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170Y1 - 다용도 칫솔 - Google Patents

다용도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170Y1
KR200299170Y1 KR2020020027965U KR20020027965U KR200299170Y1 KR 200299170 Y1 KR200299170 Y1 KR 200299170Y1 KR 2020020027965 U KR2020020027965 U KR 2020020027965U KR 20020027965 U KR20020027965 U KR 20020027965U KR 200299170 Y1 KR200299170 Y1 KR 200299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artar
prevention
teeth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옥
Original Assignee
정봉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옥 filed Critical 정봉옥
Priority to KR2020020027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1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170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칫솔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방지솔이 장착되는 치석방지부, 칫솔모가 설치되는 칫솔부, 상기 치석방지부와 칫솔부를 잇는 연결부로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연결부에 단부가 각각 힌지연결되어 양면 내측으로 상기 칫솔부와 치석방지부가 각각 수납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구성이 간단하여 휴대하고 다니며 간편하게 치아관리를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제품에 칫솔과 치실 및 치석방지솔이 하나로 구성되도록 하여 치아와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뿐 아니라 치면 세균막, 치태까지 완벽하게 제거 할 수 있는 다용도 칫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칫솔{multipurpose toothbrush}
본 고안은 다용도 칫솔에 관한 것으로, 일단으로 치석제거솔이 장착토록 설치되는 치석방지부와 칫솔모가 설치되는 칫솔부 및 상기 치석방지부와 칫솔부를 잇는 연결부로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부로 단부가 힌지연결되어 그 양면으로 상기 칫솔부와 치석제거부가 수납토록 일정공간의 인입홈이 형성되는 커버로서 구성되어, 칫솔, 치석방지솔 및 치실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뿐만 아니라 치태까지도 완벽하게 제거 할 수 있고 휴대하기도 편리한 다용도 칫솔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와 부딪히면서 그 마찰에 의해 치아 사이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활을 하는 치모와 이 치모에 결합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로서 이루어져,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칫솔질 만으로는 음식물 찌거기를 완벽하게 제거하기 어려워 양치 후에도 구강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게 되고, 이 음식물 찌꺼기에 구강내 상존하는 세균들이 달라 붙어 치아의 표면에 끈적 끈적하고 색깔 없는 치면 세균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치면 세균막은 잇몸을 자극하는 독소를 생성하고 심한 경우 잇몸에 출혈과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치면 세균막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타액내의 칼슘 성분을 흡수하여 단단한 돌처럼 석회화되어, 결국에는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치석을 생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칫솔로 양치질을 한후 치실을 이용하여 치아와 치아 사이에 깊숙히 걸려 있는 육질이나 치태를 제거하여 왔다. 그러나, 칫솔과 치실만으로는 치아 안쪽에 생성된 치면 세균막을 제거하기 곤란하고, 칫솔과 치실이 따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보관상의 불편한 점과 아울러 분실의 우려도 야기되었다.
또한, 출장이나 여행, 나들이와 같이 외부에서 활동할 경우에는 각각의 양치 도구를 가방에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데 이 또한 상당히 불편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하고 다니면서 간편하게 치아관리를 할 수 있으며, 칫솔과 치실 및 치석방지솔이 하나로 구성되도록 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을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사용목적에 따른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합리적인 치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칫솔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칫솔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칫솔의 A-A부 도시한 단면도.
도 2a 또는 2b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칫솔을 도시한 분해 상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칫솔을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다용도 칫솔의 커버를 도시한 평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다용도 칫솔의 커버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몸체 11...치석방지부
12...연결부 14...칫솔부
20...커버 21...인입홈
30...치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방지솔이 장착되도록 상기 치석방지솔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치석방지솔이 삽입후 고정토록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고정편이 설치되는 치석방지부와, 상기 치석방지부의 타단부에 연장형성되어 중앙으로 연결공이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연장형성되어 그 타단부에 칫솔모가 설치되는 칫솔부로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연결공에 단부가 각각 힌지연결되고, 양면 내측으로 상기 칫솔부와 치석방지부가 수납토록 인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커버에는, 일면 내측으로 치실이 설치되고 , 그 단부에는 치실이 배출되는 치실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치실배출구의 일측으로 치실을 절단하는 절단커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또는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부(12)를 중심으로 일단으로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방지부(11)가 형성되고, 타단으로 칫솔부(14)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연결부(12)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치석방지부(11)와 칫솔부(14)가 수납토록 일정공간이 양면에 형성되는 커버(20)로 크게 구성된다.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치석방지솔(11a)이 장착되는 치석방지부(11)와, 칫솔모(14a)가 설치되는 칫솔부(14) 및, 상기 치석방지부(11)와 칫솔부(14)를 연결하는 연결부(12)로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치석방지부(11)는, 그 단부에 무기질과 결합시 치석을 형성하는 치면 세균막이 제거되도록 치석방지솔(11a)이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치석방지솔(11a)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치석방지부(11)에는 상기 치석방지솔(11a)의 일단이 관통되는 삽입공(11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1b)에 삽입된 치석방지솔(11a)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삽입된 상기 치석방지솔(11a)의 단부를 밀착 고정하는 고정편(11c)이 상기 치석방지부(11)의 단부에 힌지 연결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2)는, 상기 고정편(11c)이 설치된 치석방지부(11)의 타단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커버(20a)(20b)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24)와 힌지연결되도록 상기 연결돌기(24)와 대응되는 연결공 (12a)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치석방지부(11)가 결합되는 반대위치에는 칫솔 모(14a) 를 갖는 칫솔부(14)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칫솔부(14)는, 일단은 상기 연결부(12)에 연장되어 연결되고 타단으로 치아와 치아 사이에 존재하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토록 형성되는 칫솔모(14a)가 다수개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로,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석방지부(11)와 연결되는 연결부(12)의 타단으로 치석을 방지하는 치석제거부(16)가 연결되고, 상기 치석제거부(16)의 단부로 치석방지부(11)의 치석방지솔(11a) 보다 굵은 두께의 치석제거솔(16a)이 설치되어, 치석방지부(11)로 제거하기 힘든 치면 세균막이나 치석을 제거하거나 잇몸을 두드려 마사지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12)의 연결공(12a)에 결합되는 커버(20)는, 상기 연결공(12a)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한쌍의 커버(20a)(20b)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12)의 연결공(12a)에 인입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기가 상기 연결공(12a)에 대응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연결된 상기 치석방지부(11)와 칫솔부(14)은 상기 연결공(12a)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커버(20a)(20b)에 인입되어 수납될 수 있는 있도록, 소정 공간을 갖는 인입홈(21)이 커버(20a)(20b)의 양면 내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도 4a 또는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a)(20b)에는, 인입홈(21)의 일측으로 치아와 치아 사이에 있는 프라그나 육류의 제거가 가능한 치실(30)이 설치되는데, 상기 치실(30)은, 인입홈(21)의 일면에 대향되어 형성된 한쌍의 회전축(25)에 의해 귄취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더하여, 상기 치실(30)이 설치된 커버(20a)(20b)의 단부에는, 상기 치실(3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소정 통공을 갖는 치실배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치실배출구(22)를 넘나드는 치실(30)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커터(23)가 상기 치실배출구(22)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되는 일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석방지부(11)를 상기 커버(20a)(20b)의 인입홈(21)에 수납하여 타방향에 위치한 칫솔모(14a)를 갖는 칫솔부(14)로 양치질을 한다. 양치질 후에는, 상기 커버(20a)(20b)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돌기(24)를 축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칫솔부(14)를 커버(20a)(20b)의 인입홈(21) 내측으로 수납한 후 치석방지부(11)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계속하여, 노출된 치석방지부(11)의 삽입공(11b)에 상기 치석방지솔(11a)을삽입한 후 치석방지부(11)를 고정편(11c)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치석방지솔(11a)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여 치아와 치아사이에 프라그 및 음식찌꺼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잇몸을 자극시켜 마사지 효과도 발생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일련의 동작에 의해 양치질에 의해 미처 제거되지 못해 발생하는 치면 세균막의 막을 제거함으로서, 치면 세균막이 타액내의 칼슘 성분을 흡수하여 석회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커버(20a)(20b)의 인입홈(21)의 일측으로 치실(3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치실(30)을 상기 치실배출구(22)를 통해 길게 인출하여 일정 길이를 확보한후 상기 치실배출구(22)의 일측에 설치된 절단커터(23)에 상기 치실(30)을 접촉하여 적정한 길이의 치실(30)을 절단한다.
절단된 치실(30)은, 양손가락에 일정길이를 감고,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약 4cm를 팽팽하게 잡아 당기고 치실(30)을 부드럽고 조심스럽게 치아 사이에 삽입한 후 상하로 움직여 잇몸이 상하지 않도록 음식물 찌꺼기나 치태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칫솔과 치석방지솔이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치아와 잇몸, 치아와 치아 사이있는 음식찌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통 이쑤시개를 습관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치아 사이를 점차 벌려 놓아서 치아 사이가 넓어지고 잘못 사용시 잇몸에 염증을 야기하기도 하는데, 치실의 사용으로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나 치면세균막이나 치태까지도 간편하게 제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하기 용이하여 여행이나 운동후, 출장을 가서도 간편하게 치아관리를 할 수 있으며, 치실을 이용하여 치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나 치면세균막, 치태까지도 완벽하게 제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소모성이 강한 치석방지솔과 치실이 착탈가능토록 구성하여 사용을 끝낸 치석방지솔과 치실은 수시로 교환함으로서 위생적인 치아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방지솔(11a)이 장착되어 고정토록 상기 치석방지솔(11a)이 삽입되는 삽입공(11b)과 삽입된 치석방지솔(11a)을 고정하는 고정편(11c)이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치석방지부(11)와, 칫솔모(14a)가 설치되는 칫솔부(14) 및, 상기 치석방지부(11)와 칫솔부(14) 사이를 연결하고 중앙으로 연결공(12a)이 형성되는 연결부(12)로서 이루어지는 몸체(10)와,
    상기 연결공(12a)에 단부가 각각 힌지연결되고, 양면 내측으로 상기 칫솔부(14)와 치석방지부(11)가 수납토록 인입홈(21)이 각각 형성되는 커버(20a)(20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a)(20b)는, 일면 내측으로 귄취된 치실(30)이 설치되고, 일측으로 상기 치실(30)을 절단하는 절단커터(23)가 구비된 치실배출구(22)가 상기 커버(20a)(20b)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칫솔.
KR2020020027965U 2002-09-17 2002-09-17 다용도 칫솔 KR200299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965U KR200299170Y1 (ko) 2002-09-17 2002-09-17 다용도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965U KR200299170Y1 (ko) 2002-09-17 2002-09-17 다용도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170Y1 true KR200299170Y1 (ko) 2002-12-31

Family

ID=7312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965U KR200299170Y1 (ko) 2002-09-17 2002-09-17 다용도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1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575B1 (ko) 2014-12-08 2016-01-28 조달호 다용도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575B1 (ko) 2014-12-08 2016-01-28 조달호 다용도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2611B2 (ja) 歯間歯ブラシ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amp; methods of use thereof
KR20180027257A (ko) 치은열구 칫솔
KR100413209B1 (ko)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전동칫솔
KR200299170Y1 (ko) 다용도 칫솔
KR200414641Y1 (ko) 치간칫솔 케이스
KR20170069102A (ko) 교체 가능한 치간칫솔이 구비된 휴대용 칫솔
US8800574B2 (en) Fluffy floss kit
KR20110002851U (ko) 전동 칫솔
CA2357475A1 (en) Travel toothbrush
KR200348378Y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KR200296403Y1 (ko) 세정액 및 소독액이 구비된 치간칫솔
KR200398526Y1 (ko) 스케일러가 부설된 치간칫솔
EP1455677B1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KR200442981Y1 (ko) 다용도 복합 칫솔
KR200432274Y1 (ko) 치석제거기가 부설된 칫솔
KR100462903B1 (ko) 세정액 및 소독액이 구비된 치간칫솔
KR200376363Y1 (ko) 치약 수납이 가능한 휴대용 칫솔
KR200357424Y1 (ko) 치실 홀더
AU2002356449A1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KR200246705Y1 (ko) 혀 청소구
KR200348233Y1 (ko) 치아 세정 도구
KR100351792B1 (ko) 중간모판이 절개된 칫솔
KR200240069Y1 (ko) 전동치솔
JP2001137103A (ja) 携帯用歯磨き、洗口、及び口腔内清掃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