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402A - 진동칫솔 - Google Patents

진동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402A
KR20090011402A KR1020070074939A KR20070074939A KR20090011402A KR 20090011402 A KR20090011402 A KR 20090011402A KR 1020070074939 A KR1020070074939 A KR 1020070074939A KR 20070074939 A KR20070074939 A KR 20070074939A KR 20090011402 A KR20090011402 A KR 20090011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case
vibrating
shaft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164B1 (ko
Inventor
김리선
Original Assignee
김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리선 filed Critical 김리선
Priority to KR1020070074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1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76Bristles having pointed 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6Gum massaging brush, i.e.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gu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진동칫솔의 칫솔대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칫솔대의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로 전달되는 진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진동칫솔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외주에 동작스위치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칫솔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 및 전원공급부의 상측에 접촉 형성되고 모터축이 구비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일측에 모터축과 편심되는 진동추가 형성되고, 진동추가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그 타측이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회전축; 회전축의 진동추를 감싸서 케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 커버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커버부재에서 케이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 및 칫솔대의 하측에 형성되고, 케이스와 칫솔대의 결합시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된 커버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칫솔은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칫솔대에서 진동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양치시 칫솔대의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로 전달되는 진동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케이스, 칫솔대, 회전축, 진동추, 커버부재, 완충부재, 진동감쇄부

Description

진동칫솔{VIBRATION ELECTRIC A TOOTHBRUSH}
본 발명은 진동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칫솔에 구비되는 칫솔대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칫솔대의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로 전달되는 진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손잡이부와 칫솔모로 구성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칫솔은 사람의 손목이나 팔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치아에 끼여있는 이물질이나 치석 등을 제거하는 기능으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양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대략 3분 정도의 양치를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권장시간 양치는 사람의 손목이나 손목에 무리를 주거나 팔이 아프고 칫솔을 움직이는 힘 조절이 일정하지 않아 잇몸이나 구강 내에 상처를 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폐단을 없애기 위해 건전지나 축전지의 동력을 전동모터가 인가받아 회전하여 칫솔모를 회전시키거나 회전력을 진동으로 변환하여 그 진동력으로 치아나 구강 내의 이물질 및 치석을 제거하기 위한 진동칫솔이 제안되었다.
도 5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동칫솔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칫솔은 외측에 동작스위치(110)가 형성된 케 이스(100), 케이스(100)에 끼움수단에 의해 착탈되고 칫솔모(124)가 식모된 헤드부(122)가 일체로 형성된 칫솔대(120), 케이스(100)의 내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지(130), 전지(130)의 전극에 접지되어 전기가 통전될 수 있게 전지 장착대(142)가 구비된 마개(140) 및 전지(130)의 상측에 접촉 형성되며 모터축(152)에 진동소자(160)가 축설된 구동모터(150)로 구성된다.
끼움수단은 케이스(1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착탈홈(112)과 칫솔대(1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착탈홈(112)에 결합되는 결합부(126)로 이루어져 결합부(126)가 착탈홈(1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칫솔은 구동모터(150)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축(152)과 편심되어 형성된 진동소자(160)가 편심 회전되어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 진동은 케이스(100)를 통해 칫솔대(120)로 전달되며, 칫솔대(120)로 전달된 진동은 헤드부(122)에 식모된 칫솔모(124)로 전달되어 유동하는 칫솔모(124)에 의해 치아표면이나 치아 사이에 붙어있는 이물질 및 치석을 제거하면서 양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동칫솔은 구동모터(150)의 모터축(152)에 편심되어 형성된 진동소자(160)의 편심 회전을 통해 케이스(100) 내에서 진동이 발생되어 칫솔대(120)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양치 시 케이스(100)를 파지하는 경우에 케이스(100)의 진동이 감쇄되므로 진동칫솔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진동칫솔의 칫솔대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칫솔대의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로 전달되는 진동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진동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주에 동작스위치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칫솔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배터리 및 배터리 장착대가 마개의 의해 고정되게 형성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측에 접촉 형성되고 모터축이 구비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모터축과 편심되는 진동추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추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그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진동추를 감싸서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커버부재에서 상기 케이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 및 상기 칫솔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칫솔대의 결합시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된 상기 커버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칫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진동추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 는 돌기축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기축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타측 일정구간에는 회전축의 기설정된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다시 기설정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구간이 한번 이상 반복되는 진동감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 실리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칫솔대의 결합공 입구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움되어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칫솔모의 선단 직경은 칫솔모의 중간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에 의해 φ0.01∼0.03㎜으로 형성되고, 상기 칫솔모의 최소단위의 개체가 φ5㎜로 결집되어 형성되는 강모가 헤드부에 하나 이상 식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진동칫솔은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칫솔대에서 진동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양치시 칫솔대의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로 전달되는 진동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칫솔대에서 진동발생시 케이스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최소 화 함으로서 사용자의 안정적인 양치질을 도모할 수 있고, 케이스에 내장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칫솔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칫솔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칫솔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칫솔대의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칫솔은 케이스(10), 전원공급부(16), 구동모터(18), 회전축(20) 및 칫솔대(5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중공된 수납실(12)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의 외주에는 동작스위치(14)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공급부(16)는 동작스위치(14)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18)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 배터리(16A), 배터리 장착대(16B) 및 마개(16C)로 이루어진다.
배터리(16A)는 케이스(10)의 수납실(12) 하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다. 배터리(16A)의 하측에는 배터리(16A)의 전극에 접지되어 전기가 통전될 수 있도록 배터리(16A)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대(16B)가 구비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대(16B)는 케이스(10)의 하측에 결합되는 마개(16C)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구동모터(18)는 전원공급부(1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도록 배터리(16A)의 상측에 접촉 형성되고 모터축(19)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축(20)은 구동모터(1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칫솔대(5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 회전축(20)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그 일측에 모터축(19)과 편심되는 진동추(22)가 형성되어 있다. 진동추(22)의 선단에는 회전축(20)의 축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돌기축(24)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돌기축(24)에는 회전축(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베어링(26)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20)의 타측 일정구간에는 회전축(20)의 기설정된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다시 기설정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구간이 한번 이상 반복되는 진동감쇄부(28)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진동감쇄부(28)는 회전축(20) 상에 한번 반복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회전축(20)을 통해 구동모터(18)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다수 번 반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회전축(20)은 일측에 형성되는 진동추(22)가 케이스(1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그 타측이 구동모터(18)의 모터축(19)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한 회전축(20)의 진동추(22)는 커버부재(3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이때, 커버부재(30)는 케이스(10)의 상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커버부재(30)의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커버부재(30)와 케이스(10) 사이에는 회전축(20)의 회전시 커버부 재(30)에서 케이스(10)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완충부재(40)는 케이스(10)의 상측에 고정되게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완충부재(40)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칫솔대(50)는 케이스(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칫솔모(54)가 식모된 헤드부(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칫솔대(50)의 하측에는 케이스(10)와 칫솔대(50)의 결합시 케이스(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커버부재(30)가 삽입되는 결합공(58)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공(58)의 입구부에는 걸림돌기(32)가 끼움되어 걸림되는 걸림홈(59)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공(58)의 걸림홈(59)에 커버부재(30)의 걸림돌기(32)가 끼움되어 걸림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칫솔대(50)와 케이스(10)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한 칫솔대(50)의 헤드부(52)에 식모되는 칫솔모(54)는 그 재질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이하 PET)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lephthalate. 이하 PBT)이다. 여기서, 칫솔모(54)의 재질로 나일론을 사용하지 못하고, PET 또는 PBT를 사용하는 이유는, 나일론은 흡수성이 강하고 사용에 의하여 가요성 모의 형태가 빨리 변형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또한, 나일론은 수렴이 짧고, 일정한 탄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굵기가 어느 정도 유지되어야하기 때문에 부드러움을 주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재질이 PET 또는 PBT인 칫솔모(54)는 그 중간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55)에 의해 칫솔모(54)의 선단 직경이 φ0.01∼0.03㎜로 형성되어 진다. 이때, 테이퍼부(55)의 길이는 대략 4∼7㎜가 바람직하다. 테이퍼 부(55)의 길이가 4∼7㎜ 미만일 경우에는 경성이 지나쳐서 양치시 잇몸이 상할 우려가 있고, 테이퍼부(55)의 길이가 4∼7㎜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성이 부족하여 사용시 양치감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칫솔모(54)는 최소단위의 개체가 φ5㎜로 결집되어 강모(56)가 형성되고, 강모(56)는 하나 이상 헤드부(52)에 식모됨으로써 칫솔모(54)를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칫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칫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10)의 상측에 칫솔대(50)를 결합시킨다. 이때, 케이스(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커버부재(30)가 칫솔대(50)의 결합공(58) 내로 끼움되면서 걸림돌기(32)가 결합공(58)의 입구부에 형성된 걸림홈(59)에 끼움되어 걸림됨으로써 케이스(10)와 칫솔대(5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0)와 칫솔대(5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진동칫솔을 사용하여 양치질을 할 경우에는, 케이스(10)에 형성된 동작스위치(14)를 누르게 되면 배터리(16A)의 전압이 구동모터(18)에 전달되어 구동모터(18)에서 회전동력이 발생되고, 구동모터(18)의 회전동력에 의해 모터축(19)에 결합된 회전축(20)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진동추(22)는 모터축(19)에 대하여 편심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진동하게 되고, 진동추(22)의 진동은 칫솔대(50)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진동추(22)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축(24) 에는 베어링(26)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축(20)은 외부저항 없이 최대 회전치가 되도록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칫솔대(50)로 전달되는 진동은 칫솔대(50)와 결합된 케이스(10)로도 전달될 수 있는데, 케이스(10)로 전달되는 진동은 회전축(20)의 진동추를 감싸는 커버부재(30)와 케이스(10) 사이에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설치된 완충부재(40)에 의해 완충됨으로써 케이스(10) 쪽으로는 아주 미세한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또한, 회전축(20)의 진동추(22)에 의해 구동모터(18)로 전달되는 진동은 회전축(20)의 진동감쇄부(28)에 의해 억제됨으로써 구동모터(18)로 전달되는 진동은 최소화된다.
즉, 진동감쇄부(28)는 회전축(20)의 타측 일정구간에 회전축(20)의 기설정된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다시 기설정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구간이 한번 이상 반복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20)을 거쳐 구동모터(18)로 전달되는 진동이 회전축(20)의 기설정된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구간에서 감쇄되므로 구동모터(18)로 전달되는 진동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칫솔대(50)로 전달되는 진동은 헤드부(52)로 전달되고, 헤드부(52)로 전달되는 진동은 헤드부(52)에 식모된 칫솔모(54)로 전달되어 유동되는 칫솔모(54)에 의해서 치아표면이나 치아 사이에 붙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치석 등에 진동을 가해주게 되므로 사용자의 치아와 치아 사이에 붙어있는 이물질이나 치석 등을 깨끗하게 제거함은 물론 잇몸을 부드럽게 맛사지 해 준다. 이때, 진동추(22)의 회전시 대략 1분에 10,000rpm 이상의 미세고속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동은 칫 솔모(54)의 선단까지 전달되게 되며, 칫솔모(54)의 테이퍼부(55)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 또는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새 깊숙히 침투되어 음식물 찌꺼기와 치석 제거 및 잇몸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고, 테이퍼부(55)를 제외한 칫솔모는 잇몸 주변을 맛사지 하게 된다.
한편, 진동칫솔의 사용이 완료되면, 케이스(10)의 동작스위치(14)를 한번 더 누른다 그러면, 구동모터(18)로 인가되는 배터리(16A)의 전압이 차단되면서 구동모터(18)의 동작이 정지된다.
그리고 케이스(10)와 칫솔대(50)가 커버부재(30)에 형성된 걸림돌기(32)와 결합공(58)의 입구부에 형성된 걸림홈(59)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과 분리됨으로써 칫솔모(54)의 마모나 결이 망가진 경우에 칫솔대(50)를 케이스(10)에서 분리한 후, 새로운 제품의 칫솔대(50)로 용이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칫솔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칫솔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칫솔대의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 그리고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진동칫솔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4 : 동작스위치
16 : 전원공급부 20 : 회전축
22 : 진동추 24 : 돌기축
26 : 베어링 28 : 진동감쇄부
30 : 커버부재 40 : 완충부재
50 : 칫솔대 52 : 헤드부
54 : 칫솔모

Claims (6)

  1. 외주에 동작스위치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칫솔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배터리 및 배터리 장착대가 마개의 의해 고정되게 형성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측에 접촉 형성되고 모터축이 구비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모터축과 편심되는 진동추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추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그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진동추를 감싸서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커버부재에서 상기 케이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 및
    상기 칫솔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칫솔대의 결합시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된 상기 커버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칫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추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돌기축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기축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설치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칫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타측 일정구간에는 회전축의 기설정된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다시 기설정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구간이 한번 이상 반복되는 진동감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칫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 실리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칫솔.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칫솔대의 결합공 입구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움되어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칫솔.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의 선단 직경은 칫솔모의 중간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에 의해 φ0.01∼0.03㎜으로 형성되고, 상기 칫솔모의 최소단위의 개체가 φ5㎜로 결집되어 형성되는 강모가 헤드부에 하나 이상 식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칫솔.
KR1020070074939A 2007-07-26 2007-07-26 진동칫솔 KR10088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39A KR100886164B1 (ko) 2007-07-26 2007-07-26 진동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39A KR100886164B1 (ko) 2007-07-26 2007-07-26 진동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02A true KR20090011402A (ko) 2009-02-02
KR100886164B1 KR100886164B1 (ko) 2009-02-27

Family

ID=4068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939A KR100886164B1 (ko) 2007-07-26 2007-07-26 진동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494A1 (ko) * 2022-01-24 2023-07-27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전기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94Y1 (ko) 2010-06-24 2013-04-18 정한솔 휴대가 용이한 전동 칫솔
KR101639314B1 (ko) * 2016-01-13 2016-07-14 이승민 전동칫솔
KR102043450B1 (ko) 2016-10-26 2019-1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진동 칫솔 및 편심축
KR102406428B1 (ko) 2016-10-26 2022-06-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진동 칫솔 및 편심축
CN111655194B (zh) 2018-04-25 2022-02-01 株式会社Lg生活健康 震动牙刷以及偏心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54319C1 (de) * 1996-12-24 1998-08-06 Rowenta Werke Gmbh Elektrische Zahnbürste
KR200308084Y1 (ko) * 2002-12-09 2003-03-20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칫솔
KR200407528Y1 (ko) * 2005-11-14 2006-01-31 오태준 충격 완화용 진동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494A1 (ko) * 2022-01-24 2023-07-27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전기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164B1 (ko)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2709B2 (ja) 動力式スキンケア装置
EP1681958B1 (en) Toothbrush with enhanced cleaning effects
US5855216A (en) Dental flossing device
AU2003221871B2 (en) Powered toothbrush head
US20040060137A1 (en) Toothbrush with sectorial motion
KR100886164B1 (ko) 진동칫솔
KR102441821B1 (ko) 스킨 케어 브러쉬를 위한 자체 활성화 사용 오도미터의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418868Y1 (ko) 진동칫솔
JP2017519540A (ja) 動力式スキンケア装置
US20050037316A1 (en) Interproximal dental appliance
KR20130004811U (ko) 마우스피스형 전동칫솔
JP2021518777A (ja) 振動歯ブラシ及び偏心軸
US2001001669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gingiva
MXPA01012366A (es) Cepillo electrico.
CN108836541B (zh) 一种医用电动牙刷
JP4762451B2 (ja) 動力駆動歯ブラシ
KR102429202B1 (ko) 잇몸 마사지 장치
JP2003164473A (ja) 高速振動歯ブラシ
KR200407528Y1 (ko) 충격 완화용 진동칫솔
KR20110002851U (ko) 전동 칫솔
CN201171725Y (zh) 振动式牙齿清洁器
KR101071913B1 (ko) 구강마사지가 가능한 칫솔
KR102032614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CN210472327U (zh) 一种声波电动牙刷振动结构
JP3192559U (ja) 電動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