게의 몸통(603)의 단면은 원형이다.
⑤ 치실을 갈아끼울때 오픈되는 뚜껑(607)
Figure 112019503073811-pat00032
뚜껑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열리고 닫힌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33
따라서 "도 6a"에서 뚜껑(607)을 밀어 올리면, 뚜껑(607)이 미끄러지면서 위로 빠진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34
뚜껑의 가장자리(608)가 키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계벽에 파진 키홈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열리기도 하고 닫히기도 한다.
⑥ 사용자가 왼쪽위에 있는 어금니사이를 닦을때 오른손으로는 기계몸통(603)을 잡고, 왼손엄지손가락으로 기계머리(601)부분을 받쳐준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35
이때 기계는 거의 수평상태가 된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36
왼쪽 아래에 있는 어금니사이를 닦을때는 드라이버를 180°회전시키듯이, 먼저자세로부터 기계를 180°회전시켜 닦는다.
⑦ 깊이 "605"는 일반성인어금니 깊이의 약 1.5배로 설계하고, 폭 "606"은 일반성인어금니 폭의 약1.5배로 설계한다.
⑧ 뚜껑에는(607) 막대형스프링(609)이 설치되 있다.
Figure 112019130230272-pat00037
뚜껑을 오픈할 때는 막대형스프링(609)을 누른후, 뚜껑(607)을 밀어올려 위로 빼낸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38
뚜껑을 끼울때는 먼저 뚜껑(607)을 기계벽에 파진 키홈에 끼운후, 뚜껑을 밀어내리면 막대형스프링(609)이 기계벽에 붙어있는 수평받침대(610)에 눌리면서 뚜껑이(607) 미끄러지면서 내려 오게된다.
Figure 112019503073811-pat00039
뚜껑이 다 내려온후에는 막대형스프링(609)이 기계벽에 붙어있는 수평받침대(610)에 걸려, 뚜껑(607)이 움직일수 없어 고정된다.
① A : 회전원판
101 : 회전원판 원둘레상 한점에 용접되 있는 핀
② B : 스카치요크 104 : 로드가 미끄러지는 고정직선가이드파이프
102 : 스카치요크의 키홈 103 : 스카치요크의 로드
Figure 112019503073811-pat00040
: 주름진 고무막
401 : 주름진 고무막에서 크램프로 조여지는 부분
402 : 주름진 고무막에서 볼트로 압축되는 부분
403 : 기계벽에 새겨진 너트나사선
404 : 짧은 파이프 표면에 새겨진 볼트나사선
405 : 주름진 고무막의 주름
④ D : 늘어나지 않는 굵은 고무줄
105 : 로드와 굵은 고무줄의 연결부분
106 : 굵은 고무줄과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의 연결부분
107 : 굵은 고무줄이 미끄러지는 곡선고정가이드파이프
⑤ E :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
108 : 가늘고 긴 막대
109 : 치실을 눌러주는 짧은 미끄럼파이프
110 : 치실구멍
⑥ F : 치실
111 : 치실에 붙어있는 나이론 털
112 : 치실이 미끄러지는 곡선고정가이드파이프

601 : 기계의 머리 602 : 기계의 목
603 : 기계의 몸통
604 : 기계의 목과 기계의 머리 사이 90°각도
608 : 치실을 갈아끼울때 OPEN하는 뚜껑에서 키역할을 하는 부분
607 : 치실을 갈아끼울때 OPEN하는 뚜껑
609 :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막대형 스프링
610 : 기계벽에 붙어있는 수평 받침대

Claims (14)

  1. 기계의 머리(601)가 기계의 목(602)으로부터 90°꺽여있어 치실질이 편리하고, 기계의 몸통(603)속에 들어있는 전기모터의 회전속도가 기계의 몸통(603)속에 들어있는 기어장치에 의해 가장 효과적인 회전원판(A)의 회전속도로 감속되며,
    회전원판(A) 원둘레상 한점에 핀(101)이 용접되어 있고, 상기 핀(101)이 스카치요크(B)의 키홈(102)을 따라 미끄러지기 때문에 스카치요크(B)의 로드(103)는 직선고정가이드파이프(104)속에서 미끄러지면서 좌우로 왕복운동하며,
    회전원판(A)을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으로 굵은 고무줄(D)과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E)가 각각 한대씩 설치되고,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E)는 가늘고 긴 막대(108)에 치실구멍(110)이 형성되며, 스카치요크의 로드(103)와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E)는 굵은 고무줄(D)에 의해 연결되고, 좌우의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E)의 치실구멍(110)에 치실(F)이 끼워져 설치되며,
    기계의 머리(601)의 양쪽에 뚜껑(607)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뚜껑(607)을 오픈하면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E)가 나타나 수명이 다 된 치실(F)을 새 치실로 쉽고 빠르게 갈아끼울 수 있으며,
    전기모터의 회전운동이 치실(F)의 좌우 왕복운동으로 바뀌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치실.
  2. 제1항에 있어서, 치실(F)의 재료는 나이론이고, 치실(F)의 가운데 부분에 나이론털(111)이 붙어있기 때문에, 치실질할 때 잇몸이 보호되고, 이빨 사이를 치솔질하듯이 닦아내기 때문에 이빨 사이가 깨끗하게 닦일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치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치실(F) 양끝 부분에 검정표시점(301)이 표시되어 있어, 새치실을 갈아 넣을때 상기 검정표시점(301)과 치실구멍(110)을 일치시키면, 치실길이가 정확해지기 때문에 우수한 기계성능을 계속해서 유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치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스카치요크의 로드(103) 끝부분에 주름진 고무막(
    Figure 112019130230272-pat00041
    )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의 몸통(603) 속에 들어있는 전기장치로 물이 들어갈 염려가 없어 감전사고가 예방되고, 주름진 고무막(
    Figure 112019130230272-pat00042
    )의 주름 효과 때문에 주름진 고무막(
    Figure 112019130230272-pat00043
    )이 찢어질 염려가 없어 수명이 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치실.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치실을 갈아끼우는 기구(E)의 가늘고 긴 막대(108) 부분에는 치실구멍(110) 가까이에 치실(F)을 눌러주는 짧은 미끄럼파이프(109)가 설치되고, 짧은 미끄럼파이프(109)는 가늘고 긴 막대(108) 밖으로 빠져나갈수 없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치실.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치실을 갈아끼울때 오픈되는 뚜껑(607)이 슬라이드 방법으로 위로 빠지면서 열리게 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자가 뚜껑(607)을 쉽게 열고 닫을수 있고, 치실을 갈아끼울 때 오픈되는 뚜껑(607)에 막대형스프링(609)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607)을 완전히 밀어 내렸을때, 막대형스프링(609)이 기계벽에 붙어있는 수평받침대(610)에 걸려 움직일수 없게 되면서 뚜껑(607)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치실.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120468A 2019-09-30 2019-09-30 전동치실 KR10206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468A KR102063497B1 (ko) 2019-09-30 2019-09-30 전동치실
PCT/KR2020/001252 WO2021066263A1 (ko) 2019-09-30 2020-01-28 전동치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468A KR102063497B1 (ko) 2019-09-30 2019-09-30 전동치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497B1 true KR102063497B1 (ko) 2020-01-08

Family

ID=6915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468A KR102063497B1 (ko) 2019-09-30 2019-09-30 전동치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3497B1 (ko)
WO (1) WO20210662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263A1 (ko) * 2019-09-30 2021-04-08 김우일 전동치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634B1 (ko) * 1996-06-10 2001-12-28 추후보정ㅅ 치간극용치실솔
KR200288987Y1 (ko) * 2001-12-14 2002-09-13 김우량 이빨 사이를 닦아주는 기계
KR200455552Y1 (ko) * 2011-04-18 2011-09-15 김승현 치실 홀더
KR101509471B1 (ko) 2009-03-06 2015-04-14 한국과학기술원 전동 치실 장치
KR20160004501U (ko) * 2015-06-19 2016-12-28 주식회사 상아이크린 길이확인이 가능한 치실이 구비된 치실공급기
KR101812314B1 (ko) * 2017-08-31 2017-12-26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497B1 (ko) * 2019-09-30 2020-01-08 김우일 전동치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634B1 (ko) * 1996-06-10 2001-12-28 추후보정ㅅ 치간극용치실솔
KR200288987Y1 (ko) * 2001-12-14 2002-09-13 김우량 이빨 사이를 닦아주는 기계
KR101509471B1 (ko) 2009-03-06 2015-04-14 한국과학기술원 전동 치실 장치
KR200455552Y1 (ko) * 2011-04-18 2011-09-15 김승현 치실 홀더
KR20160004501U (ko) * 2015-06-19 2016-12-28 주식회사 상아이크린 길이확인이 가능한 치실이 구비된 치실공급기
KR101812314B1 (ko) * 2017-08-31 2017-12-26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263A1 (ko) * 2019-09-30 2021-04-08 김우일 전동치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263A1 (ko)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3415B (zh) 牙齿卫生器具
AU669105B2 (en) Toothbrush
US4605025A (en) Powered dental flossing device
CA2638068C (en) Retractable interproximal brush
KR102063497B1 (ko) 전동치실
CN212879648U (zh) 牙线器
KR20170084197A (ko) 힘-감지 칫솔
KR102436488B1 (ko)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US5074005A (en) Floss bundle toothbrush with optional replaceable toothpick feature
KR101865221B1 (ko) 전동 치실장치
KR101812314B1 (ko)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US7322367B2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JPH07163420A (ja) 口腔清掃用具
KR100753008B1 (ko) 양치습관 교정용 칫솔
KR102609026B1 (ko) 회전형 칫솔
CN211021395U (zh) 一种新型换向牙刷
CN217722910U (zh) 一种可更换刷头的多用牙间刷
KR200288987Y1 (ko) 이빨 사이를 닦아주는 기계
CN110755166A (zh) 剔牙辅助用具
KR20180119325A (ko) 칫솔
KR102379646B1 (ko) 치간칫솔
KR20190124290A (ko)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구강 케어 기구의 제조 방법
CN214549697U (zh) 一种电动牙刷
KR100860090B1 (ko) 칫솔
KR200348352Y1 (ko) 수동식 회전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