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842Y1 - 다목적 분리형칫솔 - Google Patents

다목적 분리형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842Y1
KR200334842Y1 KR20-2003-0028346U KR20030028346U KR200334842Y1 KR 200334842 Y1 KR200334842 Y1 KR 200334842Y1 KR 20030028346 U KR20030028346 U KR 20030028346U KR 200334842 Y1 KR200334842 Y1 KR 200334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leg
flexible
hollow handle
holder portion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원정
Original Assignee
홍원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원정 filed Critical 홍원정
Priority to KR20-2003-0028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8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8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Abstract

본 고안은 탈착이 용이하고 양측으로 구강위생용구를 결합시킬 수 있는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중공손잡이와 중공손잡이의 일측 또는 타측에 끼워지는 칫솔모부, 치실부, 혀클리닝부 및 치간칫솔부로 이루어진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분리형칫솔{multipurpose separated-type toothbrush}
본 고안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다목적 분리형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모, 혀클리너, 치실을 필요에 따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한 다목적 분리형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치약과 더불어 사용되는 구강위생(口腔衛生)의 용구로서, 손잡이와 손잡이의 단부에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칫솔 외에도 구강위생용구로서는 치간사이의 치석이나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실이나, 혀의 설태를 클리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혀클리너 등이 있다.
이러한 구강위생용구를 각각 별도로 준비해야 할 경우 경제적 부담이 크고 휴대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5,934,29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치위생시스템(Dental hygiene system)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치위생시스템은 치실이나 혀클리너를 탈착시 미끄러워 용이하게 교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측으로만 구강위생용구가 결합되므로 치위생시스템의 사용시 여러번 새로운 위생용구를 탈착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탈착이 용이하고 양측으로 구강위생용구를 결합시킬 수 있는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공손잡이 20 : 칫솔모부
30 : 치실부 40 : 혀클리닝부
50 : 치간칫솔부
본 고안은 양측으로 개구되고 각 선단 부근에 슬롯이 형성되며 이 슬롯의 모서리에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부착설치되고,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슬롯을 둘러싸는 고무띠가 설치되는 중공손잡이; 중공손잡이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 레그와,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가요성 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홀더부에 식재되는 칫솔모로 이루어지는 칫솔모부; 중공손잡이의 타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 레그와,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가요성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홀더부에 설치되는 치실로 이루어지는 치실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양측으로 개구되고 각 선단 부근에 슬롯이 형성되며 이 슬롯의 모서리에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부착설치되고,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슬롯을 둘러싸는 고무띠가 설치되는 중공손잡이; 중공손잡이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 레그와,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가요성 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홀더부에 식재되는 칫솔모로 이루어지는 칫솔모부; 중공손잡이의 타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레그와,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가요성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홀더부에 설치되는 혀클리너로 이루어지는 혀클리닝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양측으로 개구되고 각 선단 부근에 슬롯이 형성되며 이 슬롯의 모서리에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부착설치되고,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미끄러지지않도록 슬롯을 둘러싸는 고무띠가 설치되는 중공손잡이; 중공손잡이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 레그와,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가요성 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홀더부에 식재되는 칫솔모로 이루어지는 칫솔모부; 중공손잡이의 타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레그와,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가요성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홀더부에 설치되는 치간칫솔로 이루어지는 치간칫솔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을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은 중공손잡이(10)와 중공손잡이(10)의 일측에 끼워지는 칫솔모부(20)와 타측에 끼워지는 치실부(30)로 이루어진다.
중공손잡이(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파이프로서 양측이 개방되고 각 선단 부근에는 장방형 슬롯(12)이 형성된다.
이 장방형 슬롯(12)의 모서리에는 가요성 릴리스레버(14)가 부착 설치된다. 이 가요성 릴리스레버(14)의 상부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중공손잡이(10)보다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릴리스레버(14) 및 슬롯(12)을 둘러싸는 고무튜브(16)가 끼워져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모부(20)는 중공손잡이(10)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레그(22)와, 이 가요성레그(22)가 설치되는 홀더부(24)와, 가요성레그(2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26)과, 홀더부(24)에 식재되는 칫솔모(28)로 이루어진다.
가요성레그(22)는 홀더부(24)로부터 두갈래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각 가요성레그(22)가 중공손잡이(10)의 일측에 끼워졌을 때 축소되거나 팽창될 수 있다. 또한 가요성레그(22)의 상부에는 쐐기형상의 걸림턱(26)이 형성되어 칫솔모부(20)가 일단 중공손잡이(10)에 끼워지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부(24)는 칫솔모부(20)를 탈착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가요성레그(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칫솔모(28)가 식재된다. 또한 홀더부(24)는 칫솔모부(20)의 탈착시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이 요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실부(30)는 중공손잡이(10)의 타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레그(32)와, 가요성레그(32)가 설치되는 홀더부(34)와, 가요성레그(3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36)과, 홀더부(34)에 설치되는 치실(38)로 이루어진다.
가요성레그(32)는 홀더부(34)로부터 두갈래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각 가요성레그(32)가 중공손잡이(10)의 일측에 끼워졌을 때 축소되거나 팽창될 수 있다. 또한 가요성레그(32)의 상부에는 쐐기형상의 걸림턱(36)이 설치되어 치실부(30)가 일단 중공손잡이(10)에 끼워지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부(34)는 치실부(30)의 탈착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가요성레그(32)가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치실(38)을 설치할 수 있도록 치실걸이(39)가 형성된다. 또한 홀더부(34)는 치실부(30)의 탈착시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이 요철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은 중공손잡이(10)와 중공손잡이의 일측에 끼워지는 칫솔모부(20)와 타측에 끼워지는 혀클리닝부(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공손잡이(10) 및 칫솔모부(20)는 제1실시예의 중공손잡이(10) 및 칫솔모부(2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혀클리닝부(40)는 중공손잡이(10)의 타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레그(42)와, 이 가요성레그(42)가 설치되는 홀더부(44)와, 가요성레그(4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46)과, 홀더부(44)에 설치되는 혀클리너(48)로 이루어진다.
가요성레그(42)는 홀더부(44)로부터 두갈래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각 가요성레그(42)가 중공손잡이(10)의 일측에 끼워졌을 때 축소되거나 팽창될 수 있다. 또한 가요성레그(42)의 상부에는 쐐기형상의 걸림턱(26)이 형성되어 혀클리닝부(40)가 일단 중공손잡이(10)에 끼워지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부(44)는 혀클리닝부(40)의 탈착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가요성레그(42)가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혀클리너(48)가 형성된다. 또한 홀더부(44)는 혀클리닝부(40)의 탈착시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에 요철을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3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은 중공손잡이(10)와 중공손잡이(10)의 일측에 끼워지는 칫솔모부(20)와 타측에 끼워지는 치간칫솔부(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공손잡이(10) 및 칫솔모부(20)는 제1실시예의 중공손잡이(10) 및 칫솔모부(2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치간칫솔부(50)는 중공손잡이(10)의 타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레그(52)와, 이 가요성레그(52)가 설치되는 홀더부(54)와, 가요성레그(5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56)과, 홀더부(54)에 설치되는 치간칫솔(58)로 이루어진다.
가요성레그(52)는 홀더부(54)로부터 두갈래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각 가요성레그(52)가 중공손잡이(10)의 일측에 끼워졌을 때 축소되거나 팽창될 수 있다. 또한 가요성레그(52)의 상부에는 쐐기형상의 걸림턱(56)이 형성되어 치간칫솔부(50)가 일단 중공손잡이(10)에 끼워지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부(54)는 치간칫솔부(50)의 탈착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가요성레그(52)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치간칫솔(58)이 형성된다. 또한 홀더부(54)는 치간칫솔부(50)의 탈착시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손으로 중공손잡이(10)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치실부(30), 혀클리닝부(40) 또는 치간칫솔부(50) 중의 하나의 홀더부(34, 44, 54)를 파지한 상태에서 중공손잡이(10)의 일측으로 삽입한다. 이 때 가요성레그(32, 42, 52)는 중심방향으로 축소되어 중공손잡이(10)의 일측으로 삽입되며 가요성레그(32, 42, 52)와 중공손잡이(10)의 내측은 서로 밀착된다.
가요성레그(32, 42, 52)가 중공손잡이(1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가요성레그(32, 42, 52)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36, 46, 56)이 중공손잡이(10)의 슬롯(12)에 도달하면 가요성레그(32, 42, 52)가 외측으로 팽창된다. 이 때 걸림턱(36, 46, 56)이 슬롯(12)의 모서리에 걸리게 된다.
다음으로 한손으로 중공손잡이(10)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일측으로 삽입한 구강위생용구와 다른 종류의 구강위생용구의 홀더부(34, 44, 54)를 파지하고, 중공손잡이(10)의 타측으로 삽입한다. 이 때 가요성레그(32, 42, 52)는 중심방향으로 축소되어 중공손잡이(10)의 타측으로 삽입되며 가요성레그(32, 42, 52)와 중공손잡이(10)의 내측은 서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위생용구의 장착시 슬롯(12)이 고무띠(16)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미끄러지지 않아 파지가 용이하다.
다음으로 양측에 위생위생용구를 설치하여 사용한 후 다른 구강위생용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위생용구를 탈거해야 한다.
위생용구를 탈거하기 위하여 고무띠(16)에 의해 둘러싸인 가요성 릴리스레버(14)를 눌러서 가요성레그(32, 42, 52)가 중심방향으로 축소되도록 한다. 이 때 가요성레그(32, 42, 52)의 상단이 중공손잡이(10)의 내측면보다 더 아래로 위치할 때까지 가요성 릴리스레버(14)를 가압한다.
가요성레그(32, 42, 52)의 상단이 중공손잡이(10)의 내측면보다 더 아래로 위치되면 홀더부(34, 44, 54)를 파지한 채로 위생용구를 빼고, 다른 위생용구를 위생용구를 탈거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삽입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분리형칫솔은 고무띠로 둘러싸므로 미끄럽지 않아 구강위생용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양측에 구강위생용구가 결합되므로 구강위생용구를 바꿀 필요가 없어 시간이 절약되고 번거롭지 않다.

Claims (3)

  1. 양측으로 개구되고 각 선단 부근에 슬롯이 형성되며 이 슬롯의 모서리에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부착설치되고, 상기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슬롯을 둘러싸는 고무띠가 설치되는 중공손잡이;
    상기 중공손잡이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 레그와, 상기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상기 가요성 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홀더부에 식재되는 칫솔모로 이루어지는 칫솔모부;
    상기 중공손잡이의 타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 레그와, 상기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상기 가요성 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홀더부에 설치되는 치실로 이루어지는 치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분리형칫솔.
  2. 양측으로 개구되고 각 선단 부근에 슬롯이 형성되며 이 슬롯의 모서리에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부착설치되고, 상기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슬롯을 둘러싸는 고무띠가 설치되는 중공손잡이;
    상기 중공손잡이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 레그와, 상기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상기 가요성 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홀더부에 식재되는 칫솔모로 이루어지는 칫솔모부;
    상기 중공손잡이의 타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 레그와, 상기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상기 가요성 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홀더부에 설치되는 혀클리너로 이루어지는 혀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분리형칫솔.
  3. 양측으로 개구되고 각 선단 부근에 슬롯이 형성되며 이 슬롯의 모서리에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부착설치되고, 상기 가요성 릴리스레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슬롯을 둘러싸는 고무띠가 설치되는 중공손잡이;
    상기 중공손잡이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 레그와, 상기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상기 가요성 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홀더부에 식재되는 칫솔모로 이루어지는 칫솔모부;
    상기 중공손잡이의 타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요성 레그와, 상기 가요성레그가 설치되는 홀더부와, 상기 가요성 레그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홀더부에 설치되는 치간칫솔로 이루어지는 치간칫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분리형칫솔.
KR20-2003-0028346U 2003-09-03 2003-09-03 다목적 분리형칫솔 KR200334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346U KR200334842Y1 (ko) 2003-09-03 2003-09-03 다목적 분리형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346U KR200334842Y1 (ko) 2003-09-03 2003-09-03 다목적 분리형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842Y1 true KR200334842Y1 (ko) 2003-12-01

Family

ID=4942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346U KR200334842Y1 (ko) 2003-09-03 2003-09-03 다목적 분리형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84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75Y1 (ko) 2010-07-14 2012-05-16 (주)덴토스 다기능 휴대용 치솔
KR101589575B1 (ko) 2014-12-08 2016-01-28 조달호 다용도 칫솔
KR20190136732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브러시월드 생분해성 친환경 칫솔
KR102331506B1 (ko) * 2021-03-31 2021-12-01 김덕환 칫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75Y1 (ko) 2010-07-14 2012-05-16 (주)덴토스 다기능 휴대용 치솔
KR101589575B1 (ko) 2014-12-08 2016-01-28 조달호 다용도 칫솔
KR20190136732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브러시월드 생분해성 친환경 칫솔
KR102126298B1 (ko) 2018-05-31 2020-06-24 주식회사 브러시월드 생분해성 친환경 칫솔
KR102331506B1 (ko) * 2021-03-31 2021-12-01 김덕환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563B2 (en) Tooth brush combination
JPH11318911A (ja) 舌清掃器具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KR200334842Y1 (ko) 다목적 분리형칫솔
KR101589575B1 (ko) 다용도 칫솔
CN102065723B (zh) 具有牙线储存性能的口腔卫生装置
KR101812314B1 (ko)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KR101353360B1 (ko) 치간 세척구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JP4772481B2 (ja) 歯磨きスティック
KR200287495Y1 (ko) 상하좌우 치솔
KR200442981Y1 (ko) 다용도 복합 칫솔
WO2015176261A1 (zh) 牙线棒组合装置
KR101007577B1 (ko) 기능성 칫솔
KR200424441Y1 (ko) 45도각도 치솔
KR200298194Y1 (ko) 혀클리너를 구비한 칫솔
KR20110073623A (ko) 치간 세척구
KR200246705Y1 (ko) 혀 청소구
JP3079573U (ja) 舌苔除去機能付歯ブラシ
KR101215579B1 (ko)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KR101290574B1 (ko) 분리형 치실을 구비하는 구강위생용품
US20160015490A1 (en) Brush apparatus for interproximal cleaning
KR200375311Y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JP2006051325A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
TWI623287B (zh) 潔牙器以及卡合有複數潔牙器的潔牙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