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689Y1 -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 Google Patents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689Y1
KR200407689Y1 KR2020050033140U KR20050033140U KR200407689Y1 KR 200407689 Y1 KR200407689 Y1 KR 200407689Y1 KR 2020050033140 U KR2020050033140 U KR 2020050033140U KR 20050033140 U KR20050033140 U KR 20050033140U KR 200407689 Y1 KR200407689 Y1 KR 200407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interdental
bristle
interdental toothbrush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옥
Original Assignee
정봉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옥 filed Critical 정봉옥
Priority to KR2020050033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6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8Other accessories, e.g. scrapers, rubber buffers for preventing damage to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메인 몸체 일측에 칫솔모를 갖고, 타측에는 치간칫솔모를 갖는 치간칫솔을 다수개 결합하여 칫솔대를 형성함으로써, 칫솔질 후에 칫솔에서 간단하게 치간칫솔을 분리시킨다음, 치간칫솔을 이용해 이와 잇몸에 낀 프라그와 음식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치간칫솔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후에는 삽입홈에 치간칫솔모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위생적으로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시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은, 일측에 칫솔모(12)가 식모된 메인 몸체(10)와, 손으로 잡고 치아를 닦을 수 있도록 칫솔대(20)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메인 몸체(10) 일측에 칫솔모(12)를 갖고, 타측에는 치간칫솔모(32)를 갖는 치간칫솔(30)을 다수개 결합하여 칫솔대(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간칫솔, 칫솔모, 치간칫솔모, 메인 몸체

Description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Toothbrush having a interdental brush}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을 나타내는 다른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몸체 10a : 제 1 삽입홈
12 : 칫솔모 20 : 칫솔대
30 : 치간칫솔 31 : 몸체
31a : 제 2 삽입홈 31b : 결합부
32 : 치간칫솔모 34 : 철심
40 : 마감캡 40a : 결합돌기
본 고안은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메인 몸체 일측에 칫솔모를 갖고, 타측에는 치간칫솔모를 갖는 치간칫솔을 다수개 결합하여 칫솔대를 형성함으로써, 칫솔질 후에 칫솔에서 간단하게 치간칫솔을 분리시킨다음, 치간칫솔을 이용해 이와 잇몸에 낀 프라그와 음식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치간칫솔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후에는 삽입홈에 치간칫솔모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위생적으로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시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간칫솔은 일반칫솔에 닿기 어려워 쉽게 제거하지 못하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인 음식물 찌꺼기, 또는 치석 세균성 피막인 플라그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이와 잇몸을 부드럽게 닦아주기 위한 것으로써, 몸체의 단부에서 뻗어 나온 2줄의 와이어를 꼬아서 형성된 철심에 치간칫솔모를 사방으로 촘촘히 부착하여 형성한 것으로, 사용자가 치간칫솔 몸체를 손가락으로 잡고 치간칫솔모 부분을 치아 사이에 집어 넣고 반복 운동으로 치아와 잇몸을 청결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치간칫솔은 일반인의 이와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특히, 치열 교정치료를 받기 위해 복잡한 교정장치를 치아에 붙이고 있는 사람의 경우 매일 사용해야 할 필수품이다. 이들은 수시로 거울을 보면서 치아와 장치물 사이를 자주 닦아줘야 교정장치를 떼어낸 후 드러나는 치아 표면에 충치의 전단계인 부분적인 탈회 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잇몸 치료를 받았거나 임플란트(인공치아) 시술을 받은 사람들도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치간칫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치간칫솔은 상술했듯이 구강위생을 철저히 관리하여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칫솔과 치약으로 이를 닦는 것 외에도 보조적으로 여러 가지 구강위생용품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한편, 우리가 흔히 식후에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쑤시개는 쓰면 쓸수록 치아 사이를 점차 벌려놓을 뿐만 아니라, 잇몸을 찌르거나 잇몸 사이에 이쑤시개의 작은 조각을 남겨놓아 오히려 잇몸에 해를 끼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치과 의사들은 치간칫솔 등과 같은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치간칫솔은 보통 일반 칫솔과 병행하여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칫솔질 후 치간칫솔을 보관장소에서 꺼내어 사용해야 했기에 사용시 매우 번거로웠고, 별도 보관시 보관 장소가 마땅치 않아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어려웠으며, 일반 칫솔에 비해 크기가 작기 때문에 휴대시 분실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 몸체 일측에 칫솔모를 갖고, 타측에는 치간칫솔모를 갖는 치간칫솔을 다수개 결합하여 칫솔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하며 사용할 수 있는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칫솔모가 식모된 메인 몸체와, 손으로 잡고 치아를 닦을 수 있도록 칫솔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메인 몸체 일측에 칫솔모를 갖고, 타측에는 치간칫솔모를 갖는 치간칫솔을 다수개 결합하여 칫솔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은 일측 상부에 메인 몸체(1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손으로 잡고 이를 닦을 수 있도록 칫솔대(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대(20)는 제 1, 2 삽입홈(10a, 31a)과 결합부(31b)가 형성된 치간칫솔(30)이 다수개가 구비되어 이루진 것으로, 상호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칫솔대(20)가 분리된 메인 몸체(10)에는 칫솔모(32)가 식모된 반대편 끝단에 소정깊이의 제 1삽입홈(10a)이 형성된다.
또한, 치간칫솔(30)은 몸체(31)의 일측단에 제 2삽입홈(31a)이 형성되고, 타측단은 단턱진 형태로 돌출·형성된 결합부(31b)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1b)는 외주면에 치간칫솔모(32)가 식모된 철심(34)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2 삽입홈(10a, 31a)에는 결합부(31b)가 끼워지고, 상기 제 1, 2 삽입홈(10a, 31a)은 치간칫솔모(32)가 보관될 수 있도록 알맞은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말단부에 위치하는 치간칫솔(30)의 제 2 삽입홈(31a)에는 일측에 결합돌기(40a)가 형성되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캡(40)이 결합된다. 이때, 마감캡(40)은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돌기(40a)가 치간칫솔(30) 몸체(31)의 제 2 삽입홈(31a)에 끼워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 치간칫솔(30)은 결합부(31b)의 단부에서 뻗어 나온 2줄의 와이어를 꼬아서 형성된 철심(34)에 치간칫솔모(32)를 사방으로 촘촘히 부착하여 형성한 것이다.
도 5,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로써, 도 5는 일측 상부에 메인 몸체(1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손으로 잡고 이를 닦을 수 있도록 칫솔대(20)가 형성되며, 상기 칫솔대(20)는 삽입홈(31a)과 결합부(31b)가 형성된 치간칫솔(3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호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칫솔대(20)가 분리된 메인 몸체(10)에는 칫솔모(32)가 식모된 반대편 끝단에 소정깊이의 제 1삽입홈(31a)이 형성된다.
또한, 치간칫솔(30)은 몸체(31)의 일측단에 제 2삽입홈(31a)이 형성되고, 타측단은 단턱진 형태로 돌출·형성된 결합부(31b)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1b)는 외주면에 치간칫솔모(32)가 식모된 철심(34)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칫솔에 두개의 치간칫솔(30)이 구비된 것이고, 도 6은 칫솔에 하나의 치간칫솔(3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는 칫솔에 치간칫솔(30)이 한개, 두개, 세개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세개 이상의 치간칫솔(30)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칫솔의 일측에 간단한 방법으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치간칫솔(30)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치간칫솔(30)은 작은 모양의 시험관을 닦는 솔처럼 생겨서, 치아와 치아 사이를 수시로 닦을 수 있게 고안된 구강위생용품으로써, 식후에 양치질 외에도 치간칫솔(30)을 치아 사이에 대고 밖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었다가 빼는 방법으로 치간사이를 깨끗이 닦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을 이용하여 식사후 치아를 청결히 하고, 입냄새 예방을 위해서 이를 닦게 된다.
이렇게 이를 닦고 난 다음, 메인 몸체(10)의 제 1삽입홈(10a)이나 제 2 삽입홈(31a)에 결합된 치간칫솔(30)중 하나를 선택하여 빼낸 후, 상기 치간칫솔(30)의 몸체(31)를 잡고 치아와 치아 사이에 칫솔모(32)를 대고 반복운동하여 닦음으로써, 치아와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와 치면에 붙은 세균막들을 좀 더 깨끗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치간칫솔(30)을 이용해 치간을 닦은 다음, 칫솔에 치간칫솔(3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빼어낸 것과 반대로 제 2 삽입홈(31a)에 치간칫솔(30)의 결합부(31b)를 끼워넣으면 되는 것으로, 결합과 분리가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져 사 용자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치간칫솔(3)에는 제 2 삽입홈(31a)과 결합부(31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칫솔에 다수개의 치간칫솔(30)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치간칫솔(30)은 사용후, 제 2 삽입홈(31a)에 끼워져 있으므로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고, 휴대시 분실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칫솔에 치간칫솔(30)이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 중에 하나를 계속 사용하다 치간칫솔모(32)가 닳게 될 경우 폐기한 후 다른 것을 사용하면 되고, 또한 제 1, 2 삽입홈(10a, 31a)은 결합부(31b)가 끼워지고 치간칫솔모(32)가 보관될 수 있도록 알맞은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2삽입홈(10a, 31a)에 치간칫솔모(32)가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으므로 여러사람이 자기 것을 정해 놓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말단부에 위치하는 치간칫솔(30)의 제 2 삽입홈(31a)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캡(40)의 결합돌기(40a)가 결합되는 것으로, 치간칫솔(30)의 제 2 삽입홈(31a)을 마감하는 마감재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제 2 삽입홈(31a)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은 다양한 실시예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5,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칫솔에 두개의 치간칫솔(30)을 구비하거나, 또는 하나의 치간칫솔(30)을 구비함으로써, 소비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게 구입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소비자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넓게 하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제품 제조 회사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칫솔대(20)를 구성하는 치간칫솔(30) 몸체(31)의 형상모양은 반드시 원형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사각형, 타원형, 삼각형 등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치간칫솔(30)과 치간칫솔(30)을 연결시, 끼움방식이 아닌 나사결합 방식으로 칫솔대(2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사용시 칫솔대(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은, 메인 몸체 일측에 칫솔모를 갖고, 타측에는 치간칫솔모를 갖는 치간칫솔을 다수개 결합하여 칫솔대를 형성한 것으로, 치간칫솔에는 삽입홈과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칫솔에 다수개의 치간칫솔이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치간칫솔 상호간 간단한 방법으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치간칫솔모가 삽입홈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휴대시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말단부에 위치하는 치간칫솔의 제 2 삽입홈에는 결합돌기로 마감캡을 결합시킴으로써, 제 2삽입홈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측에 칫솔모(12)가 식모된 메인 몸체(10)와, 손으로 잡고 치아를 닦을 수 있도록 칫솔대(20)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메인 몸체(10) 일측에 칫솔모(12)를 갖고, 타측에는 치간칫솔모(32)를 갖는 치간칫솔(30)을 다수개 결합하여 칫솔대(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대.
  2. 제 1항에 있어서,
    메인 몸체(10)는 일측단에 제 1삽입홈(10a)이 형성되고;
    치간칫솔(30)은 몸체(31)의 일측단에 제 2삽입홈(31a)이 형성되고, 타측단은 단턱진 형태로 돌출·형성된 결합부(31b)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1b)는 외주면에 치간칫솔모(32)가 식모된 철심(34)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대.
  3. 제 1항에 있어서,
    칫솔대(20)는 하나의 치간칫솔(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4. 제 2항에 있어서,
    말단부에 위치하는 치간칫솔(30)의 제 2삽입홈(31a)에는 결합돌기(40a)로 마감캡(4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KR2020050033140U 2005-11-23 2005-11-23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KR200407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140U KR200407689Y1 (ko) 2005-11-23 2005-11-23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140U KR200407689Y1 (ko) 2005-11-23 2005-11-23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689Y1 true KR200407689Y1 (ko) 2006-02-01

Family

ID=4448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140U KR200407689Y1 (ko) 2005-11-23 2005-11-23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68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1548A1 (en) * 2007-07-18 2009-01-22 Young Sin Yoon A multifunctional toothbrush
WO2013045926A3 (en) * 2011-09-26 2013-08-22 Rashid Zlaoui Oral hygiene apparatus
US9167882B2 (en) 2014-03-14 2015-10-27 Import Partners, Inc. Toothbrush with interdental brush storage
KR20220065204A (ko) 2020-11-13 2022-05-20 하태규 치간칫솔을 결합한 칫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1548A1 (en) * 2007-07-18 2009-01-22 Young Sin Yoon A multifunctional toothbrush
WO2013045926A3 (en) * 2011-09-26 2013-08-22 Rashid Zlaoui Oral hygiene apparatus
US9167882B2 (en) 2014-03-14 2015-10-27 Import Partners, Inc. Toothbrush with interdental brush storage
KR20220065204A (ko) 2020-11-13 2022-05-20 하태규 치간칫솔을 결합한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uah et al. A review on toothbrushes and tooth brushing methods
AU2006203655B2 (en) Toothbrush with polishing member
US6408477B1 (en) Orthodontic toothbrush
US5435033A (en) Interdental toothcleaner holder
JP3191472U (ja) 機能を向上した楊枝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amp; methods of use thereof
Kumar et al. Tooth brush and brushing technique
KR101857103B1 (ko) 치은열구 칫솔
KR200407689Y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CN106031553A (zh) 用于结合有牙线的牙刷的结构化配置
Iba et al. Tooth brushing: An effective oral hygiene measure
KR200414641Y1 (ko) 치간칫솔 케이스
US20200178681A1 (en) Tooth-cleaning device capable of storing or being operatively mounted with interdental brush
US20100139022A1 (en) Tooth rag
US8800574B2 (en) Fluffy floss kit
TWM567080U (zh) 3-in-1 tooth stick with toothpick, interdental brush and floss stick structure
JP3149503U (ja) 噛む歯ブラシ
CN110623764B (zh) 兼具牙签、牙间刷及牙线棒结构的三合一洁牙棒
CN209751268U (zh) 兼具牙签、牙间刷及牙线棒结构的三合一洁牙棒
TWM544296U (zh) 牙間刷結構及具該結構之牙線棒
US10898303B2 (en) Three-in-one tooth-cleaning device structured as toothpick, interdental brush, and floss pick
CN111345915A (zh) 能收纳与组装牙间刷的洁牙装置
KR102458692B1 (ko) 구강위생용품이 구비된 휴대용 칫솔
JPH09220122A (ja) 歯間ブラシ
KR200317601Y1 (ko) 잇몸마사지기가 내설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