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409B1 -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409B1
KR101249409B1 KR1020130020922A KR20130020922A KR101249409B1 KR 101249409 B1 KR101249409 B1 KR 101249409B1 KR 1020130020922 A KR1020130020922 A KR 1020130020922A KR 20130020922 A KR20130020922 A KR 20130020922A KR 101249409 B1 KR101249409 B1 KR 101249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interdental
chuck
detachable
toothbrus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034A (ko
Inventor
양민우
Original Assignee
양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민우 filed Critical 양민우
Priority to KR102013002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4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46B15/0071Toothbrushes with flos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61C15/048Flossing tools with heads removable from handle, e.g. interchangeable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원의 치간치솔은 구강 위생용품의 하나로 치간 쐐기 또는 프록사브러시(Proxabrush)라고도 한다. 이 사이가 벌어졌거나 구강 내에 복잡한 보철물 또는 교정장치가 있을 경우에 사용한다. 일자형 손잡이 끝 부분에 붙은 작은 솔을 이 사이에 직각으로 넣고 앞뒤로 움직여 닦게 된다.
치아 교정용 철사 아랫부분이나 교정장치 사이사이를 세밀하게 닦기에 좋다. 치과의사나 치위생사로부터 올바른 사용법을 배워야 하고 사용 부위도 특수한 부위로 한정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치간 칫솔과 몸체를 포함하는 치간치솔에 관한 것으로서,
칫솔체를 탈부착하는 내부 탈부착 부에 칫솔체를 착탈하여 치아 청소시 편리하게 사용하며 사용 후에 이를 손쉽게 분리하여 항상 새로운 칫솔체를 사용함으로 위생성과 편리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Removable interdental brush}
본 발명은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치간 칫솔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에 약 1mm 내외 정도의 직경을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와이어를 가늘게 꼬아진 형태의 칫솔모가 부착되어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제품에 따라서 상기 칫솔모가 직각형태로 구부러진 것도 있다.
이와 같은 치간 칫솔은 이와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특히 치열 교정치료를 받기 위해 복잡한 교정장치를 치아에 붙이고 있는 사람의 경우 매일 사용해야 하는 필수품이다.
이와 같이, 치간 칫솔은 구강위생을 철저히 관리하여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칫솔과 치약으로 이를 닦는 것 외에도 보조적으로 여러 가지 구강 위생용품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한편, 우리가 흔히 식후에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쑤시개는 쓰면 쓸수록 치아 사이를 점차 벌려놓을 뿐만 아니라, 잇몸을 찌르거나 잇몸 사이에 이쑤시개의 작은 조각을 남겨놓아 오히려 잇몸에 해를 끼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치과 의사들은 치간 칫솔 등과 같은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치아에 사용하였던 오염된 칫솔체를 뻬내어 폐기함으로 종래 재사용 칫솔체에 비하여 감염방지와 청결함이 유지되며 사용이 매우 편리한 칫솔모가 착탈 되는 치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치간 칫솔은 가정이나 회사 등과 같이 일정한 장소에 보관하여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외출이나 외식 외부 출장시에는 이를 휴대 하여야하며 치간 칫솔을 휴대할 경우에 마땅한 기구가 없어 치간 칫솔만을 가방 또는 주머니에 대충 넣고 다닐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치간 칫솔은 분실의 위험이 크고, 휴대가 불편하였으며, 특히 치간 칫솔을 임시로 비닐봉지에 넣고 다닌다거나, 적당한 크기의 케이스에 넣고 다니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럴 경우 치아를 청소하는 부분인 치간 칫솔의 솔 부분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낄 확률이 매우 높고, 심할 경우 곰팡이가 번식하게 되며 재사용시에는 오히려 감염에 의한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비위생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간 칫솔은 끝단이 매우 첨예(尖銳)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찔려서 상해를 입는 창상(創傷)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으며, 휴대과정에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치간 칫솔의 와이어가 휘거나 부러지는 등 보관상의 불편함과 무엇보다 재사용시에 악취와 구강 감염에 대한 불안성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치간 칫솔은 일반칫솔에 닿기 어려워 쉽게 제거하지 못하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인 음식물 찌꺼기, 또는 치석 세균성 피막인 플라그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이와 잇몸을 부드럽게 닦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의 끝 부분에서 뻗어 나온 통상 2줄의 금속 등의 와이어를 꼬아서 하거나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와이어에 치간 칫솔모를 사방으로 촘촘히 부착하여 형성한 것으로, 사용자가 치간 칫솔 몸체를 손가락으로 잡고 치간 칫솔모 부분을 치아 사이에 집어넣고 반복 운동으로 치아와 잇몸을 청결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치간 칫솔의 와이어가 손잡이에서 쉽게 탈부착 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칫솔모를 재사용을 하지않아 감염방지와 청결함이 향상되는 탈부착이 되는 치간 칫솔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치간 칫솔과 몸체를 포함하는 치간치솔에 관한 것으로서,
칫솔체를 탈부착하는 내부 탈부착 부에 칫솔체를 착탈하여 치아 청소시 편리하게 사용하며 사용 후에 이를 손쉽게 분리하여 항상 새로운 칫솔체를 사용함으로 위생성과 편리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은 외출, 출장시 또는 장기 여행할 경우에 사용부에 다량의 치간 칫솔을 넣고 다니기 때문에 부피가 감소하고 종래에서처럼 별도의 칫솔 손잡이가 없어도 되므로 손잡이 제작시 들어가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사용시 상기 칫솔체가 손상이 새로운 치솔체를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뛰어나고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구 일측에 개구부를 폐쇄하는 안전 뚜껑이 구성되어 기구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치간 칫솔이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구강 위생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간 칫솔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치간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척형 치간치솔 장치의 분해 사시 도이다.
도 4는 칫솔모가 착탈 되는 치간 칫솔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척형 치간치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칫솔모가 착탈 되는 치간 칫솔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척형 치간치솔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 도이다.
도 6은 칫솔모가 착탈 되는 치간 칫솔의 일실시 예에 의한 나사형 치간치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칫솔모가 착탈 되는 치간 칫솔의 일실시 예에 의한 끼움식 치간치솔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치석 및 음식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치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및 구강을 세척할 때에는 양치질이나 가글을 통해 입안의 청결을 유지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칫솔로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어있는 치석 및 음식찌꺼기 등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길고 가는 치간 칫솔을 사용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치간치솔은 몸체와 치간 칫솔이 직렬로 배열되는 직렬식 치간치솔과, 몸체와 치간 칫솔이 ㄱ자(기역) 형상으로 꺾여있는 교차식 치간치솔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치간치솔은 손잡이가 크기가 매우 짧아서 사용자가 파지하고 사용하는데 불편하며, 치간 칫솔의 크기가 작아서 따로 분리하여 지니게 되면 분실하거나 재사용시에 염증이 있는 치아나 이사이에 낀 부패한 음식물 등으로 인하여 구강감염이나 치주질환에 걸릴 우려가 크다는 취약한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고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복잡하게 하거나 불필요하게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간략하게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원의 제조방식은 통상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 내시 된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종래의 치간 칫솔을 나타낸 사진으로 치간 칫솔을 이용하여 구강을 세척하는 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치간 칫솔을 나타낸 사시로도서 이를 청소하는 칫솔모와 이를 지지하는 칫솔모 와이어 손잡이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척형 치간치솔 장치의 분해 사시 도로서 상기 칫솔모는 자연모 또는 인공모가 식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치아를 청소하는 치간 칫솔모(20)와 칫솔모 와이어(40)로 이루어진 칫솔체(이하 칫솔체); 손잡이가 구성되며 중공체이며 손잡이(60)와 이와 끼움식 또는 나사 식으로 분해 결합하는 손잡이 뚜껑(80)과; 상기 치간 칫솔체를 고정 및 해체하는 역할을 하는 척부(10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60) 내부의 치간 칫솔 칫솔체 탈부착 척부홈(120)은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다수의 칫솔체가 착탈되며;
상기 노부(Knob)를 통해 치간 칫솔 탈부착하는 노부(220)의 조작에 의해 치간 칫솔의 와이어(40)가 상기 탈부착 척부 홈(120)의 선단으로부터 치간 칫솔체 착탈 작동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치간 칫솔의 와이어(40)가 착탈된 상태에서 상기 노부(220)를 통해 치간 칫솔체 탈부착하는 노부(220)를 누르면 척부(100)에 원추형의 협지링 관(140)이 해제되면서 상기 치간 칫솔모를 일정 피치만큼 탈부착하는 치간 칫솔모 탈부착작동이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간 칫솔의 와이어(40)가 착탈된 상태에서 상기 노부(220)를 통해 상기 치간 칫솔 탈부착 척부홈(120)를 다시 길게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기 치간 칫솔의 와이어가 척부(80) 내부로 삽입되는 치간 칫솔체 고정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뚜껑(80)에는 상기 칫솔체 또는 척부(100)를 보호하는 안전 뚜껑(320)이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 뚜껑(80)과 상기 안전 뚜껑(320)의 결합은 나사 산 또는 단 턱으로 상호 결합하며 분실방지를 위하여 끈 또는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앞 선단의 내면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가이드 라인 부(26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라인부(260) 사이의 간격은 순차적으로 차단된 구조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60)와 연결되는 손잡이 뚜껑(80)과,
상기 손잡이(60)내에서 누름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치간 칫솔 탈부착 척부 홈(120)의 후방에 장착된 노부(220)와 노부 뚜껑(240)과 상기 치간 칫솔 탈부착 척부 홈(120)의 앞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치간 칫솔 탈부착부 내부의 척형 또는 원통형 관과 함께 작동되며, 중간에 그 둘레를 따라 척부(100)가 형성된 손잡이 내부와, 상기 손잡이(60) 내에서 치간 칫솔 탈부착 척부홈(120)에 대해 후방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 부(16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 내부에는 치간 칫솔모(20)를 고정 및 해체하는 역할을 하는 척부(100)에서 척(Chuck)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척은 선반이나 공작기계의 하나인 선반의 주축(主軸) 끝에 장치하여 공작물을 유지하는 부속장치이다.
분류로는 보통척, 에어척, 콜릿 척(Collet chuck)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척은 3개 또는 4개의 클로(Claw)가 있으며, 그 하나 하나를 핸들로 움직여 가공품을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척은 통상 3 개의 클로가 연동(連動)하여 동시에 움직이는 연동척은 가공품을 물리는 데 시간이 걸리지 않으므로, 다량생산 때 사용하면 능률적이다.
이 밖에 자석의 작용으로 설치하는 마그네틱 척도 있으며 본원에서 상기 칫솔모 와이어(40)를 착탈시키는 역활을 하거나 고정 또는 해체하는 아주 중요한 역활을 하며 상기 척부(100)의 작동은 사용자가 노부(220)나 노부 뚜껑(240)을 조작함으로써
협지링 관(140)이 상하연동을 하며 하측으로 내려갈 때는 상기 척부가 다물어지고 상측으로 올라갈 때는 상기 척부(100)가 열리게 되며 복원을 위해서는 스프링 부(160)가 설치되고 상기 척부(100)와 협지링 관(140) 부분에는 이와 연통 되며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는 압박 요홈(180)과 걸림돌 부(200)가 바람직한 위치에 구성 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칫솔모 와이어(40)는 싱기 척부(100)가 결합하는 중앙부의 칫솔체 탈부착 척부 홈(120)에 탈부착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60)부에는 이와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부(260)가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60) 내부에 척부(100),노부(220)와 연결된 치간 칫솔 칫솔체 탈부착 척부홈(120)은 척형 또는 원통형으로 내부가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내부에 상기 칫솔모를 수용하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노부(220) 또는 노부 뚜껑(240)을 조작하여서 상기 칫솔모를 탈부착하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는 착탈된 칫솔모를 이용하여 치아 세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칫솔모의 착탈길이는 자신의 치아 사이즈와 상태 등에 비례하여 착탈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 뚜껑(80)에는 칫솔 안전 뚜껑(320)이 끼워지는데 이는 칫솔모의 오염 방지나 상기 칫솔모를 상기 척부(100)내에 넣지 않을 경우에 사용되며 상기 손잡이 뚜껑(80)과 나사 산 또는 단 턱으로 상호 결합하며 분실방지를 위하여 끈이나 고정부재 또는 제조시 하나의 사출 물로 제조되어 연결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는 칫솔모가 착탈 되는 치간 칫솔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척형 치간치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로서 본원의 필수 구성 요소인 치간 칫솔모(20)와 상기 칫솔모를 고정하고 치아 사이에 인입되는 칫솔모 와이어(40)와 상기 칫솔모를 저장하거나 사용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60)와 이와 끼움식 또는 나사 식으로 착 탈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60) 내부에는 치간 칫솔모(20)를 고정 및 해체하는 역활을 하는 척부(100)와 상기 척부(100)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원추형의 협지링 관(140)과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160)가 설치되고 상기 척부(100)와 협지링 관(140) 부분에는 이와 연통 되며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는 압박 요홈(180)이 구성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칫솔모를 살펴보면 위 도면과 상이한 칫솔모를 볼 수 있는데 본원에 사용되는 칫솔체는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첫 번째는 상기 칫솔모 와이어 전체에 빈틈없이 빽빽하게 치간 칫솔모(20)를 식립 한 것과 또 하나는 상기 칫솔모 와이어(40)의 일정간격만큼 상기 칫솔모가 식립 되지 않는 와이어만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칫솔모가 탄성이 있어서 문제가 없겠지만 혹시 라도 상기 척부(100)에 상기 칫솔모가 눌리게 되면 모가 손상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며 본원에 바람직하게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60) 부에는 이와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부(260)가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 내부에 척부(100),노부(220)와 연결된 치간 칫솔 탈부착 척부홈(120)은 척형이나 또는 원통형으로 내부가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내부에 상기 칫솔모를 탈부착하는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 뚜껑(80)에는 치아 안전 뚜껑(320)이 끼워지는데 이는 상기 칫솔모를 상기 척부(100)내에 넣지않을 경우에 사용되며 상기 손잡이 뚜껑(80)과 나사 산 또는 단 턱으로 상호 결합하며 분실방지를 위하여 끈이나 손잡이 뚜껑과 동일한 소재로 사출되거나 별도의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 손잡이부에는 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주머니 걸이(28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칫솔모가 착탈 되는 치간 칫솔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척형 치간치솔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치간 칫솔 탈부착 척부 홈(120)의 하단공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돌 부(200)에 와이어 탈부착 척부홈 (120)과 협지링 관(140)이 구성된다.
또한, 원통 형태의 관이 구성되며 상주연에 형성된 플랜지(Flange)가 걸리게 하고
그 중심선 상의 와이어 탈부착 척부 홈 (120)에는 스프링 부(160)가 개입된 통상의 원추형 척부(100)(Chuck)를 삽입하고 상기 스프링 부(160)는 압박 요홈(180)에 의하여 탄성을 갖으며 상단부에 칫솔체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칫솔체 탈부착하는 척부(100)와 연통된 내부 중심공간에는 탄성의 협지링 관(140)이 내장된 금속성 팁(tip)을 유삽(遊揷)하되, 상기 칫솔체 탈부착하는 관 밑으로 튀어나온 상기 척부홈 (120) 하단면에 접(接)하도록 한 상단 플랜지
(Flange)가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 부(200)에서도 걸리게 하고 상기 칫솔체의 상단에 삽입 고정된 관은 손잡이(60) 상부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손잡이의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실제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결합 홈으로부터 몸체의 하단까지를 가리킨다. 손잡이부의 표면은 미끄러짐 방지가 가능하고, 파지하기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척부(100)에는 칫솔체 탈부착 척부 홈(120)이 치간 칫솔결합부인 척부(100) 결합 홈인 칫솔체 탈부착 척부 홈(120)에 형성되어 있고,
치간 칫솔 탈부착 요홈(280)에는 상기 칫솔 손잡이 말단의 요홈에 탈부착 되는 칫솔체는 끼움식, 나사식, 자석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돌 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은 치간치솔의 치간 칫솔 탈부착 척부홈(120)에 있는
걸림 돌부(200)와 치간치솔의 결합 홈이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치간 칫솔모 와이어를 물려주거나 밑으로 탈부착하게 하는 척부(100)가 협지링 관(140)의 내부에 삽입되면 오므려지면서 상기 칫솔모 와이어(40)가 고정되고, 척부(100)와 연결된 협지링 관(140) 하부로 착탈되면 펼쳐지면서 칫솔모 와이어(40)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협지링 관(140)은 통상적으로 손잡이 뚜껑(80)의 내부 상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며 노부를 눌러주면 협지링 관(140)은 직경이 작은 공간부의 상부 주연부에 걸려지고 척부(100)는 공간부로 진입되면서 벌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는 치간 칫솔모(20)가 삽입되어 있고, 치간 칫솔모(20)에는 치간 칫솔모가 삽입 관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치간 칫솔모(20)의 상부에는 결합관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 관은 치간 칫솔모(2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치간 칫솔모(20)는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 뚜껑(80)의 칫솔체 탈부착 척부 홈(120)을 통해 착탈되고, 직경이 칫솔체 탈부착 척부 홈(120)보다 큰 결합관은 출입공인 칫솔체 탈부착 척부 홈(120)의 주연부에 걸려져 공간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치간 칫솔모(20) 칫솔체 탈부착 척부 홈(120) 하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치간 칫솔모(20)가 손잡이 뚜껑(80)으로부터 착탈된 상태에서 노부(220)를 짧게 눌러주면 도 3~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치간 칫솔모(20)를 고정한 척부(100)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치간 칫솔모(20)를 통해 짧게 착탈 됨과 동시에 척부(100)가 협지링 관(140)을 벗어나 공간부 상부에 위치되면 척부(100)를 구성하는 분할 편들이 점차 벌어지면서 상기 치간 칫솔모(20)를 고정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어 직선형 치간 칫솔모(20)의 착탈이 정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노부(220)를 놓아주면 스프링 부(16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승되어 다시 협지링 관(1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치간 칫솔모(20)를 고정하는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노부(220)를 눌러주면 치간 칫솔모(20)가 짧은 피치로 착탈되게 된며 이때에는 탈부착이 되는 치간 칫솔모가 구강청소를 위하여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척부(100)가 상승되면 결합 관이 일체로 형성된 치간 칫솔모(20)와 치간 칫솔모(20)가 척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매우 안전하게 치간 칫솔을 보관할 수 있으며 이때, 치간 칫솔모(20)는 협지링 관(140)에 삽입되어 오므려진
척부(100)에 고정된 상태이고 치간 칫솔모(20)는 협지링 관(140)에 의하여 치간 칫솔모(20)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사용시 칫솔체가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노부(220)를 짧게 눌러주면 척부(100)의 치간 칫솔모(20)가 함께 고정된 상태에서 하강하다가 척부(100)가 협지링 관(140)을 벗어나 상기 공간부 상부에 위치되면 척부(100)를 구성하는 분할 편들이 벌어지면서 치간 칫솔모(20)를 고정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므로 협지링 관(140)에 의하여 함께 고정되어 있는 치간 칫솔체는 칫솔체 탈부착 척부 홈(120)을 통해 탈착 된다.
이후, 노부(220)를 놓아주면 스프링 부(160)의 복원력에 의하여 척부(100)가
다시 협지링 관(1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오므려 지면서 치간 칫솔모(20)를 고정하고 손잡이 뚜껑(80)의 하부로 착탈된 치간 칫솔모(20)는 치간 칫솔모(20)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치간 칫솔모(20)가 손잡이 뚜껑(80)의 하부로 착탈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자신이 원하는 길이만큼 치간 칫솔모를 사용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구강 청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에 사용되는 칫솔체는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첫 번째는 상기 칫솔모 와이어 전체에 빠짐없이 빽빽하게 치간 칫솔모(20)를 식립한 것과 또 하나는 상기 칫솔모 와이어(40)의 일정 간격만큼 상기 칫솔모가 식립 되지않는 와이어부만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칫솔모가 탄성이 있어서 문제가 없겠지만 혹이라도 상기 척부(100)에 상기 칫솔모가 눌리면 모가 손상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며 본원에 바람직하게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척부(10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치간 칫솔모는 직선형 칫솔모, 직각형 칫솔모, 치실이 구성된 치실 고정부재 등을 바람직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칫솔모가 착탈 되는 치간 칫솔의 일실시 예에 의한 나사형 치간치솔 장치의 사시도로서 상기 칫솔체를 칫솔체 손잡이(60)에 나사에 의하여 탈부착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공간에는 상기 칫솔체를 여러 개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칫솔모가 착탈 되는 치간 칫솔의 일실시 예에 의한 끼움식 치간치솔 장치의 사시도로서 상기 칫솔체를 칫솔체 손잡이(60)에 끼움 식으로 탈부착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치실 또한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원은 치아를 청소하는 칫솔체가 칫솔체 손잡이 말단부에 구성된 척부(100) 또는 치간 칫솔 탈부착 요홈(280)에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칫솔체를 고정 및 해체하는 역활을 하는 척부(100)와;
상기 척부(100)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원추형의 협지링 관(140)과;
상기 치간 칫솔 탈부착 부에 대해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 부(160)와;
상기 스프링 부(160)를 압박하는 압박 요홈(180) 및 걸림돌부(200)와;
상기 칫솔 손잡이부 내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손잡이와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부(260)와;
상기 칫솔체를 탈부착하는 치간 칫솔 탈부착 부와 상기 척부와 협지링 관(140)이 작동하는 노부(220) 및 노부 뚜껑(240)이 구성되며 상기 치간 칫솔체를 탈부착하는 척부에 칫솔체를 착탈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칫솔 손잡이 말단에는 치간 칫솔 탈부착 요홈(280)이 형성되어 여기에 상기 칫솔체가 결합 및 해체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칫솔 손잡이 말단의 치간 칫솔 탈부착 요홈(280)에 탈부착 되는 칫솔체는 끼움식, 나사식, 자석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칫솔 손잡이 몸체 말단부에 설치된 노부 및 노부 뚜껑을 작동케 하면 이와 연통 된 척부(100)및 협지링 관(140)이 동작하며 상기 척부(100)의 중심부의 칫솔체 탈부착 척부 홈(120)을 통하여 상기 칫솔체가 탈부착 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모 와이어(40) 말단부는 척부(100) 또는 치간 칫솔 탈부착 요홈(280)에 삽입이 용이하게 칫솔체 와이어 말단부의 일정간격은 칫솔모가 식립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60) 내부에는 칫솔체 또는 치실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구성되어
여분의 칫솔체를 수용되며 척부(100) 또는 치간 칫솔 탈부착 요홈(280)과 결합하거나 이를 덮어주는 안전뚜껑(3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가 착탈 되는 치간 칫솔인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변형 및 변경은 특히 청구의 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예의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실시 예의 측면들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하며 당업자는 상기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해석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본원 발명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짐이 바람직하고;
발명의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판단되어야만
하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0: 치간 칫솔모 40: 칫솔모 와이어
60: 손잡이 80: 손잡이 뚜껑
100: 척부 120: 칫솔체 탈부착 척부 홈
140: 협지링 관 160: 스프링 부
180: 압박 요홈 200: 걸림돌부
220: 노부 240: 노부 뚜껑
260: 가이드 라인부 280: 치간 칫솔 탈부착 요홈
300: 칫솔체 결합부 320: 안전 뚜껑

Claims (3)

  1. 치아를 청소하는 치간 칫솔에 있어서
    치아를 청소하는 치간 칫솔체는 칫솔체 손잡이 말단부에 구성된 척부 또는 치간 칫솔 탈부착 요홈에 의하여 결합 또는 분리되되;
    상기 칫솔체를 고정 및 해체하는 역활을 하는 척부와;
    상기 척부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원추형의 협지링 관과;
    치간 칫솔 탈부착 요홈에 대해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 부와;
    상기 스프링 부를 압박하는 압박 요홈 및 걸림 돌부와;
    상기 칫솔체를 파지하는 칫솔 손잡이 내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손잡이와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부와;
    상기 칫솔체를 탈부착하는 치간 칫솔 탈부착 부와 상기 척부와 협지링 관이 작동하는 노부 및 노부 뚜껑이 구성되어 상기 칫솔체를 탈 부착하는 척부에 칫솔체를 착탈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2. 청구항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체 손잡이 말단부에는 칫솔체가 탈 부착되는 칫솔 탈부착 요홈이 형성되며 여기에 상기 칫솔체가 결합 및 분리되되; 상기 칫솔 탈부착 요홈에 탈부착 되는 칫솔체는 끼움식, 나사식, 자석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수단으로 상기 칫솔체가 치간 칫솔 몸체에서 고정 및 분리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체의 손잡이부에 설치된 노부 및 노부 뚜껑을 작동케 하면 이와 연통 된 척부및 협지링 관이 동작하며 상기 척부의 중심부의 칫솔체 탈부착 척부 홈을 통하여 상기 칫솔체가 탈부착 되되; 상기 칫솔체 손잡이의 내부에는 칫솔체 또는 치실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구성되어 여분의 칫솔체 또는 치실이 수용되며;
    상기 칫솔체 손잡이 말단부에는 척부 또는 치간 칫솔 탈부착 요홈을 덮어주는 안전뚜껑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칫솔모가 착탈 되는 치간 칫솔.
KR1020130020922A 2013-02-27 2013-02-27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KR101249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22A KR101249409B1 (ko) 2013-02-27 2013-02-27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22A KR101249409B1 (ko) 2013-02-27 2013-02-27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357A Division KR20120089158A (ko) 2011-02-01 2011-02-01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034A KR20130027034A (ko) 2013-03-14
KR101249409B1 true KR101249409B1 (ko) 2013-04-05

Family

ID=4817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922A KR101249409B1 (ko) 2013-02-27 2013-02-27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4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136U (ja) * 1991-10-25 1993-05-21 株式会社広栄社 歯間清掃具
JP3073196U (ja) * 2000-05-11 2000-11-14 許黎泰 交換可能な隙間ブラシの柄の構造
KR20070000569U (ko) * 2007-04-26 2007-05-16 이팔형 치간 칫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136U (ja) * 1991-10-25 1993-05-21 株式会社広栄社 歯間清掃具
JP3073196U (ja) * 2000-05-11 2000-11-14 許黎泰 交換可能な隙間ブラシの柄の構造
KR20070000569U (ko) * 2007-04-26 2007-05-16 이팔형 치간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034A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2234B2 (ja) 使い捨て可能な、歯ブラシとデンタルフロス保持器の組み合わせ体
US5617884A (en) Dental hygiene system with detachable head toothbrush
JP3196714U (ja) 携帯用歯ブラシ
JP3191472U (ja) 機能を向上した楊枝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KR101613786B1 (ko) 세정액의 분사가 가능한 치간 칫솔
KR101284256B1 (ko) 절단 부재가 구성된 인출용 치간 칫솔
KR101249409B1 (ko)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TW200950721A (en) A rechargeable electric toothbrush capable of emitting violet visible light
KR200407689Y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KR101215579B1 (ko)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KR20120089158A (ko) 칫솔모가 착탈되는 치간 칫솔
KR200414641Y1 (ko) 치간칫솔 케이스
US20190216214A1 (en) Toothbrush with pick utensil
JP6744649B1 (ja) 歯磨き用具
US7322367B2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CN111345915A (zh) 能收纳与组装牙间刷的洁牙装置
CN214047908U (zh) 一种小苏打牙刷
CN204273597U (zh) 牙间刷
KR101515160B1 (ko) 치실에 손대지 않고 사용하는 멀티 패키지
Hovliaras et al. Ergonomics and toothbrushes
CN213697286U (zh) 一种带牙签功能的齿间刷
JP3206395U (ja) 口腔内清掃用具
KR20170077675A (ko) 치약튜브 홀딩기능을 갖는 칫솔
KR100970160B1 (ko) 구형 헤드를 갖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