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597B1 -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 Google Patents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597B1
KR101579597B1 KR1020150010469A KR20150010469A KR101579597B1 KR 101579597 B1 KR101579597 B1 KR 101579597B1 KR 1020150010469 A KR1020150010469 A KR 1020150010469A KR 20150010469 A KR20150010469 A KR 20150010469A KR 101579597 B1 KR101579597 B1 KR 101579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ss
dental floss
dental
ti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봉균
Original Assignee
오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봉균 filed Critical 오봉균
Priority to KR1020150010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치실부재는, 폐곡선 형태의 환형 치실; 상기 환형 치실의 양단을 결속되는 치실타이; 및 상기 치실타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래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치실홀더는, 환형 치실의 사용구간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갖는 홀더몸체; 및 상기 홀더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치실타이가 고정되는 타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Dental floss member and dental floss holder}
본 발명은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치실부재 및 이러한 치실부재를 거치하여 사용하되 사용과정에서 늘어진 치실부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서 치실부재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실사용은 치아수명을 6.2년 연장시킨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로 치아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실의 사용이 제한적인 것은 사용이 어렵고 홍보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다행히도 치실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는 있으나 치실의 용이한 사용성에 대한 기술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환형 치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위 도면에 도시된 종래의 치실부재(1)는 사각형 치실 타이(2)의 상면에 치실(3)의 양 단부를 매립하여 구성한 것으로, 사용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타이(2)를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치실의 양쪽을 손으로 움켜잡은 상태에서 치실(3)의 상부 구간을 이용하여 치실질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치실부재(1)는 치실 타이(2)가 각이 진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치실질을 할 때 입안에서 걸리기 쉬우며, 걸렸을 때 상처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치실부재(1)는 기본적으로 치실홀더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긴 하지만 필요에 따라 치실홀더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치실(3)의 두 끝이 치실 타이(2) 상측으로만 매립되어 치실(3)이 팽팽하게 당겨졌을 때 치실 타이(2)가 치실홀더에 밀착되지 못하여 덜렁거리는 상태가 되므로 입안에서 걸리기 쉬워 용이한 치실질을 방해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치실부재(1)는 치실홀더에 적용하기에 매우 부적합하였다.
한편, 도 3은 종래 치실 홀더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종래의 치실 홀더(4)는, 손잡이(5) 및 상기 손잡이(5)의 도면상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홀더부(6), 상기 홀더부(6)의 내면에 양단부가 매립되게 고정되는 치실(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치실 홀더(4)의 경우, 사용과정에서 치실(7)이 늘어나거나 또는 치실(7)이 홀더부(6)로부터 조금씩 빠져나오면서 느슨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치실(7)이 늘어지게 되면 치실질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치실 홀더(4)를 폐기하게 된다. 이 경우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010876호 특허문헌 2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6514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치실홀더에 거치가 용이하고, 장력조절이 용이하며, 독립적 사용이 가능한 치실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치실부재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된 치실이 사용 과정에서 늘어졌을 때 장력을 팽팽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치실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치실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폐곡선 형태의 환형 치실; 상기 환형 치실의 양단을 결속되는 치실타이; 및 상기 치실타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래칫을 포함하는 치실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치실타이의 외형은 유선형이며, 상기 환형 치실의 양 단은 상기 치실타이의 양 측면에 마주하게 매립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치실부재가 제공된다.
삭제
또한, 상기 치실타이의 표면에 구비되는 당김부를 더 포함하는 치실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위의 치실부재를 거치하기 위한 치실홀더로서, 상기 치실홀더는 상기 환형 치실의 사용구간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갖는 홀더몸체; 및 상기 홀더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치실타이가 고정되는 타이 고정부;를 포함하는 치실홀더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치실타이에 래칫이 구비되고, 상기 타이 고정부에는 상기 래칫과 치합되는 상대 래칫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치실홀더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타이 고정부는 터널 형태로 되고, 상기 상대 래칫은 터널 내에 구비된, 치실홀더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상대 래칫은 상기 타이 고정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래칫판에 형성된 치실홀더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치실부재는 치실홀더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고, 거치된 상태에서 장력 조절이 용이하며,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낱개형태로 상품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치실부재의 장력을 사용자의 치아상태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반복 사용으로 인해 치실이 늘어졌을 때 장력을 팽팽하게 재조절할 수 있어서 치실의 실효성 및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환형 치실의 일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 치실 홀더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부재의 제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부재의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부재의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부재의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제1 실시예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도
도 10a 내지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제2 실시예
도 11은 이탈방지부재의 다른 실시예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실부재의 변형 실시예
도 13a는 치실부재의 다른 거치 형태를 보인 도면으로, 당김 전 상태도
도 13b는 도 13a의 당김 후 상태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제3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전제한다.
본 발명은 치실부재 및 이 치실부재를 거치하기 위한 치실홀더에 관한 것으로, 먼저 치실부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실부재는 환형구조로 갖되, 치실 타이의 유무에 따라 실시예가 구분된다.
즉, 치실타이가 없는 치실부재(미도시)는 치실 자체를 환형으로 성형한 무(無) 매듭형 치실이거나 또는 선형의 치실 양단을 서로 묶어서 환형으로 만든 유(有) 매듭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반면, 치실타이가 있는 치실부재(10)는 도 4 내지 7에서와 같이, 환형 치실(11)의 양 단을 치실타이(12)에 매립하여 구성한 것으로, 매립 방법은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에 의할 수 있다.
이 중, 도 4의 치실부재(10)는 환형치실(11)의 양단을 치실타이(12)의 양 측면에 마주하게 매립함으로써 환형치실(11)을 팽팽하게 당겼을 때 치실타이(12)가 치실홀더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치실타이(12)의 외형을 곡선이나 유선형으로 구성하여 치실질을 할 때 치실타이(12)가 치아에 걸리는 문제점을 최소하고, 입안에 상처나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 및 6의 치실부재(10)는 치실타이(12)의 표면 길이방향을 따라 래칫(12a)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래칫(12a)은 후술될 치실홀더의 상대 래칫과 치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 래칫의 형태 및 위치에 따라 도 5와 같이 치실타이(12)의 양 측면에 래칫(12a)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 5와 같이 배면에 래칫(12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치실부재(10)는 치실타이(12)를 환형 치실 결합측 반대방향으로 사용자의 손톱 등에 의해 끌어 잡아당길 수 있도록 돌기 또는 홈 형태의 당김부(12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치실부재(10)는 치실타이(12)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는 후술될 치실홀더의 당김레버에 결속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7에 도시된 치실타이(10)도 상기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그 외형이 곡선형(또는 유선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앞서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다음, 치실홀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제1 실시예로서,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치실홀더(100)는 치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치실홀더로서, 홀더몸체(110) 및 타이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몸체(110)는 상기 치실부재(10)의 사용구간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11)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111)는 치실부재(10)가 소정 길이로 거치될 수 있도록 Y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타이 고정부(120)는 상기 홀더몸체(110)에 구비되어 상기 치실타이(1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이 고정부(120)는 상기 홀더몸체(110)의 외면에 터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는 상기 치실타이(12)에 형성된 래칫(12a)과 치합되는 상대 래칫(121)이 구비된다.
여기서, 래칫(12a)과 상대 래칫(121)은 상기 치실부재(10)를 당기는 방향, 즉 상기 거치부(111)의 반대방향(도 9의 화살표 방향)으로는 치실타이(12)의 이동을 허용하는 반면, 그 역방향으로는 이동을 제한하여 역행을 방지하는 치(齒)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치실부재(10)의 치실부재(10)를 거치부(111)에 거치한 상태에서 치실타이(12)를 타이 고정부(120)의 터널 내부로 인입시킴으로써 치실부재(10)의 거치가 완료되고, 오랜 사용으로 치실부재(10)가 느슨해 진 경우, 상기 치실타이(12)의 당김부(12b)를 이용하여 도면상 하향으로 당김으로써 치실부재(10)를 팽팽하게 재조정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제2 실시예로서 결합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종단면도로서 당김 전 상태도이며, 도 10c는 도 10a의 종단면도로서 당김 후 상태도이고, 도 10d는 도 10a의 종단면도로서 당김레버를 젖힌 상태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치실홀더(100)는 치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치실홀더로서, 홀더몸체(110), 당김레버(130) 및 역행방지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몸체(110)는 치실부재(10)의 사용구간이 거치되는 거치부(111)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111)는 치실부재(10)가 소정 길이로 거치될 수 있도록 Y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김레버(130)는 상기 홀더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치실부재(10)의 비 거치부를 당겨서 장력을 팽팽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당김레버(130)에는 상기 치실부재(10)의 일측을 걸어서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고리(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고리(131)의 구비 위치 및 형태는 특정하지 않는다.
상기 역행방지부재(140)는 상기 홀더몸체(110)에 구비되는 래칫(141)과, 상기 당김레버(130)에 상기 래칫(141)과 치합되게 구비되는 상대 래칫(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래칫(141)과 상대 래칫(142)은 상기 치실부재(10)를 당기는 방향, 즉 상기 거치부(111)의 반대방향(도 10a의 화살표 방향)으로는 당김레버(130)의 이동을 허용하는 반면, 그 역방향으로는 당김레버(130)의 이동을 제한하여 역행을 방지하는 치(齒)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치실부재(10)의 한 쪽을 거치부(111)에 거치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거치고리(131)에 걸어서 고정하여 사용하되, 오랜 사용으로 치실부재(10)가 느슨해 질 경우 당김레버(130)를 하향으로 잡아당겨서 치실부재(10)를 팽팽하게 재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실시예의 치실홀더(100)는 당김레버(130)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당김레버(130)의 원활한 유동을 위한 이탈방지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50)는 상기 홀더몸체(110)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홈(151)과, 상기 당김레버(130)의 이탈방지홈(151)과의 대응면에 형성된 채, 이탈방지홈(151)에 끼움 결합되는 이탈방지돌기(15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홀더몸체(110)에 이탈방지돌기가, 당김레버(130)에 이탈방지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돌기(152)는 도 10d와 같이, 당김레버(130)의 하단에 치우치게 배치하여, 당김레버(130)의 상부가 이탈방지돌기(152)를 힌지점으로 홀더몸체(1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래칫(141)과 상대 래칫(142)의 치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당김레버(130)의 역행이 가능하게 되어 치실부재(10)를 새것으로 교환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이탈방지부재(1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홀더몸체(110)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이탈방지홈(151a)을 형성하고, 상기 당김레버(130)의 상대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홈(151a)에 삽입된 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레일 형태의 이탈방지돌기(152a)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외에도 당김레버(130)가 홀더몸체(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실부재의 변형 실시예로서, 먼저 역행방지부재(140)의 래칫(141)은 앞전의 도면에서와 같이 홀더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2에서와 같이, 홀더몸체(110)에 착탈 가능한 별도의 래칫판(14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래칫판(143)에는 끼움돌기(143a)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몸체(110)의 대응면에는 상기 끼움돌기(143a)가 삽입되는 삽입홈(112)을 형성하여 끼움 결합하는 구조가 제시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나사에 의해 체결하는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역행방지부재(140)의 상대 래칫(142)의 경우도 별도의 상대 래칫판에 형성하여 이를 당김레버(130)에 결합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래칫 및 상대 래칫의 별도 구성은, 치실부재(10)를 갈아끼우기 위해 당김레버(130)를 역진행 시킬 때 필요하고, 래칫 또는 상대 래칫이 손상되었을 때 부분 교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일체형에 비해 경제적이다.
한편, 상기 당김레버(130)는 상기 홀더몸체(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은 이탈방지홈이 필요 없고, 홀더몸체의 디자인에 따라서는 홀더몸체를 치실 저장공간으로 사용할 시 뚜껑을 겸할 수 있다.
도 13a는 치실부재의 다른 거치 형태를 보인 도면으로, 당김 전 상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당김 후 상태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홀더몸체(110)의 거치부(111)와 래칫(141) 사이에 홀더몸체(110)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113)을 형성하고, 상기 래칫(141)이 형성된 구간 내에도 그 전·후방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114)을 형성하여, 도 13a와 같이, 상기 거치부(111)에 치실부재(10)의 일측을 거치하고, 타측은 상기 제1 관통홀(113)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시킨 후, 상기 제2 관통홀(114)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시켜서 당김레버(130)의 거치고리(131)에 걸어 고정한다.
이후, 도 13b와 같이 당김레버(130)를 아래로 당기게 되면, 치실부재(10)에 의해 당김레버(130)를 홀더몸체(110) 쪽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당김레버(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제3 실시예로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결합상태도로서, 치실부재를 당기기 전의 상태도이며, 도 14b는 도 14a의 결합상태도로서, 치실부재를 당긴 후의 상태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치실홀더(100)의 기타 구성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나, 당김레버(130)를 회전방식으로 조작한다는 것과, 그에 따라 래칫(141)과 상대 래칫(142)이 환형으로 구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홀더몸체(110)의 거치부(111) 반대쪽 말단을 원기둥 형상으로 하고, 이 원기둥의 표면을 따라 래칫(141)을 환형으로 구성하며, 상기 당김레버(130)에는 상기 원기둥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132)을 형성하되, 삽입홈(132)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래칫(141)과 치합되는 상대 래칫(142)을 형성한 것에 구조적 특징을 두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당김레버(130)를 홀더몸체(110)의 축선(s)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당김레버(130)의 거치고리(131)에 거치된 치실부재(10)를 당김레버(130)의 원주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당겨지게 됨으로써 느슨하던 치실부재(10)를 팽팽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3 실시예의 치실홀더(100)는 홀더몸체(11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권취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권취돌기(115)는 당김레버(130)를 회전시킬 때 치실부재(10)가 따라 돌지 않고 당겨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 : 치실부재 11 : 환형치실
12 : 치실타이 100 : 치실홀더
110 : 홀더몸체 111 : 거치부
120 : 타이 고정부 121 : 상대 래칫
130 : 당김레버 131 : 거치고리
140 : 역행방지부재 141 : 래칫
142 : 상대 래칫 150 : 이탈방지부재
151 : 이탈방지홈 152 : 이탈방지돌기

Claims (17)

  1. 폐곡선 형태의 환형 치실;
    상기 환형 치실의 양단을 결속되는 치실타이; 및
    상기 치실타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래칫을 포함하는 치실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실타이의 외형은 유선형이며, 상기 환형 치실의 양 단은 상기 치실타이의 양 측면에 마주하게 매립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치실부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실타이의 표면에 구비되는 당김부를 더 포함하는 치실부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실부재를 거치하기 위한 치실홀더로서,
    상기 치실홀더는 상기 환형 치실의 사용구간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갖는 홀더몸체; 및
    상기 홀더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치실타이가 고정되는 타이 고정부;를 포함하는 치실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치실타이에 래칫이 구비되고,
    상기 타이 고정부에는 상기 래칫과 치합되는 상대 래칫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치실홀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타이 고정부는 터널 형태로 되고, 상기 상대 래칫은 터널 내에 구비된, 치실홀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대 래칫은 상기 타이 고정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래칫판에 형성된 치실홀더.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50010469A 2015-01-22 2015-01-22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KR101579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469A KR101579597B1 (ko) 2015-01-22 2015-01-22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469A KR101579597B1 (ko) 2015-01-22 2015-01-22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225A Division KR101635363B1 (ko) 2015-10-22 2015-10-22 치실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597B1 true KR101579597B1 (ko) 2015-12-23

Family

ID=5508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469A KR101579597B1 (ko) 2015-01-22 2015-01-22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5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38A1 (ko) * 2016-12-14 2018-06-21 오봉균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WO2019055410A3 (en) * 2017-09-12 2019-05-09 Quip NYC Inc. Dental flos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90379Y1 (ko) * 2019-08-01 2019-11-05 송남호 치실걸이기구
JP7076165B1 (ja) * 2021-03-24 2022-05-27 佳樹 岡本 歯間清掃用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23A (zh) * 1995-09-28 1997-04-02 沈仲山 牙线器及其所使用的牙线与该牙线的制造方法
KR200265143Y1 (ko) 2001-09-11 2002-02-21 장지일 환형 치실
US20030226575A1 (en) * 2002-06-05 2003-12-11 Lee Chee Yin Flossing tool
KR20040010876A (ko) 2002-07-25 2004-02-05 서예숙 치간 청소구
KR101234812B1 (ko) * 2011-09-30 2013-02-20 김윤기 휴대용 치실유닛 및 그 포장대
JP2013529103A (ja) * 2010-05-12 2013-07-18 ヘルミカイヴォス オサケユキチュア デンタルフロスデバイス及びフロッシ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23A (zh) * 1995-09-28 1997-04-02 沈仲山 牙线器及其所使用的牙线与该牙线的制造方法
KR200265143Y1 (ko) 2001-09-11 2002-02-21 장지일 환형 치실
US20030226575A1 (en) * 2002-06-05 2003-12-11 Lee Chee Yin Flossing tool
KR20040010876A (ko) 2002-07-25 2004-02-05 서예숙 치간 청소구
JP2013529103A (ja) * 2010-05-12 2013-07-18 ヘルミカイヴォス オサケユキチュア デンタルフロスデバイス及びフロッシング方法
KR101234812B1 (ko) * 2011-09-30 2013-02-20 김윤기 휴대용 치실유닛 및 그 포장대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00688A (ja) * 2016-12-14 2020-01-16 ボン・キョン・オ フロス部材およびフロスホルダー
AU2016432266B2 (en) * 2016-12-14 2020-10-01 Bong Kyun Oh Dental floss member and dental floss holder
CN108601638A (zh) * 2016-12-14 2018-09-28 吴凤均 牙线构件和牙线保持件
KR101970535B1 (ko) * 2016-12-14 2019-04-22 오봉균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IL267337B2 (en) * 2016-12-14 2023-03-01 Kyun Oh Bong Dental floss and floss holder
IL267337B (en) * 2016-12-14 2022-11-01 Kyun Oh Bong Dental floss and floss holder
KR20180069167A (ko) * 2016-12-14 2018-06-25 오봉균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WO2018110738A1 (ko) * 2016-12-14 2018-06-21 오봉균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US11446126B2 (en) 2016-12-14 2022-09-20 Bong Kyun Oh Dental floss member and dental floss holder
RU2723213C1 (ru) * 2016-12-14 2020-06-09 Бон кюнь ОХ Элемент с зубным флоссом для чистки зубов и держатель для зубного флосса
WO2019055410A3 (en) * 2017-09-12 2019-05-09 Quip NYC Inc. Dental flos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020697A1 (ko) * 2019-08-01 2021-02-04 송남호 치실걸이기구
KR200490379Y1 (ko) * 2019-08-01 2019-11-05 송남호 치실걸이기구
JP7076165B1 (ja) * 2021-03-24 2022-05-27 佳樹 岡本 歯間清掃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363B1 (ko) 치실홀더
KR101579597B1 (ko)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KR101970535B1 (ko)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US8756855B2 (en) Slip bobber rig
EP1604581A1 (en) Lace tightening article
US7797877B1 (en) Fixed and slip fishing apparatus for bobbers
JP2007112511A (ja) 解放可能な直列式ケーブルタイ
TW201109546A (en) Fastener for cord-like article
WO2006041637A3 (en) Toothpick device
US20060102807A1 (en) Cable bracket for a bicycle
AU2019204671B2 (en) Line Tensioner
KR200485802Y1 (ko) 케이블 타이
JP6083815B2 (ja) タッセル
JP6410373B2 (ja) タッセル
JP3965463B2 (ja) 首輪用紐体
KR910009234Y1 (ko) 간이 결착구
KR850000084Y1 (ko) 구두끈 걸림 장치
JPS6124054Y2 (ko)
KR100743684B1 (ko) 모자용 차양막
JP2005059925A (ja) 長尺物の保持装置
JP2000281076A (ja) ボトル保持具及びボトル保持方法
JP2011142852A (ja) リード付きハーネス
US20040106480A1 (en) Racquet strand clip
JP2003020064A (ja) 結束紐
JP2003246309A (ja) ポリ袋締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