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314B1 -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 Google Patents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314B1
KR101812314B1 KR1020170111335A KR20170111335A KR101812314B1 KR 101812314 B1 KR101812314 B1 KR 101812314B1 KR 1020170111335 A KR1020170111335 A KR 1020170111335A KR 20170111335 A KR20170111335 A KR 20170111335A KR 101812314 B1 KR101812314 B1 KR 101812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dental floss
fixed connection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한
Original Assignee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김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김상한 filed Critical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61C15/047Flossing tool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61C15/048Flossing tools with heads removable from handle, e.g. interchangeable head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구에 관한 것으로, 한 손으로 파지가능한 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된 작동버튼을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모터가 구동함에 따른 결착구가 케이스의 전단부에서 직선 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동 치실장치의 결착구에 치실이 고정 연결된 치실 연결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탈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치실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Dental Floss Holder For Electric Floss Device}
본 발명은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손으로 파지가능한 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된 작동버튼을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모터가 구동함에 따른 결착구가 케이스의 전단부에서 직선 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동 치실장치의 결착구에 치실이 고정 연결된 치실 연결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탈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치실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플라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정기적 치과 건강 진단, 그리고 전문 세척 이외에도 치과위생에서의 개인 관리는 치아와 치은의 건강 및 외관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런 필요성에 부합하는 가장 익숙하고 일반적인 수단은 강모형의 칫솔이다.
또한, 강모의 솔을 진동식으로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동 칫솔을 비롯하여 여러 방법으로 강모에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기계화된 여러 가지 형식의 칫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칫솔은 치아, 의치 및 치열 교정 장치의 대부분의 부위를 세척하는데 효과적이지만 한계가 있다.
한계가 발생하는 까닭은 이들 장치가 비교적 길고 경질성 또는 반경질성의 손잡이 장치의 필요성과 강모의 성질상 강모가 피세척면에 수직으로 뻗어 있을 때 세척 작용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구강부 내에서 손잡이가 있는 장치를 사용하면 당연히 위치 설정과 움직임에 제한이 가해진다.
칫솔을 적절한 위치로 넣고 강모를 움직여서 치아, 치간 및 치아의 모든 부위에 걸쳐 세척이 골고루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으며 가능한 것이 아니다.
이러한 결점들은 헤드를 더 작게 만드는 것과 같이 칫솔 헤드를 개량하거나 칫솔 손잡이 각도를 조절하거나 강모의 길이와 배열을 다르게 하는 것 등의 방법으로 다양한 개선에 의해 향상되어 왔지만 치근 표면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 또는 치아 사이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모든 부위의 치간극을 효율적으로 세척하는데 여전히 미흡했다.
치아 사이(inter dental), 즉 치간(잇새)에 있는 플라그(이물질 포함)를 제거하는 대안으로는 유체를 분사하여 작동되는 장치의 사용도 포함된다. 이들 장치는 가격이 비싸며, 동력원을 필요로 하고 치약과 함께 사용될 수 없으며, 칫솔과 마찬가지로 유체류가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향하게 되는 경우에 효율적 세척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치간을 세척하는데 제약이 있다.
간단한 치간 세척을 감안하여 치실과 같은 가요성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손잡이가 있고, 그 손잡이의 일단에 일체로 마련되며 이격된 두 개의 치실 홀더를 갖는 청소구 본체 및 치실 홀더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치실로 이루어진다. 치실을 사용하고 난 후 다시 사용하려면 치실을 세척한 뒤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 불편이 문제로 되고, 치실을 보호하지 못하므로 위생 보관이 어려운 점이 문제로 된다.
또 다른 사례로서, 손잡이 없이 치간 솔 부분과 치실 부분으로 구분된 구조로서, 치간 사이 세척과 이물질 제거에 쓰일 수 있도록 제작되었지만 사용 후 세척의 문제, 위생 보관의 문제 등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 밖에 치실을 손잡이에 고정하고 손잡이 일부에 치간칫솔을 부착한 것, 손잡이를 접을 수 있게 만들어 길이가 짧아지게 한 것 등의 치실 및 치간칫솔이 다양한 구조로 알려져 있다.
또한, Y자형의 몸체에 고정되어 사용되어지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몸체를 파지하고 몸체의 전방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간에 설치된 치실을 치아 사이로 삽입하여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종래에는 치실이 Y자형의 몸체의 전방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간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 치실의 긴장력은 지지간의 지지력에만 의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양손의 손가락에 치실을 감아 사용할 때보다 치실의 긴장력이 떨어지게 된다.
즉, 이같이 치실이 확실히 긴장되지 못하고 치실에 제공되는 긴장력이 떨어지게 되면 사용자가 손가락에 치실을 감아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보다 치간의 이물질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Y자형 몸체에 감긴 치실이 긴장력이 떨어진다고 해서 사용자가 손가락에 치실을 감아 사용한다면 긴장력을 위해 치실을 당기게 될 때 사용자는 손가락에 통증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치간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사용자의 손에 묻게 되는 불쾌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치실에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치실홀더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치실이 추가 인출되어 오염되거나, 이물질 제거 중에 치실이 추가 인출되어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하게 공지된 종래의 치실은 치실을 손으로 일정한 길이를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사용하기 위해 치실을 손으로 만지게 되는 관계로, 입속에 들어가는 치실이 비위생적인 손으로 만지게 될 때 오염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5-0004286호에 치실에 손대지 않고 사용하는 멀티 패키지가 게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치실에 손대지 않고 사용하는 멀티 패키지는 소정 길이의 치실이 노출되며, 상기 치실의 양쪽 선단에 연결되는 치실 연결구 일측으로 보호대에 결합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에서 노출된 후크축이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양쪽이 결합하는 보호대를 결합한 몸체의 내경으로 밀대를 형성한 작동축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축의 선단이 누름부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부와 몸체의 사이를 탄성부로 연결하는 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대신하여 치실의 한쪽 선단에 형성한 치실 연결구 일측으로 보호대에 결합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에서 노출된 후크축의 선단에 밀대에 결합하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치실의 다른 한쪽 선단을 연결한 경사 연결구에 치실 연결구 일측으로 보호대에 결합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에서 노출된 후크축의 선단에 밀대에 결합하는 후크가 형성되는 교정용 고정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치실에 손대지 않고 사용하는 멀티 패키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고자 할 경우, 먼저 치실을 치아 사이로 삽입한 후, 스틱의 몸체부를 오른손과 왼손으로 각각 파지한 후 오른손과 왼손을 번갈아 가면서 몸체부를 당김시키는 것에 의해 치아 사이의 플라그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바, 치실에 손을 대지 않고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위생적일 수는 있으나, 한 손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사용시 반드시 양손 모두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시 불편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5-0004286호, 출원일;2015년01월12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 손으로 파지가능한 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된 작동버튼을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모터가 구동함에 따른 결착구가 케이스의 전단부에서 직선 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동 치실장치의 결착구에 치실이 고정 연결된 치실 연결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탈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치실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는,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치실을 걸 수 있도록 치실 걸이구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일면에 구비되는 작동버튼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에 내설된 전원공급부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전방 외측으로 각각 직선 왕복운동가능 한 고정연결부를 갖는 치실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동 치실장치의 고정연결부에 일단이 장,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치실 고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치실 고정부재 타단에 각 일단이 고정되어 케이스에 형성된 치실 걸이구에 권회되어 치실작동수단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치실 걸이구를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여 치아 사이의 세척과 이물질 제거가능하게 구비되는 치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치실 고정부재는, 치실작동수단의 고정연결부에 각각 일단이 삽입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림 및 해제가능하도록 외주면에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된 삽입걸림부와, 상기 삽입걸림부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일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삽입걸림부가 삽입시 고정연결부에 걸림되도록 확경된 멈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에 따르면, 치실에 손을 대지 않고도 전동 치실장치의 고정연결부에 장,탈착시킬 수 있어, 치실을 보다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실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가 전동 치실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가 전동 치실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가 전동 치실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는 한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가능 한 전동 치실장치에 착탈식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200)는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부(110)를 내설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치실을 걸 수 있도록 치실 걸이구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케이스(120)와, 상기 케이스(120) 일면에 구비되는 작동버튼(130)과,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부(110)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작동버튼(130)의 조작에 대응되게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가능하게 구동축(141)을 갖추되, 상기 구동축(141)이 외주면에는 웜기어(141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구동모터(140)와, 상기 구동모터(140)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것에 구동축(141)의 웜기어(141a)와 외주면이 물림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웜 휠(150)과, 상기 웜 휠(150)의 양측면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140)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120)의 전방 외측으로 각각 직선 왕복운동가능 한 고정연결부(163,163')를 갖는 치실작동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동 치실장치(100)의 고정연결부(163,163')에 일단이 장,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치실 고정부재(210,210')와, 상기 한 쌍의 치실 고정부재(210,210') 타단에 각 일단이 고정되어 케이스(120)에 형성된 치실 걸이구(122b)에 권회되어 치실작동수단(160)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치실 걸이구(122b)를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여 치아 사이의 세척과 이물질 제거가능하게 구비되는 치실(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전동 치실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전동 치실장치의 케이스(120)는,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일단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기둥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작동버튼(13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손잡이용케이스(121)와, 상기 손잡이용케이스(121)의 개구된 부분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되, 타단 외주면에는 치실작동수단(160)의 타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한 쌍의 홀(122a,122a')이 천공되며, 상기 한 쌍의 홀(122a,122a') 일측에는 치실 걸이구(122b)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는 치실 거치용 케이스(122)로 구성된다.
상기한 작동버튼(1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0)의 손잡이용케이스(121)에 형성된 설치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120)에 내설되는 구동모터(140)가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구동모터(140)는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부(110)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작동버튼(130)을 사용자가 조작에 대응되게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가능하는 것에 의해 외주면에 웜기어(141a)가 형성된 구동축(141)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웜 휠(1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4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웜기어(141a)와 기어로 물림되도록 외주면에 기어부(15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모터(140)가 구동함에 따른 치실작동수단(160)의 일단을 연결시켜 직선 왕복운동시킬 수 있도록 다각 형상의 연결홀(15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치실작동수단(160)은 각 일단이 상기 웜 휠(150)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를 각각 장탈착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140)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120)의 전방 외측으로 각각 직선 왕복운동 함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당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치실작동수단(16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웜 휠(15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연결홀(152)측으로 삽입되도록 각 일면에는 편심된 위치에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삽입돌기(161a,161a')가 각각 형성된 제1,2회전력전달부재(161,161')와, 상기 제1,2회전력전달부재(161,161')를 각각 수용하면서 케이스(120)에 내설가능하도록 상면과 내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1,2회전력전달부재(161,161')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수용부재(162,162')와, 상기 제1,2수용부재(162,162')의 일면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120)의 치실 거치용 케이스(122)에 형성된 한 쌍의 홀(122a,122a')을 각각 관통되게 일방향으로 돌출되되, 각 선단부에는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를 장탈착가능하게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걸림부(163a,163a')가 형성된 고정연결홈(163b,163b')을 각각 갖추어 구비되는 고정연결부(163,16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제1,2회전력전달부재(161,161')의 외주면에는 회전시 제1,2수용부재(162,162')의 내측면과 접촉되므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린콘 재질의 소음방지용링(164,164')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치실작동수단(160)의 고정연결부(163,163')는 걸림부(163a,163a')가 형성된 고정연결홈(163b,163b')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를 장탈착가능한 구성이면 모두 족할 것이다.
다시 돌아와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의 치실 고정부재(210,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작동수단(160)의 고정연결부(163,163')에 각각 일단이 삽입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림 및 해제가능하도록 외주면에는 걸림편(211a,211a')이 돌출 형성된 삽입걸림부(211,211')와, 상기 삽입걸림부(211,211')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일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삽입걸림부(211,211')가 삽입시 고정연결부(163,163')에 걸림되도록 확경된 멈춤부(212,2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멈춤부(212,212')의 각 외주면에는 삽입걸림부(211,211')가 고정연결부(163,163')로 삽입시 파지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파지편(212a,212a')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치실(2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실 고정부의 멈춤편 타단면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 즉, 융착에 의해 고정되어 치실 고정부재210,210')가 전동 치실장치에 장착시 중앙부는 치실 걸이구(122b)에 권회되어 치아 사이의 세척과 이물질 제거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의 치실 고정부재(210,210')는 삽입걸림부와 멈춤부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고정부재는 회동걸림편을 갖는 삽입회동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치실 고정부재(310,310')는 타원형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고정연결부로 삽입에 따른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삽입회동부(311,311')와, 상기 삽입회동부(311,311')의 외주면에 일단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회동부(311,311')가 고정연결부로 삽입 후 회동됨에 따른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된 회동걸림편(312,3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치실 고정부재(410,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기를 형성하여 고정연결부로 삽입 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에 따른 걸림 및 해제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치실 고정부재(410,410')는 고정연결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연결부로 일단이 삽입 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에 따른 걸림 및 해제가능하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411a,411a')가 돌출 형성된 삽입부(411,411')와, 상기 삽입부(411,411') 타단으로부터 일단이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411,411')가 고정연결부측으로 삽입시 고정연결부에 걸림되도록 확경된 위치결정부(412,412')로 구성된다.
또한, 치실 고정부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연결부로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탄성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도록 후크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치실 고정부재(510,510')는 상기 고정연결부로 삽입시 저면이 고정연결부의 끝단면에 걸림되어 돌출되는 걸림편(511,511')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편(511,511')의 저면 중앙부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돌출된 돌출걸편(512,512')이 형성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걸편(512,512')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연결부로 삽입시 탄성적으로 걸림가능하도록 걸림후크(512a,512a')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를 전동 치실장치에 결착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케이스(120)의 치실 거치용 케이스(122)에 돌출 형성된 치실 걸이구(122b)에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200)의 치실(220)을 걸림시킨 후, 한 쌍의 홀(122a,122a')을 통하여 돌출된 치실작동수단(160)의 고정연결부(163,163')에 형성된 고정연결홈(163b,163b')측으로 상기 치실(220)이 일단에 고정된 치실 고정부재(210,210')의 삽입걸림부(211,211') 타단을 각각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치실 고정부재(210,210')의 삽입걸림부(211,211') 타단이 치실작동수단(160)의 고정연결부(163,163')에 형성된 고정연결홈(163b,163b')측으로 각각 삽입되면, 멈춤부(212,212')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편(212a,212a')를 파지한 후, 일방향으로 각각 회동시킨다.
상기 멈춤부(212,212')의 회동으로 삽입걸림부(211,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편(211a,211a')이 걸림부(163a,163a')에 걸림된다.
그로 인해,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의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의 장착이 완료되면, 치실을 치아 사이에 삽입시킨 후 케이스(120) 외주면에 설치된 작동버튼(130)을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전동 치실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가 치실작동수단(160)의 고정연결부(163,163')에 형성된 고정연결홈(163b,163b')측으로 장,탈착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치실에 손을 대지 않고도 전동 치실장치의 고정연결부에 장,탈착시킬 수 있어, 치실을 보다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실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동 치실장치 110 ; 전원공급부
120 ; 케이스 130 ; 작동버튼
140 ; 구동모터 150 ; 웜 휠
160 ; 치실작동수단 200 ;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210,210' ; 치실 고정부재 220 ; 치실

Claims (6)

  1.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는,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치실을 걸 수 있도록 치실 걸이구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케이스(120)와, 상기 케이스(120) 일면에 구비되는 작동버튼(130)과,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에 내설된 전원공급부(110)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작동버튼(130)의 조작에 대응되게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140)와, 상기 구동모터(14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40)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120)의 전방 외측으로 각각 직선 왕복운동가능 한 고정연결부(163,163')를 갖는 치실작동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동 치실장치(100)의 고정연결부(163,163')에 일단이 장,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치실 고정부재(210,210')와;
    상기 한 쌍의 치실 고정부재(210,210') 타단에 각 일단이 고정되어 케이스(120)에 형성된 치실 걸이구(122b)에 권회되어 치실작동수단(160)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치실 걸이구(122b)를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여 치아 사이의 세척과 이물질 제거가능하게 구비되는 치실(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고정부재(210,210')는,
    치실작동수단(160)의 고정연결부(163,163')에 각각 일단이 삽입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림 및 해제가능하도록 외주면에는 걸림편(211a,211a')이 돌출 형성된 삽입걸림부(211,211')와,
    상기 삽입걸림부(211,211')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일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삽입걸림부(211,211')가 삽입시 고정연결부(163,163')에 걸림되도록 확경된 멈춤부(212,2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212,212')의 각 외주면에는 삽입걸림부(211,211')가 고정연결부(163,163')로 삽입시 파지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파지편(212a,212a')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고정부재는,
    타원형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고정연결부로 삽입에 따른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삽입회동부(311,311')와,
    상기 삽입회동부(311,311')의 외주면에 일단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회동부(311,311')가 고정연결부로 삽입 후 회동됨에 따른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된 회동걸림편(312,3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고정부재는,
    고정연결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연결부로 일단이 삽입 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에 따른 걸림 및 해제가능하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411a,411a')가 돌출 형성된 삽입부(411,411')와,
    상기 삽입부(411,411') 타단으로부터 일단이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411,411')가 고정연결부측으로 삽입시 고정연결부에 걸림되도록 확경된 위치결정부(412,4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고정부재는, 고정연결부로 삽입시 저면이 고정연결부의 끝단면에 걸림되어 돌출되는 걸림편(511,5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511,511')의 저면 중앙부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돌출된 돌출걸편(512,512')이 형성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걸편(512,512')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연결부로 삽입시 탄성적으로 걸림가능하도록 걸림후크(512a,512a')가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KR1020170111335A 2017-08-31 2017-08-31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KR101812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335A KR101812314B1 (ko) 2017-08-31 2017-08-31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335A KR101812314B1 (ko) 2017-08-31 2017-08-31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314B1 true KR101812314B1 (ko) 2017-12-26

Family

ID=6093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335A KR101812314B1 (ko) 2017-08-31 2017-08-31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497B1 (ko) * 2019-09-30 2020-01-08 김우일 전동치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497B1 (ko) * 2019-09-30 2020-01-08 김우일 전동치실
WO2021066263A1 (ko) * 2019-09-30 2021-04-08 김우일 전동치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328B1 (ko) 칫솔
EP2022444B1 (en) Retractable interproximal brush
JP4971989B2 (ja) 人間工学に基づくデンタルフロス具
KR20140115312A (ko) 치과 위생 용품
US20100050358A1 (en) Interdental brush
US8938841B1 (en) Tooth brushing system
US20070006402A1 (en) Automatic interdental cleaner
US8025068B2 (en) Flossing and oral hygiene tool
KR101812314B1 (ko)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EP2299869B1 (en) Oral hygiene device with floss storage capability
EP1741406A1 (en) Automatic interdental cleaner
EP3698753B1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KR101865221B1 (ko) 전동 치실장치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KR200334842Y1 (ko) 다목적 분리형칫솔
KR101812312B1 (ko) 전동 치실장치
KR101353360B1 (ko) 치간 세척구
KR200357424Y1 (ko) 치실 홀더
JP3071470U (ja) 歯間清掃用フロス付き歯ブラシ及び舌苔除去用弾性体付き歯ブラシ
KR20180119325A (ko) 칫솔
US7322367B2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KR200467822Y1 (ko) 복수의 브러시를 구비하는 치간 칫솔
US20210000578A1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KR101515160B1 (ko) 치실에 손대지 않고 사용하는 멀티 패키지
JP2007151415A (ja) 歯磨きステ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