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579B1 -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 Google Patents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579B1
KR101215579B1 KR1020110000140A KR20110000140A KR101215579B1 KR 101215579 B1 KR101215579 B1 KR 101215579B1 KR 1020110000140 A KR1020110000140 A KR 1020110000140A KR 20110000140 A KR20110000140 A KR 20110000140A KR 101215579 B1 KR101215579 B1 KR 10121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dental
chuck
interdental toothbrush
toothbrush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858A (ko
Inventor
양민우
Original Assignee
양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민우 filed Critical 양민우
Priority to KR102011000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5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5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원의 치간치솔은 구강 위생용품의 하나로 치간 쐐기 또는
프록사브러시(Proxabrush)라고도 한다. 이 사이가 벌어졌거나 구강 내에 복잡한 보철물 또는 교정장치가 있을 경우에 사용한다. 일자형 손잡이 끝 부분에 붙은 작은 솔을 이 사이에 직각으로 넣고 앞뒤로 움직여 닦게 된다.
치아 교정용 철사 아랫부분이나 교정장치 사이사이를 세밀하게 닦기에 좋다. 치과의사나 치위생사로부터 올바른 사용법을 배워야 하고 사용 부위도 특수한 부위로 한정해야 한다.
본 발명은 치간 칫솔과 몸체를 포함하는 치간치솔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사용자가 일회성으로 사용하는 손잡이부를 없애고 반영구적인 내부에 상기 칫솔체 수용부를 투입하고 이에 척부와 척부 캡과 걸림 돌부가 형성되어 스프링의 탄성으로 누브를 작동함으로써 상기 칫솔모가 자동으로 인출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상기 칫솔체를 상기 척 부에 고정하여 치아 청소시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take out removable interdental brush}
본 발명은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치간 칫솔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에 약 1mm 내외 정도의 직경을 갖는 금속이 가늘게 꼬아진 형태의 칫솔모가 부착되어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제품에 따라서 상기 칫솔모가 직각형태로 구부러진 것도 있다.
이와 같은 치간 칫솔은 이와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특히 치열 교정치료를 받기 위해 복잡한 교정장치를 치아에 붙이고 있는 사람의 경우 매일 사용해야 하는 필수품이다.
이들은 수시로 거울을 보면서 치아와 장치물 사이를 자주 닦아주어야 교정장치를 떼어낸 후 드러나는 치아 표면에 충치의 전단계인 부분적인 탈회 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잇몸 치료를 받았거나 임플란트(인공치아) 시술을 받은 사람들도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치간 칫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치간 칫솔은 구강위생을 철저히 관리하여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칫솔과 치약으로 이를 닦는 것 외에도 보조적으로 여러 가지 구강위생용품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한편, 우리가 흔히 식후에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쑤시개는 쓰면 쓸수록 치아 사이를 점차 벌려놓을 뿐만 아니라, 잇몸을 찌르거나 잇몸 사이에 이쑤시개의 작은 조각을 남겨놓아 오히려 잇몸에 해를 끼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치과 의사들은 치간 칫솔 등과 같은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성이 유지되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치간 칫솔은 가정이나 회사 등과 같이 일정한 장소에 보관하여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외출이나 외식 외부 출장시에는 이를 휴대하여야하며 치간 칫솔을 휴대할 경우에 마땅한 기구가 없어 치간 칫솔만을 가방 또는 주머니에 대충 넣고 다닐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치간 칫솔은 분실의 위험이 크고, 휴대가 불편하였으며, 특히 치간 칫솔을 임시로 비닐봉지에 넣고 다닌다거나, 적당한 크기의 케이스에 넣고 다니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럴 경우 치아를 닦는 부분인 치간 칫솔의 솔 부분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낄 확률이 매우 높고, 심할 경우 곰팡이가 번식하게 되어 비위생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간 칫솔은 끝단이 매우 첨예(尖銳)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찔려서 상해를 입는 창상(創傷)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으며, 휴대과정에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치간 칫솔의 와이어가 휘거나 부러지는 등 보관상의 불편함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개구부와 수납부를 갖으며, 수납부에 넣어진 치간 칫솔을 원활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출, 출장시 또는 여행할 경우에 상기 치간 칫솔기구의 수납부에 치간 칫솔을 넣고 다니다가 필요할 때 간단한 조작으로 칫솔을 빼내어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한 치간 칫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간 칫솔은 일반칫솔에 닿기 어려워 쉽게 제거하지 못하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인 음식물 찌꺼기, 또는 치석 세균성 피막인 플라그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이와 잇몸을 부드럽게 닦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의 끝 부분에서 뻗어 나온 통상 2줄의 금속 등의 와이어를 꼬아서 형성된 철심에 치간 칫솔모를 사방으로 촘촘히 부착하여 형성한 것으로, 사용자가 치간 칫솔 몸체를 손가락으로 잡고 치간 칫솔모 부분을 치아 사이에 집어넣고 반복 운동으로 치아와 잇몸을 청결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치간 칫솔의 와이어가 견고하게 지지가 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의 치간 칫솔 기구는 가이드 라인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연결되는 하우징 캡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저장 및 이동하는 치간 칫솔 수용부과 후방에 장착된 노부와, 상기 치간 칫솔 수용부의 앞 선단에 연결되어 치간 칫솔 수용부와 함께 이동되며, 치간 칫솔 수용부에 대해 후방으로 반발력을 가하는 스프링 부와, 하우징 내부의 선단에 장착되어 척부와 분리 가능하게 치합 되며 하우징의 가이드 라인부 간의 사이 간극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부를 갖게 되는 것이며 치간 칫솔을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넣거나 빼낼 수 있는 구조를 갖으며, 휴대와 사용이 편리한 치간 칫솔 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은 외출, 출장시 또는 장기 여행할 경우에 수납부에 다량의 치간 칫솔을 넣고 다니기 때문에 부피가 감소하고 종래에서처럼 별도의 칫솔 손잡이가 없어도 되므로 손잡이 제작시 들어가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사용시 상기 칫솔체가 손상이 되더라도 상기 하우징 내부에 투입된 치솔체를 간편하게 인출하거나 꺼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뛰어나고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구 일측에 개구부를 폐쇄하는 안전 캡이 구성되어 기구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치간 칫솔이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은 종래의 치간 칫솔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해 사시 도이다.
도 3은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의 일실시 예에 의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 도이다.
도 5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의 일실시 예에 의한 투시도이다.
도 6은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의 일실시 예에 의한 칫솔모와 치실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치석 및 음식찌꺼기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치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및 구강을 세척할 때에는 양치질이나 가글을 통해 입안의 청결을 유지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칫솔로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어있는 치석 및 음식찌꺼기 등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길고 가는 치간
칫솔을 사용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치간치솔은 몸체와 치간 칫솔이 직렬로 배열되는 직렬식 치간치솔과, 몸체와 치간 칫솔이 ㄱ자(기역) 형상으로 꺾여있는 교차식 치간치솔로 구분된다.
상기 치간치솔들은 치간 칫솔의 착탈이 가능하여 여러 사이즈의 치간 칫솔을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치간치솔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할 수 있게 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치간치솔은 손잡이가 크기가 매우 짧아서 사용자가 파지하고 사용하는데 불편하며, 치간 칫솔의 크기가 작아서 따로 분리하여 지니게 되면 분실하거나 오염될 우려가 크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고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복잡하게 하거나 불필요하게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간략하게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원의 제조방식은 통상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 내시 된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종래의 치간 칫솔을 나타낸 사진으로 치간 칫솔을 이용하여 구강을 세척하는 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해 사시 도로서
치아를 청소하는 치간 칫솔모(20)와 칫솔모 와이어(40)로 이루어진 칫솔체(이하 칫솔체); 손잡이가 구성되며 중공체인 하우징(60)과 이와 끼움식 또는 나사 식으로 분해 결합하는 하우징 캡(80)과; 상기 치간 칫솔체를 고정 및 해체하는 역할을 하는 척부(1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60) 내부의 치간 칫솔 수용부(220)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다수의 칫솔체가 투입되며;
상기 노부(knob)(240)를 통해 치간 칫솔 수용 부(220)를 길게 누르는 조작에 의해 치간 칫솔의 와이어(40)가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치간 칫솔체 돌출 작동과;
상기 치간 칫솔의 와이어(40)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노부(240)를 통해 치간 칫솔체 수용 부(220)를 짧게 누르는 조작에 의해 척부(100)에 원추형의 협지링 관(120)이 돌출되면 상기 치간 칫솔모를 일정 피치만큼 인출하는 치간 칫솔모 인출작동이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간 칫솔의 와이어(40)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노부(240)를 통해 치간 칫솔 수용부(220)를 다시 길게 누르는 조작에 의해 치간 칫솔의 와이어가 척부(80)
내부로 삽입 돠는 치간 칫솔체 삽입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척부(100)와 척부 중심의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과 하우징 캡(80)을 통하여 치간 칫솔모(20)가 구성된 칫솔모 와이어(40)가 입출 하거나 또는 상기
척부 (100)의 중심의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에 상기 치간 칫솔모(20)가 구성된 칫솔모 와이어(40)를 수동으로 끼워서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캡(80)에는 상기 칫솔체 또는 척부(100)를 보호하는 치아 안전 캡(270)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캡(80)과 상기 안전 캡(270)의 결합은 나사 산 또는 단 턱으로 상호 결합하며 분실방지를 위하여 끈 또는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60) 일측부에는 주머니 걸이(280)가 구성되며 상기 척부(100)에는 치실(300)이 설치된 치실 고정부재(340)가 탈부착 되며 상기 하우징(60)부에는
그 앞 선단의 내면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가이드 라인 부(20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라인부(200) 사이의 간격은 순차적으로 차단된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60)과 연결되는 하우징 캡(80)과, 상기 하우징(60) 내에서 누름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치간 칫솔 수용부(220)의 후방에 장착된 노부(240)와 노부 캡(260)과 상기 치간 칫솔 수용부(220)의 앞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치간 칫솔 수용부 내부의 원통형 관과 함께 작동되며, 중간에 그 둘레를 따라 척부(100)가 형성된 하우징 내부와, 상기 하우징(60)내에서 치간 칫솔 수용부(220)에 대해 후방으로 탄력적인 반발력을 가하는 스프링 부(140)로 이루어진 것을 사시 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의 일실시 예에 의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본원의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는 치아를 청소하는 솔이나 모가 식립된 치간 칫솔모(20)와 상기 칫솔모를 고정하고 치아 사이에 삽입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칫솔모 와이어(40)와 상기 칫솔모를 저장하거나 사용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하우징(60)과 이와 끼움식 또는 나사 식으로 착 탈 하는 하우징 캡(8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치간 칫솔모(20)를 고정 및 해체하는 역할을 하는 척부(100)에서 척(chuck)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척은 선반이나 공작기계의 하나인 선반의 주축(主軸) 끝에 장치하여 공작물을 유지하는 부속장치이다.
분류로는 보통척, 에어척,콜릿척(collet chuck)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척은 3개 또는 4개의 클로(claw)가 있으며, 그 하나하나를 핸들로 움직여 가공품을 잡게 되어 있다.
이러한 척은 3 개의 클로가 연동(連動)하여 동시에 움직이는 연동척은 가공품을 물리는 데 시간이 걸리지 않으므로, 다량생산 때 사용하면 능률적이다. 이 밖에 자석의 작용으로 설치하는 마그네틱척도 있으며 본원에서 상기 칫솔모 와이어(40)를 돌출시키는 역활을 하거나 고정 또는 해체하는 아주 중요한 역활을 하며 상기 척부(100)의 작동은 사용자가 노부(240)나 노부 뚜껑(260)을 조작함으로써
협지링 관(120)이 상하연동을 하며 하측으로 내려갈 때는 상기 척부(1000가 다물어지고 상측으로 올라갈 때는 상기 척부(100)가 열리게 되며 복원을 위해서는 스프링 부(140)가 설치되고 상기 척부(100)와 협지링 관(120) 부분에는 이와 연통 되며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는 압박요 홈(160)과 걸림돌 부(180)가 바람직한 위치에 구성 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칫솔모 와이어(40)는 싱기 척부(100)가 결합하는 중앙부의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에 탈부착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에는 이와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척부(100),노부(240)와 연결된 치간 칫솔 수용부(220)는 원통형으로 내부가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내부에 상기 칫솔모를 수용하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노부(240) 또는 노부 캡(260)을 조작하여 상기 칫솔모를 인출하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는 돌출된 칫솔모를 이용하여 치아 세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칫솔모의 돌출길이는 자신의 치아 사이즈와 상태 등에 비례하여 돌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 캡(80)에는 치아 안전 캡(270)이 끼워지는데 이는 칫솔모의 오염 방지나 상기 칫솔모를 상기 척부(100)내에 넣지 않을 경우에 사용되며 상기 하우징 캡(80)과 나사 산 또는 단 턱으로 상호 결합하며 분실방지를 위하여 끈이나 고정부재 또는 제조시 하나의 사출물로 제조되어 연결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아래 도 4에 구성되어있듯이 본체 하우징 부에는 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주머니 걸이(280)가 구성되며 상기 주머니 걸이(280)는 통상적인 필기구 주머니 걸이와 그 구성이나 형태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 도로서
본원의 필수 구성 요소인 치간 칫솔모(20)와 상기 칫솔모를 고정하고 치아 사이에 인입되는 칫솔모 와이어(40)와 상기 칫솔모를 저장하거나 사용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하우징(60)과 이와 끼움식 또는 나사 식으로 착 탈 하는 하우징 캡(80)과 상기 하우징(60) 내부에는 치간 칫솔모(20)를 고정 및 해체하는 역활을 하는 척부(100)와 상기 척부(100)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원추형의 협지링 관(120)과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140)가 설치되고 상기 척부(100)와 협지링 관(120) 부분에는 이와 연통 되며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는 압박요 홈(160)이 구성됨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60) 부에는 이와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척부(100),노부(240)와 연결된 치간 칫솔 수용부(220)은 원통형으로 내부가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내부에 상기 칫솔모를 수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캡(80)에는 치아 안전 캡(270)이 끼워지는데 이는 상기 칫솔모를 상기 척부(100)내에 넣지않을 경우에 사용되며 상기 하우징 캡(80)과 나사 산 또는 단 턱으로 상호 결합하며 분실방지를 위하여 끈이나 하우징 캡과 동일한 소재로 사출되거나 별도의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 하우징 부에는 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주머니 걸이(280)가
구성된 것을 사시 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의 일실시 예에 의한 투시도로서 이를 바람직하게 설명하면 치간 칫솔 수용부(220)의 하단공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돌부(180)에 와이어 탈부착 척부홈 (110)과 나사벽으로 된 협지링 관(120)원통관의 상주연에 형성된 플랜지(Flange)가 걸리게 하고 이 나사 벽에는 내부 턱과 상방 나사가 형성된 상기 협지링 관(120)을 나입(螺入)해서 상기 원통 관을 고정하고 그 중심선 상의 와이어 탈부착 척부홈 (110)에는 스프링 부(140)가 개입된 통상의 원추형 척 부(100)(chuck)를 삽입하고 상기 스프링 부(140)는 압박요 홈(160)에 의하여 탄성을 갖으며 외부로 노출된 상단부에 칫솔체 수용 관을 긴밀히 삽입고정하고, 상기에 칫솔체 수용 관의 내부 중심공간에는 탄성의 협지링 관(120)이 내장된 금속성 팁(Tip)을 유삽(遊揷)하되, 상기 칫솔체 수용관 밑으로 튀어나온 상기 척부홈 (110) 하단면에 접(接)하도록 한 상단 플랜지가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부(180)에서도 걸리게 하고 상기 칫솔체 수용관의 상단부에 삽입 고정된 관은 하우징(60) 상부에 유삽하게 한다.
도 6은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의 일실시 예에 의한 칫솔모와 치실을 나타낸 사시 도로서 본원의 척부(10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치간 칫솔모는
직선형 칫솔모, 직각형 칫솔모,치실(300)이 구성된 치실 고정부재(340) 등을 바람직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사시 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하우징의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실제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결합 홈으로부터 몸체의 하단까지를 가리킨다. 손잡이부의 표면은 미끄러짐 방지가 가능하고, 파지하기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척부(100)에는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이 치간 칫솔결합부인 척부(100) 결합 홈인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에 형성되어 있고, 치간 칫솔
수용부(220)에는 상기 결합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돌 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은 치간치솔의 치간 칫솔 수용부(220)에 있는 걸림 돌부(180)와 치간치솔의 결합 홈이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삭제
따라서, 상기 치간 칫솔모 와이어를 물려주거나 밑으로 인출하게 하는 척부(100)가 협지링 관(120)의 내부에 삽입되면 오므려지면서 상기 칫솔모 와이어(40)가 고정되고, 척부(100)와 연결된 협지링 관(120) 하부로 돌출되면 펼쳐지면서 칫솔모 와이어(40)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협지링 관(120)은 통상적으로 하우징 캡(80)의 내부 상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된다. 노부를 눌러주면 협지링 관(120)은 직경이 작은 공간부의 상부 주연부에 걸려지고 척부(100)는 공간부로 진입되면서 벌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는 치간 칫솔모(20)가 삽입되어 있고, 치간 칫솔모(20)에는 치간 칫솔모가 삽입 관통된다.
상기 치간 칫솔모(20)의 상부에는 결합관리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 관은 치간 칫솔모(2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치간 칫솔모(20)는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 캡(80)의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을 통해 돌출되고, 직경이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보다 큰 결합 관은 출입공인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의 주연부에 걸려져 공간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치간 칫솔모(20)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 하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치간 칫솔모(20)가 하우징 캡(8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노부(240)를 짧게 눌러주면 도 3~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치간 칫솔모(20)를 고정한 척부(100)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치간 칫솔모(20)를 통해 짧게 돌출됨과 동시에 척부(100)가
협지링 관(120)을 벗어나 공간부 상부에 위치되면 척부(100)를 구성하는 분할 편들이 벌어지면서 치간 칫솔모(20)를 고정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어 치간 칫솔모(20)의 돌출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노부(240)를 놓아주면 스프링 부(1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승되어 다시 협지링 관(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치간 칫솔모(20)를 고정하는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노부(240)를 짧게 연속으로 눌러주면 치간 칫솔모(20)가 짧은 피치로 연속 돌출되게 된다.
이때에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모가 구강청소를 위하여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상태이다.
그리고 사용이 끝나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모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기 노부(240)를 길게 눌러주면 도 3~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척부(100)가 협지링 관(120)을 벗어나 공간부 하부에 위치한 치간 칫솔모(20)의 결합 관에 삽입되어 상기 척부(100)의 분할 편들이 오므려지므로 치간 칫솔모(20)는 척부(100)에 함께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노부(240)를 놓아주면 스프링 부(140)의 복원력에 의하여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척부(100)가 상승하면서 공 간부를 통과한 후 결합 관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다시 협지링 관(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척부(100)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여 치간 칫솔모(20)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척부(100)가 상승되면 결합 관이 일체로 형성된 치간 칫솔모(20)와 치간 칫솔모(20)가 척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함께 상승되어 공간부 내에 위치되므로 치간 칫솔모(20)가 하우징 캡(80)의 내부에 위치되어 하우징 캡(80)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므로 매우 안전하게 치간 칫솔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치간 칫솔모(20)는 협지링 관(120)에 삽입되어 오므려진 척부(100)에 고정된 상태이고 치간 칫솔모(20)는 협지링 관(120)에 의하여 치간 칫솔모(20)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치간 칫솔을 세우더라도 치간 칫솔모(20)가 공간부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하부로 돌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노부(240)를 짧게 눌러주면 척부(100)의 치간 칫솔모(20)가 함께 고정된 상태에서 하강하다가 척부(100)가 협지링 관(120)을 벗어나 공간부 상부에 위치되면 척부(100)를 구성하는 분할 편들이 벌어지면서 치간 칫솔모(20)를 고정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므로 협지링 관(120)에 의하여 함께 고정되어 있는 치간 칫솔모(20)와 치간 칫솔체는 자체중력(自重)에 의하여 하강하며 상기 치간 칫솔모(20)는 하우징 캡(80)의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을 통해 인출된다.
이후, 노부(240)를 놓아주면 스프링 부(1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척부(100)가
다시 협지링 관(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오므려 지면서 치간 칫솔모(20)를 고정하고 하우징 캡(80)의 하부로 돌출된 치간 칫솔모(20)는 치간 칫솔모(20)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치간 칫솔모(20)가 하우징 캡(80)의 하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자신이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모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구강청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본원의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에 의하면 구강청소를 할 때만 치간 칫솔모(20)가 하우징 캡(8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휴대시의 편의성이 매우 개선되었고 일회용 칫솔손잡이를 사용하지않으므로 제조단가가 절약되고 사용자도 추후 구입시 칫솔체만 저렴하게 구입하면 되므로 자원이 절약되는 경제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치간 칫솔모(20)가 하우징 캡(8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하우징 캡(80)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은 치간 칫솔모(20)가 밀착되는 구조 특성에만 기인하는 것으로서 상기 치간 칫솔모(20)의 이동은 칫솔모 와이어(40)에 의해 지지가 되어 이끌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협지링 관(120)은 하우징 캡(8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척부(80)는 분할 편들이 벌어진 상태에서 뒤로 약간 이끌리면서 협지링 관(120)으로 들어가게 되어 다시 조여짐으로써 치간 칫솔모(20)를 단단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협지링 관(120)이 하우징 캡(8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노부(240)를 짧게 누르면, 하우징 내부(5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척부(80)을 밀어내게 되므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치간 칫솔모(20)를 일정 피치만큼 돌출시키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변형 및 변경은 특히 청구의 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예의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실시 예의 측면들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하며 당업자는 상기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해석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본원 발명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짐이 바람직하고;
발명의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판단되어야만
하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0: 치간 칫솔모 40: 칫솔모 와이어
60: 하우징 80: 하우징 캡
100: 척부 110: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
120: 협지링 관 140: 스프링 부
160: 압박요 홈 180: 걸림돌부
200: 가이드 라인부 220: 치간 칫솔 수용부
240: 노부 260: 노부 캡
270: 안전 캡 280: 주머니 걸이
320: 치실 340: 치실 고정부재

Claims (6)

  1. 삭제
  2. 치아를 청소하는 치간 칫솔모(20)와 칫솔모 와이어(40)로 이루어지고 구강을 청소하는 치간 칫솔체에 있어서,
    손잡이가 구성된 중공체인 하우징(60)부와; 상기 하우징(60)부의 말단과 끼움식 또는 나사 식으로 분해 결합하는 하우징 캡(80)과; 상기 치간 칫솔체를 고정 및 해체하는 역활을 하는 척부(100)와; 상기 치간 칫솔체가 인출 및 탈부착하는 와이어 탈부착 척부홈(110)과; 상기 척부(100)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원추형의 협지링 관(120)과; 치간 칫솔 수용부(220)에 대해 탄력적인 반발력을 가하는 스프링 부(140)와; 상기 스프링 부(140)를 압박하는 압박요 홈(160)과; 하단공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돌부(180)와; 상기 하우징(60)부 내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60)과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부(200)와; 상기 치간 칫솔체를 수용하는 치간 칫솔 수용부(220)와; 상기 척부(100)와; 협지링 관(120)이 작동케 하는 노부(240)와 이를 덮어주는 노부 캡(260)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60) 내부의 치간 칫솔 수용부(220)에는 치간 칫솔체가 투입되어 상기 치간 칫솔 수용 부(220)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기 치간 칫솔체가 일정 피치만큼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3. 치간 칫솔 수용부(220)의 하단공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돌부(180)에 와이어 탈부착 척부홈 (110)과 나사벽으로 된 협지링 관(120)인 원통관의 상주연에 형성된 플랜지(Flange)가 걸리게 하고 이 나사 벽에는 내부 턱과 상방 나사가 형성된 상기 협지링 관(120)을 나입(螺入)해서 상기 원통 관을 고정하고 그 중심선 상의 와이어 탈부착 척부홈 (110)에는 스프링 부(140)가 개입된 원추형 척 부(100)를 삽입하고 상기 스프링 부(140)는 압박요 홈(160)에 의하여 탄성을 갖으며 외부로 노출된 상단부에 치간 칫솔체 수용 관을 긴밀히 삽입 고정되며 상기 치간 칫솔 수용부(220)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심공간에는 탄성의 협지링 관(120)이 내장된 금속성 팁(Tip)을 유삽(遊揷)하되, 상기 칫솔체 수용관 밑으로 튀어나온 상기 척부홈 (110) 하단면에 접(接)하도록 한 상단 플랜지가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부(180)에 걸리게 하고 상기 칫솔체 수용관의 상단부에 삽입 고정된 관은 하우징(60) 상부에 유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0) 몸체 일측에 설치된 노부 (240) 및 노부 캡(260)을 작동케 하면 이와 연통 된 척부(100)및 협지링 관(120)이 동작하며 상기 척부(100)의 중심부의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과 하우징 캡(80)을 통하여 상기 치간 칫솔 수용부(220)에 저장된 칫솔체가 상기 노부(240)를 통하여 자동 입출 하거나 또는 상기 척부 (100)의 중심의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110)에 칫솔체를 수동으로 끼워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80)에는 칫솔체 또는 척부(100)를 보호하는 치아 안전 캡(270)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캡(80)과 상기 안전 캡(270)의 결합은 나사 산 또는 단 턱으로 상호 결합하며 분실방지를 위하여 끈 또는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6. 청구항 2항 내지 5 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60) 일측에는 주머니 걸이(280)가 구성되며 상기 척부(100)에는 치실(300)이 설치된 치실 고정부재(340)가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KR1020110000140A 2011-01-03 2011-01-03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Active KR10121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140A KR101215579B1 (ko) 2011-01-03 2011-01-03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140A KR101215579B1 (ko) 2011-01-03 2011-01-03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858A KR20120078858A (ko) 2012-07-11
KR101215579B1 true KR101215579B1 (ko) 2013-01-03

Family

ID=4671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140A Active KR101215579B1 (ko) 2011-01-03 2011-01-03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211B1 (ko) * 2020-04-14 2021-05-26 가부시키가이샤 메이유우 치간 브러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136U (ja) * 1991-10-25 1993-05-21 株式会社広栄社 歯間清掃具
JPH07284504A (ja) * 1994-04-18 1995-10-31 Kotobuki:Kk 衛生具保持装置
KR20070000569U (ko) * 2007-04-26 2007-05-16 이팔형 치간 칫솔
KR20090129843A (ko) * 2008-06-13 2009-12-17 박상리 치간솔 저장부가 구비된 치간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136U (ja) * 1991-10-25 1993-05-21 株式会社広栄社 歯間清掃具
JPH07284504A (ja) * 1994-04-18 1995-10-31 Kotobuki:Kk 衛生具保持装置
KR20070000569U (ko) * 2007-04-26 2007-05-16 이팔형 치간 칫솔
KR20090129843A (ko) * 2008-06-13 2009-12-17 박상리 치간솔 저장부가 구비된 치간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858A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7884A (en) Dental hygiene system with detachable head toothbrush
US5010906A (en) Multi-purpose dental applicator
US3886956A (en) Dental floss holder
KR200479129Y1 (ko) 기능을 향상시킨 이쑤시개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US20160150874A1 (en) Constructive disposition applied to toothbrush conjugated to dental floss
IS3542A7 (is) Einnota burstunartæki, einkum fyrir tennur
KR101284256B1 (ko) 절단 부재가 구성된 인출용 치간 칫솔
KR101215579B1 (ko)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RU201110167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гиены полости рта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хранения зубной нити
US20150351882A1 (en) Flossing tool
KR101760437B1 (ko)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US8596286B2 (en) Flossing device
KR101249409B1 (ko)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KR200414641Y1 (ko) 치간칫솔 케이스
KR20120089158A (ko)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WO2002051330A1 (fr) Dispositif porte-fil dentaire
US7322367B2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CN208435833U (zh) 可视口腔清洁仪便携盒
CN211722200U (zh) 一种基于人机工程的旅行牙刷
CN106901856B (zh) 牙间刷
US9526596B1 (en) Driver for dental implements
KR101356341B1 (ko) 휴대용 치간칫솔
CN213722563U (zh) 一种大斜角、大包围圆弧凹槽、半圆绑线柱的牙线架
KR101515160B1 (ko) 치실에 손대지 않고 사용하는 멀티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