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579B1 -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 Google Patents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579B1
KR100602579B1 KR1020040029501A KR20040029501A KR100602579B1 KR 100602579 B1 KR100602579 B1 KR 100602579B1 KR 1020040029501 A KR1020040029501 A KR 1020040029501A KR 20040029501 A KR20040029501 A KR 20040029501A KR 100602579 B1 KR100602579 B1 KR 100602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terdental toothbrush
bristle
dental floss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155A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박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선 filed Critical 박영선
Priority to KR102004002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579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24C3/1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of electric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8)부분으로 치아의 틈 사이에 끼워넣고 치간칫솔(2)을 전후 전진시켜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헹어(12)에 서로 연결되어 일체가 된 치실(8)의 끝단부와 치간칫솔(2)의 후 단부를 각각 고정, 설치하여 전후 전진운동 시 와이어(4)의 휨 현상이 최소로 발생되게 함으로서 와이어(4)의 꼬임이 풀림으로서 생기는 브리슬(6)의 사용도중 이탈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와이어(4)를 더욱 가는 금속재료 내지는 연질 재료를 사용 할 수 있게 하거나, 와이어(4)와 브리슬(6)이 일체형 플라스틱 몰딩에 의한 생산 방식으로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치간칫솔(2)과 치실(8)을 사용자의 치아 청결작업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실용성이 향상되게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U"자형 헹어(12)와, 상기 헹어(12)의 하부 중간에 일체로 연장된 손잡이(16)로 이루어지는 홀더(10)에 있어서, 상기 양측 헹어(12)에 치실(8)의 끝단부와 치간칫솔(2)의 후단부가 각각 양쪽에 묶여져 고정 설치되는 치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 브리슬(bristle), 치실

Description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Inter-dental brush}
도 1 은 본 발명의 기술을 나타낸 상태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상태도.
도 3 은 종래의 다른 기술을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치간 칫솔 4:와이어 6:브리슬
8:치실 10:홀더 12:헹어
14:홈 16:손잡이
본 발명은 치간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실을 치아의 틈 사이로 끼워 넣고 치간 칫솔부위를 이용하여 전후진시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게 하고, 또한 서로 연결되어 일체된 치실의 끝단부와 치간 칫솔의 끝단부를 각각 홀더 양쪽에 고정 설치하여 왕복운동 중 휨 현상이 최소로 발생되게 함으로서, 와이어의 휨 현상에 의하여 와이어의 꼬임이 풀림으로서 생기는 브리슬의 이탈 분리현상을 방지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와이어를 가는 금속재료 내지는 연질 재료로 적용을 하거나, 와이어와 브리슬이 일체형 몰드에 의한 플라스틱 재료로도 적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칫솔과 치실을 사용자의 치아 청결작업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실용성을 향상시킨 치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간 칫솔은 구강보조 위생도구로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칫솔이 닿기 어려운 치아의 틈 사이 부분에 끼여 있는 이물질(음식물 찌꺼기, 치석, 세균성 피막인 플라그 등)을 제거하는 데에 주로 사용 된다.
상기 치간칫솔은 보통 한줄의 와이어를 절반으로 접어 나선형으로 꼬으며 브리슬을 방사형으로 촘촘히 고정하여 원통형 브리슬을 형성하므로서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치간칫솔은 사용도중 반복적인 와이어의 휨 현상등에 의해 브리슬이 종종 탈락 되어 오래 사용하지 못하는 결점을 지니게 된다. 또한 치간 칫솔은 와이 어의 후단부에서 선단부로 밀어 넣는 운동을 하여야 하므로 미는 운동 중 와이어가 휘는 현상이 발생하고, 또한 반복되는 이 휨에 의하여 와이어의 꼬임이 풀려 브리슬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치간 칫솔은 이물질이 단단히 끼었을 경우 치간 칫솔로 밀어서 치간에 치간칫솔을 넣는 작업이 힘들어 치실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치간 칫솔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 문제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은 선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311634호(명칭:치간극용 치실 솔)를 도 2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아의 틈 사이에 끼워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실솔(1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필라멘트(34,36) 상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치실솔(10)은 다수개의 솔(14)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원통형 모양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치실솔(10)은 사용자의 치아 틈 사이를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적정한 직경을 갖게 되고, 상기 필라멘트(34,36) 양측단은 고정되지 않고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로 놓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자유롭게 놓여 있는 필라멘트(34,36) 양측을 손으로 붙잡고, 상기 필라멘트(34,36)의 어느 한 부분을 치아 사이의 상단부에 위치시킨 다음 하강시키면, 상기 필라멘트(34,36)는 치아의 틈 사이에 끼여지게 되고, 치실솔(10)은 치아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필라멘트(34,36)를 전,후진 시키면 치실솔(10)은 치아의 틈 사이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외부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치실솔(10)이 전,후진할 때 솔(14)은 진행 방향에 대해 반대로 젖혀지면서 통과하게 되고, 통과 후에는 탄력적으로 본래의 형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필라멘트(34,36)는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상기 치실솔(10)은 사용상태에 따라서 휘어짐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동시에 치실솔(10)은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전,후진하는 필라멘트(34,36)의 진행 방향과 각도와 일치하며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치실솔(10)이 사용 상태에 따라서 휘어짐이 자주 일어나게 되므로 솔(14)이 종종 탈락되어 오래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필라멘트(34,36)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습관 등에 의해 사용되므로, 치실솔(10)의 진행방향이 불안정하게 되어 잇몸에 손상이 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상 편리성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종래의 다른 기술은 선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46637호(명칭:다용도 치간칫솔)를 도 3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0) 상단부에 솔대(24)가 선단부에 삽입홈(23)을 형성하며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23)에 나선형으로 꼬여진 와이어(22)가 후미를 끼워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22)에는 다수개의 칫솔모(21)가 방사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다른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먼저 상기 몸체(10)를 사용자가 손으로 붙잡고 치아의 틈 사이에 와이어(22)의 선단부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와이어(22)를 전진시키면 치아의 틈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칫솔모(21)는 진행 방향과는 반대로 젖혀지면서 치아의 틈 사이에 끼여 있는 이물질을 외부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이후로는 칫솔모(21)가 탄력적으로 본래의 형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치간에 이물질이 단단히 끼었을 경우 치실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치간 칫솔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와이어(22) 끝단부가 치아 틈 사이를 초기에 통과하게 되므로 강도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지름이 크며 강도가 필요한 금속소재를 사용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치실을 치아의 틈 사이에 끼우고 치간 칫솔부위로 전후진시켜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게 하는 데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연결되어 일치된 치실과 칫솔의 양 끝단을 홀더에 고정 설치하여 칫솔의 전후진의 왕복운동을 함으로서 왕복운동 모두 미는 운동요소를 제거하고 당기는 운동으로 전환함으로서, 미는 운동 과정 중 발생하는 와이어의 휨 현 상을 최소로 발생되게 함으로서, 와이어의 휨 현상의 누적에 의해 와이어의 꼬임이 풀림으로서 생기는 브리슬의 이탈 분리현상을 방지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와이어를 최대 가능한 가는 금속재료나 연질 재료의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내지는 와이어와 브리슬을 일체형 플라스틱 몰드로 생산이 가능하게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칫솔과 치실을 사용자의 치아 청결작업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실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U"자형 헹어(12)와, 상기 헹어(12)의 하부 중간에 일체로 연장된 손잡이(16)로 이루어지는 홀더(10)에 있어서, 상기 양측 헹어(12)에 연결된 치간칫솔(2)의 후단부와(과) 치실(8)의 끝단부가 각각 묶여져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술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치아 사이를 청결하게 하기 위한 치간 칫솔(2)이 구성되는데, 상기 치간 칫솔(2)은 나선형으로 꼬여진 와이어(4)가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4)의 꼬여진 부분에는 사용자의 치아와 잇몸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거 하는 과정 중 치아와 잇몸이 손상되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플라스틱 가닥으로 된 브리슬(6)이 고정 설치 된다.
상기 브리슬(6)은 다수개의 플라스틱 가닥이 와이어(4)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브리슬(6)은 치아 의 틈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의 지름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와이어(4)는 치간칫솔(2)이 사용될 때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고 있어야 브리슬(6)을 고정시킨 와이어(4)가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야 되므로 일정치 이상의 강도와 그 강도를 위한 일정 정도 이상 굵기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서는 이 와이어의 굵기를 최소화 시킬 수 있고, 또한 유연한 재질로 와이어(4)의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플라스틱 몰드의 방법에 의하여 브리슬(6)과 와이어(4)가 일체형으로 제조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치간칫솔(2)의 와이어(4) 선단부에는 사용자의 치아 사이에 끼여진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지지역할을 함께 하는 치실(8)이 묶여져 고정되고, 상기 치실(8)의 외측 끝단부와 와이어(4)의 후단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붙잡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홀더(10)에 묶여져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홀더(10)는 "U"자형 모양으로 된 헹어(12)가 형성되고, 상기 헹어(12) 상부에는 치실(8)의 끝단부와 와이어(4)의 후단부가 묶여져 고정이 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된 홈(14)이 형성되며, 상기 헹어(12) 하부 중간에는 바아 형태로 된 손잡이(16)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치간 칫솔(2)과 치실(8)은 연결되어 일체가 되고, 치간 칫솔(2)의 와이어(6)의 후단부와 치실(8)의 끝단부는 양쪽 홀더(12)에 고정하여 형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아 사이에 끼여진 이물질을 탈거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16) 부분을 사용자가 손으로 붙잡고 치실(8)을 치아 사이의 상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치아 뿌리측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치실(8)은 치아 사이의 틈 사이에 위치하여 있게 되고, 상기 치간 칫솔(2)은 치아 전면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6)를 반복적으로 전,후진시키면 상기 연결되어 일체된 치실(8)과 치간 칫솔(2)을 구성하는 와이어(4)는 치실(8)과 함께 치아의 틈 사이를 통과하며 브리슬(6)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4)는 가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치아 틈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치간칫솔(2)이 전,후진하게 될 때 부드러운 소재로 된 브리슬(6)은 치아 틈 사이를 통과하면서 앞 부분 부터 진행 방향 반대로 젖혀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브리슬(6)은 치아의 틈 사이에 끼여 있는 이물질을 외부로 밀어내게 되고, 동시에 브리슬(6)은 치아 표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미끄러지며 치아의 틈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브리슬(6)이 치아를 통과하면 탄력적으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브리슬(6)은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하며 최초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치간칫솔(2)은 전,후진하게 될 때 헹어(12)에 묶여 있는 치실(8)이 지지하게 되는 관계로, 상기 치간칫솔(2)의 와이어(4)는 사용되는 도중에 탄력적인 유동현상은 있을 수 있으나 휨 현상이 작게 발생되여 직선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치간칫솔(2)의 브리슬(6)은 휨 현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브리슬(6)의 이탈 현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가지런히 정렬된 본래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치간칫솔(2)을 이용하여 치아의 틈 사이에 끼여 있는 이물질 제거가 완료되었다 판단되면, 상기 칫솔(2)을 치아 전면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치실(8)은 치아의 틈 사이에 위치하게 한 다음, 상기 치실(8)을 잇몸의 반대방향으로 이탈 시키므로서 치아의 한 부분에 대한 청결작업을 종료한다.
상기와는 달리 치아 틈 사이에 끼여 있는 간단한 이물질을 제거 하고자 할 경우에는 치실(8)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치실을 치아의 틈 사이에 끼우고 칫솔을 전, 후진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이물질이 치간에 단단히 끼어 치간 칫솔로 밀어내지 못하는 경우 일지라도, 치실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치간 칫솔 작업을 할 수 있는 관계로 사용상 편리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다른 효과로는 칫솔(2)의 휨 현상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홀더에 고정된 치실이 당기는 힘으로 치간 칫솔의 왕복운동을 함으로서 기존 치간칫솔의 단점인, 미는 운동 중 와이어가 휘고, 휨의 누적에 의해 와이어의 꼬임이 풀려 사용 중 와이어의 꼬인 힘에 의해 고정된 브리슬이 이탈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오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미는 힘을 버틸 와이어의 강도가 필요 없으므로 와이어를 가능한 한 가는 금속재료 내지는 연질 재료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잇몸을 보호할 수 있으며,또한 와이어와 브리슬이 일치되는 플라스틱 몰딩을 이용한 생산도 가능하며, 칫솔과 치실을 사용자의 치아 청결작업 용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U"자형 헹어(12)와, 상기 헹어(12)의 하부 중간에 일체로 연장된 손잡이(16)로 이루어지는 홀더(10)에 있어서,
    상기 홀더(10)의 일측에 위치한 헹어(12)에 근접하여 단부가 고정설치되는 와이어(4)와 브리슬(6)로 이루어진 치간 칫솔(2)과;
    상기 치간 칫솔(2)의 타단부에 단부가 연결되고 홀더(10)의 타단에 타단부가 고정설치되는 치실(8)로 구성되어;
    상기 치간 칫솔(2)과 치실(8)이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4)와 브리슬(6)을 플라스틱 몰딩방식에 의한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KR1020040029501A 2004-04-28 2004-04-28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KR100602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501A KR100602579B1 (ko) 2004-04-28 2004-04-28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501A KR100602579B1 (ko) 2004-04-28 2004-04-28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155A KR20050104155A (ko) 2005-11-02
KR100602579B1 true KR100602579B1 (ko) 2006-07-19

Family

ID=3728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501A KR100602579B1 (ko) 2004-04-28 2004-04-28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9431A1 (en) * 2018-03-04 2019-09-12 John Ditchfield Adjokatse Dental instru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00Y1 (ko) * 2009-10-13 2012-04-05 월터'스 씨오., 엘티디 다각도 줄 이쑤시개의 구조
KR20170003121U (ko) 2016-02-26 2017-09-0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5609U (ko) 1986-03-11 1987-09-14
JPH0215116A (ja) * 1988-06-30 1990-01-18 Nkk Corp 軟質磁性材料の製造方法
JPH0215116U (ko) * 1988-07-14 1990-01-30
JPH0316914U (ko) * 1989-07-03 1991-02-20
KR19990046555A (ko) * 1999-03-30 1999-07-05 이춘수 칫실홀더
KR200167615Y1 (ko) 1999-08-02 2000-02-15 신동환 치실 사용을 위한 치간 청소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5609U (ko) 1986-03-11 1987-09-14
JPH0215116A (ja) * 1988-06-30 1990-01-18 Nkk Corp 軟質磁性材料の製造方法
JPH0215116U (ko) * 1988-07-14 1990-01-30
JPH0316914U (ko) * 1989-07-03 1991-02-20
KR19990046555A (ko) * 1999-03-30 1999-07-05 이춘수 칫실홀더
KR200167615Y1 (ko) 1999-08-02 2000-02-15 신동환 치실 사용을 위한 치간 청소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201511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9431A1 (en) * 2018-03-04 2019-09-12 John Ditchfield Adjokatse Dental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155A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10059C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KR102239546B1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헤드의 제조 방법
AU2018244767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head
KR102239544B1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헤드의 제조 방법
AU2018244768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head
JP4816037B2 (ja) 歯ブラシ
JP2008154888A (ja) 歯刷子用刷毛及びそれを用いた歯刷子、並びに歯刷子用刷毛の製造方法
KR100602579B1 (ko)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JP5550131B2 (ja) 歯ブラシ
JP2018505000A (ja) オーラルケア器具用のヘッド及びオーラルケア器具
CA3109931C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JP2006180973A (ja) 歯ブラシ
KR20110002319U (ko)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갖는 치간 세정 도구
JP2005211383A (ja) 歯ブラシ用ブリッスル
US20210153636A1 (en) Toothbrush
JPH06141929A (ja) 歯ブラシ
CN2603627Y (zh) 牙间刷
JP4688344B2 (ja) 歯ブラシ
JP3110225U (ja) 2枝毛型歯ブラシ(ダブルブランチ・ブラシ)
KR200472856Y1 (ko) 치간칫솔을 포함하는 치실의 멀티 패키지
JP3121238U (ja) 歯ブラシ
JP3116926U (ja) 歯間に容易に入る歯ブラシ
JPH09140450A (ja) 毛先の接歯部分に段差の有る歯ブラシ
JP2006181120A (ja) 歯間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