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441Y1 - 45도각도 치솔 - Google Patents

45도각도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441Y1
KR200424441Y1 KR2020060014731U KR20060014731U KR200424441Y1 KR 200424441 Y1 KR200424441 Y1 KR 200424441Y1 KR 2020060014731 U KR2020060014731 U KR 2020060014731U KR 20060014731 U KR20060014731 U KR 20060014731U KR 200424441 Y1 KR200424441 Y1 KR 200424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eeth
cleaning
neck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2020060014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4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솔에 관한 것으로,
치솔대(11)와 치솔모(15)로 구성되어 있으며, 치솔대는 손잡이부(12)와 목부(13)로 구성되며 손잡이(12)와 목부(13)가 연결되는 부분의 치솔대가 치솔대의 길이방향과 45도 각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손잡이부(12)와 목부(13)가 분리 및 180도 회전 가능토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치솔모(15)가 식모되어 있는 헤드부(14)가 치솔대(11)의 길이방향과 45도 각도를 이루어 됨으로써, 치아와 치솔모(15)의 접촉면적을 확대하고 특히 대구치, 소구치등 어금니를 세척할 경우, 세척하기에 용이하여 치아성장방향인 잇몸에서 치아 끝단으로의 세척 작용을 통해서 세척효과 증대와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구강 내에 어금니 세척시 특히 뛰어나며 왼쪽, 오른쪽 치아의 구분에 따른 좌,우측형치솔대(11),(21)의 변형이 가능토록 하여 팔과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런 치솔 세척으로 인해서 건강한 치아와 세척효과로 깨끗한 구강을 편리하게 도와주는 고안이다.
손잡이부(12) 목부(13) 헤드부(14) 치솔모(15) 접속부(16) 걸림쇠(18)

Description

45도각도 치솔{45 Angle Tooth Brush}
도 1은 본 고안인 치솔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치솔의 구성을 부분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치솔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치솔의 치솔모가 180도로 회전한 형상을 부분단면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치솔이 치아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고안은 치솔에 관한 것으로, 구강구조에 따라 치솔대의 모양과 치솔모의 치아에 접촉하는 방향이 치아의 성장 방향으로 잇몸에서 치아 끝단으로 치솔 세척작용을 함으로써 치아 사이에 남아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고 치솔질을 효과적으로 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치솔은 치아 사이와 치아에 붙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보통은 치솔에 치약을 이용하여 치아 및 잇몸상에 형성된 각종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치아와 치솔 그리고 손과 팔의 움직임에 따라 치솔이 움직여지며 이때 치솔모는 입안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한다.
치솔은 치솔모가 식모되어 있는 헤드부와 치솔모가 있는 반대방향으로 손잡이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치솔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치솔모에 치약을 짜서 묻힌 후 치아와 치솔모들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손잡이에 적당한 힘을 가해 치솔을 치아와 잇몸의 형태에 따라서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안에서 밖으로, 밖에서 안으로 움직여가며 치아의 표면과 틈새, 그리고 잇몸에 낀 음식물 찌꺼기와 프라그를 닦아내는 것이다.
그러나 치솔을 이용하여 위 아래로 닦지 않고 옆으로 닦는 경우 치아와 잇몸을 파손케 하며 세척상태가 불만족한 경우가 많으며 이는 잇몸병이나 치석발생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치솔 세척방법은 잇몸과 치아 손상을 적게 하면서 최대한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와 프라그를 제거하는 데 있고, 이를 통한 구강 청결로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종래의 치솔은, 치솔모가 식모되어 있는 헤드부와 몸체부가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구강 내측에 있는 어금니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잇몸 등을 손상시킬 수 있는 경우가 많으며, 치아 세척시 상,하, 좌,우,위,아래로 손목과 손을 비트는 세척작용으로 인해서 팔과 손목에 무리가 따르며, 장시간 반복시 노약자나 어린이뿐만 아니라 정상인도 피로감과 세척작용의 완성도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부(12)와 목부(13)로 이어지는 헤드부(14)가 치솔대(11)의 길이방향과 45도 각도를 형성하여 치아와 치솔모(15)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였으며 팔과 손목이 세척작용시 무리가 가지 않으므로 인해서 손쉽게 치아 세척 작동을 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치솔대(11)가 목부(13)와 헤드부(14)가 치솔대의 길이 방향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하였으며 손잡이(12)에서 목부(13)에 이루는 곳에서 45도 방향으로 꺾여서 헤드부(14)가 45도 각도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치아와 치솔모(15)가 교차형태로서 팔과 손목이 45도 형태로 구성되는 세척작동상태를 이룬다.
그러므로 45도형의 치솔대(11)는 세척이 이뤄지는 치솔모(15)와 접촉으로 치아와 교차방향을 이루고 손잡이를 잡고 있는 손과 손목으로 45도 각도의 형태를 이루어 손과 팔의 동작에 의해 치아의 세척작용이 이루어져 가는 형상이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치솔의 형상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치솔의 구성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치솔의 구성을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치솔모가 180도로 회전한 형태로 회전한 형상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치솔모(15)가 식모되어 있는 헤드부(14)가 목부(13)로 이어져 손잡이부(12)에서 치솔대의 길이방향으로 45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치솔대(11)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목부(13)에서 손잡이부(12)를 연결하는 접속부(15)가 목부(13)와 연결된 돌출부(17)와 결합되므로써 걸림쇠(18)의 고정되는 걸림 작용으로 인해 일체 형태의 치솔대(11)를 형성하게 된다.손잡이부(12)는 손으로 파지할 경우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부와 표면에 곡면구간이 있으며 치아 세척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도 3에서 도시한 것을 보면, 손잡이부(12)는 손으로 파지할 경우 미끄러지거나, 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가 구비되어 치솔로 세척작용시 상,하,좌,우,위,아래의 따른 변화에 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는 고안이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것은, 치솔모(15)가 식모되어 있는 헤드부(14)와 목 부(13)가 연결된 돌출부(17)와 걸림쇠(18)를 눌러 주면서 접속부(16)에서 손잡이부(12)의 반대 방향인 헤드부(14) 쪽으로 잡아당겨서 뺐다가 치솔모(15)가 식모된 헤드부(14)를 180도로 회전시킨 후 180도 회전된 헤드부(14)를 다시 손잡이부(12) 방향으로 접속부(16)에 밀어 넣어 주어 걸림쇠(18)가 고정되어 걸림 작용을 하면서 좌측형 치솔대(21)가 형성되어 좌측의 어금니의 밖을 세척하기 유용하게 구성되어 진다.
그러므로 인해서 도 1에서 도시한 형상의 사시도는 우측형 치솔대(11)로 형성되어 우측의 어금니의 밖을 세척하기에 유용하며, 우측 어금니의 안은 좌측형 치솔대(21)가 세척하기에 적합하고, 좌측 어금니의 안은 우측형 치솔대(11)가 세척하기에 적합하다.
도 5는 본 고안인 치솔의 팔과 손목과 손 그리고 치솔과 치아에 접한 상태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치아의 세척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치솔이 우측형 치솔대(11)를 형성한 상태로서 우측치아의 밖을 우측팔로 치아 세척 작용하는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팔의 상하운동으로 치아 세척을 하면서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는 동작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치아의 구성에 따른 치아 세척 방법 및 적합한 치솔대는
우측 아래 어금니 밖은 아래에서 위로 우측형 치솔대(11)로
우측 위 어금니 밖은 위에서 아래로 우측형 치솔대(11)로
우측 아래 어금니 안은 아래에서 위로 좌측형 치솔대(21)로
우측 위 어금니 안은 위에서 아래로 좌측형 치솔대(21)로
좌측 아래 어금니 밖은 아래에서 위로 좌측형 치솔대(21)로
좌측 위 어금니 밖은 위에서 아래로 좌측형 치솔대(21)로
좌측 아래 어금니 안은 아래에서 위로 우측형 치솔대(11)로
좌측 위 어금니 안은 위에서 아래로 우측형 치솔대(11)로
사용하여 치솔 세척 동작을 하는 것이 유용하며, 이는 치아성장방향인 잇몸에서 치아 끝단으로 동작되는 세척작용으로서 편리하며 이물질 및 프라그의 세척작용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치솔대(11)의 길이방향과 대략 45도 이루도록 하여 치솔대가 길이방향에서 전체적으로 45도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헤드부(14)와 목부(13)가 일직선 상에서 45도보다 작거나 큰 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치아 세척시 하루에 여러번 자주 닦는 것보다 치아의 모든 부분이 세척되는 것이 중요하다. 때로는 오른손으로 닦다가 왼손으로 닦으며, 굵은 치솔모가 필요하다가도 가는 치솔모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치간 세척을 위한 치간 치솔과 치실 사용을 정기적으로, 그리고 필요시 활용하는 방안을 정하여 사용하여 구강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45도형 치솔을 평시에는 우측형 치솔대(11)와 좌측형 치솔대(21)를 동시에 구비하여 사용하고, 특별한 경우에는 하나의 치솔대로 우측과 좌측을 연결쇠(18)를 이용해서 우측형 치솔대(11)와 좌측형 치솔대(21)로 구성해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치솔모가 식모되어 있는 헤드부와 목부가 치솔대 길이방향과 45도 각도을 이룸으로써, 치아와 치솔모의 접촉면적이 확대되고, 상하 세척 동작으로 인해서 잇몸의 파손이 감소하며, 세척 효과가 증대되어 진다.
둘째, 치솔대가 우측형, 좌측형 치솔대로 구성되어짐으로 인해서 치아의 우측과 좌측, 그리고 밖과 안의 위치에 따른 적합한 세척으로 팔과 손목의 무리한 동작과 장시간 사용에도 피로가 느껴지는 것이 적으므로 손쉽게 치아세척을 이루어 내는 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치솔대 헤드부(14)에 식모되어 있는 치솔모(15)와 목부(13)가 치솔대의 길이방향과 45도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부(14)가 목부(13)에 연결된 돌출부(17)와 걸림쇠(18)에 의해서 180도로 회전 가능하게 손잡이부(12)의 접속부(16)에 삽입되어 걸림쇠(18)로 고정되어 우측형 치솔대(11)와 좌측형 치솔대(21)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치솔의 헤드부(14)와 목부(13)가 치솔대(11)의 길이 방향과 45도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2. 치솔대 헤드부(14)에 식모되어 있는 치솔모(15)와 목부(13)가 치솔대의 길이방향과 45도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형 치솔대(11)와 좌측형 치솔대(21)로 구성되어 한 셋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KR2020060014731U 2006-06-01 2006-06-01 45도각도 치솔 KR200424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731U KR200424441Y1 (ko) 2006-06-01 2006-06-01 45도각도 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731U KR200424441Y1 (ko) 2006-06-01 2006-06-01 45도각도 치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441Y1 true KR200424441Y1 (ko) 2006-08-22

Family

ID=4177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731U KR200424441Y1 (ko) 2006-06-01 2006-06-01 45도각도 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574B1 (ko) 2012-02-13 2012-07-05 박근갑 어금니 전용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574B1 (ko) 2012-02-13 2012-07-05 박근갑 어금니 전용 칫솔
US8918946B2 (en) 2012-02-13 2014-12-30 Geun Gab PARK Molar-dedicated toothbrus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504B1 (ko) 상하방향의 동작패턴을 이용한 칫솔
WO1994022346A1 (en) Angular headed toothbrush
CZ288851B6 (cs) Zubní kartáček
KR20120005449U (ko) 칫솔
KR100457477B1 (ko)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JP2004500140A (ja) 舌側歯ブラシおよびそれを作成する方法
KR200424441Y1 (ko) 45도각도 치솔
KR200433060Y1 (ko) 45도 각도 회전 치솔
US10898303B2 (en) Three-in-one tooth-cleaning device structured as toothpick, interdental brush, and floss pick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AU2018251685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AU2018250811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a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KR200334842Y1 (ko) 다목적 분리형칫솔
KR200225409Y1 (ko) 치솔
JP3201967U (ja) 歯のクリーニング専用の器具
KR200298194Y1 (ko) 혀클리너를 구비한 칫솔
CN213346093U (zh) 牙线棒
JP3079573U (ja) 舌苔除去機能付歯ブラシ
CN211608486U (zh) 易清洁的曲线型牙刷
KR200375311Y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TWI739230B (zh) 折疊式牙齒刷具組
CN202233752U (zh) 一种新型牙刷
KR200246705Y1 (ko) 혀 청소구
KR200304233Y1 (ko) 치솔
KR200171271Y1 (ko) 칫솔용 본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