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325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325A
KR20180119325A KR1020170052914A KR20170052914A KR20180119325A KR 20180119325 A KR20180119325 A KR 20180119325A KR 1020170052914 A KR1020170052914 A KR 1020170052914A KR 20170052914 A KR20170052914 A KR 20170052914A KR 20180119325 A KR20180119325 A KR 20180119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floss
stopper
body par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수
Original Assignee
김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수 filed Critical 김만수
Priority to KR102017005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9325A/ko
Publication of KR20180119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58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75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adjustable and stable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46B9/10Adjust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와 칫솔모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바디부가 구부러진 형태로 마련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칫솔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그립부의 단부에 구비된 제1 바디부, 그리고 단부에 칫솔모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바디부의 단부에 구비된 제2 바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와 칫솔모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바디부가 구부러진 형태로 마련되어 입 안쪽에 위치한 치아를 보다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와 칫솔모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바디부가 구부러진 형태로 마련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취예방, 충치와 풍치를 예방하는 등 구강건강 향상 또는 유지, 그리고 대인관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모든 사람들이 매일 수차례 양치질을 수행한다.
양치질에 사용되는 칫솔은 일반적으로 긴 막대 형상을 갖는 손잡이와, 손잡이에 연결되어 칫솔모가 구비된 칫솔 머리로 마련된다.
이러한 칫솔을 이용한 양치질은 이를 행하는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이 상태에서 장기간 경과하면 치석이 쌓이면서 치주질환 등의 잇몸병 유발로 이어지기 쉬울 뿐 아니라 충치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양치질을 올바로 하더라도 직선 형태로 마련된 칫솔을 사용하는 경우 구강이 작은 여성 또는 유아는 구강 안쪽의 치아를 닦을시에 칫솔이 구강 앞쪽의 치아에 부딪혀 구강 안쪽의 치아를 깨끗이 닦아주기에 다소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구강 안쪽의 치아가 앞쪽 치아보다 쉽게 썩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입 안쪽에 위치한 치아를 보다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와 칫솔모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바디부가 구부러진 형태로 마련되는 칫솔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아 또는 어린이(예를 들어, 2세 ~ 8세 아이)는 칫솔질에 대해서 아직 미흡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대부분 부모들이 닦아주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 각도가 구부러진 형태의 칫솔을 이용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가 입을 크게 벌리지 않고 닦아주는 부모 또한 크게 힘들이지 않고도 유아 또는 어린이의 치아를 구석구석 잘 닦아주도록 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그립부의 단부에 구비된 제1 바디부; 및 단부에 칫솔모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바디부의 단부에 구비된 제2 바디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그립부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며, 상기 제1 바디부가 회전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그립부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바디부가 회전되게 체결되는 제1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기어부; 상기 제1 바디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기어부에 맞물리는 제1 고정기어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회전되게 체결되는 제2 회전축에 구비된 제2 회전기어부; 상기 제2 바디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기어부에 맞물리는 제2 고정기어부; 및 상기 제1 회전기어부에 형성된 제1 와이어 체결부와 상기 제2 회전기어부에 형성된 제2 와이어 체결부 간을 연결하고, 상기 제2 회전기어부가 상기 제1 회전기어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축의 타측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제1 회전기어부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작동부; 및 상기 그립부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 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원판 형태로 마련되고,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가 상기 스톱퍼에 맞물려 회전이 구속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그립부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체결되는 스톱퍼 몸체; 상기 스톱퍼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기어에 맞물리는 요철부; 및 상기 스톱퍼 몸체의 타측과 상기 그립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톱퍼 몸체를 상기 작동부 측으로 이동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은 상기 그립부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일정 길이의 치실을 뽑은 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치실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 공급부는,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고, 치실이 감겨있는 치실 몸체;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치실 몸체에서 풀려진 치실이 끼움 체결되는 치실 고정부;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그립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캡부재가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그립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치실을 가압하여 절단하는 커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칫솔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와 칫솔모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바디부가 구부러진 형태로 마련되어 입 안쪽에 위치한 치아를 보다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대응하여 바디부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구부릴 수 있어 사용자의 나이와 성별에 관계없이 폭넓게 사용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립부의 내부에 치실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치실을 뽑아서 사용할 수 있어 칫솔의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의 일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의 타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의 일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의 타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이 변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에서 치실 공급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에서 치실 공급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칫솔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의 일측 및 타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칫솔의 일측 및 타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칫솔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칫솔이 변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1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200)와, 상기 그립부(200)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그립부(200)의 단부에 구비된 제1 바디부(300), 그리고 단부에 칫솔모(420)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200)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바디부(300)의 단부에 구비된 제2 바디부(4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칫솔(100)은 치아를 청소할 수 있는 칫솔모(420)가 구비된 제2 바디부(400)가 상기 그립부(200)와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제1 바디부(300)가 상기 그립부(200) 및 상기 제2 바디부(400)와 일정 각도를 가지면서 상기 그립부(200)와 상기 제2 바디부(4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칫솔모(420)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있는 상기 그립부(200)와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이격 배치되어 있어 종래의 칫솔과 비교하여 입 안쪽에 위치한 치아를 보다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칫솔(100)은 구부러진 형태가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칫솔(100)은 상기 제1 바디부(300)는 상기 그립부(20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제2 바디부(400)는 상기 제1 바디부(300)에 회전되게 체결되며, 상기 제1 바디부(300)가 회전시 상기 제2 바디부(400)는 상기 그립부(20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칫솔(100)은 상기 그립부(200)와 상기 제1 바디부(300)가 회전되게 체결되는 제1 회전축(미도시)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기어부(210)와, 상기 제1 바디부(300)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에 맞물리는 제1 고정기어부(310)와, 상기 제1 바디부(300)와 상기 제2 바디부(400)가 회전되게 체결되는 제2 회전축(미도시)에 구비된 제2 회전기어부(320)와, 상기 제2 바디부(400)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기어부(320)에 맞물리는 제2 고정기어부(410), 그리고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에 형성된 제1 와이어 체결부(211)와 상기 제2 회전기어부(320)에 형성된 제2 와이어 체결부(321) 간을 연결하고 상기 제2 회전기어부(320)가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5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축의 타측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작동부(220)와, 상기 그립부(200)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220)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 하는 스톱퍼(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는 상기 그립부(200)와 상기 제1 바디부(300)가 회전되게 체결되는 제1 회전축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의 타측에는 상기 작동부(220)가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220)를 회전시켜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 고정기어부(310)는 상기 제1 바디부(300)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기어부에 기어로 맞물려 있어,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고정기어부(310)는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1 고정기어부(310)가 상기 제1 바디부(300)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바디부(300)가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회전기어부(320)는 상기 제1 바디부(300)와 상기 제2 바디부(400)가 회전되게 체결되는 제2 회전축(미도시)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500)로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제1 와이어 체결부(211)에 감겨진 후 한번 꼬여진 후 상기 제2 와이어 체결부(321)에 감겨진다. 따라서,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회전기어부(320)가 회전하도록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고정기어부(410)는 상기 제2 바디부(400)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기어부에 기어로 맞물려 있어, 상기 제2 회전기어부(320)가 회전하면 상기 제2 고정기어부(410)는 상기 제2 회전기어부(320)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2 고정기어부(410)가 상기 제2 바디부(400)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바디부(400)가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회전기어부(320)는 상기 제2 회전기어부(3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2 바디부(400)는 상기 제1 바디부(30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와 상기 제2 회전기어부(320)는 동일한 기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와이어 체결부(211)와 상기 제2 와이어 체결부(321) 또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기어부(310)와 상기 제2 고정기어부(410)도 동일한 기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부(300)가 회전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제2 바디부(40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바디부(300)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하여도 상기 제2 바디부(400)는 항시 상기 그립부(20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220)는 상기 제1 회전축의 타측에 체결 고정되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작동부(220)는 원판 형태로 마련되고, 원주면을 따라 기어(222)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기(22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222)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스톱퍼(230)에 맞물려 상기 작동부(2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톱퍼(230)는 상기 그립부(200)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220)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도록 마련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작동부(22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그립부(200)에서 상기 스톱퍼(230)가 이격되게 이동시킨 후 상기 작동부(220)를 회전시키고,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스톱퍼(230)가 상기 그립부(200)에 밀착되어 상기 작동부(220)의 회전을 구속시켜 상기 제1 바디부(300) 및 상기 제2 바디부(40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부(200)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체결되는 스톱퍼 몸체(231)와, 상기 스톱퍼 몸체(23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220)의 기어(222)에 맞물리는 요철부(233), 그리고 상기 스톱퍼 몸체(231)의 타측과 상기 그립부(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톱퍼 몸체(231)를 상기 작동부(220) 측으로 이동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2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스톱퍼 몸체(231)를 슬라이딩 이동되게 동작시키는 경우 미끄러지는 않고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 몸체(231)에 요철 형태의 미끄럼 방지부(234)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작동부(220)를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스톱퍼 몸체(231)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작동부(220)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고, 상기 작동부(220)의 회전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톱퍼 몸체(231)를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2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톱퍼 몸체(231)가 상기 작동부(220)측으로 밀착되어 상기 요철부(233)가 상기 작동부(220)의 기어(222)에 맞물려 상기 작동부(22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220)에는 숫자가 기재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기억하기 쉽게 마련하였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200)에 형성된 기준점(240)에 상기 작동부(220)의 숫자 1이 위치되면 종래의 칫솔과 같이 상기 그립부(200)와 상기 제1 바디부(300)와 상기 제2 바디부(400)가 직선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점(240)에 상기 작동부(220)의 숫자 2가 위치되면 상기 제1 바디부(30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되고, 숫자 3 및 4가 위치되면 보다 큰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바디부(300)의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사용해본 후 사용자에 따라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의 숫자를 파악하여 그에 맞게 상기 작동부(220)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칫솔(100)은 상기 그립부(200)와 상기 제1 바디부(300)와 상기 제2 바디부(400)를 감싸는 커버(6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600)는 상기 제1 바디부(300)와 상기 제2 바디부(400)가 회전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600)는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와 제2 회전기어부(320)가 마련된 측은 모두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회전기어부(210)와 제2 회전기어부(320), 상기 제1 고정기어부(310)와 제2 고정기어부(410), 그리고 상기 와이어(5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600)는 상기 작동부(220)와 상기 스톱퍼(230)는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된다. 즉, 상기 작동부(220)와 상기 스톱퍼(230)는 사용자가 동작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은 사용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칫솔의 내부에 치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칫솔에서 치실 공급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치실 공급부는 상기 그립부(200)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일정 길이의 치실(720)을 뽑은 후 이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 공급부는 상기 그립부(200)의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고 치실(720)이 감겨있는 치실 몸체와, 상기 그립부(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치실 몸체에서 풀려진 치실(720)이 끼움 체결되는 치실 고정부(730)와, 상기 그립부(200)의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그립부(200)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캡부재(710), 그리고 상기 캡부재(710)에 구비되고 상기 캡부재(710)가 상기 그립부(200)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그립부(2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치실(720)을 가압하여 절단하는 커터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그립부(2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치실(720)이 빠져나오도록 형성된 치실 홈(750)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710)가 상기 그립부(200)의 하단부를 폐쇄하도록 닫히는 경우 상기 커터부(740)가 삽입되게 커터 홈(7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터 홈(760)에는 상기 커터부(740)의 단부와 밀착되는 바닥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터부(740)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치실(720)이 위치되어 상기 커터부(740)가 상기 치실(720)을 가압하면서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실 고정부(730)는 절단된 치실(720)이 상기 그립부(20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치실(720)을 잡고 상기 치실 고정부(730)가 치실(720)을 고정하는 힘보다 큰 힘으로 당기면 치실(720)이 풀리면서 나오게 되고, 치실(720)이 절단된 후에는 치실(720)이 상기 치실 고정부(730)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치실(720)의 단부가 상기 치실 홈(750)의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치실(720)을 절단한 후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치실(720)을 잡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치실이 필요한 경우 상기 캡부재(710)를 개방하여 원하는 길이로 치실(720)을 뽑은 후 상기 캡부재(710)를 닫으면 상기 캡부재(710)에 마련된 커터부(740)가 상기 치실(720)을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치실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그립부(200)는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어 치실을 모두 사용한 경우 상기 그립부(200)의 내부를 개방하여 치실 몸체를 제거하고, 치실이 감겨진 새로운 치실 몸체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칫솔 200 : 그립부
210 : 제1 회전기어부 211 : 제1 와이어 체결부
220 : 작동부 221 : 돌기
222 : 기어 230 : 스톱퍼
231 : 스톱퍼 몸체 232 : 탄성부재
233 : 요철부 234 : 미끄럼 방지부
300 : 제1 바디부 310 : 제1 고정기어부
320 : 제2 회전기어부 321 : 제2 와이어 체결부
400 : 제2 바디부 410 : 제2 고정기어부
420 : 칫솔모 500 : 와이어
600 : 커버 710 : 캡부재
720 : 치실 730 : 치실 고정부
740 : 커터부 750 : 치실 홈
760 : 커터 홈

Claims (8)

  1.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그립부의 단부에 구비된 제1 바디부; 및
    단부에 칫솔모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바디부의 단부에 구비된 제2 바디부;
    를 포함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그립부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며, 상기 제1 바디부가 회전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그립부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바디부가 회전되게 체결되는 제1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기어부;
    상기 제1 바디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기어부에 맞물리는 제1 고정기어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회전되게 체결되는 제2 회전축에 구비된 제2 회전기어부;
    상기 제2 바디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기어부에 맞물리는 제2 고정기어부; 및
    상기 제1 회전기어부에 형성된 제1 와이어 체결부와 상기 제2 회전기어부에 형성된 제2 와이어 체결부 간을 연결하고, 상기 제2 회전기어부가 상기 제1 회전기어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의 타측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제1 회전기어부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작동부; 및
    상기 그립부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 하는 스톱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원판 형태로 마련되고,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가 상기 스톱퍼에 맞물려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그립부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체결되는 스톱퍼 몸체;
    상기 스톱퍼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기어에 맞물리는 요철부; 및
    상기 스톱퍼 몸체의 타측과 상기 그립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톱퍼 몸체를 상기 작동부 측으로 이동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일정 길이의 치실을 뽑은 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치실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공급부는,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고, 치실이 감겨있는 치실 몸체;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치실 몸체에서 풀려진 치실이 끼움 체결되는 치실 고정부;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그립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캡부재가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그립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치실을 가압하여 절단하는 커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70052914A 2017-04-25 2017-04-25 칫솔 KR20180119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914A KR20180119325A (ko) 2017-04-25 2017-04-25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914A KR20180119325A (ko) 2017-04-25 2017-04-25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25A true KR20180119325A (ko) 2018-11-02

Family

ID=6432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914A KR20180119325A (ko) 2017-04-25 2017-04-25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93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005Y1 (ko) * 2019-12-05 2021-01-20 진영매 크리너 및 치실이 포함되는 다기능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005Y1 (ko) * 2019-12-05 2021-01-20 진영매 크리너 및 치실이 포함되는 다기능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1108B2 (en) Motorized flosser and method of use
KR100971328B1 (ko) 칫솔
US4605025A (en) Powered dental flossing device
US10039624B2 (en) Dental floss device
JPH05502401A (ja) ブラシのない歯清浄器
KR101857103B1 (ko) 치은열구 칫솔
KR20180119325A (ko) 칫솔
US20120279518A1 (en) Toothpick with floss
US20140360526A1 (en) Tooth brush and flossing aid combination
KR101812314B1 (ko)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CN111568582B (zh) 一种口腔清洁设备
EP3698753A1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JP5314112B2 (ja) 歯磨き補助具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JP3071470U (ja) 歯間清掃用フロス付き歯ブラシ及び舌苔除去用弾性体付き歯ブラシ
US8096309B2 (en) Compact dental flossing tool
US7322367B2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TWI676468B (zh) 可測長度牙線盒
CN201438973U (zh) 一种持牙线的施用装置
CN213722563U (zh) 一种大斜角、大包围圆弧凹槽、半圆绑线柱的牙线架
CN214047908U (zh) 一种小苏打牙刷
KR20160002988U (ko) 치간 칫솔 및 치실이 내장된 칫솔
KR20160001404U (ko) 치간 칫솔 및 치실이 내장된 칫솔
KR100986796B1 (ko) 치아 클리너
KR102032614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