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357B1 -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 Google Patents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357B1
KR101719357B1 KR1020150155077A KR20150155077A KR101719357B1 KR 101719357 B1 KR101719357 B1 KR 101719357B1 KR 1020150155077 A KR1020150155077 A KR 1020150155077A KR 20150155077 A KR20150155077 A KR 20150155077A KR 101719357 B1 KR101719357 B1 KR 101719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ss
dental
stick
upper cas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0805A (ko
Inventor
이철재
Original Assignee
이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재 filed Critical 이철재
Priority to JP2015222713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6150246A/ja
Priority to US14/942,985 priority patent/US20160235507A1/en
Priority to CN201510802401.3A priority patent/CN105877860A/zh
Priority to PCT/KR2016/001069 priority patent/WO2016133297A1/ko
Publication of KR20160100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5Threading or knot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양손으로 치실 공급용 스틱과 치실 회수용 스틱을 잡고 치실을 사용할 수 있어서 위생적이고, 종래 Y자형 치실 홀더와 달리 치실의 길이 및 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의 감각을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치실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INTERDENTAL CLEANING APPARATUS USING BOTH HANDS}
본 발명은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대신 치실 공급용 스틱과 치실 회수용 스틱으로 치실을 지지하되, 치실 공급용 스틱은 미사용 치실을 공급하고 치실 회수용 스틱은 사용된 치실을 회수하며, 치실 공급용 스틱과 치실 회수용 스틱으로 연결되어 지지된 치실은 길이가 조절가능하며, 손의 감각을 그대로 활용하여 치실의 장력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작으로 치아를 관리할 수 있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구강 관리 용품의 일종인 치실은 가는 실 형태로 되어 있어, 칫솔질만으로는 관리가 어려운 치아 사이를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로서 이쑤시개와는 달리 치아가 벌어지는 부작용이 없으며 치아 사이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충치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 다른 구강 관리 용품인 치간 칫솔은 두 치아와 잇몸 사이에 형성된 삼각지대의 음식물 찌꺼기 및 프라그를 제거하기 위한 것인데 반해, 치실은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 및 프라그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치간 칫솔의 경우, 반복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치간 칫솔 자체를 세정하여 사용해야 하지만 치실의 경우 사용할 때마다 필요한 만큼 치실을 적당하게 잘라 사용하고 버릴 수 있기 때문에, 휴대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하기 적합하다.
치실은 보통 일회용을 제외하고는, 위생을 고려하여 케이스에 담겨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필요한 만큼 치실을 자르거나 혹은 거치대에 매어서 사용하게끔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치실 케이스는 단지 치실을 보관하는 케이스로서, 케이스의 내부에 보관된 치실을 꺼내어 용기에 부착된 커터로 자른 후 자른 치실을 사용한다.
치실 케이스에서 잘라낸 치실을 사용자가 손가락에 감아 사용할 때, 손의 감각을 활용하여 치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각도에서 치실의 길이를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치아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치실 케이스는 사용자가 적당한 길이로 치실을 꺼낸 후 잘라서 매번 양쪽 손가락에 감아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더욱이 치실을 치아 사이로 통과시킨 후 텐션을 유지한 채로 치아를 닦다 보면 손가락에 감은 치실에도 힘이 가해짐으로써 손가락의 통증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치실을 손가락에 감아서 고정하기 위해서는 실제 사용하는 치실보다 길게 잘라서 사용해야 하므로 치실이 필요이상으로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치실의 길이조절을 위해 손가락에 감겨진 치실을 풀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위생상 깨끗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사용자가 치실을 감은 손가락을 입 속에 넣고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 위생의 문제뿐만 아니라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불쾌감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치실 홀더로서 'Y'형상으로 형성된 치실 홀더가 있는데, 이는 치실이 구비된 본체 상부에 양 옆으로 벌어진 두 개의 기둥에 치실을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매번 치실을 두 개의 기둥에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다 보면 두 개의 기둥 사이에 고정된 치실이 느슨해지는 경향이 있어 고정된 치실을 풀어서 다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 개의 기둥 간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어 치실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고 입안 깊숙이 넣었을 때 돌출된 기둥이 입안을 찌르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79760 "치간 청소용 견사 홀더"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양손으로 치실 공급용 스틱과 치실 회수용 스틱을 잡고 치실을 사용할 수 있어서 위생적이고, 종래 Y자형 치실 홀더와 달리 치실의 길이 및 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의 감각을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치실 동작이 가능한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치실 공급용 스틱 내에 보관된 치실 뭉치로부터 지속적으로 깨끗한 치실이 공급되고, 사용된 치실은 치실 회수용 스틱 내에 보관되거나 외부로 배출된 후 폐기되므로, 종래 매번 치실을 잘라서 손가락에 감아 사용하거나 별도의 치실 홀더에 감아 사용한 후 잘라서 폐기해야 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치실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치실 공급용 스틱 및/또는 치실 회수용 스틱에 별도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납공간에 치간 칫솔, 구강 청결 스프레이, 진동 유닛 등이 수납됨으로써, 치위생 용품을 함께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상부에 치실 배출용 개구, 내부에 치실이 보관되는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 및 치실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치실 공급용 스틱; 및 상기 치실 공급용 스틱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치실 회수용 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치실 공급용 스틱의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과 상기 치실 회수용 스틱의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에 치실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양손으로 치실 공급용 스틱과 치실 회수용 스틱을 잡고 치실을 사용할 수 있어서 위생적이고, 종래 Y자형 치실 홀더와 달리 치실의 길이 및 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의 감각을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치실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치실 공급용 스틱 내에 보관된 치실 뭉치로부터 지속적으로 깨끗한 치실이 공급되고, 사용된 치실은 치실 회수용 스틱 내에 보관되거나 외부로 배출된 후 폐기되므로, 종래 매번 치실을 잘라서 손가락에 감아 사용하거나 별도의 치실 홀더에 감아 사용한 후 잘라서 폐기해야 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치실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실 공급용 스틱 또는 치실 회수용 스틱에 별도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납공간에 치간 칫솔, 구강청결스프레이, 진동 유닛 등이 수납됨으로써, 치위생 용품을 함께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공급용 스틱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치실 공급용 스틱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치실 공급용 스틱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공급용 스틱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치실 공급용 스틱의 제1 변형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치실 공급용 스틱의 제2 변형 실시예들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치실 회수용 스틱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치실 회수용 스틱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진동 유닛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공급용 스틱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치실 회수용 스틱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7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치실 회수용 스틱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와 보관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나타낸 일부 분해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치간 세정기의 보관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공급용 스틱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치실 공급용 스틱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치실 공급용 스틱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공급용 스틱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치실 공급용 스틱의 제1 변형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치실 공급용 스틱의 제2 변형 실시예들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치실 회수용 스틱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100)는, 상부에 치실 배출용 개구(101)가 형성되고, 내부에 치실(103)이 보관되는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301)과 치실(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이 구비된 치실 공급용 스틱(105); 및 치실 공급용 스틱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바람직하게는 물리적으로 완벽히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부에 치실 인입용 개구(107)가 형성되고, 내부에 치실(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이 구비된 치실 회수용 스틱(109);을 포함하며,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에 구비된 치실(103)은 치실 공급용 스틱의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과 치실 회수용 스틱의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에 치실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된 치실은 치실 배출용 개구(101)와 치실 인입용 개구(107)를 거쳐 치실 회수용 스틱(109) 내부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치실 공급용 스틱(105)과 치실 회수용 스틱(109)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치실 공급용 스틱(105)은 치실(103)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치실 공급용 스틱(105)의 상부에는 치실(103)을 배출하기 위한 치실 배출용 개구(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치실 공급용 스틱(105)의 내부에는 치실(103)의 공급을 위한 공급용 치실(103)(치실 뭉치)이 보관되는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301)이 구비된다.
또한, 치실 공급용 스틱(105)의 내부에는 치실(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이 구비된다.
이러한 치실 공급용 스틱(105)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기 쉽게 긴 막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치실 공급용 스틱(105)의 구조에 대한 일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치실 공급용 스틱(105)은 서로 결합 또는 해제되는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와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와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는 나사산 결합 수단, 억지 끼움 수단 등의 결합수단으로 서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치실 공급용 스틱(105)은 다수의 덮개가 상하 혹은 좌우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틱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의 상부에는 치실 배출용 개구(101)가 형성되고,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의 하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가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와 결합시 그 내부에 공급용 치실(103)(치실 뭉치)이 보관되는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301)이 형성되며, 또한 공급용 치실(103)이 이동하는 통로인 치실 이동로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치실 이동로는 치실(103)이 치실 배출용 개구(101)를 향해 이동되는 통로를 의미하며, 공급용 치실(103)(즉, 미사용 치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통로이다.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는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와 서로 결합 또는 해제되는데,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에는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 안으로 인입되며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301)에 보관된 치실(10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치실 공급측 내부기둥(201)이 마련된다.
이 때, 치실 공급측 내부기둥(20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의 내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의 상단에 캡 형태로 결합된 후, 그 중심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치실 공급측 내부기둥(201)의 경우,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의 상단에 지지되는 몸체부(501)에 요홈 형상의 치실 통로홈(50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치실(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은 일례로,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305)와,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305)에 결합 또는 해제되며 치실 공급측 내부기둥(20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305)와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03)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철구조로 인해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305)와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03)가 서로 견고히 밀착되며 결합되어 치실(103)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305)와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03)의 결합시,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03)의 상단(즉, 치실 공급측 내부기둥(201)의 상단)이 치실 배출용 개구(101) 안으로 끼워지면서 이를 밀폐시켜, 이물질 등이 치실 공급용 스틱(105)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03)의 상단(즉, 치실 공급측 내부기둥(201)의 상단)은,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305)와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03)의 결합시,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 외부로 돌출될 수도 있는데, 이 돌출부위(601)의 외주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으로 내입되는 홈(603)이 형성되어서, 사용시 치실 공급용 스틱(105) 외부로 인출된 치실(103)이 홈(603)에 감겨져 그 길이가 조정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홈(603) 대신 치실 배출용 개구(101)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치실 공급용 스틱(105)과 치실 회수용 스틱(109) 사이에 걸쳐진 치실(103)이 감겨져 그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은 앞에서 설명한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와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결합수단(나사결합 수단 또는 억지 끼움 수단 등)의 기능을 대체하거나 보조할 수도 있다.
즉,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와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결합수단 또는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 중 어느 한곳을 강하게 결합시키거나 혹은 느슨하게 결합시키거나 혹은 결합을 해제하게 되면 나머지도 연동되어 강한 결합 혹은 느슨한 결합 혹은 결합해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이 해제되더라도 결합수단이 느슨한 결합을 유지함으로써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와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환언하면,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와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결합수단과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나사결합 방식 또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과 해제가 이뤄지는데, 서로 동작이 연동됨으로써 결합수단을 해제하거나 강한 결합에서 느슨한 결합으로 전환하면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의 결합력이 해제되거나 혹은 느슨한 결합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치실(103)의 이동이 자유로워짐으로써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301)에 구비된 치실(103)이 치실 배출용 개구(101)를 통해 외부로 끄집어 내어 질 수 있으며, 다시 결합수단을 강하게 결합시키면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 역시 강하게 결합되어 치실(103)이 치실 공급용 스틱(105)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는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이 나사결합 방식인 경우,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에 의해 치실(103)이 고정됨과 동시에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111)와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113)도 결합되기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의 (a)는 결합수단과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이 나사결합 방식인 예를, 도 7의 (b)는 결합수단이 억지 끼움 방식이고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이 나사결합 방식인 예를, 도 7의 (c)는 결합수단이 억지 끼움 방식이고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303)이 억지 끼움 방식인 예를 도시하였다.
더불어, 치실 공급용 스틱(105)의 하부에는 수납공간(307)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 수납공간(307)에는 치간 칫솔(205)이 수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치실 회수용 스틱(109)은 치실(103)을 회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치실 회수용 스틱(109)의 상부에는 치실(103)을 인입하기 위한 치실 인입용 개구(107)가 형성되어 있으며, 치실 회수용 스틱(109)의 내부에는 치실(103)의 회수를 위한 회수용 치실(103)(치실 뭉치)이 보관되는 회수용 치실 보관 공간(90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치실 회수용 스틱(109)의 내부에는 치실(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이 구비된다.
이러한 치실 회수용 스틱(109)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기 쉽게 긴 막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치실 회수용 스틱(109)의 구조에 대한 일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치실 회수용 스틱(109)은 서로 결합 또는 해제되는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는 나사산 결합 수단, 억지 끼움 수단 등의 결합수단으로 서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치실 회수용 스틱(109)은 다수의 덮개가 상하 혹은 좌우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틱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의 상부에는 치실 인입용 개구(107)가 형성되고,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의 하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와 결합시 그 내부에 회수용 치실(103)(치실 뭉치)이 보관되는 회수용 치실 보관 공간(9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회수용 치실(103)이 이동하는 통로인 치실 이동로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회수용 치실(103)이 이동하는 통로인 치실 이동로는 치실 인입용 개구(107)를 통해 인입된 치실(103)이 이동되는 통로를 의미하며, 회수용 치실(103)(즉, 사용된 치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통로이다.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는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와 서로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마련되는데,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에는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 안으로 인입되며 치실 인입용 개구(107)를 통해 인입되는 치실(10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801)이 마련된다.
이 때,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80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의 저면을 관통한 하단이 줄감개 노브(803)에 결합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801)의 하단이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의 저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801)의 하단이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의 저면을 관통하여 줄감개 노브(803)에 결합되는 경우,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801)에 치실(103)이 감기면서 회수된 후 치실(103)을 고정시키기 위해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를 결합시, 필요이상으로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가 회전됨에 따라 치실(103)의 길이를 정확히 조절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서로 결합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는, 회수된 치실(103)을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801)으로 유도하기 위한 치실 유도홈(807)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면들에서는 치실 유도홈(807)이 특히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처럼 치실 유도홈(807)이 형성됨으로써, 회수되는 치실(103)이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 또는 줄감개 노브(803)의 회전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꼬임 없이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801)에 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치실(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은 일례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905)와,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905)에 결합 또는 해제되며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80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8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905)와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805)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철구조로 인해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905)와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805)가 서로 견고히 밀착되며 결합되어 치실(103)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905)와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805)의 결합시,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805)의 상단(즉,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801)의 상단)이 치실 인입용 개구(107) 안으로 끼워지면서 이를 밀폐시켜, 이물질 등이 치실 회수용 스틱(109)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6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게, 상술한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805)의 상단(즉,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801)의 상단)은,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905)와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805)의 결합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 외부로 돌출될 수도 있는데, 이 돌출부위의 외주면에는 횡으로 내입되는 홈이 형성되어서, 사용시 치실 회수용 스틱(109) 내부로 인입된 치실(103)이 홈에 감겨져 그 길이가 조정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홈 대신에 치실 인입용 개구(107)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치실 회수용 스틱(109)과 치실 공급용 스틱(105) 사이에 걸쳐진 치실(103)이 감겨져 그 길이가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은 앞에서 설명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결합수단(나사결합 수단 또는 억지끼움 수단 등)의 기능을 대체하거나 보조할 수도 있다.
즉,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결합수단 혹은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 중 어느 한곳을 강하게 결합시키거나 혹은 느슨하게 결합시키거나 혹은 결합을 해제하게 되면 나머지도 연동되어 강한 결합 혹은 느슨한 결합 혹은 결합해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이 해제되더라도 결합수단이 느슨한 결합을 유지함으로써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환언하면,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결합수단과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은 각각 나사결합 방식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과 해제가 이뤄지는데, 서로 동작이 연동됨으로써 결합수단을 해제하거나 강한 결합에서 느슨한 결합으로 전환하면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의 결합력이 해제되거나 혹은 느슨한 결합으로 전환되어, 치실(103)의 이동이 자유로워짐으로써, 치실(103)이 치실 인입용 개구(107)를 통해 회수용 치실 보관 공간(901)으로 인입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결합수단을 강하게 결합시키면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 역시 강하게 결합되어 치실(103)이 치실 회수용 스틱(109)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는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이 나사결합 방식인 경우,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에 의해 치실(103)이 고정됨과 동시에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도 결합되기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치실 회수용 스틱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진동 유닛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정기는 회수용 치실(즉, 사용된 치실)이 치실 회수용 스틱의 내부에 마련된 회수용 치실 보관 공간에 보관되는 구조를 갖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정기는 회수용 치실이 치실 회수용 스틱의 내부에 보관되지 않고 제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된 치실 공급용 스틱(105); 및 상부에 치실 인입용 개구(107)가 형성되고, 내부에 치실(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903)이 구비된 치실 회수용 스틱(109);을 포함한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치실 공급용 스틱(105)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치실 공급용 스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치실 회수용 스틱(109)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1201)은 상부가 폐쇄된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연장된 구조로 제공되고, 치실 회수용 스틱(109)의 외면, 일례로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의 외면에는 회수용 치실(즉, 사용된 치실)을 절단하는 커팅부(1101)가 구비된다.
그리고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에는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115)의 내부로 인입된 치실을 치실 회수용 스틱(109)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회수용 치실(즉, 사용된 치실)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치실 회수용 스틱의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커팅부(110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다.
더불어, 치실 회수용 스틱(109)의 하부에는 수납공간(1301)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 수납공간(1301)에는 치간 칫솔(205)이 수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117)에는 구강스프레이(1701) 또는 진동 유닛(1501) 등이 결합 또는 수납될 수 있으며, 진동 유닛(1501)에는 치간 칫솔(1601)을 장착할 수 있는 홈(15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공급용 스틱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치실 회수용 스틱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7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치실 회수용 스틱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2에 도시한 치간 세정기는 회수용 치실(즉, 사용된 치실)을 치실 회수용 스틱의 내부 공간에 회수 또는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수용 치실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는 치실 공급용 스틱(2105)과 치실 회수용 스틱(2109)을 포함한다.
치실 공급용 스틱(2105)은 나사산 결합 수단, 억지 끼움 수단 등의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는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2111)와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2113)를 구비한다.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2111)의 상부에는 치실(103)을 배출하기 위한 치실 배출용 개구(2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2113)에는 공급용 치실(2103)(치실 뭉치)이 보관되는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2301)이 구비된다.
그리고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2301)에 공급용 치실(103)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치실(103)을 치실 배출용 개구(2101)를 통해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2113)에는 절개부(2119)가 구비되며, 절개부(2119)와 인접한 곳에는 치실(2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203)를 구비한 치실 공급측 내부기둥(2201)이 구비된다.
따라서,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2111)가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2113)와 결합하면, 내부기둥(2201)이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2111)의 내부에 위치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2111)의 내주면에는 치실 공급측 내부기둥(2201)에 형성된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203)에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도 3의 303 참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203)와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에 의한 치실 고정 및 해제 작동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치실 회수용 스틱(2109)은 나사산 결합 수단, 억지 끼움 수단 등의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는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2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2117)를 포함한다.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2115)의 상부에는 개구(2107)가 형성되고,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2115)의 하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이뤄져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2115)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2117)와 결합시 그 내부에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2801)이 위치한다.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2801)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2117)에 결합되며,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2801)과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2117)의 결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2801)의 하단과 상기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2801)이 결합되는 홈(2118)의 형상은 다각형, 일례로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치실(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은 일례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2115)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2905)와,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2905)에 결합 또는 해제되며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2801)에 형성된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80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2805)에는 치실 구멍(2806)이 형성되어 있으며, 치실 회수용 스틱(2109)의 외면, 일례로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2117)의 외면에는 회수용 치실(즉, 사용된 치실)을 절단하는 커팅부(1101)가 구비된다.
따라서, 회수용 치실(즉, 사용된 치실)은 커팅부(110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하,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도 17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치실 회수용 스틱(3109)은 나사산 결합 수단, 억지 끼움 수단 등의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는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3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3117)를 포함한다.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3115)의 상부에는 종방향 개구(3107) 및 횡방향 개구(3108)가 형성되고,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3115)의 하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이뤄져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3115)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3117)와 결합시 그 내부에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3801)이 위치한다.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3801)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3117)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치실(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은 일례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3115)에 형성된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3905)와,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3905)에 결합 또는 해제되며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3801)에 형성된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380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치실 회수용 스틱(3109)의 외면, 일례로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3117)의 외면에는 회수용 치실(즉, 사용된 치실)을 절단하는 커팅부(1101)가 구비된다.
따라서, 회수용 치실(즉, 사용된 치실)은 커팅부(110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정기에 적용되는 치실 공급용 스틱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정기의 치실 공급용 스틱 대신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3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정기에 적용되는 치실 회수용 스틱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정기의 치실 회수용 스틱 대신에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실 공급용 스틱(105, 2105)과 치실 회수용 스틱(109, 2109, 3109)은 보관케이스(1401)에 수납되어 보관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보관케이스(1401)는 치실 공급용 스틱(105, 2105)과 치실 회수용 스틱(109, 2109, 3109)이 끼움결합되는 몸체부(1403); 및 몸체부(1403)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에 혀 크리너(1405)가 형성된 손잡이부(140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혀 크리너(1405)는 'T' 형상 또는 'O'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혀 크리너(1405) 단부에는 횡으로 일정높이 돌출된 긁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케이스(1401)를 사용하게 되면, 치실 공급용 스틱(105, 2105), 치실 회수용 스틱(109, 2109, 3109) 그리고 노출된 치실(103)을 동시에 위생적으로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립적으로 혀 크리너(1405)를 사용할 수도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구강관리가 가능해진다.
이하,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를 나타낸 일부 분해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이 가능한 치실 회수용 스틱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치간 세정기의 보관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치간 세정기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정기와 마찬가지로 회수용 치실(즉, 사용된 치실)이 치실 회수용 스틱의 내부에 보관되지 않고 제거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정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된 치실 공급용 스틱(105) 또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치간 세정기에 적용된 치실 공급용 스틱(2105)과, 새로운 구조의 치실 회수용 스틱(4109)을 포함한다.
치실 회수용 스틱(4109)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는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4115)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4117)를 포함한다.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4115)의 하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이뤄져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4115)가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4117)와 결합시 그 내부에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4117)의 일부가 위치한다.
치실(4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은 일례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4115)에 형성된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4905) 및 절개부(4119)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4905)에 치실을 1회 내지 2회 감은 후 치실의 일부를 절개부(41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4117)를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4115)에 결합하면 치실(4103)이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치간 세정기는 사용하지 않을 때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4115)를 치실 공급용 스틱(105, 2105)에 조립하고,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4115)에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4117)를 조립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치실 공급용 스틱(105, 2105)의 외면에는 회수용 치실(즉, 사용된 치실)을 절단하는 커팅부(110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양손으로 치실 공급용 스틱과 치실 회수용 스틱을 잡고 치실을 사용할 수 있어서 위생적이고, 종래 Y자형 치실 홀더와 달리 치실의 길이 및 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의 감각을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치실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치실 공급용 스틱 내에 보관된 치실 뭉치로부터 지속적으로 깨끗한 치실이 공급되고, 사용된 치실은 치실 회수용 스틱 내에 보관되거나 외부로 배출된 후 폐기되므로, 종래 매번 치실을 잘라서 손가락에 감아 사용하거나 별도의 치실 홀더에 감아 사용한 후 잘라서 폐기해야 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치실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치실 공급용 스틱 또는 치실 회수용 스틱에 별도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납공간에 치간 칫솔, 구강 청결 스프레이, 진동 유닛 등이 수납됨으로써, 치위생 용품을 함께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101: 치실 배출용 개구
103: 치실 105: 치실 공급용 스틱
107: 치실 인입용 개구 109: 치실 회수용 스틱
111: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 113: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
115: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 117: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
201: 치실 공급측 내부기둥 203: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
205: 치간 칫솔 301: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
303: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 305: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
307: 수납공간 501: 몸체부
503: 치실 통로홈 601: 돌출부위
603: 홈 801: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
803: 줄감개 노브 805: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
807: 치실 유도홈 901: 회수용 치실 보관 공간
903: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 905: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
1101: 커팅부 1201: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
1301: 수납공간 1401: 보관 케이스
1403: 몸체부 1405: 혀 크리너
1501: 진동 유닛 1503: 홈
1601: 치간 칫솔 1701: 구강스프레이

Claims (20)

  1. 치실 배출용 개구, 내부에 치실이 보관되는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 및 치실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치실 공급용 스틱; 및
    상기 치실 공급용 스틱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치실 회수용 스틱
    을 포함하며,
    상기 치실 공급용 스틱의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과 상기 치실 회수용 스틱의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에 치실을 고정하고,
    사용이 완료된 치실을 상기 치실 회수용 스틱의 내부에 보관하거나, 상기 치실 회수용 스틱의 외부에서 제거하며,
    상기 치실 공급용 스틱은,
    치실 배출용 개구가 형성된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 및
    상기 공급용 치실 보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부, 및 상기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 안으로 인입되는 치실 공급측 내부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와 서로 결합 또는 해제되는 치실 공급측 하부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 치실 고정수단은,
    상기 치실 공급측 상부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 및
    상기 치실 공급측 내부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와 상기 제1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9.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회수용 스틱은,
    치실 인입용 개구가 형성된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 및
    상기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 안으로 인입되며 상기 치실 인입용 개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치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와 서로 결합 또는 해제되는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용 치실 고정수단은,
    상기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 및
    상기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와 상기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12. 제9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상기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와 상기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회수된 치실을 상기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으로 유도하기 위한 치실 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회수용 스틱은,
    상기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의 하단과 결합되는 줄감개 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14.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회수용 스틱은,
    치실 구멍 및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를 구비하는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
    상기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이 결합되는 홈을 구비하는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 및
    상기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을 수용하며, 상기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에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와 결합되는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 또는 상기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치실을 절단하는 커팅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15.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회수용 스틱은,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를 구비하는 치실 회수측 내부기둥을 구비한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 및
    상기 제2 내부기둥 치실 고정부에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와 결합되는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 또는 상기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치실을 절단하는 커팅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16.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회수용 스틱은,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 및 절개부를 구비하는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 및
    상기 절개부에 위치한 치실을 고정하도록 상기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는 상기 치실 공급용 스틱의 치실 배출용 개구를 덮도록 상기 치실 공급용 스틱에 결합되고, 상기 치실 회수측 하부케이스는 상기 제2 상부케이스 치실 고정부를 덮도록 상기 치실 회수측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공급용 스틱의 하부 또는 치실 회수용 스틱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치간 칫솔, 구강스프레이, 진동 유닛 중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을 상기 치실 회수용 스틱의 외부에서 제거하기 위해 상기 치실을 절단하는 커팅부가 상기 치실 회수용 스틱 또는 상기 치실 공급용 스틱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공급용 스틱과 치실 회수용 스틱은 보관 케이스에 탈착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보관 케이스의 손잡이부의 단부에는 혀 크리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KR1020150155077A 2015-02-16 2015-11-05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KR101719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2713A JP2016150246A (ja) 2015-02-16 2015-11-13 両手で使用する歯間洗浄器
US14/942,985 US20160235507A1 (en) 2015-02-16 2015-11-16 Interdental cleaning apparatus using both hands
CN201510802401.3A CN105877860A (zh) 2015-02-16 2015-11-19 双手使用的牙间清洁装置
PCT/KR2016/001069 WO2016133297A1 (ko) 2015-02-16 2016-02-01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609 2015-02-16
KR20150023609 2015-02-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833A Division KR101760437B1 (ko) 2015-02-16 2016-12-12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805A KR20160100805A (ko) 2016-08-24
KR101719357B1 true KR101719357B1 (ko) 2017-03-24

Family

ID=568842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077A KR101719357B1 (ko) 2015-02-16 2015-11-05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KR1020160168833A KR101760437B1 (ko) 2015-02-16 2016-12-12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833A KR101760437B1 (ko) 2015-02-16 2016-12-12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719357B1 (ko)
CN (1) CN1058778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46U (ko) 2020-01-08 2021-07-16 펭 리 치실 스틱
KR20230010343A (ko) 2021-07-12 2023-01-19 이철재 치간 세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2527A (zh) * 2018-04-28 2018-09-18 郗瑛琦 一种水牙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232Y1 (ko) 2004-01-14 2004-04-29 김중한 치실홀더
US20140261511A1 (en) 2013-03-15 2014-09-18 Ash Nibbe Dental flos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5178A (en) * 1974-09-03 1975-10-28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Dental floss applicator
US5199452A (en) * 1992-06-19 1993-04-06 Cheng Peter S C Dental flossing arrangement and method
CN1053565C (zh) * 1994-08-03 2000-06-21 沈仲山 牙线体的夹持收容装置
JP3158023B2 (ja) 1995-10-03 2001-04-23 フオスター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用エッジの製造方法
CA2237024C (en) * 1998-06-12 2000-10-17 D. Lloyd Flanagan Active dental floss container
DE19840773A1 (de) 1998-09-07 2000-03-09 Jost Brinkmann Paul Georg Zahnreinigungsgerät
JP2002159342A (ja) * 2000-11-28 2002-06-04 The Pasta & Oven Kk 舌苔クリーナー付き歯ブラシ
KR200296403Y1 (ko) * 2002-06-14 2002-11-23 한상기 세정액 및 소독액이 구비된 치간칫솔
CN100525728C (zh) * 2004-09-14 2009-08-12 沈仲山 牙线器的牙线撑开装置
CN1939236A (zh) * 2005-09-28 2007-04-04 沈仲山 牙线供给器
CN201073352Y (zh) * 2007-08-17 2008-06-18 舒美实业(深圳)有限公司 牙线盒
JP4808791B2 (ja) * 2009-02-05 2011-11-02 沈 仲山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
CN101653385A (zh) * 2009-04-28 2010-02-24 舒美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带齿间刷组件的牙线盒
US8146608B2 (en) * 2009-12-29 2012-04-03 Kin Denfra Co., Ltd. Dental floss holding structure
WO2011092707A1 (en) * 2010-01-31 2011-08-04 Ipu Industries Ltd. A spooled guidewire deployment device, a method for guiding the same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R2969940A1 (fr) * 2011-01-04 2012-07-06 Air Liquide Welding France Fut pour bobine de fil de soud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232Y1 (ko) 2004-01-14 2004-04-29 김중한 치실홀더
US20140261511A1 (en) 2013-03-15 2014-09-18 Ash Nibbe Dental floss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46U (ko) 2020-01-08 2021-07-16 펭 리 치실 스틱
KR20230010343A (ko) 2021-07-12 2023-01-19 이철재 치간 세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805A (ko) 2016-08-24
KR101760437B1 (ko) 2017-07-21
KR20160147241A (ko) 2016-12-22
CN105877860A (zh)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971B2 (en) Dental imple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760437B1 (ko)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WO2008094386A1 (en) Toothpick device
KR101462916B1 (ko) 치실 홀더
JP2016150246A (ja) 両手で使用する歯間洗浄器
US10143297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US8424544B2 (en) Toothpick with floss
RU24629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гиены полости рта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хранения зубной нити
US10993791B2 (en) Floss feeder
KR101284256B1 (ko) 절단 부재가 구성된 인출용 치간 칫솔
KR101813975B1 (ko) 양손으로 이용 가능한 치간 세정기
US20090049628A1 (en) Tooth brush
US20060260636A1 (en) Oral hygiene apparatus (floss)
KR101215579B1 (ko)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KR102458692B1 (ko) 구강위생용품이 구비된 휴대용 칫솔
WO2023021314A1 (en) Floss retainer for preventing hand contact with the floss
KR101369141B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KR101020097B1 (ko)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KR100986796B1 (ko) 치아 클리너
JP3226939U (ja) 転倒防止口腔洗浄器の交換構造(1)
RU75279U1 (ru) Зубная щетка (варианты)
KR101515160B1 (ko) 치실에 손대지 않고 사용하는 멀티 패키지
KR101249409B1 (ko)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KR100935076B1 (ko) 치간 청소구 및 치간 청소구 수용용기
KR20240022368A (ko) 치실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