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796B1 - 치아 클리너 - Google Patents

치아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796B1
KR100986796B1 KR1020090000870A KR20090000870A KR100986796B1 KR 100986796 B1 KR100986796 B1 KR 100986796B1 KR 1020090000870 A KR1020090000870 A KR 1020090000870A KR 20090000870 A KR20090000870 A KR 20090000870A KR 100986796 B1 KR100986796 B1 KR 100986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receiving groove
knob
rotating b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573A (ko
Inventor
김인기
Original Assignee
김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기 filed Critical 김인기
Priority to KR1020090000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7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클리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는 스틱 수용부(110)와 회동바 수용홈(120)이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100)와, 상기 스틱 수용부(110)에 적재되는 폴리프로필렌과 나노실버로 성형된 다수의 스틱(200)과, 상기 스틱 수용부(110)의 개폐시키는 도어(300)와, 상기 적재된 스틱(200)을 회동바(500) 쪽으로 하나씩 이동시키는 노브(400)와, 상기 이동된 스틱(200)을 결속시켜 외부로 인출시키는 회동바(5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아 클리너에 의하면, 치아로부터 이물질이나 치석 등을 위생적 및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휴대가 매우 간편하며 치아 사이에 틈을 발생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맛사지 효과에 의해 잇몸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잇몸질환과 충치 및 구취를 예방할 수 있다.
치아, 클리너, 나노실버, 살균, 이쑤시개, 회동, 적재, 스프링

Description

치아 클리너{Teeth Cleaner}
본 발명은 치아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하며 위생적인 치아 세정용 스틱들을 내장하여 버튼조작에 의해 각각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로부터 이물질이나 치석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휴대가 매우 간편한 치아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치아 클리너로서는 주로 치실이 사용되는데, 상기 치실은 일정길이로 잘라서 이물질이나 치석이 낀 치아 사이에 삽입하여 세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었는 바, 상기와 같은 방법은 구강내에 양 손가락을 넣어야 함에 따라 불결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종류의 치아 클리너로서 이쑤시개가 많이 사용되는데, 상기 이쑤시개는 제조과정에서 방부제 등 화학물질을 포함되므로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끝부분이 뾰족하고 몸체가 두껍기 때문에 자주 사용할 경우 치아 사이를 벌리게 되어 잇몸을 손상시키며, 또한 치간에 끼어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나무로 만든 이쑤시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녹말가루 로 만들어진 이쑤시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강도가 약하여 쉽게 부러지거나 뾰족한 부분이 침에 녹아 이쑤시개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치실사용기구나 치간용 칫솔 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기구들은 사용 및 휴대가 불편하고 구조가 복잡하며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상용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 내에 치아 세정용 스틱을 내장시켜 버튼조작으로 본체에 고정된 스틱을 인출시켜 치아를 위생적으로 및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치아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낀 이물질이나 프라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맛사지 효과를 유발하여 잇몸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잇몸질환과 충치 및 구취를 예방할 수 있는 치아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기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용이한 치아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 사이에 틈을 발생시키지 않는 치아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고 항균작용과 살균작용을 하는 치아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에 내장된 치아 세정용 스틱을 다른 방법으로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치아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스틱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의 전면에 회동바 수용홈이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
하나씩 인출되어 치아에 낀 이물질 또는 플라그를 제거하도록 상기 스틱 수용부에 적재되는 다수의 스틱;
상기 스틱 수용부의 개방부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개방부를 개폐시키며, 폐쇄시 적재된 스틱을 회동바 수용홈쪽으로 가압하는 도어;
일정각도 회전함에 따라 노브축이 스틱 수용부 내에 적재된 스틱을 회동바 수용홈의 하부쪽으로 하나씩 밀어내도록 상기 스틱 수용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노브; 및
상기 회동바 수용홈의 상부에 회전방향 및 축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회동바 수용홈의 내부 또는 외부위치에 고정가능하며, 상기 회동바 수용홈의 내부에서 스틱과 결합되어 상기 스틱을 외부로 인출하는 회동바; 를 포함하는 치아 클리너를 제공한다.
상기 케이스의 외부면 일측에는 고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틱은 강한 살균력과 항균성을 가진 나노실버를 함유한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스틱의 일단부는 치아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도록 예각의 첨단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타단부의 일측에는 회동바와 결속되는 측면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틱은 0.3mm 내지 0.4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는 하부에 힌지부를 형성하고, 내측면에 스프링고정부를 형성하여 가압스프링을 고정설치할 수 있다.
상기 노브는 노브축이 케이스 상부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스틱 수 용부 내부에 노출된 노브축에는 스틱과 접촉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마찰부재가 씌워질 수 있다.
상기 스틱 수용부는 다수의 스틱을 적층시킨 입체형상을 가진 공간이며 내부에서 회동바 수용홈과 연통되어 있어서, 내부에 적층되는 스틱을 회동바 수용홈쪽으로 차례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바 수용홈의 상부는 회동바의 폭보다 일정치만큼 넓은 폭은 가지며, 하부는 회동바에 결속된 스틱이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좁은 폭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회동바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ㄱ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직부는 수평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의 내측면에는 종방향을 따라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홈의 중앙부분에는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틱이 장홈에 삽입되고 결속될 때 돌출부가 스틱의 측면홈에 결속됨으로써 회동바와 결속된 스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의 일측면에는 버튼을 돌출형성하고, 그와 인접한 수직부 상에는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회동바와 접촉하는 회동바 수용홈 측면에는 돌출된 버튼이 삽입될 수 있는 축홀을 형성하고, 상기 축홀의 상하에는 한 쌍의 삽입홀을 동일간격으로 각각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의 타측에는 직경이 축소된 단부를 형성하여 코일스프링 이 삽입시키고, 상기 단부에는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축방향의 틈을 형성하여 회동바를 회전방향으로 탄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케이스 일측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시켜 회동바를 축방향으로 탄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틱 수용부에는 스틱을 살균시키는 살균램프와, 상기 살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스틱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의 전면에 회동바 수용홈이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
하나씩 인출되어 치아에 낀 이물질 또는 플라그를 제거하도록 상기 스틱 수용부에 적재되는 다수의 스틱;
상기 스틱 수용부의 개방부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개방부를 개폐시키며, 내면에 양측이 절개된 노브 수용홈이 형성된 도어;
상기 노브 수용홈을 통하여 양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내면에 축방향으로 결합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 수용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노브와 스프링의 일정각도 회전에 따라 스프링의 각 피치에 삽입된 스틱을 회동바 수용홈의 하부쪽으로 하나씩 밀어내는 삽입구; 및
상기 회동바 수용홈의 상부에 회전방향 및 축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회동바 수용홈의 내부 또는 외부위치에 고정가능하며, 상기 회동바 수용홈의 내부에서 스틱과 결합되어 상기 스틱을 외부로 인출하는 회동바; 를 포함하는 치아 클리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아 클리너에 의하면, 케이스 내에 치아 세정용 스틱을 다수개 내장시키고 버튼조작에 의해 회동바에 맞물린 채 하나씩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치아로부터 이물질이나 치석 등을 위생적 및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틱을 이용하여 치아와 치아 사이의 낀 이물질이나 프라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치아 사이에 틈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치아 세정작업 중 맛사지 효과에 의해 잇몸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잇몸질환과 충치 및 구취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치아 클리너는 작동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용이하며, 치아 세정용 스틱을 인체에 무해한 폴리프로필렌과 나노실버를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써 치아세정시 항균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치아 클리너에 살균램프를 장착시킴으로써 보관 중인 적재된 치아 세정용 스틱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은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적절한 용어를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스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도록 케이스 전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1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는 스틱 수용부(110)와 회동바 수용홈(120)이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100)와, 상기 스틱 수용부(110)에 적재되는 다수의 스틱(200)과, 상기 스틱 수용부(110)의 개폐시키는 도어(300)와, 상기 적재된 스틱(200)을 회동바(500) 쪽으로 하나씩 이동시키는 노브(400)와, 상기 이동된 스틱(200)을 결속시켜 외부로 인출시키는 회동바(50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회동바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회동바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타측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러너의 케이스(100)는 내부가 빈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스틱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의 전면에는 회동바 수용홈(120)이 상단부에서 하부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틱 수용부(110)는 다수의 스틱(200)을 적층시킨 형상의 입체공간이며, 내측은 회동바 수용홈(120)과 연통되어 있어서 스틱 수용부(110) 내에 수직으 로 적층된 다수의 스틱(200)들을 회동바 수용홈(120) 쪽으로 차례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바 수용홈(120)은 상부가 회동바(500)의 폭보다 일정치만큼 넓은 폭을 가지지만, 하부는 회동바(500)에 결속된 스틱(200)이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바(500)가 회동바 수용홈(120) 내에서 스틱(200)과 맞물린 상태에서 외부로 회동할 경우 스틱(200)이 케이스(100)에서 쉽게 인출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면 일측에는 고리를 끼울 수 있는 고리홈(1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폰이나 열쇠고리 등에 연결하여 항상 휴대하면서 본 발명의 치아 클리너를 상용할 수 있다.
상기 스틱(200)은 치아에 낀 이물질 또는 플라그를 제거하기 위한 부재로서, 강한 살균력과 항균성을 가진 나노실버를 함유한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틱(200)은 인체에 무해한 폴리프로필렌 소재에 나노실버를 함유함으로써 99.9%의 항균력을 가지며, 스틱(200)의 두께는 0.3mm 내지 0.4mm로서 치아 사이를 벌리지 않고, 특히 일반 이쑤시개나 치실로는 세정하기 어려웠던 어금니 안쪽의 이물질까지 손쉽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치석을 깨끗이 제거하고 잇몸 맛사지 효과를 주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킴과 함께 잇몸질환과 충치 및 구취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는 부재이다.
상기 스틱(200)은 다수가 스틱 수용부(110)에 적재된 상태에서 노브(400)의 회전에 따라 회동바 수용홈(120)으로 하나씩 인출된다.
그리고,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틱(200)의 일단부는 예각을 이루는 첨단부(201)로 형성되어 있어서 치아의 이물질이나 치석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타단부는 사각단부를 이루고 있고 그 일측에는 회동바(500)와 결속시키기 위한 측면홈(20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도어(3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300)는 하부에 힌지부(310)가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스(100)의 측면에 있는 스틱 수용부(110) 입구인 개방부(111)(도 2 참조)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개방부(11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어(300)의 내측면에는 스프링고정부(321)가 형성되어 있어서 가압스프링(320)이 고정설치되며, 따라서 스틱 수용부(110)에 다수의 스틱(200)이 적재된 상태에서 도어(300)가 닫힐 경우 적재된 스틱(200)들을 회동바 수용홈(120)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다음으로, 노브(400)는 도 1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틱 수용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노브(400), 노브축(410) 및 마찰부재(420)로 구성되어 있다.
노브(400)는 케이스(100) 상부의 외부면에 설치되며, 노브(400)의 중심축을 이루는 노브축(410)은 케이스(100)의 상부를 전후로 관통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스틱 수용부(110)를 관통하며 내부공간에 노출되는 부분의 노브축(410)에는 스틱(200)과 접촉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마찰부재(420)가 씌워져 있다.
상기 노브(40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노브축(410)은 스틱 수용부(110) 내 에 적재된 스틱(200)을 회동바 수용홈(120)의 하부쪽으로 하나씩 밀어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노브(400)를 회전시키면 가압스프링(320)에 의해 노브축(410)과 밀착되어 있는 스틱(200)은 노브축(410)의 표면에 부착된 마찰부재(411)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동바 수용홈(120)의 하부로 진입된다.
다음으로,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회동바(5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도 8은 회동바가 개방된 상태 및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상기 회동바(500)는, 회동바 수용홈(120)의 내부에서 스틱(200)과 결합되어 상기 스틱(200)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ㄱ자형상을 가진 부재로서,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부(510)와 수평부(5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직부(510)는 수평부(52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회동바(500)는 회동바 수용홈(120)의 상부에 회전방향 및 축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회동바 수용홈(12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수직부(510)의 내측면에는 종방향을 따라 장홈(511)이 형성되어 있고, 장홈(511)의 중앙부분에는 장홈(511)의 폭이 좁아지도록 돌출형성된 돌출부(512)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틱(200)이 장홈(511)에 완전히 삽입되면 돌출부(512)가 스틱(200)의 측면홈(202)에 결속됨으로써 삽입된 스틱(200)이 회동바(5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돌출부(512)에 의한 결속력은 치아세정시 가해지는 힘 에 의해 스틱(2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결속력을 가지므로, 마모나 오염 등으로 인해 회동바(500)로부터 스틱을 분리시킬 때에는 손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분리될 수 있는 정도의 결속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520)의 일측면에는 버튼(521)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그와 인접한 수직부(510) 상에는 돌기(5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바(500)와 접촉하는 회동바 수용홈(120)의 측면에는 돌출된 버튼(521)이 삽입될 수 있는 축홀(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홀(121)의 상하에는 한 쌍의 삽입홀(122a,122b)이 동일간격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바(500)가 푸쉬버튼(521)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상기 돌기(522)가 삽입홀(122a,122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회동바(500)는 내부 또는 외부의 일정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520)의 타측에는 직경이 축소된 단부(5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코일스프링(530)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단부(523)의 중앙에는 축방향을 따라 틈(5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코일스프링(530)의 일단이 삽입되어 회동바(500)에 회전방향의 탄성력을 부과하므로, 회동바(500)가 자유롭게 회동될 때 상기 코일스프링(530)에 의해 항상 개방위치에 배치되도록 탄지시킨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530)의 타단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일측의 그루브(525)에 삽입되어 회동바(500)를 축방향으로 탄지시킨다.
즉, 상기 코일스프링(530)은 일단이 회동바(500)의 틈(524)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케이스(100)의 그루브(525)에 의해 고정되므로, 회동바(500)는 개방위 치에서 회전방향 및 축방향으로 탄지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 수용홈(120)의 상부는 회동바(500)의 폭보다 일정치만큼 넓으므로, 회동바(500)는 회전방향 및 축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일정간격 요동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 돌출된 버튼(521)을 누르면, 회동바 수용홈(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축방향으로 탄지되고 있는 회동바(500)는 회동바 수용홈(120)과 회동바(500)의 폭 차이만큼 밀리게 되고, 그에 따라 돌기(522)가 삽입홀(122a,122b)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530)의 회전방향 탄지력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스틱(200)이 적재되고 회동바(500)가 접혀있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버튼(521)을 누르면, 돌기(522)가 삽입홀(122b)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530)의 회전방향 탄성력에 의해 도 2에서와 같이 회동바(500)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돌기(522)는 상부에 위치한 삽입홀(122a)에 삽입되어 회동바(500)는 일정위치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배면에 있는 노브(400)를 일정각도 돌리면 적재되어 있는 스틱(200) 중 노브축(410)의 마찰부재(420)와 밀착되어 있는 스틱(200)이 마찰력에 의해 회동바 수용홈(120)의 하부에 밀려 내려가게 되어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여기서, 회동바(500)를 다시 회동바 수용홈(120)쪽으로 밀어 넣으면 돌 기(522)가 삽입홀(122a)에서 이탈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스틱(200)이 회동바(500)의 장홈(511)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돌출부(512)가 스틱(200)의 측면홈(202)과 결속됨에 따라 스틱(200)은 회동바(5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결합된다.
다음으로, 버튼(521)을 다시 누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스틱(200)을 결합시킨 회동바(500)가 상부로 회전하게 되어 도 9에서와 같이 치아를 세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사용상태인 스틱이 결속되고 회동바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치아의 세정이 끝나면 사용자는 오염된 스틱(200)을 당겨 회동바(500)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사용한 스틱(200)을 버리지 않고 세척한 후 회동바(500)를 회동바 수용홈(120)으로 밀어넣어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이 완료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에 살균램프와 배터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스틱 수용부(110)에 살균램프(60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10)를 설치하여 적재된 스틱(200)에 부착된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스틱(200)의 정화상태를 높힐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유사하나, 노브(400)가 없고 스틱(200)이 피치마다 삽입시킨 삽입구(800)가 스틱 수용부(110)에 삽입된다는 점이 다르다.
상기 삽입구(800)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810)의 내면에 축방향으로 스프링(820)이 결합된 부재로서, 상기 스프링(820)의 각 피치에 스틱(200)을 삽입하여 스틱 수용부(110)에 내장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구(800)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어(700)의 구조도 달라지는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700)에는 스틱(200)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스프링(320)이 필요없으며, 도어(700)의 내면에는 삽입구(800)의 노브(810)를 수용한 채 스틱 수용부(110)를 닫을 수 있도록 노브 수용홈(7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700)를 닫아도 노브(810)는 노브 수용홈(710)을 통해 양쪽이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는 노브(810)를 돌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동바(5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후로 돌출된 노브(810)를 잡고 일정각도 돌리게 되면, 스프링(820)도 함께 회전하여 최전방의 스틱(200)이 회동바 수용홈(120)의 하부로 내려가게 되며, 스틱(200)을 회동바(500)에 결합시키는 과정 등 그 밖의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로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지만,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회동바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회동바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회동바와 도어가 개방되 상태를 나타내는 타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스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도록 케이스 전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회동바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회동바가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에 스틱이 결속되어 회동바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에 살균램프와 배터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클리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케이스 101:고리홈
110:스틱 수용부 111:개방부
120:회동바 수용홈 121:축홀
122a,122b:삽입홀 200:스틱
201:첨단부 202:측면홈
300,700:도어 310:힌지부
321:스프링고정부 320:가압스프링
400:노브 410:노브축
420:마찰부재 500:회동바
510:수직부 511:장홈
512:돌출부 521:버튼
522:돌기 523:단부
524:틈 525:그루브
530:코일스프링 600:살균램프
610:배터리 710:노브 수용홈
800:삽입구 810:노브

Claims (14)

  1. 일측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스틱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의 전면에 회동바 수용홈이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
    하나씩 인출되어 치아에 낀 이물질 또는 플라그를 제거하도록 상기 스틱 수용부에 적재되는 다수의 스틱;
    상기 스틱 수용부의 개방부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개방부를 개폐시키며, 폐쇄시 적재된 스틱을 회동바 수용홈쪽으로 가압하는 도어;
    일정각도 회전함에 따라 노브축이 스틱 수용부 내에 적재된 스틱을 회동바 수용홈의 하부쪽으로 하나씩 밀어내도록 상기 스틱 수용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노브; 및
    상기 회동바 수용홈의 상부에 회전방향 및 축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회동바 수용홈의 내부 또는 외부위치에 고정가능하며, 상기 회동바 수용홈의 내부에서 스틱과 결합되어 상기 스틱을 외부로 인출하는 회동바;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하부에는 스틱 수용부의 개방부에 결합되는 힌지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내부에 적재된 스틱을 탄지하는 가압스프링이 설치되는 치아 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은 나노실버를 함유한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클리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의 일단부는 예각의 첨단부를 이루고, 타단부의 일측에는 회동바와 결속되는 측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클리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은 0.3mm 내지 0.4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클리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면 일측에는 휴대용 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클리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노브축이 케이스 상부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스틱 수용부 내부에 노출된 노브축에는 마찰부재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클리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 수용부는 다수의 스틱을 적층시킨 입체형상을 가진 공간으로서, 내부가 회동바 수용홈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클리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 수용홈의 상부는 회동바의 폭보다 일정치만큼 넓은 폭은 가지며, 하부는 스틱이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클리너.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는, 내측면에 종방향을 따라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홈의 중앙부분에는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된 수직부와, 일측면에 버튼이 돌출형성되고 그에 인접한 수직부 상에 돌기가 형성된 수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가 수평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클리너.
  11. 제10항에 있어서,
    회동바와 접촉하는 회동바 수용홈 측면에는 돌출된 버튼이 삽입되는 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축홀의 상하에는 한 쌍의 삽입홀이 동일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클리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타측에는 직경이 축소된 단부가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단부의 중앙에는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축방향의 틈이 형성되어 회동바를 회전방향으로 탄지시키며, 상기 케이스 일측에는 코일스프링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회동바를 축방향으로 탄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클리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 수용부에는 스틱을 살균시키는 살균램프와, 상기 살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클리너.
  14. 일측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스틱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의 전면에 회동바 수용홈이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
    하나씩 인출되어 치아에 낀 이물질 또는 플라그를 제거하도록 상기 스틱 수용부에 적재되는 다수의 스틱;
    상기 스틱 수용부의 개방부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개방부를 개폐시키며, 내면에 양측이 절개된 노브 수용홈이 형성된 도어;
    상기 노브 수용홈을 통하여 양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내면에 축방향으로 결합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 수용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노브와 스프링의 일정각도 회전에 따라 스프링의 각 피치에 삽입된 스틱을 회동바 수용홈의 하부쪽으로 하나씩 밀어내는 삽입구; 및
    상기 회동바 수용홈의 상부에 회전방향 및 축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회동바 수용홈의 내부 또는 외부위치에 고정가능하며, 상기 회동바 수용홈의 내부에서 스틱과 결합되어 상기 스틱을 외부로 인출하는 회동바; 를 포함하는 치아 클리너.
KR1020090000870A 2009-01-06 2009-01-06 치아 클리너 KR100986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870A KR100986796B1 (ko) 2009-01-06 2009-01-06 치아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870A KR100986796B1 (ko) 2009-01-06 2009-01-06 치아 클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573A KR20100081573A (ko) 2010-07-15
KR100986796B1 true KR100986796B1 (ko) 2010-10-12

Family

ID=4264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870A KR100986796B1 (ko) 2009-01-06 2009-01-06 치아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5769A (zh) * 2020-10-22 2021-01-01 李松云 自动牙线盒及牙线盒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8099A (en) * 1982-09-09 1985-05-21 Sunstar Kabushiki Kaisha Portable toothpick case
KR20040003922A (ko) * 2002-07-04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게이트 전극 제조방법
KR200403922Y1 (ko) * 2005-09-26 2005-12-14 김종대 치실 겸용 이쑤시게
JP2008253801A (ja) 2004-07-07 2008-10-23 Aboji Shokuhin Kk ワンタッチ式楊枝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8099A (en) * 1982-09-09 1985-05-21 Sunstar Kabushiki Kaisha Portable toothpick case
KR20040003922A (ko) * 2002-07-04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게이트 전극 제조방법
JP2008253801A (ja) 2004-07-07 2008-10-23 Aboji Shokuhin Kk ワンタッチ式楊枝容器
KR200403922Y1 (ko) * 2005-09-26 2005-12-14 김종대 치실 겸용 이쑤시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573A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74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межзубных промежутков
US3534745A (en) Dental tape holder for power driven tooth cleaning devices
US8424544B2 (en) Toothpick with floss
AU2008358066B2 (en) Oral hygiene device with floss storage capability
KR100986796B1 (ko) 치아 클리너
KR200414641Y1 (ko) 치간칫솔 케이스
KR101719357B1 (ko)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KR200346030Y1 (ko) 치실케이스
EP3698753B1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KR200457723Y1 (ko) 구강 위생 용구
KR101585415B1 (ko) 구강세척장치
KR101812314B1 (ko)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KR200393328Y1 (ko) 치약 구비 칫솔
KR200417701Y1 (ko) 치간칫솔
US20210000578A1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KR200357424Y1 (ko) 치실 홀더
KR102661828B1 (ko) 치실 내장형 치간칫솔
KR102458692B1 (ko) 구강위생용품이 구비된 휴대용 칫솔
CN211750196U (zh) 一种双折叠牙线棒
KR200460075Y1 (ko) 다기능 휴대용 치솔
KR20120081530A (ko) 절단 부재가 구성된 인출용 치간 칫솔
KR200388505Y1 (ko) 세정액 또는 소독액이 구비된 치간 칫솔
KR20090008462U (ko) 치실을 구비한 칫솔
KR200299170Y1 (ko) 다용도 칫솔
KR20130098665A (ko) 거울을 부착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