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882A -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 Google Patents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882A
KR20210130882A KR1020200048747A KR20200048747A KR20210130882A KR 20210130882 A KR20210130882 A KR 20210130882A KR 1020200048747 A KR1020200048747 A KR 1020200048747A KR 20200048747 A KR20200048747 A KR 20200048747A KR 20210130882 A KR20210130882 A KR 20210130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grip
holder
handle
removal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488B1 (ko
Inventor
오진영
Original Assignee
지니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니스(주) filed Critical 지니스(주)
Priority to KR1020200048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4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그립; 상기 각 그립의 일단에 연결되는 치실; 상기 각 그립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 및 상기 치실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把持)하고 조작하는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치실은 상기 각 그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구현함으로써, 치석, 세균막, 음식물 찌꺼기 등에 대한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치실의 사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리성이 대폭 향상된 치실 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HOLDER FOR DENTAL FLOSS}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직경, 즉 데니어(Denier)를 갖는 여러 개의 치실을 이용해 치석, 세균막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특히 치아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첫 번째 치실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번째 치실까지 순차적으로 직경이 커짐에 따라 치아 사이로의 진입이 용이하면서 과도한 진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잇몸 상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쑤시개와 치실 등의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쑤시개는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이 시원스럽게 잘 빠지지도 않고, 특히 치아 안쪽에 낀 음식물을 빼려고 하다 보면 뾰족한 끝이 잇몸에 상처를 주어 잇몸 질환을 유발하며, 치아에 무리를 주는 등 구강위생상의 문제점과 치아 보존관리상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치의학 상 측면에서도 이쑤시개는 사용하지 않기를 권하고 있으며, 치실의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쑤시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치실을 사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으나, 치실을 사용하는 방법은 치실 양쪽을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한 손은 입 밖에 한 손은 입속을 향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치실의 사용방법은 불편하고 비위생적이며 또한 치아에 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치실을 별도의 부재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16144호 (2008.03.17.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치실 홀더』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1은 작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치실용 카트리지가 작고 저가이며, 핸들에 장착이 용이하고 핸들로부터 탈착이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이용될 때 치실이 강한 인장력을 가지며 이를 위해, 카트리지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기 위한 핸들의 장착부 사이에 상호작용 수단이 배치되며, 상호작용 수단은 핸들에 장착되는 고정부에 대해 복수의 레그의 평면 내에서 카트리지 베이스를 구부려서, 레그가 서로 멀어지게 힘을 가하고 치실을 인장하는 치실 홀더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22340호 (2016.05.12.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치실기』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2는 치실기의 본체에 사각축공이 구비된 치실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치실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공 및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치실롤을 보호하는 손잡이를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으로 조립하며, 상기 치실롤의 사각축공에 끼워지는 사각축이 구비된 텐션조절캡을 손잡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본체의 지지부에 치실롤의 역회전을 단속하는 래칫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본체의 전방에 치실홈이 형성된 한쌍의 전,후방걸이부가 구비된 헤드를 수평 및 90도 각도로 고정되도록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전방걸이부에 원터치 타입으로 치실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구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치실을 손쉽게 고정하여 편리하고도 원활하게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경제적이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치실의 텐션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입 안 깊숙한 곳에 위치한 어금니 부위에 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치실기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56261호 (2019.05.24.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피봇 가능 솔을 포함하는 치아 세정 도구』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3은 도구의 길이방향 축을 형성하는 손잡이, 기부 및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관계로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아암을 가지는 치실 홀더, 2개의 아암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실의 스트랜드, 및 치실 홀더에 부착된 피봇 가능 솔을 포함하고, 피봇 가능 솔은 막대 및 그러한 막대 상에 배치된 강모를 포함하며, 막대는 제1 수납 위치와 제2 사용 위치 사이에서 치실 홀더에 피봇식으로 장착됨으로써, 세정할 수 있는 구강의 부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피봇 가능 솔을 포함하는 치아 세정 도구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16144호 (2008.03.17.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22340호 (2016.05.12.등록) 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56261호 (2019.05.24.공개)
본 발명은 치아 사이로 진입하는 첫 번째 치실부터 순차적으로 직경이 커지고, 인접한 치실들이 2~5° 정도의 내각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치아 사이로 진입할 부위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치아 간격이나 사용 부위 등을 고려하여 사용할 수 있기에 사용편리성이 대폭 향상된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슬라이더 조작에 의해 치실이 있는 그립의 각도를 대략 90° 내외로 조절할 수 있어 치아에 대한 사용 범위를 넓힐 수 있으면서 치아 부위에 맞게 적절히 각도 조절한 후 사용할 수 있어 좀 더 효율적으로 치석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그립;
상기 각 그립의 일단에 연결되는 치실;
상기 각 그립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 및
상기 치실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把持)하고 조작하는 핸들;
을 포함하되,
상기 치실은 상기 각 그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는,
치석, 세균막, 음식물 찌꺼기 등에 대한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치실에 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치실의 사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리성이 대폭 향상된 치실 홀더를 제공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3은 제2 구현예의 핸들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제2 구현예의 핸들에서 슬라이더 조작에 의해 그립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그립 측을 상부 또는 상방, 핸들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는,
크게 그립(10), 치실(20), 중계부(30) 및 핸들(4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그립(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치실(20)을 팽팽하게 당겨 치간의 치석 및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치실(2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계부(30)에 의해 상기 그립(10)이 상호 연결됨에 따라 대략 C자형의 좌우 뒤집힌 형상을 이룬다.
상기 치실(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그립(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치아 사이사이에 남아있는 치석과 세균막, 그리고 음식물이나 치태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탄력이 있는 나일론 섬유가 여러 겹 겹쳐져 있고 이들을 감싸는 왁스 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치실(20)은 상기 각 그립(10)의 길이방향을 따라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n이 3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기는 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경우에 따라 그 이상의 수량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치실(2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되, 상기 각 그립(10)의 일단 측에 위치한 첫 번째 치실(20)에서부터 시작하여 n번째 치실(20)까지 순차적으로 직경이 점차 커지게 된다.
여기서 첫 번째 치실(20)은 400 데니어(Denier : 두께 단위)(T1)이고, 두 번째 치실(20)은 410 데니어(T2)이며, 세 번째 치실은 420 데니어(T3)이다. 이후 더 구비될 수 있는 네 번째부터 마지막 번째까지 대략 10 데니어씩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치아 사이로 첫 번째 치실(20)이 진입한 이후에 순차적으로 두 번째, 세 번째 순으로 진입함으로써, 첫 번째 치실(20)에 의해 치간의 이물질 등을 일부 먼저 제거한 이후에 다음 치실(20)이 진입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너무 굵은 데니어의 치실(20)이 먼저 진입하여 잇몸에 상처가 날 수 있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각 치실(20)은 서로 비(非)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각 치실(20)에서 인접한 치실(20)들이 이루는 각도(A°)가 2~5°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각 치실(20)의 일단 측이 서로 촘촘히 배치되고 상기 각 치실(20)의 타단 측이 서로 덜 촘촘히 배치되어 있기에 사용 부위에 맞게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간 사이에 치석량이 많은 경우 각 치실(20)의 일단 측을 이용해 제거하고 음식물 찌꺼기 등의 경우 각 치실(20)의 타단 측을 이용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중계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그립(10)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4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실(20)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把持)하고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크게 제1 및 제2 구현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우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핸들(40)은 상기 중계부(30)에 연결되며 대략 엄지, 중지, 검지 손가락을 이용해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상하 길이 및 두께를 갖는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2 구현예의 핸들(40)은
상부에 하방 요입형 공간부(411)를 갖는 핸들바디(41)와,
상기 핸들바디(41)의 공간부(411) 바닥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중계부(30)에 연결되는 탄성 재질의 ㄱ자형 로드(42)와,
상기 로드(42)의 펼침 정도에 따라 상기 그립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언폴딩수단(43)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핸들바디(41)는 원형 또는 사각이나 사각의 다각형 기둥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로드(42)는 탄성 재질의 판형 스프링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언폴딩수단(43)은 상기 핸들바디(41)의 공간부(411) 바닥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에 상기 로드(42)의 일부 둘레를 감싸는 서포트(431a)를 갖는 출몰(出沒)형 스틱(431)과, 상기 스틱(431)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바디(41)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432)와, 상기 핸들바디(4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432)의 상하 동작을 안내하는 상하 장공형 가이드홀(4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틱(431)의 서포트(431a)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ㅁ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슬라이더(432)는 상기 스틱(431)을 상하로 슬라이딩 되게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한 일종의 조작버튼으로서, 표면에 슬립(slip) 방지를 위한 돌기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가이드홀(433)은 상기 핸들바디(41)의 외주면에 상하로 긴 형태의 장공 구조로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상기 슬라이더(432)의 상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홀(433)은 상기 로드(42)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상기 스틱(431) 상승 시 서포트(431a)에 의해 일자로 펼칠 수 있는 거리만큼의 상하 길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핸들바디(41)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상기 슬라이더(432)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432)에 연결된 상기 스틱(431)이 함께 하방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로드(42)를 지지하고 있던 서포트(431a)의 지지력이 해제됨에 따라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로드(42)가 원래의 ㄱ자 형태로 구부려지게 된다. 이렇게 구부러진 상태로 치아 사이사이의 치석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432)를 위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로드(42)가 상기 스틱(431)의 서포트(431a)에 의해 강제로 펼쳐지게 되고, 펼쳐지는 각도에 따라 상기 그립(1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그립
20 : 치실
30 : 중계부
40 : 핸들
41 : 핸들바디
411 : 공간부
42 : 로드
43 : 언폴딩수단
431 : 스틱
431a : 서포트
432 : 슬라이더
433 : 가이드홀

Claims (6)

  1.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그립(10);
    상기 각 그립(10)의 일단에 연결되는 치실(20);
    상기 각 그립(10)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30); 및
    상기 치실(20)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把持)하고 조작하는 핸들(40);
    을 포함하되,
    상기 치실(20)은 상기 각 그립(10)의 길이방향을 따라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치실(20)은 서로 비(非)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치실(20)에서 인접한 치실(20)들이 이루는 각도(A°)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치실(20)에서 상기 각 그립(10)의 일단 측에 위치한 첫 번째 치실(20)에서부터 시작하여 n번째 치실(20)까지 순차적으로 직경이 점차 커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40)은
    상부에 하방 요입형 공간부(411)를 갖는 핸들바디(41)와,
    상기 핸들바디(41)의 공간부(411) 바닥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중계부(30)에 연결되는 탄성 재질의 ㄱ자형 로드(42)와,
    상기 로드(42)의 펼침 정도에 따라 상기 그립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언폴딩수단(43)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언폴딩수단(43)은
    상기 핸들바디(41)의 공간부(411) 바닥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에 상기 로드(42)의 일부 둘레를 감싸는 서포트(431a)를 갖는 출몰(出沒)형 스틱(431)과,
    상기 스틱(431)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바디(41)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432)와,
    상기 핸들바디(4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432)의 상하 동작을 안내하는 상하 장공형 가이드홀(433)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KR1020200048747A 2020-04-22 2020-04-22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KR10243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747A KR102436488B1 (ko) 2020-04-22 2020-04-22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747A KR102436488B1 (ko) 2020-04-22 2020-04-22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882A true KR20210130882A (ko) 2021-11-02
KR102436488B1 KR102436488B1 (ko) 2022-08-29

Family

ID=7847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747A KR102436488B1 (ko) 2020-04-22 2020-04-22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140A (ko) 2022-07-25 2024-02-01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실 내장형 치간칫솔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144B1 (ko) 2000-10-17 2008-03-24 에릭 포르셀 치실 홀더
KR20110010857U (ko) * 2010-05-14 2011-11-22 정영걸 휴대폰 액세서리용 치실장치
KR101387383B1 (ko) * 2013-03-25 2014-04-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실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칫솔
US20140130824A1 (en) * 2011-03-08 2014-05-15 Ranir, Llc Multiple strand dental flosser
KR101622340B1 (ko) 2015-03-31 2016-05-18 이준수 치실기
KR101821278B1 (ko) * 2016-12-01 2018-01-24 김혜경 복수의 치실을 가지는 치간 세정도구
KR20190056261A (ko) 2016-09-09 2019-05-24 월드 와이드 데일리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피봇 가능 솔을 포함하는 치아 세정 도구
KR200490379Y1 (ko) * 2019-08-01 2019-11-05 송남호 치실걸이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144B1 (ko) 2000-10-17 2008-03-24 에릭 포르셀 치실 홀더
KR20110010857U (ko) * 2010-05-14 2011-11-22 정영걸 휴대폰 액세서리용 치실장치
US20140130824A1 (en) * 2011-03-08 2014-05-15 Ranir, Llc Multiple strand dental flosser
KR101387383B1 (ko) * 2013-03-25 2014-04-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실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칫솔
KR101622340B1 (ko) 2015-03-31 2016-05-18 이준수 치실기
KR20190056261A (ko) 2016-09-09 2019-05-24 월드 와이드 데일리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피봇 가능 솔을 포함하는 치아 세정 도구
KR101821278B1 (ko) * 2016-12-01 2018-01-24 김혜경 복수의 치실을 가지는 치간 세정도구
KR200490379Y1 (ko) * 2019-08-01 2019-11-05 송남호 치실걸이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140A (ko) 2022-07-25 2024-02-01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실 내장형 치간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488B1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2466A (en) Flossing tool
JP4971989B2 (ja) 人間工学に基づくデンタルフロス具
US8631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floss aid
US5680875A (en) Dental floss dispenser
US5573022A (en) Rotationally advanced dental floss holder and applicator assembly
EP2324796A1 (en) Dental interproximal cleaning device
US5560378A (en) Self-dispensing dental floss applicator
US5232002A (en) Dental flossing apparatus
KR102436488B1 (ko)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US6019109A (en) Dental flossing tool and method
KR101374468B1 (ko) 치간 청소구
EP1324682A1 (en) Oral devices
US20040168703A1 (en) Floss-pick
JP3124246U (ja) 歯間清掃具
JP2022545885A (ja) フロス張力を調整するための手段を有するデンタルフロッサ
JP2018505000A (ja) オーラルケア器具用のヘッド及びオーラルケア器具
US20050092346A1 (en) Flosser apparatus with detachable and positionable floss element
US20050241665A1 (en) Orthodontic flossing implem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757218B2 (en) Loose floss method of inter-dental plaque removal
US7322367B2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US7886751B2 (en) Cleaning apparatus for dental flossing
KR102583463B1 (ko) 치아 세정장치
KR100602579B1 (ko)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JPH11137577A (ja) 歯間清掃用具
CN211633672U (zh) 牙线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