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615Y1 - 치실 사용을 위한 치간 청소구 - Google Patents

치실 사용을 위한 치간 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615Y1
KR200167615Y1 KR2019990015703U KR19990015703U KR200167615Y1 KR 200167615 Y1 KR200167615 Y1 KR 200167615Y1 KR 2019990015703 U KR2019990015703 U KR 2019990015703U KR 19990015703 U KR19990015703 U KR 19990015703U KR 200167615 Y1 KR200167615 Y1 KR 200167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floss
head
dent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환
Original Assignee
신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환 filed Critical 신동환
Priority to KR2019990015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6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Abstract

본 고안은 Y자형의 치실기구(1)와 교체가능한 치실이 달린 치실머리부(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간 청소구를 제공하며, 상기 치실기구의 양가지 상단부(3)의 중앙은 홈이 파여 치실걸이홈(4)을 형성하며, 치실걸이홈(4) 아래의 외측에는 교체형의 치실머리(9)와 직접 결합할 수 있는 치실머리홈(5)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해 치실의 위생적이고도 편리한 사용이 가능케 되었으며, 더 나아가 치실의 낭비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치실 사용을 위한 치간 청소구 {AN INTERDENTAL CLEANER FOR THE USE OF DENTAL FLOSS}
본 고안은 Y자형 치실기구에 교체형 치실을 끼워서 사용하는 치간 청소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Y자형 치실기구의 양가지 상단 외측에 결합될 수 있는 치실머리를 치실의 양단에 제공함으로써 Y자형 치실기구에 교체형 치실이 간편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치간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치실은, 이쑤시개의 사용으로 인한 성인의 잇몸질환과 치태 및 프라그를 예방하여 주므로, 그 사용이 권장되고 있으나, 사용상의 번거로움 등의 이유로 그다지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한 형편이다.
현재 이쑤시개 대신 사용하고 있는 치실은 양 손가락으로 치실을 감아 사용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며, 손가락 대신 감아쓰는 Y자형 치실 기구가 있으나 실을 감는 과정이 번거롭고 또한 치실을 손으로 만지작거려 사용하게 되므로 비위생적이다. 또한, 1회 사용할 치실을 손가락이나 기구에 여러 번 감아 사용해야 하므로 실제 사용되는 치실보다 최소 10-15 배 이상 많은 양의 치실이 소모, 낭비되었다.
보다 상세하게,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97-12128호는 Y자형 치실 기구를 개시하고 있으며, 도 5는 이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5에 따르면, Y자형 치실기구(1')의 두 가지(2'a, 2'b) 사이에 치실(3')이 걸어매어지며, 이때, 치실은 치실안내홈(4'a, 4'b)을 따라 치실결속부(5')를 이용하여 교체 가능하게 결속된다. 여기서, Y자형 치실기구는 계속하여 사용가능하며 치실만이 교체되는 것이나,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실제 치간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실의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치실이 치실결속부와 치실을 결속하는데 사용되어야 하므로 많은 양의 치실이 소비되고, 또한 결속하는 과정에서 치실을 만지작거리게 되어 비위생적이며, 치실을 치실결속부에 결속하는 과정 또한 번거롭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치실을 위생적이며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간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더불어 치실의 낭비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Y자형 치실기구에 치실이 달린 네모 모양의 치실머리를 기구의 Y자형 양쪽가지 상단의 외측에 손으로 눌러 끼워주기만 하면 되는 것이 본원 고안의 특징으로서, 이에 따르면, 첫째, 조작이 간단하여 치실사용시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둘째, 치실의 낭비를 완전 없애고, 세째, 치실을 만질 필요가 없어 위생적인 치간 청소구를 제공하게 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Y자형 치실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점선원의 확대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치실이 달린 교체형 치실머리부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Y자형 치실기구와 치실머리부의 합체형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 는 종래 Y자형 치실기구에서의 치실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Y자형 치실기구 2 --- 교체형의 치실이 달린 치실머리부
3 --- 치실걸이 상단부 4 --- 치실걸이홈
5 --- 치실머리홈 6 --- 돌출부
7 --- 치실안내홈 8 --- 치실
9 --- 치실머리 10 --- 오목홈
11 --- 치실결속부 1' --- 치실기구
2'a, 2'b --- 가지 3' --- 치실
4'a, 4'b --- 치실안내홈 5' --- 치실결속부
본 고안의 치간 청소구는 크게 Y자형 치실 기구와 교체형 치실머리부의, 두 가지 구성 요소로서 이루어진다. Y자형 치실 기구에서 상단부인 두 개의 가지는 치실을 걸어매는 역할을 하며, 하단부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Y자형 치실기구의 두 개의 가지 상단부에는 치실이 걸려질 수 있도록 홈이 파여 있으며, 홈 바로 아래의 외측은 교체형 치실머리와 결합하는 치실머리홈이 구비되어 있다. 교체형 치실머리부는 Y자형 치실기구의 두 가지 사이에 팽팽하게 걸릴 수 있는 길이 만큼의 치실과, 그 양 끝단에 치실기구의 치실머리홈과 맞물려 결합할 수 있는 치실머리로 구성된다.
실제 사용시에는 Y자형 치실기구와 치실이 달린 교체형 치실머리부가 Y자형 가지의 상단 양쪽 외측의 치실머리홈에서 결합되는 것으로, 이때, 치실머리와 기구는, 치실머리홈이 그 중앙에 둥근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고 치실머리 부분은 그에 상응하는 위치에 오목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와 오목홈이 치실머리홈과 치실머리 각각에서 형상이 서로 맞바뀌어 위치하여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구체예에서는 치실기구의 치실머리홈이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고, 치실머리가 오목홈 형상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다양한 결합 양태 중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본원 고안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Y자형 치실 기구(1)를 보여주며, 도 2는 상기 치실기구(1)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데, 상기 가지 상단부(3)의 중앙에는 치실이 걸릴 수 있도록 홈이 파여 치실걸이홈(4)을 형성하며, 치실걸이홈(4) 아래의 외측에는 오목홈(10)을 그 중앙에 가지는 네모난 형상의 치실머리(9)와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부(6)를 가지는 치실머리홈(5)이 있다.
도 3은 치실이 달린 교체형 치실머리부(2)를 보여주며, 이때, 치실(8)은 Y자형 기구의 양 가지 사이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치실의 양 끝단에는 네모난 형상의 치실머리(9)가 연결되어 있고, 치실머리는 그 중앙에 오목홈(10) 구조를 갖고 있어서 Y자형 치실 기구의 치실머리홈(5)의 돌출부(6)와 서로 맞물려 결합할 수 있다. 교체형의 치실머리부는 1회 필요한 양의 치실을 플라스틱류의 치실머리에 연결시켜 놓은 것으로서,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Y자형 치실기구와 치실머리부의 합체형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 3의 치실이 달린 치실머리를 도 1의 기구 상단 양쪽 가지 외측에서 단순히 손으로 눌러 끼워주기만 하면 이들은 손쉽게 합체될 것이다.
한편, 본원의 Y자형 치실 기구는 비상시(본원의 교체형 치실머리가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97-12128호에서 개시된 치실기구와 마찬가지로 Y자형의 가지를 따라 치실안내홈(7)과 손잡이부의 중간부에 돌출된 형상의 치실결속부(11)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방식대로 치실을 치실결속부(11)에 감아 쓸 수가 있다. 이때, 종래의 기구는 치실안내홈이 치실기구의 상단부까지 연장됨으로써, 사용시 치실이 기구의 상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원에서는 치실이 치실걸이 상단부의 정중앙에 파인 치실걸이홈에 안전하게 걸림으로써 사용 도중 기구로부터의 치실의 이탈 가능성이 줄어든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치간 청소구는 실제 사용량 만큼의 치실만을 치실기구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치실의 불필요한 소비를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치실기구와 치실이 달린 치실머리를 똑딱단추처럼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에 상당히 편리하다.

Claims (3)

  1. Y자형의 치실기구(1)와 교체가능한 치실이 달린 치실머리부(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간 청소구로서, 상기 치실기구의 Y자형 양가지의 상단부(3) 중앙은 홈이 파여 치실걸이홈(4)을 형성하고, 치실걸이홈(4) 아래의 외측에는 치실머리부(2)의 치실머리(9)와 직접 결합할 수 있는 치실머리홈(5)이 마련된, 치실(8) 사용을 위한 치간 청소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치실머리(9)는 그 중앙에 오목홈(10)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고 치실기구의 치실머리홈(5)은 그 중앙에 돌출부(6)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양 형상의 맞물림에 의해 치실머리(9) 및 치실머리홈(5)이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기구는 치실기구의 Y자형의 가지를 따라 형성된 치실안내홈(7)과 손잡이부의 중간부에 돌출된 형상의 치실결속부(11)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KR2019990015703U 1999-08-02 1999-08-02 치실 사용을 위한 치간 청소구 KR200167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703U KR200167615Y1 (ko) 1999-08-02 1999-08-02 치실 사용을 위한 치간 청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703U KR200167615Y1 (ko) 1999-08-02 1999-08-02 치실 사용을 위한 치간 청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615Y1 true KR200167615Y1 (ko) 2000-02-15

Family

ID=1958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703U KR200167615Y1 (ko) 1999-08-02 1999-08-02 치실 사용을 위한 치간 청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61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21A (ko) * 2002-04-19 2003-10-30 서영대 치실 걸이대
KR100602579B1 (ko) 2004-04-28 2006-07-19 박영선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KR100935076B1 (ko) 2009-08-24 2009-12-31 이상숙 치간 청소구 및 치간 청소구 수용용기
KR20210001774U (ko) 2020-01-22 2021-07-30 정기민 치실 보조 도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21A (ko) * 2002-04-19 2003-10-30 서영대 치실 걸이대
KR100602579B1 (ko) 2004-04-28 2006-07-19 박영선 치실을 연결한 치간 칫솔
KR100935076B1 (ko) 2009-08-24 2009-12-31 이상숙 치간 청소구 및 치간 청소구 수용용기
KR20210001774U (ko) 2020-01-22 2021-07-30 정기민 치실 보조 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5025A (en) Powered dental flossing device
USD443142S1 (en) Toothbrush head
US5224501A (en) Tooth-flossing device
US6238213B1 (en) Suction oral brush
USD413728S (en) Toothbrush
JP2001503664A (ja) デンタルフロッサーおよびデンタルフロッサーの製造方法
US6234182B1 (en) Prefabricated dental floss device
KR200167615Y1 (ko) 치실 사용을 위한 치간 청소구
US20070017546A1 (en) Orthodonthic flossing device
CN102065723B (zh) 具有牙线储存性能的口腔卫生装置
KR100509324B1 (ko) 치간 청소구
US3871392A (en) Dental floss holder
USD445571S1 (en) Toothbrush head
EP1455677B1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KR100329218B1 (ko) 가변형 치실홀더
CN211633672U (zh) 牙线托架
USD443141S1 (en) Toothbrush head
JP2877772B2 (ja) 歯牙清掃用具
AU2002356449A1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KR200298194Y1 (ko) 혀클리너를 구비한 칫솔
KR200175268Y1 (ko) 치실지지구
WO2005037122A3 (en) Dental hygiene accessories
JPH0686564U (ja) 歯ブラシ
KR200217317Y1 (ko) 플로스 홀더
KR200176428Y1 (ko) 조립식 컬러 손잡이를 갖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