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79Y1 - 치실걸이기구 - Google Patents

치실걸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79Y1
KR200490379Y1 KR2020190003201U KR20190003201U KR200490379Y1 KR 200490379 Y1 KR200490379 Y1 KR 200490379Y1 KR 2020190003201 U KR2020190003201 U KR 2020190003201U KR 20190003201 U KR20190003201 U KR 20190003201U KR 200490379 Y1 KR200490379 Y1 KR 200490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floss
holder
dental floss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남호
Original Assignee
송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남호 filed Critical 송남호
Priority to KR2020190003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79Y1/ko
Priority to PCT/KR2020/005941 priority patent/WO20210206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7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vibratory drive,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61C15/047Flossing tool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루프 형태로 된 치실을 걸어서 사용하고 또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는 치실걸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센터봉과 센터봉의 선단에서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아암을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아암의 선단에는 치실을 걸 수 있는 실걸이홈이 마련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치실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걸이구가 마련되어 있는 잡이대; 상기 잡이대에 대하여 상기 거치대가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걸이홈과 실걸이구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게 하는 장력조정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실걸이홈과 실걸이구를 이용하여 루프 형태로 된 치실을 걸어 삼각 구도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실걸이홈과 실걸이구의 간격을 벌림으로써 상기 치실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실걸이기구{Device For Hanging Dental Floss}
본 고안은 치실걸이기구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루프 형태로 된 치실을 걸어서 사용하고 또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는 치실걸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치실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를 청결하게 하는 것은 치아건강을 위해 유익한 행위이다. 치간칫솔도 치아 사이를 청결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지만 작은 틈에는 치실이 더 적당하며 각자 특성을 가지고 있다.
치실은 보통 실타래처럼 치실케이스 안에 담긴상태로 공급된다. 사용자는 치실케이스에서 일정한 길이로 치실을 인출하고 치실케이스에 마련되어 있는 커터를 이용하여 절단한 다음 치실을 사용하게끔 되어 있다. 사용된 치실은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실을 사용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치실의 양 끝을 잡고 사용하여야 하여야 하는데 이는 매우 불편하다. 손을 깊숙이 입 사이에 넣어야 하기도 하며, 이를 위해 입을 더 크게 벌려야 하기도 하며 양손을 모두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치실의 문제 때문에 치실처럼 사용할 수 있는 치실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Y"자 형태로 된 기구의 아암에 가느다란 치실이 걸려 있는 형태의 치실기구가 그것이다. 이 기구는 보통 일회용으로 제공되므로 많은 쓰레기를 양산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3-0001943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150335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반복 사용이 가능한 치실 걸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실제로 사용했던 치실만 폐기하고 나머지 기구부분은 얼마든지 재사용하게 함으로써 경제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쓰레기의 생산을 줄일 수 있는 치실걸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센터봉과 센터봉의 선단에서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아암을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아암의 선단에는 치실을 걸 수 있는 실걸이홈이 마련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치실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걸이구가 마련되어 있는 잡이대; 상기 잡이대에 대하여 상기 거치대가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걸이홈과 실걸이구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게 하는 장력조정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실걸이홈과 실걸이구를 이용하여 루프 형태로 된 치실을 걸어 삼각 구도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실걸이홈과 실걸이구의 간격을 벌림으로써 상기 치실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걸이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실걸이홈은 상기 아암의 선단에 "V" 또는 "U"자 형태로 패여서 형성되며; 상기 실걸이구는 돌기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력조정수단은 상기 잡이대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대; 상기 잡이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대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제자리회전관; 상기 제자리회전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암나사와 나사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봉에 설치되는 수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실걸이홈과 실걸이구에 삼각구도로 걸려있는 치실이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사용시 신체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거치대의 아암에 치실걸이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루프 형태로 된 치실을 삼각 형태가 되도록 걸어놓은 다음 팽팽하게 한 상태에서 치실을 사용할 수 있는 치실걸이기구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한 치실을 새것으로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치실걸이기구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쓰레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치실걸이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걸이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걸이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걸이기구에 사용되는 루프 형태의 치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걸이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b)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걸이기구를 위한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실걸이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치실걸이기구는 치실을 걸기 위한 거치대(10), 손으로 잡는 잡이대(20) 및 이들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장력조정수단으로서의 회전대(30)를 포함한다.
거치대(10)는 센터봉(12)과 센터봉(12)의 선단에서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한쌍의 아암(11)을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구성된다. 아암(11)의 선단에는 치실(1)을 걸 수 있는 실걸이홈(13)이 마련된다. 거치대(10)의 구체적인 형태는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종래의 치실기구와 동일하여도 무방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상하로 절곡되어 있다. 실걸이홈(13)은 상기 아암(11)의 선단에 "V" 또는 "U"자 형태로 패여서 형성된다.
잡이대(20)는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으며 거치대(10)의 센터봉(12)이 끼워지는 직경으로 되어 있다. 잡이대(20)의 외면에는 치실(1)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걸이구(21)가 마련되어 있다. 실걸이구(21)는 돌기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실걸이구(21)는 잡이대(20)의 후방, 즉 거치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걸어놓은 치실(1)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치실(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 즉 루프(2)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는 매듭(3)을 지음으로써 만들 수 있다.
장력조정수단은 거치대(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이대(20)에 대하여 길이방향(L)을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걸이홈(13)과 실걸이구(21)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실걸이홈(13)과 실걸이구(21)를 이용하여 루프 형태로 된 치실(1)을 걸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 같은 삼각 구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장력조정수단은 실걸이홈(13)과 실걸이구(21)의 간격을 벌림으로써 상기 걸려있는 치실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들의 간격에 따라서 팽팽한 정도는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팽팽하게 한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장력조정수단은 잡이대(2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대(30)와, 잡이대(2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대(30)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자리회전관(31)을 포함한다. 회전대(30)는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손으로 잡는 부분은 고무나 우레탄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대(30)는 제1요철결합부(3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잡이부(20)에는 이 제1요철결합부(33)와 요철식으로 결합하는 제2요철결합부(2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대(30)는 잡이대(20)의 후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자리에서만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자리회전관(31)의 내주면에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암나사(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암나사(32)에 나사결합하는 수나사(15)는 센터봉(12)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잡이대(20)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회전대(30)를 화살표(R)방향으로 돌리면 나사원리에 따라서 걸이대(10)를 앞으로 돌출시켜 실걸이홈(13)과 실걸이구(21)의 간격을 벌릴 수 있고(도 4(a)의 상태 참조), 그 반대로 삽입시킴으로써 간격을 줄일 수 있다(도 4(b)의 상태 참조).
걸이대(10)는 회전대(30)를 회전시킬 때 함께 회전되면 안된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대의 센터봉(12)은 육각봉으로 하고, 잡이대(20)의 중심홀(22)도 육각형태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치실(1)을 가이드하기 위한 아암(11)에 치실걸이귀(14)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치실이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사용시 신체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치실걸이귀(14)는 아암에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치실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아암(11)의 형태와 유사하게끔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 치실걸이귀(14)에 의하여 치실은 "
Figure 112019079071895-utm00001
"의 형태로 설치되게 된다.
루프 형태의 치실(1)은 사용자가 사용시 루프 형태가 되도록 일정한 길이의 치실을 결속함으로써 준비될 수도 있고, 제공자가 치실을 루프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씩 꺼내서 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장력조정수단은 나사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설계변경될 수 있다. 쐐기, 지레, 캠 등을 이용하여 치실의 잠김과 해제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할 수 있는 방식이면 모두 가능하다고 본다. 예를들어 스텐레스타이와 같이 볼쐐기를 이용하여 잠김과 풀림효과를 얻고자 한다면 볼쐐기에 구멍을 뚫어 치실을 1회 감아주는 형식을 취하면 원하는 장력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때, 치실은 잡이대(20)속에 내장 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나사방식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고안에 의한 치실걸이기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스(40)에 넣고 다닐 수 있게끔 되어 있다. 케이스(40)는 힌지(41) 연결되는 상부케이스(42)와 하부케이스(43)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소지가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동모터(50)에 의해 진동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치실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이물을 제거하고 나아가 치석제거 및 맛사지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잡이대(20)의 내부에 전동모터(50)와 배터리가 설치되며, 전동모터(50)에는 진동자(53)가 연결된다. 온오프 스위치(51)와 충전단자(52)가 잡이대(20) 상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진동자(53)는 직접적으로 치실을 진동시킬 수 있도록 거치대(10)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거실 2 : 루프
10 : 거치대 11 : 아암
12 : 센터봉 13 : 실걸이홈
14 : 치실걸이귀 15 : 수나사
20 : 잡이대 21 : 실걸이구
22 : 중심홀 23 : 제2요철결합부
30 : 회전대 31 : 제자리회전관
32 : 암나사 33 : 제1요철결합부

Claims (5)

  1. 센터봉과 센터봉의 선단에서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아암을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아암의 선단에는 치실을 걸 수 있는 실걸이홈이 마련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치실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걸이구가 마련되어 있는 잡이대; 및
    상기 잡이대에 대하여 상기 거치대가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걸이홈과 실걸이구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게 하는 장력조정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실걸이홈과 실걸이구를 이용하여 루프 형태로 된 치실을 걸어 삼각 구도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실걸이홈과 실걸이구의 간격을 벌림으로써 상기 치실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장력조정수단은,
    상기 잡이대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대;
    상기 잡이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대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제자리회전관; 및
    상기 제자리회전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암나사와 나사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봉에 설치되는 수나사를 포함하는 치실걸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걸이홈은 상기 아암의 선단에 "V" 또는 "U"자 형태로 패여서 형성되며; 상기 실걸이구는 돌기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걸이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걸이홈과 실걸이구에 삼각구도로 걸려있는 치실이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사용시 신체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거치대의 아암에 치실걸이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걸이기구.
  5. 삭제
KR2020190003201U 2019-08-01 2019-08-01 치실걸이기구 KR200490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01U KR200490379Y1 (ko) 2019-08-01 2019-08-01 치실걸이기구
PCT/KR2020/005941 WO2021020697A1 (ko) 2019-08-01 2020-05-06 치실걸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01U KR200490379Y1 (ko) 2019-08-01 2019-08-01 치실걸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379Y1 true KR200490379Y1 (ko) 2019-11-05

Family

ID=6853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201U KR200490379Y1 (ko) 2019-08-01 2019-08-01 치실걸이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0379Y1 (ko)
WO (1) WO202102069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697A1 (ko) * 2019-08-01 2021-02-04 송남호 치실걸이기구
KR20210130882A (ko) * 2020-04-22 2021-11-02 지니스(주)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JP7076165B1 (ja) * 2021-03-24 2022-05-27 佳樹 岡本 歯間清掃用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2391A1 (en) * 1993-04-06 1994-10-13 3H Ltd. A dental floss device
KR0150335B1 (ko) 1994-04-28 1998-12-01 가네꼬 히사시 절연게이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20100100273A (ko) * 2009-03-06 2010-09-15 한국과학기술원 전동 치실 장치
KR20130001943U (ko) 2011-09-16 2013-03-26 윤성환 체결밴드
KR101579597B1 (ko) * 2015-01-22 2015-12-23 오봉균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KR20170086563A (ko) * 2014-11-14 2017-07-26 아이디 인피니티 리미티드 치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79Y1 (ko) * 2019-08-01 2019-11-05 송남호 치실걸이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2391A1 (en) * 1993-04-06 1994-10-13 3H Ltd. A dental floss device
KR0150335B1 (ko) 1994-04-28 1998-12-01 가네꼬 히사시 절연게이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20100100273A (ko) * 2009-03-06 2010-09-15 한국과학기술원 전동 치실 장치
KR20130001943U (ko) 2011-09-16 2013-03-26 윤성환 체결밴드
KR20170086563A (ko) * 2014-11-14 2017-07-26 아이디 인피니티 리미티드 치실 장치
KR101579597B1 (ko) * 2015-01-22 2015-12-23 오봉균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697A1 (ko) * 2019-08-01 2021-02-04 송남호 치실걸이기구
KR20210130882A (ko) * 2020-04-22 2021-11-02 지니스(주)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KR102436488B1 (ko) 2020-04-22 2022-08-29 지니스(주) 치석 제거 성능이 우수한 치실 홀더
JP7076165B1 (ja) * 2021-03-24 2022-05-27 佳樹 岡本 歯間清掃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697A1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379Y1 (ko) 치실걸이기구
US4832063A (en) Flossing device
US3421524A (en) Power driven dental cleaner
US5125424A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and/or gaps between the teeth
US10039624B2 (en) Dental floss device
TW201811278A (zh) 包含可樞轉刷之牙齒清潔工具
US4206774A (en) Dental flosser
US6019109A (en) Dental flossing tool and method
MXPA03002992A (es) Dispositivos orales.
TWM449173U (zh) 馬桶疏通器之構造
KR200455552Y1 (ko) 치실 홀더
KR101535796B1 (ko) 휴대용 치실장치
CN205513130U (zh) 护龈炭丝牙刷
KR100756832B1 (ko) 치간 청소구
KR101812314B1 (ko)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KR200432274Y1 (ko) 치석제거기가 부설된 칫솔
CN216962688U (zh) 一种口腔科的针对正畸装置佩戴者的口腔清洁装置
KR20040031566A (ko) 치실홀더
KR200377954Y1 (ko) 골무형 치아 및 치간 세정도구
JPWO2019059362A1 (ja) 掃除具
CN214679056U (zh) 一种可换线的便携式牙线棒
KR200357424Y1 (ko) 치실 홀더
KR20110073623A (ko) 치간 세척구
CN218792570U (zh) 一种可更换牙线的牙线棒
KR200345613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치간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