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884B1 -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884B1
KR102069884B1 KR1020190091637A KR20190091637A KR102069884B1 KR 102069884 B1 KR102069884 B1 KR 102069884B1 KR 1020190091637 A KR1020190091637 A KR 1020190091637A KR 20190091637 A KR20190091637 A KR 20190091637A KR 102069884 B1 KR102069884 B1 KR 102069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fire extinguishing
rescue system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수
김인철
Original Assignee
이범수
김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수, 김인철 filed Critical 이범수
Priority to KR102019009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08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for producing other mixtures of different gases or vapours, water and chemicals, e.g. water and wetting agents, water an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08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details, e.g. antifreeze for suspension fluid, pumps, retarding means per 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서스펜션의 높이를 에어제어장치가 비교하여 차량의 지상고 높이 및 균형을 위해 미리 계산된 제어를 실행하고 고체, 액체 또는 기체형태의 물질을 탑재할 수 있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륜과 후륜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제어되는 에어서스펜션과 물탱크가 3개로 분리되어 무게중심의 분배로 험로 또는 급경사에서 전복위험이 감소된다.

Description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Special fire evasion and rescue system}
본 발명은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륜과 후륜에 부착된 에어서스펜션의 높이를 에어제어장치가 기준치와 비교하여 험지에서 차량의 균형을 위해 미리 계산된 제어를 실행하여 차량의 지상고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한 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소화 물질을 3개로 분리한 모듈방식의 저장수단에 탑재하고, 저장수단 내부에 천공된 격벽이 설치되어 험로 주행시 소화물질의 급격한 쏠림현상을 제한하여 차량의 전복 위험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험로 주행시 방향의 제어 및 전환이 빠른 오토바이 타입의 스틱형 운전대를 적용하고 좁은 골목길을 운행할 수 있도록 차량의 폭을 1.0m 이상 ~ 1.5m 이하로 제한한다.
상기기술을 적용하여 험준한 산악지형이나 좁은 골목길 등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접근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시'골든타임'내에 신속히 도착하여 초기진화를 하게 되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으나, 아래와 같은 경우 설령 초기에 화재를 발견하더라도'장비의 낙후 및 부족과 화재 발생 지점에 대한 진입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초기진화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① 험준한 산악지대, ② 폭이 좁고 혼잡한 전통시장, ③ 골목길 등 도로협소지역, ④ 상습 불법 주ㅇ정차로 현장 진입이 어려운 도로, ⑤ 지하주차장, ⑥ 강풍, 야간, 짙은 안개 등 기상악화로 헬기운행이 불가한 경우 등에는 초기화재 진화가 불가하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험준한 한국산악지형과 협소한 도로 등에 진입이 원활한 산불진화용 소방차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동성이 있는 이동수단으로 전 지형 자동차(ATV: All Terrain Vehicle)는 잘 포장된 도로뿐만 아니라 험한 지형에서도 잘 달릴 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형 4륜구동 자동차이다. 상기 전 지형 소형4륜구동 자동차는 뛰어난 기동성과 안정성이 있어서 산악용, 레저용, 농업용, 어업용, 군사용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한편, 화재 진압을 위한 소형4륜구동 소방차는 크게 소화용수가 담겨지는 소화용수 저장탱크와, 상기 소화용수 저장탱크 내의 소화용수를 살수시킬 수 있게 하는 분사펌프와, 상기 분사펌프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소화용수를 분사시킬 수 있게 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소형4륜구동 자동차와 같은 ATV는 프레임 상부에 운전자가 앉을 수 있는 운전석이 마련되고, 모든 바퀴에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서스펜션이 설치되어 주행 중의 진동과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주로 산악, 갯벌 등 비포장도로를 주행하기 위해서 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승차감은 어느 정도 배제된 상태에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와 같은 구조의 프레임과 서스펜션만으로는 비포장도로를 주로 주행하는 ATV의 특성상 사용자의 승차감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프레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험한 길에서 ATV차량은 자체만으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지만 소화용수 저장탱크 등과 같이 무거운 중량체를 장착하거나 인명구조용으로 사용하기에 부족한 측면이 있다.
즉, 소방차는 화재발생 시 화재 현장으로 출동하여 소화액으로 화재를 진압해야 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고출력의 펌핑장치와 많은 양의 소화용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큰 부피와 중량체인 소화용수 저장탱크를 탑재해야 되는데, 이를 4륜 자동차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운전석의 뒷부분에 위치되는 화물적재공간이 탑재되어야 한다. 이때 무게중심이 차체의 뒤쪽에 집중되어 경사로를 오르거나 일측의 차륜에 바위 등의 장애물이 걸리는 경우 저장탱크의 소화수의 무게에 의해 주행이 불안정하게 되어 전복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되고 주행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 소형4륜구동 ATV의 화물적재공간은 그 공간이 소화용수 저장탱크 등을 탑재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과 구조를 가지지 못하며, 소화용수의 적재중량도 적어서 1회 출동시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적재량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지형적으로 접근이 쉽지 않은 산악지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종래 4륜구동 구조의 ATV로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어려우며, 확장된 화재의 진압도 사실상 곤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KR 20-0440740호와 공개특허공보 KR 10-2017-0012295호에는 살수용 오토바이와 다기능 소방차량에는 화물받이에 하나의 큰 탱크를 탑재하고 여기에 물이나 소화제를 담아 살수용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기재하고 있으나, 탱크의 내부에 담긴 물은 산악의 험로나 바위 등의 장애물을 넘을 때 한쪽으로 물이 급격히 쏠리게 된다. 즉, 탱크에 담긴 물이 한쪽으로 쏠릴 때 차량은 무게중심이 분배되지 않고 전복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KR 10-1724061호 등록특허공보 KR 10-1613451호 등록특허공보 KR10-1050260호 등록실용신안 KR 20-0440740호 공개특허공보 KR 10-2017-001229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한 험준한 산악지대, 골목길, 좁고 혼잡한 전통시장 등의 화재발생시'골든타임'내에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출력으로 험로 접근 시 유리하고, 넓은 시야각으로 험준한 산악지형에서 방향의 제어 및 전환이 우수하며, 좁은 골목 등의 접근성이 우수하며, 급경사 험로에서 전복 방지할 수 있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가지고 있으며, 바퀴가 6개 부착된 차량으로 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소화물질을 탑재하여 화재진화 및 구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3개의 차축 양측에 각각 차륜(400)이 결합되어 주행이 가능한 6륜형의 차량(10); 상기 차량(10)에 장착되어, 에어를 생산하는 에어컴프레서(20)에서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탱크(30); 상기 3개의 차축 중 1개 이상 차축의 양측과 프레임(100) 사이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에어탱크(30)의 에어를 공급받아 차량의 지상고를 조절하는 에어서스펜션(80); 상기 에어서스펜션(80)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 상기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와 연동하여 상기 에어서스펜션(80)에 전자밸브(60)를 통해 상기 에어서스펜션(80)에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에어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하나 이상의 소화제(消火劑)를 보유한 장소 또는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펌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펌핑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분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분사수단 중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소화제가 상기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 간에 이동이 가능한 연결 장치로 연결되며, 상기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은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에는 인명 또는 동물 구조용 침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소화제(消火劑)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 및상기 저장수단에서 공급되는 소화제(消火劑)를 분사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차폭이 1.0m 이상 ~ 1.5m 이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륜들이 구동 가능하도록 차동장치 및 디퍼런셜락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2개 이상의 분할된 공간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된 저장수단 중 제일 무거운 저장수단이 차량의 차축 중 중간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저장수단 내부에 1개 이상의 구멍이 천공된 하나 이상의 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소화제(消火劑)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펌핑하는 펌핑장치; 상기 펌핑장치에서 펌핑된 소화제를 배출하는 배출호스;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에는 2종류 이상의 소화제를 분리하여 탑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2종류 이상의 소화제를 비율을 정하여 혼합하여 분사할 수 있는 비율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현장과 통제센터간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전방 또는 후방에 열화상카메라와 상기 열화상카메라의 영상을 모니터링 하는 열화상모니터로 구성되는 열화상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대는 오토바이 타입의 스틱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는 상기 에어서스펜션의 높이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상기 에어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전송된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의 센싱값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를 통해 상기 에어서스펜션에 에어를 일정 기준에 의해 차별화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차축이 3개, 4개 또는 5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차축의 양측에 차륜이 1개 또는 2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6 X 6동급 차량 대비 가볍고, 오토바이 형태의 운전석을 가져 시야각이 넓고 엔진 출력이 높아 험지나 경사지를 용이하게 운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험준한 산악지형에서 운행이 가능하며, 전륜과 후륜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제어되는 에어서스펜션과 물탱크가 3개로 분리되어 무게중심의 분배로 험로 또는 급경사에서 전복위험이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토바이 타입의 스틱형의 운전대는 험로에서 방향 제어 및 전환이 신속하고, 시야각이 넓어 험로 운행 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차가 진입하지 못하는 좁은 골목도 가리지 않고 운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서스펜션에 의해 차량의 지상고 조절이 가능하여 급경사에서 전복방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간거리가 좁고 지상고가 높아 험로돌파능력이 탁월하며, 험준한 산악지형에서 이동 능력이 탁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퍼런셜락의 구동전환 계통도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 서스펜션과 에어제어장치의 연결 관계 등을 나타낸시스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의 개념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저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1000)은 화재진화 및/또는 구조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ATV 차량(10) 및 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100) 등이 상호 연결되어 작동되는 집합체이다.
상기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1000)은 차량(10)과 프레임(100)으로 크게 나뉘며, 상기 차량(10)은 동력으로 이동 가능한 일반 차량 또는 ATV 차량을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고,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기 ATV 차량에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111) 또는 인명 또는 동물 구조용 침상(112) 등이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1000)은 3개의 차축 양측에 각각 차륜(400)이 결합되어 주행이 가능한 6륜형의 차량(10); 상기 차량(10)에 장착되어, 에어를 생산하는 에어컴프레서(20)에서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탱크(30); 상기 3개의 차축 중 1개 이상 차축의 양측과 프레임(100) 사이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에어탱크(30)의 에어를 공급받아 차량의 지상고를 조절하는 에어서스펜션(80); 상기 에어서스펜션(80)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 상기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와 연동하여 상기 에어서스펜션(80)에 전자밸브(60)를 통해 에어 공급을 제어하는 에어제어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10)은 도 9a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산이나 구릉에서 라이딩을 즐길 수 있는 4륜구동형의 전 지형 만능차(ATV: all-terrain vehicle)의 원리와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산불발생 시 현장에 출동하여 진화용으로 사용하고 인명구조 시에는 침상에 사람을 태워 운반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한 차량이다. ATV는 보통 4륜으로 이루어지고 1인이 운전하는 것으로 산이나 언덕을 신속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산불진화를 위한 물탱크나 장비를 탑재하기 어렵고 탑재하더라도 산을 오를 때 차량의 무게중심이 뒤로 쏠려 구동이 어렵거나, 차륜의 일측에 바위 등의 장애물을 넘을 때는 전복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4륜구동형의 일반적인 서스펜션의 문제점은 많은 적재 중량을 운반하거나 급경사에서 뒷바퀴축에 무게가 집중되는 경우, 뒷바퀴축의 서스펜션이 눌린 만큼 앞쪽바퀴가 떠서 조향이 되지 않게 되면 조향성이 매우 나빠진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도(stiffness)가 큰 서스펜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승차감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4개의 바퀴가 제대로 지형을 타지 못하여 조금만 험한 지형이라도 올라가기 어렵다. 또한 경사가 거의 없는 험지운행 시 서스펜션에서의 충격흡수량이 매우 적어 차체에 부담이 된다. 이를 보완하고자 강성도 조절이 가능한 조절식 서스펜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또한 무거운 짐을 실을 경우 무게를 버티는 힘이 적어 앞바퀴가 뜨는 현상이 여전히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차량은 ATV 차량의 장점을 활용하고 상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9b와 같이 ATV 차량을 개량??설계하여 차축을 3개로 구성하고 각 차륜의 구동과 차량의 지상고를 제어함으로써 물탱크 등의 무거운 장비를 적재하고 산이나 언덕을 오르내리더라도 전복 위험을 현저하게 줄여 안정되게 운행할 수 있도록 그 성능을 개선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10)은 프레임(100), 엔진(200), 동력전달수단(300) 등이 장착되어 구동이 이루어지며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100)은 차체의 전후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차량은 차축이 3개 내지 5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차축의 양측에 차륜이 1개 또는 2개로 결합되어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불 등의 진화와 구조용으로 3축의 6륜 차량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차량은 차륜을 사용하지 않고 무한궤도를 장착한 차량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00)는 일반적인 구조와 같이 엔진(200)의 크랭크축으로부터 각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변속장치 및 차동기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차동기어장치와 기어변속장치는 주지된 바와 같이 엔진(200)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동용 바퀴(400)에 전달하며, 회전비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이동용 바퀴(400)에 전달되는 동력을 제어함으로써 급경사 구역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동장치는 6개의 이동용 바퀴(400)에 동일한 동력을 전달하여 6륜구동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경사로 또는 결빙된 구간에서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10)에는 에어를 생산하는 에어컴프레서(20)와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탱크(30)가 포함된다. 상기 에어컴프레서(20)와 에어탱크(30)는 차량 하부의 차체에 장착되는데 그 장착 위치는 차량에 맞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서스펜션(80)은 상기 3개의 차축 중 1개 이상 차축의 양측과 프레임(100) 사이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에어탱크(30)의 에어를 공급받아 차량의 지상고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에어서스펜션(80)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는 도 4와 같이 차량의 프레임과, 차축이 결합되는 에어서스펜션(421, 422)의 하단부분의 사이에 결합되어 에어서스펜션 높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는 상기 에어서스펜션의 높이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상기 에어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전송된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의 센싱값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를 통해 상기 에어서스펜션(80)에 에어를 일정 기준에 의해 차별화하여 공급하여 차량의 지상고를 제어하게 된다.
도 6과 같이 에어제어장치(50)는 상기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와 연동하여 상기 에어서스펜션(80)에 전자밸브(60)를 통해 에어 공급을 제어하여 차량의 지상고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에어서스펜션(80)을 통해 차량의 지상고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바위 등의 장애물에도 전복되지 않고 운행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산불진화 시 물탱크에 물을 채우고 경사지를 오를 때 후륜부의 차량의 지상고를 올리고, 내려올 때는 전륜부의 차량의 지상고를 올려서 차량의 전복의 위험이 없이 안정되게 운행 할 수 있다. 또한 산악지에서 일측에 바위 등의 장애물이나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사각에도 안정되게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에어제어장치(50)는 도 6과 같이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와 연동하여 에어서스펜션(80)에 전자밸브(60)를 통해 상기 에어서스펜션(80)에 에어의 공급을 제어한다. 도 6c와 같이 전륜과 후륜에 설치된 에어서스펜션(80)을 설치하여 제어할 수 있고, 도 6d와 같이 전륜과 후륜뿐만 아니라 중간륜까지 에어서스펜션(80)을 설치하여 에어제어장치(50)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제어장치(50)는 제어영역(500)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휴대폰 등의 앱을 통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1000)은 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하나 이상의 소화제(消火劑)를 보유한 장소 또는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펌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펌핑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분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분사수단 중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소화제가 상기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 간에 이동이 가능한 연결 장치로 연결되며, 상기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은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소화제의 공급수단은 도 1과 같이 차량에 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로 탑재할 수 있는 용수저장탱크(610)가 될 수 있고, 도 11과 같이 물을 공급하는 하천이나 호수 등의 장소 또는 저지대의 물탱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급수단은 차량에 탑재한 용수저장탱크(610)의 소화제뿐만 아니라, 하천, 저수지의 물이나, 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하나 이상의 소화제(消火劑)를 보유한 장소 또는 공급장치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화제의 공급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펌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펌핑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분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분사수단 중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소화제의 공급수단과 펌핑수단으로 구성되면, 도 1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소화제를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소화제의 공급수단과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으로 구성되면 소화제를 이송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공급수단과 분사수단으로 구성되면 직접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펌핑수단과 저장수단이 구비되면 소화제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펌핑수단과 분사수단을 구비하면 저지대에서 이송되어 공급되는 소화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저장수단과 분사수단을 구비하면 화재를 직접 진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소화제를 저지대에서 양수하여 공급하거나, 산 중간에 위치하여 소화제를 전달하는 릴레이 기능과 화재현장에서 진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 액체 또는 기체 중 하나 이상의 소화제가 상기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 간에 이동이 가능한 연결 장치로 연결되어 공급되고, 상기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은 상기 차량에 탑재됨으로써 소화제의 종류나 화재의 위치에 관계없이 공급, 전달, 살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에는 도 10과 같이 인명 또는 동물 구조용 침상(1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적재 프레임(111)은 분사재 저장수단(600)과 분사수단(700)이 안정적으로 탑재되며, 인명 또는 동물 구조용 침상(112)은 미닫이 방식으로 전후 슬라이딩 되어 연장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사람이나 동물을 편안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구조용 침상(112)과 화재진화장치는 각각 하나의 랙이나 컨테이너 형태로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여 용도에 따라 교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도 10과 같이 분사수단(700)을 차량의 전면부에 장착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한 대의 차량을 이용하여 산불 등 화재발생 시에는 화재진화장치로, 등산사고 등에는 인명구조용으로 각각 사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은 소화제(消火劑)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서 공급되는 소화제(消火劑)를 분사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화재시 신속히 출동하여 조기에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차량은 차폭이 1.0m 이상 ~ 1.5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운행되고 있는 차량은 폭이 넓어 재래시장 안이나 농로 등의 좁은 길에서는 운행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차량은 폭이 1.0m 이상 ~ 1.5m 이하를 유지함으로써 기존의 차량이 들어갈 수 없는 좁은 도로도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래시장, 골목길, 농로뿐만 아니라, 불법 주·정차위반 등으로 인하여 소방차나 구급차가 진입할 수 없는 길도 본 발명의 차량은 신속하고 안전하게 주행하여 화재를 진화하고 구조를 할 수 있는 매우 큰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륜들이 구동 가능하도록 차동장치 및 디퍼런셜락장치를 포함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차동장치와 디퍼런셜락에 따른 구동전환 계통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용 바퀴(400)는 전륜(401, 402), 중간륜(403, 404), 후륜(405, 40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륜(401, 402)은 제1 차동장치(810)에 의해 제1 차축(910)으로 연결되어있다.
중간륜(403, 404)은 제2 차동장치(820)에 의해 제2 차축(920)으로 연결되어 있다.
후륜(405, 406)은 제3 차동장치(830)에 의해 제3 차축(930)으로 연결되어있다.
그리고 엔진(200)의 전방구동축(201)은 제1 차동장치(810)에 동력의 단속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구동축(202)은 제2 차동장치(820)와 제3 차동장치(83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차동장치(810)는 전륜(401, 402)에 엔진(200)의 동력을 전달할지를 결정하고 또한 차동장치에 내재된 디퍼런셜락의 사용을 선택하여 전륜 중 하나 혹은 양측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차동장치(820)는 내부에 디퍼런셜락이 없어서 중간륜(403, 404)은 모든 구동모드에서 항상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3 차동장치(830)는 차동장치에 내재된 디퍼런셜락의 사용을 선택하여 후륜(405, 406) 중 하나 혹은 양측에 동력을 전달한다.
차동장치에 따른 구동전환은 4륜구동 ↔ 4륜구동 차동잠금 ↔ 6륜구동 ↔6륜구동 차동잠금 방식의 모드를 전환하며 수행한다.
이러한 차동장치에 의한 동력 절환의 제어는 제어영역(500)에 마련되는 버튼, 노브, 또는 레버 형태의 절환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우선 도 5 (a)는 4륜구동방식으로 엔진(200) 전방구동축(201)의 제1 차동장치(810)와 분리되고, 후방구동축(202)이 제2 차동장치(820)와 제3 차동장치(830)에 연결되어있다.
4륜구동 방식은 엔진(200)의 동력으로 중간륜(403, 404)이 구동되면서, 제3 차동장치(830)에 의해 후륜(405, 406)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 구동 가능하게 되어, 포장도로 및 비교적 고속주행이 가능한 임도에서의 주행에 적합한 구동모드를 제공한다.
도 5 (b)는 4륜구동 차동잠금방식으로 엔진(200)의 전방구동축(201)의 제1 차동장치(810)와 분리되고, 후방구동축(202)이 제2 차동장치(820)와 제3 차동장치(830)에 연결되어있다.
4륜구동 차동잠금방식은 엔진(200)의 동력으로 중간륜(403, 404)이 구동되면서, 제3 차동장치(830)의 디퍼런셜락에 의해 후륜(405, 406) 모두가 동시에 구동하게 되어, 무거운 짐이 실린 경우나 비교적 험한 비포장도로, 경사가 있는 오르막길의 주행에 적합한 구동모드를 제공한다.
도 5 (c)는 6륜구동방식으로 엔진(200) 전방구동축(201)의 제1 차동장치(810)와 연결되면서, 후방구동축(202)이 제2 차동장치(820)와 제3 차동장치(830)에 연결되어 있다.
6륜구동방식은 엔진(200)의 동력으로 제1 차동장치에 의해 전륜(401, 402)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 구동되며, 제2 차동장치의 중간륜(403, 404)이 구동되면서, 제3 차동장치(830)의 디퍼런셜락에 의해 후륜(405, 406) 모두가 선택 구동하게 되고, 제1 차동장치(810)에 의해 전륜(401, 402)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 구동되어, 험준한 지형, 심각한 오르막길, 자갈밭, 모래사장, 눈길, 바위가 있는 계곡 등의 주행에 적합한 구동모드를 제공한다.
도 5 (d)는 6륜구동 차동잠금 방식으로 엔진(200)의 전방구동축(201)의 제1 차동장치(810)와 연결되고, 후방구동축(202)이 제2 차동장치(820)와 제3 차동장치(830)에 연결되어있다.
6륜구동 차동잠금 방식은 엔진(200)의 동력으로 제1 차동장치(810) 내부의 디퍼런셜락에 의해 전륜(401, 402)이 모두 구동되며, 제2 차동장치(820)의 중간륜(403, 404)이 구동되면서, 이와 동시에 제3 차동장치(830)의 디퍼런셜락에 의해 후륜(405, 406) 모두가 동시에 구동하게 되어, 극도로 험한 지형으로부터의 탈출에 적합한 구동모드를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에 차량의 에어서스펜션(80)과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에어컴프레서(20), 에어탱크(30), 배터리(40), 에어제어장치(50), 전자밸브(60),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 에어서스펜션(80) 등으로 구성된다. 에어컴프레서(20)는 배터리(4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제어장치(50)의 제어로 에어탱크(30)에 에어를 공급한다.
에어탱크(30)는 에어제어장치(50)의 제어를 받아 전자밸브(60)의 온/오프에 의해 전방차륜(FL, FR) 또는 후방차륜(RL, RR)에 연결된 에어서스펜션(80)에 에어를 차별 공급한다. 에어제어장치(50)는 필요시 에어컴프레서(20)를 통해 에어탱크(30)에 에어를 저장하고, 운행하는 지형의 형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방차륜(FL, FR) 또는 후방차륜(RL, RR)에 연결된 에어서스펜션(80)에 에어를 차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제어장치(50)와 연결되는 커넥터(C1)는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의 커넥터(C2)와 연결되어 높이 정보를 에어제어장치(50)에 전달하며, 상기 높이 정보에 따라 전방차륜(FL, FR) 또는 후방차륜(RL, RR)에 연결된 에어서스펜션(80)에 에어를 차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는 에어서스펜션(80)과 결합되는 서스펜션결합부(74)와 차량의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71)로 구성되며, 프레임 결합부(71)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 운동하는 센서 가이드(72)가 부착되고 센서가이드(72)는 연결암(73)에 의해 서스펜션걸합부(74)에 결합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의 하부에 연결된 연결암(73)의 상하 운동에 따라 센서가이드(72)는 회전운동을 하는 구조로 작동하므로,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는 센서가이드(72)의 회전 운동에 따른 각도의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에어제어장치(50)에 전송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는 에어서스펜션(80)과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에어제어장치(50)에 전송된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의 각도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서스펜션(80)에 전자밸브(60)로 에어를 일정 기준에 의해 차별화하여 공급한다.
예를 들어 오프로드, 경사면에서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의 센싱값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설정값을 상기 에어제어장치(50)가 비교하여 차량의 지상고 높이 및 균형을 위해 미리 계산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영역(500)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은 제1 용수저장탱크(611) 상부에 형성되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탑승자 보호프레임(530)으로 이루어진다.
에어서스펜션(80)의 높이를 측정하는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70)에서 감지한 측정높이 값을 통해 에어제어장치(50)가 계산한 최적의 값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값에 따라 에어탱크(30)에 연결된 전자식의 전자밸브(60)를 조절하여 차량의 지상고를 조절한다.
만일 산을 올라가는 경우 또는 내려가는 경우에 있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의 전방차륜(FL, FR) 또는 후방차륜(RL, RR)의 차량의 지상고를 전자밸브를 조절하여 UP 또는 DOWN 시킬 수 있다.
이 때 중앙차륜(ML, MR)에는 에어서스펜션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방차륜(FL, FR) 또는 후방차륜(RL, RR)의 차량의 지상고에 따라 충분히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어컴프레서(20)는 상기 에어서스펜션(8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탱크(30)의 공기를 미리 주입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에어제어장치(50)에 근거리 통신 모듈(예 : 블루투스 모듈, RF 모듈 등)을 연결하고, 만일 베테랑 사용자가 어느 지형을 넘는 데에 있어,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의 전방차륜(FL, FR) 또는 후방차륜(RL, RR)의 차량의 지상고를 리모컨으로 전자밸브를 실시간 조절하여 에어서스펜션(80)의 높이를 UP 또는 DOWN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모컨을 오토바이 타입 운전대에 설치하고, 상기 리모컨 표면에 형성된 전방차륜(FL, FR) 또는 후방차륜(RL, RR)을 각각 UP 또는 DOWN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모컨은 자동차 또는 트럭의 전원 포트에 연결된 블루투스 또는 RF 모듈를 통해 에어제어장치와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상황에 따라 각각의 에어서스펜션(80)의 에어 압력을 미리 설정하여 제어부에 번호 1, 2, 3 등으로 저장한 후, 상기 번호에 따른 스위치를 누르면 미리 설정한 에어서스펜션(80)의 에어 압력이 에어제어장치(50)의 제어에 의해 에어탱크(30)를 통해 가해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용수저장탱크(610)는 후단 프레임(130) 또는 적재프레임(111)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일정량의 물, 바람직하게는 약 300리터 정도의 물을 보유한다.
용수저장탱크(610)는 서로 다른 공간에서 앞뒤 또는 상하로 위치를 달리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분할된 공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 용수저장탱크(611), 제2 용수저장탱크(612) 및 제3 용수저장탱크(6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할된 공간에 위치하는 제1 용수저장탱크(611), 제2 용수저장탱크(612) 및 제3 용수저장탱크(613)는 제4 밸브(614), 제5 밸브(615)를 구비하는 관체로 연결되어 필요한 용수저장탱크에 분사재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밸브의 개폐에 따라 분사재가 분할된 공간에서 중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용수저장탱크(611)에 유입된 용수는 제4 밸브(614)를 통해 제2 용수저장탱크(612)로 이동하게 되고, 제2용수저장탱크(612)로 이동한 용수는 제5 밸브(615)를 통해 제3 용수저장탱크(613)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용수의 이동에 의한 용수저장탱크(610)의 무게중심 구조는 중량체이고 유동체인 화재 진화용 소방용수 등을 분산 수용하여 주행 중에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만일, 제1 용수저장탱크(611) 내지 제3 용수저장탱크(613)를 설치하고, 산불을 끄기 위해 출동한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은 지속적인 고도의 상승으로 인해 급격한 기울기를 갖는 사선을 올라가야 하며, 이 때 상기 용수저장탱크(610)는 아래쪽 방향으로 쏠리게 된다.
특히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된 저장수단 중 제일 무거운 저장수단인 제1 용수저장탱크(611)는 차량의 차축 중 중간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제일 큰 제1 용수저장탱크(611)가 차량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차량의 균형을 유지하고 운행 시 안전을 도모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3 용수저장탱크(611, 613)는 내부에 1개 이상의 구멍(641)이 천공된 격벽(640)이 형성된다. 이 격벽(640)은 용수저장탱크(610)의 내구성을 유지하고, 주행 중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해 내부 유동 변화량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액체의 분사재가 출렁이거나 요동치는 것을 최소화하여 수송 중의 안전성을 높이며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게 된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분사수단(700)은 분사재 저장수단(600)에 저장된 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소화제(消火劑)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펌핑하는 펌핑장치, 상기 펌핑장치에서 펌핑된 소화제를 배출하는 배출호스,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저장수단(600)에는 2종류 이상의 소화제를 분리하여 탑재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저장수단(600)은 용수저장탱크(610)와 약액저장탱크(620)에 각각 물과 폼을 각각 분리하여 저장하여 탑재한 후 용도에 맞게 각각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분사수단은 도 4 및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2종류 이상의 소화제를 비율을 정하여 혼합하여 분사할 수 있는 비율조절장치(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비율조절장치(650)는 용수저장탱크(610)와 약액저장탱크(620), 가스저장탱크(630)에 저장된 소화제를 화재의 종류에 맞도록 비율을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용수저장탱크(610)와 약액저장탱크(620)에 각각 물과 농약을 저장하여 비율을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농도를 가장 적절하게 맞추어 효과적으로 방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은 현장과 통제센터간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GPS 위성과 통신이 가능하여, GPS 통신을 통해 ATV(1000)와 소방대원의 위치 및 화재현장 상황을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관제센터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통신부는 안내 디스플레이와 조작 인터페이스 및 자동항법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안내 디스플레이는 관제센터에서 수신되는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운전자 및 화재 진압자가 화재진압이 필요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자동항법장치는 실시간 지도를 바탕으로 화재발생지역이 표기되어 화재발생지역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통신장치와 관제센터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선 이동통신 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신속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기술로 차량 관제센터가 통신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열화상카메라(91, 92)와 상기 열화상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하고 모니터링하는 열화상모니터(93)로 구성되는 열화상감지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열화상모니터(93)는 내부에 제어부가 구비되어 열화상카메라에서 입력받아 기준치 이상의 픽셀 집중 영역 추출 후 잔불 여부를 제어부가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잔불 여부 또는 잔불 위치를 영상과 음성으로 알려준다. 상기 픽셀 집중 영역에서 잔불 및 열원 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HSI Color 모델을 사용하여, H(색상), S(채도), I(명도)의 속성 중 H 속성만을 활용함으로써 명확하게 잔불 및 열원 영역을 구분한다.
상기와 같은 열화상 카메라는 햇빛이 비치는 낮에 불길이 보이지 않는 경우의 화재진압이나 잔불을 진압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락 등 사고나 조난으로 인한 사람이나 동물을 탐색하거나 구조할 때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운전대는 오토바이 타입의 스틱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토바이 타입의 스틱형 운전대는 별도의 감속기어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험준한 지형에서 신속한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일반적인 차량의 경우 조향장치에 감속기어가 있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은 조향장치 내에 감속기어가 없으므로 험준한 산악지형이나 험로에서 방향의 제어 및 전환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차량에 비해 운전자의 시야각이 넓어 바위 등의 장애물이 많은 산악지역에서 운전자가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업상 화재진압 뿐만 아니라 인명구조, 재난 재해지역에서 구조 및 동식물 방제활동, 제설작업, 제초작업, 산림 병충해 예찰 및 방제 활동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활용 분야로서, 1) 산불 및 일반화재 진압, 2) 인명구조(산악, 해안, 재난재해지역) 및 안전순찰업무, 3) 산림병해충 방역ㅇ방제, 제설ㅇ제초작업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산불 발생시 험로, 험산 등은 화재진압차량 진입이 어려울 때나, 뒷 불정리에 필요한 많은 산불진화 인력을 신속하게 투입해야 하며, 각종 무거운 진화장비 등을 힘들게 직접 들고 올라가야 할 경우 특히 유용하다. 왜냐하면, 화재진압차량(소방차, 사다리차, 펌프차, 진압장비차 등은 대형화, 중량화 추세)은 대부분 대형차량으로 기동성이 떨어져 신속하게 화재발생지 접근이 어렵고, 소방차 통행 곤란지역인 도로협소지역 등은 진입 불가하며, 기상악화로 헬기운행이 어려워 강풍, 야간, 짙은 안개 등에도 출동 가능한 새로운 타입의 차량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1) 전담소방요원과 2) 전담의용소방대원을 양성하고, 3) ATV 및 소방제품 관련 기술ㅇ생산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고용 창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재 프레임(111)은 분사재 저장수단(600)과 분사수단(700)이 안정적으로 탑재되며, 인명 또는 동물 구조용 침상(112)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적재 프레임(111)에는 분사재 저장수단(600) 및 상기 분사수단(700)이 배제되고 인명 또는 동물 구조용 침상(112)이 구비될 수 있다.
현재 ATV 생산국으로서 미국, 캐나다, 대만, 중국, 일본 등이 있지만 국산화되지 않아, 제품의 국산화 확대계기로 향후 기술이전으로 고가의 외산제품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차폭이 1.0m 이상 ~ 1.5m 이하 이어서 교통량이 많은 아침ㅇ저녁의 혼잡한 출퇴근 시간의 경우 현장 출동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1) 상습 불법주정차로 인한 진입이 어려운 도로의 경우, 2) 비탈지고 경사진 협로, 계단, 골목길의 경우, 3) 주거 밀집지역의 경우, 4) 전통시장지역의 경우 등과 같은 산악지역 및 통행불가(곤란)지역의 현장 접근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1) 혼자서도 운전, 진화작업, 방수가 가능하고, 2) 손쉬운 작동법과 자격요건은 2종 소형 운전면허소지자, 3) 산불현장에 필요한 등짐펌프, 기계톱 등 무거운 짐을 운반, 4) 자흡능력 : 길이 없는 담수지에 쉽게 접근하여 담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1) 통신 모듈을 통해 현장 상황(열화상 카메라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통제센터에 전달할 수 있고, 2) 소방차 진입을 위한 현장의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3) 강풍, 야간, 짙은 안개 등으로 헬기 운행이 불가할 때 대체 투입이 가능하고, 4)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되어 숨어있는 잔불확인, 실종자수색 가능하며, 5) 험로가 많은 한국지형에 최적화되고, 6) 작은 소방차량으로 큰 비치 공간이 필요 없으며, 7) 폼방수능력 : 유류화재 진압 능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1) 모듈방식으로 3개의 물탱크가 앞뒤 또는 상하로 분리된 공간에 설치하며, 2) 용량이 큰 탱크를 중간축 상부에 설치하여 무게중심 역할을 하게 하고, 3) 1탱크에 해치가 있어 담수 속도가 빠르다.
본 발명은 차폭과 축간거리가 좁고, 차량의 지상고가 높아 험한 한국산악지형에 적합한 오토바이 타입으로서 시야각이 넓어 험로 운행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1) 차량의 지상고 조절이 가능하며, 2)안정적인 설계로 급경사에 전복방지를 위하여, ① 3개 탱크가 분리되고, ②용량 큰 1탱크가 중간축 상부에 설치되고, ③ 탱크 내부에 천공된 격벽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1) 이륜, 삼륜소방차는 소화기와 소방호스 등만 탑재되어 화재진압에 제한적이고, 2) 육륜소방차는 차폭과 축간거리가 좁고, 지상고가 높아 험로인 한국산악지형에 적합하며, 3) 에어서스펜션이 장착되어 ■ 차량의 지상고 조절이 가능하고, ■ 무거운 짐을 싣거나 급경사에도 앞바퀴가 뜨지 않으며, ■ 무게중심을 잡아주어 조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은 펌핑 호스와 소방 호스를 릴레이 형식으로 무한 연결하여 어느 장소의 화재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1000: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10: 차량 20: 에어컴프레서
30: 에어탱크 40: 배터리
50: 에어제어장치 52: 커넥터
60: 전자밸브
70: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 71: 새시결합부
72: 센서가이드 73: 연결암
74: 서스펜션결합부
80: 에어서스펜션 90: 열화상감지부
91: 열화상카메라(전방) 92: 열화상카메라(후방)
93: 열화상모니터 100: 프레임
110: 베이스 프레임 111: 적재 프레임
112: 구조용 침상 113: 화물적재공간
120: 선단 프레임 130: 후단 프레임
140: 대쉬보드 200: 엔진
201: 전방구동축 202: 후방구동축
300: 동력전달수단 400: 이동용 바퀴
401, 402: 전륜 403, 404: 중간륜
404, 405: 후륜 410: 스테빌라이저
421, 422: 에어서스펜션 500: 제어영역
510: 제어수단
530: 보호 프레임 600: 분사재 저장수단
610: 용수저장탱크 611: 제1 용수저장탱크
612: 제2 용수저장탱크 613: 제3 용수저장탱크
614: 제4 밸브 615: 제5 밸브
620: 약액저장탱크 630: 가스저장탱크
640: 격벽 641: 구멍
650: 비율조절기
700: 분사수단 710: 펌핑장치
720: 분사노즐 730: 배출호스
740: 개폐수단 741: 제1 밸브
742: 제2 밸브 743: 제3 밸브
750: 권취장치 810: 제1 차동장치
820: 제2 차동장치 830: 제3 차동장치
910: 제1 차축 920: 제2 차축
930: 제3 차축

Claims (17)

  1.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3 개, 4개 또는 5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차축 양측에 각각 차륜이 결합되어 주행 가능한 차량;
    상기 차량에 장착되어, 에어를 생산하는 에어컴프레서로 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탱크;
    상기 차축 중 1개 이상 차축의 양측과 프레임 사이에 결합설치되고,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의 센싱값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따라 에어제어장치가 전자밸브를 통해 에어를 일정 기준에 의해 차별화하여 상기 에어탱크의 에어를 공급받아 차량의 지상고를 제어하는 에어서스펜션;
    상기 에어서스펜션과 결합되어 에어서스펜션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상기 에어제어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서스펜션결합부와 차량의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로 구성되며, 프레임 결합부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 운동하는 센서 가이드가 부착되고 센서가이드는 연결암에 의해 서스펜션결합부에 결합되어 에어서스펜션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차폭이 1.0m 이상 ~ 1.5m 이하이고, 상기 차량의 운전대는 오토바이 타입의 스틱형이고,
    상기 차륜들이 구동 가능하도록 차동장치 및 디퍼런셜락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각 차축의 양측에 차륜이 1개 또는 2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은
    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하나 이상의 소화제(消火劑)를 보유한 장소 또는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펌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펌핑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분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분사수단 중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소화제가 상기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 간에 이동이 가능한 연결 장치로 연결되며,
    상기 2종류 이상의 상기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은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는 인명 또는 동물 구조용 침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은
    소화제(消火劑)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 및
    상기 저장수단에서 공급되는 소화제(消火劑)를 분사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2개 이상의 분할된 공간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분할된 저장수단 중 제일 무거운 저장수단이 차량의 차축 중 중간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9.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저장수단 내부에 1개 이상의 구멍이 천공된 하나 이상의 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소화제(消火劑)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펌핑하는 펌핑장치;
    상기 펌핑장치에서 펌핑된 소화제를 배출하는 배출호스;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에는 2종류 이상의 소화제를 분리하여 탑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2종류 이상의 소화제를 비율을 정하여 혼합하여 분사할 수 있는 비율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현장과 통제센터간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전방 또는 후방에 열화상카메라와 상기 열화상카메라의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열화상모니터로 구성되는 열화상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는 상기 에어서스펜션의 높이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상기 에어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전송된 에어서스펜션높이센서의 센싱값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를 통해 상기 에어서스펜션에 에어를 일정 기준에 의해 차별화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17. 삭제
KR1020190091637A 2019-07-29 2019-07-29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KR102069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37A KR102069884B1 (ko) 2019-07-29 2019-07-29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37A KR102069884B1 (ko) 2019-07-29 2019-07-29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884B1 true KR102069884B1 (ko) 2020-02-12

Family

ID=6956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637A KR102069884B1 (ko) 2019-07-29 2019-07-29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8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642B1 (ko) * 2020-03-10 2020-06-09 주식회사 딜리 소방용 오토사이클
CN111450449A (zh) * 2020-04-03 2020-07-28 安徽嘉业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载高压灭火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795A (ja) * 2001-01-10 2002-07-23 Shinichiro Hayashi 貯留槽
JP2006315684A (ja) * 2006-09-05 2006-11-24 Toyota Motor Corp 横加速度検出装置
KR200440740Y1 (ko) 2007-05-11 2008-06-30 최한균 살수용 오토바이
US20090294139A1 (en) * 2008-05-27 2009-12-03 Wilson Robert H Vehicle for Fire Control and Fire Rescue Operations in Extreme Wildlands
KR101050260B1 (ko) 2009-01-30 2011-07-19 주식회사 에코카 미분무수 분사장치가 탑재된 소형 소방차
KR20150122398A (ko) * 2014-04-23 2015-11-02 주식회사 경진인터내쇼날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
KR101613451B1 (ko) 2015-09-15 2016-04-22 김대우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12295A (ko) 2014-05-22 2017-02-02 바브코 게엠베하 에어 서스펜션이 장착된 자동차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724061B1 (ko) 2016-01-29 2017-04-06 (주)비젼웨이브 다기능 소방 차량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795A (ja) * 2001-01-10 2002-07-23 Shinichiro Hayashi 貯留槽
JP2006315684A (ja) * 2006-09-05 2006-11-24 Toyota Motor Corp 横加速度検出装置
KR200440740Y1 (ko) 2007-05-11 2008-06-30 최한균 살수용 오토바이
US20090294139A1 (en) * 2008-05-27 2009-12-03 Wilson Robert H Vehicle for Fire Control and Fire Rescue Operations in Extreme Wildlands
KR101050260B1 (ko) 2009-01-30 2011-07-19 주식회사 에코카 미분무수 분사장치가 탑재된 소형 소방차
KR20150122398A (ko) * 2014-04-23 2015-11-02 주식회사 경진인터내쇼날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
KR20170012295A (ko) 2014-05-22 2017-02-02 바브코 게엠베하 에어 서스펜션이 장착된 자동차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613451B1 (ko) 2015-09-15 2016-04-22 김대우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4061B1 (ko) 2016-01-29 2017-04-06 (주)비젼웨이브 다기능 소방 차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642B1 (ko) * 2020-03-10 2020-06-09 주식회사 딜리 소방용 오토사이클
CN111450449A (zh) * 2020-04-03 2020-07-28 安徽嘉业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载高压灭火装置
CN111450449B (zh) * 2020-04-03 2021-04-13 安徽嘉业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载高压灭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9750A (en) All terrain fire-fighting vehicle
KR102069884B1 (ko)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US7007761B1 (en) Emergency response vehicle
CN202986930U (zh) 多功能车
US5476146A (en) Fire fighting all terrain vehicle
US6798343B2 (en) Mobile emergency response platform
KR102124179B1 (ko) 방재 및 구조용 시스템
US4195694A (en) Rescue vehicle
CN104608825B (zh) 轮式全地形车
US8025325B1 (en) All terrain retrieval vehicle for medical emergencies
US20050126631A1 (en) Catv fire fighting vehicle
US11260254B2 (en) Wildland urban interface firefighting apparatus
CN103223889A (zh) 多功能车
CN203447677U (zh) 全地形森林消防车
KR101724061B1 (ko) 다기능 소방 차량
KR20190115748A (ko) 긴급 소방차
US7451853B2 (en) Vehicle with elevated cockpit
CN221014283U (zh) 一种多功能可驾驶灭火消防机器人
KR20030001387A (ko) 스쿠터, 모터 사이클 등에 탑재되는 소방 장치
CN210454317U (zh) 一种消防机器人的全地形轮
CN113499559B (zh) 一种全地形沙滩灭火救援消防摩托车
EP0871518B1 (en) Fire-fighting all-terrain vehicle
CN205022733U (zh) 轻型多地形车
CN204488943U (zh) 全地形车车架结构
Gifford Super Trucks: The Biggest, Fastest, Coolest Tru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