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579B1 - 수신기 - Google Patents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579B1
KR102068579B1 KR1020187009683A KR20187009683A KR102068579B1 KR 102068579 B1 KR102068579 B1 KR 102068579B1 KR 1020187009683 A KR1020187009683 A KR 1020187009683A KR 20187009683 A KR20187009683 A KR 20187009683A KR 102068579 B1 KR102068579 B1 KR 10206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angle
angle
specific
wheel
transmiss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849A (ko
Inventor
야스히사 츠지타
Original Assignee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deformation of the tyre, e.g. tyre mounted deformation sensors or indirect determination of tyre deformation based on wheel speed, wheel-centre to ground distance or inclination of wheel axle
    • B60C23/061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deformation of the tyre, e.g. tyre mounted deformation sensors or indirect determination of tyre deformation based on wheel speed, wheel-centre to ground distance or inclination of wheel axle by monitoring whee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47Wheel or tyre mounted circuits
    • B60C23/0455Transmission control of wireless signals
    • B60C23/0459Transmission control of wireless signals self triggered by motion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5Automatically identifying wheel mounted units, e.g. after replacement or exchange of wheels
    • B60C23/0416Automatically identifying wheel mounted units, e.g. after replacement or exchange of wheels allocating a corresponding wheel position on vehicle, e.g. front/left or rear/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8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omprising additional sensors in the wheel or tyre mounted monitoring device, e.g. movement sensors, microphones or earth magnetic field sensors
    • B60C23/0488Movement sensor, e.g. for sensing angular speed, acceleration or centripet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8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omprising additional sensors in the wheel or tyre mounted monitoring device, e.g. movement sensors, microphones or earth magnetic field sensors
    • B60C23/0489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omprising additional sensors in the wheel or tyre mounted monitoring device, e.g. movement sensors, microphones or earth magnetic field sensors for detecting the actual angular posi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while the wheel is tur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03Kinematic accelerometers, i.e. measuring acceleration in relation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e.g. Ferratis accelero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4Tyre sensors other than for detecting tyre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각 차륜에 장착된 송신기는, 차륜이 등각도를 두고 설정된 복수의 특정각도 중 어느 특정각도가 된 때에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차량에 탑재되는 수신기는,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회전각도 검출부로부터 차륜의 회전각도를 취득하고, 취득된 회전각도를 특정각도끼리의 각도차의 값을 사용하여 보정함으로써 특정회전각도를 얻는다. 특정회전각도는, 동일한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회전각도로 간주할 수 있는 값이다. 수신기는, 특정회전각도를 사용하여 송신 데이터 중의 ID코드와 차륜을 대응짓는다.

Description

수신기
본 발명은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타이어 상태를 운전자가 차량 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가 알려져 있다.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는 복수의 차륜 각각에 장착되는 송신기와, 차량에 탑재된 수신기를 구비한다. 각 송신기는 타이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한다. 수신기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타이어의 상태를 파악한다.
상기한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에서는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이어 상태가 복수의 타이어 중 어느 타이어에 관한 것인지, 환언하면, 수신한 송신 데이터가 복수의 차륜 중 어느 차륜에 장착된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것인지를 수신기에서 특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타이어 감시장치는 복수의 차륜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탑재된다. 송신기는 차륜의 회전각도가 미리 정해진 특정각도가 된 것을 검출한 때에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수신기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하여, 회전각도 검출장치로부터 각 차륜의 회전각도를 취득한다. 수신기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각 차륜의 회전각도의 편차로부터 각 송신기가 어느 차륜에 장착된 것인지를 판정한다.
차량에 따라서는 각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가 서로 간섭하는 널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는 특정각도가 널 포인트와 일치하는 경우,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기가 수신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각 송신기가 어느 차륜에 장착된 것인지를 특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는 특정각도는 복수로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특정각도가 복수 설정되는 경우,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회전각도는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 특정각도마다 분류되고, 분류된 회전각도마다 편차가 구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4-227124호 공보
그런데, 주행에 따른 각 차륜의 회전수(회전속도)의 차를 이용하여 각 송신기가 어느 차륜에 장착된 것인지를 특정하는 수신기에서는 동일한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되는 회전각도를 복수회 얻을 필요가 있다. 특정각도가 복수 설정되는 경우, 특정각도의 수만큼 회전각도가 얻어지는 횟수가 분산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1개의 특정각도(일정각도)에서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에 비하여 각 송신기의 특정에 필요한 수의 회전각도를 취득하기 위한 시간이 길어진다. 결과적으로, 각 송신기가 어느 차륜에 장착되었는지의 특정에 요구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송신기가 복수의 차륜 중 어느 차륜에 장착되었는지의 특정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신기는, 복수의 차륜 각각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부를 갖는 차량에 탑재되며, 상기 복수의 차륜 각각에 장착된 송신기가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어느 차륜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수신기는, 상기 차륜이 상기 회전각도가 취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등각도를 두고 설정된 복수의 특정각도 중 어느 특정각도가 된 것을 상기 송신기가 검출한 때에 당해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하여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로부터 상기 회전각도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회전각도를 상기 특정각도끼리의 각도차의 값을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동일한 상기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상기 회전각도로 간주할 수 있는 특정회전각도를 얻도록 구성된 보정부와, 상기 특정회전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ID코드와 상기 차륜의 대응을 행하도록 구성된 특정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특정회전각도를 이용하여 ID코드와 차륜의 대응을 행함으로써 각 송신기가 어느 차륜에 장착되었는지가 특정된다. 특정회전각도는 동일한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회전각도로 간주할 수 있는 값이다. 복수의 특정각도에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단일의 특정각도(일정각도)에서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 것으로 간주하여, 각 송신기가 어느 차륜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송신기가 어느 차륜에 장착되었는지의 특정에 요구되는 특정회전각도의 취득수(샘플수)가 분산되는 것이 억제되고, 각 송신기가 어느 차륜에 장착되었는지의 특정에 요구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상기 회전각도가 취득된 경우, 당해 회전각도를 보정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상기 특정회전각도를 얻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회전각도를 상기 특정각도끼리의 각도차의 값으로 잉여연산하여 얻어진 값을 상기 특정회전각도로서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회전각도의 보정을 행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송신기가 복수의 차륜 중 어느 차륜에 장착되는지의 특정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a)는 차량에 탑재된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1(b)는 차량의 각 차륜과 가속도 센서의 검출축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회전 센서 유닛의 개략도
도 3은 차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의 개략도
도 4는 송신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a)는 제1각도를 나타낸 개략도, 도 5(b)는 제2각도를 나타낸 개략도
도 6(a)는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당해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가 장착된 차륜의 회전각도를 취득한 때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도 6(a)의 분포를 특정회전각도의 분포로 변환한 도면
도 7은 특정각도가 취할 수 있는 범위를 4등분한 각도범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특정각도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수신기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로서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30)은 차량(10)에 탑재된다. 먼저, 차량(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10)은 스타트 스위치(14)와, 차량제어장치(15)를 구비한다. 차량제어장치(15)는 스타트 스위치(14)의 조작에 따라 차량(10)의 기동상태와 정지상태를 전환한다. 차량(10)의 기동상태란 액셀페달의 조작이나 공조기기 등의 차량탑재기기의 조작과 같은 운전자의 차량(10)의 조작에 의해 차량(10)이 주행하거나, 차량탑재기기가 작동하거나 하는 상태이다. 차량(10)의 정지상태란 운전자에 의해 차량(10)의 조작이 행해져도 차량(10)의 주행이나 차량탑재기기의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이다.
차량(10)은 4개의 차륜(11)을 구비한다. 각 차륜(11)은 휠(12)과, 휠(12)에 장착된 타이어(13)를 구비한다. 각 차륜(11) 중 우측 앞의 차륜(11)을 우전차륜(FR), 좌측 앞의 차륜(11)을 좌전차륜(FL), 우측 뒤의 차륜(11)을 우후차륜(RR), 좌측 뒤의 차륜(11)을 좌후차륜(RL)으로서 설명한다.
차량(10)은 ABS(20)(앤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를 구비한다. ABS(20)는 ABS 컨트롤러(25)와, 4개의 차륜(11)에 각각 대응하는 회전 센서 유닛(21~24)를 구비한다. 제1회전 센서 유닛(21)은 좌전차륜(FL)에 대응하고, 제2회전 센서 유닛(22)은 우전차륜(FR)에 대응한다. 제3회전 센서 유닛(23)은 좌후차륜(RL)에 대응하고, 제4회전 센서 유닛(24)은 우후차륜(RR)에 대응한다. ABS 컨트롤러(25)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센서 유닛(21~24)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 차륜(11)의 회전각도를 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BS 컨트롤러(25), 및 각 회전 센서 유닛(21~24)이 회전각도 검출부로서 기능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센서 유닛(21~24)은 차륜(11)과 일체로 회전하는 치차(26)(펄스 휠)와, 치차(26)의 외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검출기(27)를 구비한다. 치차(26)의 외주면에는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48개)의 기어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검출기(27)는 치차(26)가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펄스를 검출한다.ABS 컨트롤러(25)는 검출기(27)에 유선접속되며, 각 검출기(27)의 검출값으로서의 펄스 카운트값(이하, 펄스 카운트값이라 기재)에 기초하여, 각 차륜(11)의 회전각도를 구한다. 구체적으로, 치차(26)가 회전함으로써 기어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펄스가 검출기(27)에 발생한다. ABS 컨트롤러(25)는 검출기(27)에 발생한 펄스를 카운트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펄스의 상승과 하강을 카운트한다. 기어의 수가 48개이므로 ABS 컨트롤러(25)는 0~95까지 카운트를 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회전 센서 유닛(21~24)의 분해능은 3.75도라 할 수 있다.
다음,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30)은 4개의 차륜(11)에 각각 장착되는 4개의 송신기(31)와, 차량(10)에 설치되는 수신기(50)를 구비한다. 송신기(31)는 타이어(13)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도록 차륜(11)에 설치된다. 송신기(31)로는 타이어 밸브에 고정된 것이나, 휠(12)이나 타이어(13)에 고정된 것이 사용된다. 송신기(31)는 대응하는 타이어(13)의 상태(예를 들면, 타이어 공기압이나 타이어 내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한 타이어(13)의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기(50)에 무선송신한다.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30)은 송신기(31)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기(50)에서 수신함으로써 타이어(13)의 상태를 감시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송신기(31)는 압력 센서(32), 온도 센서(33), 가속도 센서(34), 송신 제어부(35), 송신회로(36), 배터리(37), 및 송신 안테나(39)를 구비한다. 송신기(31)는 배터리(37)로부터의 공급전력에 의해 동작하고, 송신 제어부(35)는 송신기(31)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배터리(37)는 1차전지일 수 있고, 2차전지나 커패시터 등의 축전장치일 수 있다.
압력 센서(32)는 대응하는 타이어(13)의 공기압을 검출한다. 압력 센서(32)는 검출결과를 송신 제어부(35)에 출력한다. 온도 센서(33)는 대응하는 타이어(13) 내의 온도를 검출한다. 온도 센서(33)는 검출결과를 송신 제어부(35)에 출력한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34)는 검출축(34a)을 구비하고, 검출축(34a)을 따른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가속도 센서(34)는 검출결과를 송신 제어부(35)에 출력한다. 가속도 센서(34)는 1축의 가속도 센서(34)일 수 있고, 다축의 가속도 센서(34)일 수도 있다.
가속도 센서(34)는 송신기(31)가 차륜(11)의 최하위치 혹은 최상위치에 위치한 때에, 검출축(34a)이 연직방향(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검출축(34a) 이외에도 검출축을 갖는 다축의 가속도 센서(34)의 경우에는 각각의 검출축에 작용하는 가속도가 개별로 검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속도 센서(34)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는 검출축(34a)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 제어부(35)는 CPU(35a) 및 송신 기억부(35b)(RAM이나 ROM 등)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송신 기억부(35b)에는 각 송신기(31) 고유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ID코드가 기억된다. 이로써, 송신기(31)에는 ID코드가 등록된다. 설명의 편의상, 좌전차륜(FL)에 장착된 송신기(31)의 ID코드를 FLID, 우전차륜(FR)에 장착된 송신기(31)의 ID코드를 FRID, 좌후차륜(RL)에 장착된 송신기(31)의 ID코드를 RLID, 우후차륜(RR)에 장착된 송신기(31)의 ID코드를 RRID로 표기한다.
송신 기억부(35b)는 송신기(31)를 제어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송신 제어부(35)는 계시기능을 구비한다. 계시기능은, 예를 들면, 타이머나 카운터에 의해 실현된다. 송신 제어부(35)는 소정의 취득간격마다 압력 센서(32), 온도 센서(33), 가속도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검출결과를 취득한다.
송신 제어부(35)는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타이어 상태(예를 들면, 타이어 공기압이나 타이어 내 온도)나, ID코드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송신 제어부(35)는 생성한 송신 데이터를 송신회로(36)에 출력한다. 송신회로(36)는 송신 제어부(35)로부터 출력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한다. 변조된 송신 데이터는 무선신호로서 송신 안테나(39)로부터 송신된다. 무선신호는, 예를 들면 RF대(예를 들면, 315MHz나, 434MHz대)의 신호로서 송신된다.
송신기(31)는 서로 다른 2개의 송신모드로서, 차륜(11)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상송신과, 차륜(11)의 회전각도가 미리 정해진 특정각도가 된 때에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특정각도송신을 행한다.
통상송신에서는 소정의 간격마다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소정의 간격은 예를 들면, 십초~수십초 등이다. 특정각도송신은 예를 들면, 차량(10)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하여 정지한 후에 차량(10)이 주행을 개시한 경우에 행해진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예를 들면, 수십분~수시간 등, 타이어 교환이 가능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즉, 특정각도송신은 타이어 로테이션 등에 따라 차륜(11)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행해진다.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지 정지하고 있는지는 가속도 센서(34)의 검출결과(원심가속도)로부터 판단된다.
특정각도송신시에는 차륜(11)의 회전각도가 미리 정해진 특정각도가 된 것을 송신 제어부(35)가 검출한 때에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1회전의 송신 데이터의 송신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십초~수십초)이 경과하고, 또한, 특정각도가 검출된 경우에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특정각도가 설정되고, 여기서는, 송신기(31)가 차륜(11)의 최상위치인 경우의 각도인 제1각도와, 송신기(31)가 차륜(11)의 최하위치인 경우의 각도인 제2각도가 특정각도로서 설정된다, 제1각도를 기준(0도)으로 한 경우, 제2각도는 180도가 된다. 제1각도와 제2각도의 각도차는 180도이다. 송신 제어부(35)는 제1각도와 제2각도에서 교대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송신기(31)가 특정각도가 되었다는 것은, 가속도 센서(34)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에 의해 검출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축(34a)의 연장되는 방향은 차륜(11)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원심가속도가 작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어, 가속도 센서(34)는 차륜(11)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원심가속도를 검출한다. 한편, 중력가속도는 항상 연직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검출축(34a)이 연직방향을 향하지 않는 경우, 가속도 센서(34)는 중력가속도의 분력(중력가속도 성분)을 검출한다. 가속도 센서(34)는 원심가속도에 중력가속도를 더한 가속도를 검출한다.
여기서, 차량(10)의 급가속이나 급정지가 없는 한, 차륜(11)이 1회전 하는 사이에 변화하는 원심가속도는 매우 작다. 따라서, 차륜(11)이 1회전 하는 사이에 변화하는 가속도는 중력가속도라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력가속도의 변화로부터 차륜(11)의 회전각도가 특정각도가 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중력가속도만을 고려할 경우, 중력가속도는 차륜(11)이 1회전 하는 사이에 +1[G]~-1[G]의 사이에서 변화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중력가속도는 송신기(31)가 차륜(11)의 최하위치일 때에 +1[G]이고, 송신기(31)가 차륜(11)의 최상위치일 때에 -1[G]가 된다.
송신 제어부(35)는 가속도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차륜의 회전각도가 특정각도가 된 것을 검출한 때에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34)의 정밀도나, 송신 제어부(35)가 가속도 센서(34)로부터 검출결과를 취득하는 취득간격이나, 주행상황에 따른 외란 등에 의해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는 송신각도는 특정각도를 중심으로 하여 편차가 생긴다.
다음, 수신기(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기(50)는 수신 제어부(51)와, 수신회로(52)와, 수신 안테나(56)를 구비한다. 수신 제어부(51)에는 차량(10)에 탑재된 표시기(57)가 접속된다. 수신 제어부(51)는 CPU(54) 및 수신 기억부(55)(ROM이나 RAM 등)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신 제어부(51)는 계시기능을 구비한다. 계시기능은 예를 들면, 타이머나 카운터에 의해 실현된다. 수신회로(52)는 각 송신기(31)로부터 수신 안테나(56)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송신 데이터를 수신 제어부(51)에 출력한다. 수신회로(52)가 수신부로서 기능한다.
수신 제어부(51)는 수신회로(52)로부터의 송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이어(13)의 상태(예를 들면, 타이어 공기압이나, 타이어 내 온도)를 파악한다. 수신 제어부(51)는 타이어(13)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표시기(57)로서 알림을 행한다. 또한, 표시기(57)에는 각 타이어(13)의 압력이 차륜(11)의 위치에 대응지어 표시된다.
수신 기억부(55)에는 수신기(50)가 탑재된 차량(10)의 각 차륜(11)에 장착된 4개의 송신기(31)의 ID코드가 기억된다. 이로써, 수신기(50)와 송신기(31)는 대응지어진다. 수신 제어부(51)는 수신기(50)가 탑재된 차량(10)의 각 차륜(11)에 장착된 4개의 송신기(31)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자신에게 보내진 송신 데이터로서 인식한다. 수신 제어부(51)는 수신회로(52)가 수신한 송신 데이터와, 수신 기억부(55)에 기억된 ID코드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31)에 등록된 식별정보(ID코드)의 대조를 행한다. 수신 제어부(51)는 송신 데이터가 수신기(50)에 대응지어진 송신기(31)로부터 송신된 것인지를 판단하면, 당해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이어(13)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압력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를 수신기(50)가 탑재된 차량(10)의 데이터로 간주한다.
다음, 각 송신기(31)가 복수의 차륜(11) 중 어느 차륜(11)에 장착된 것인지를 특정하는 차륜위치 특정처리에 대하여 작용과 함께 설명한다. 차륜위치 특정처리는, 예를 들면, 스타트 스위치(14)의 조작에 따라 차량(10)이 정지상태로부터 기동상태가 된 때에 행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 송신기(31)의 송신모드는 특정각도송신으로 한다. 이로써, 타이어의 로테이션이 행해진 경우에도, 수신 제어부(51)는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된 것인지를 자동으로 인식 가능하다.
수신 제어부(51)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면 당해 수신을 계기로 하여 각 회전 센서 유닛(21~24)의 펄스 카운트값(차륜(11)의 회전각도))을 ABS 컨트롤러(25)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수신 제어부(51)는 펄스 카운터값으로부터 차륜(11)의 회전각도를 연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수신 제어부(51)가 취득부로서 기능한다. 즉, 취득부는 수신 제어부(51)의 기능의 일부로서 실현된다.
여기서, 차량(10)의 주행 중에 각 차륜(11)의 회전수(회전각도)는 디퍼런셜 기어 등의 영향에 따라 서로 다르다. 각 차륜(11)에 장착된 송신기(31)의 상대위치, 즉, 각 차륜(11)끼리의 회전각도의 차는 차량(10)의 주행에 따라 변화된다. 이 때문에, 송신기(31)가 특정각도에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4개의 차륜(11)의 회전각도를 복수회씩 취득하였다고 하면, 4개의 차륜(11) 중 어느 1개의 차륜(11)만이 회전각도의 편차가 작아진다. 환언하면, 각 송신기(31)가 특정각도에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펄스 카운트값을 취득하면, 펄스 카운트값의 편차가 작은 회전 센서 유닛(21~24)이 1개 존재한다.
예를 들면, 어느 1개의 송신기(31)로부터 복수회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고,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당해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31)가 장착된 차륜(11)의 회전각도를 취득한 경우, 취득된 회전각도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포하게 된다. 한편, 어느 1개의 송신기(31)로부터 복수회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고,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당해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기(31)가 장착되지 않은 차륜(11)의 회전각도를 취득한 경우, 회전각도는 난잡하게 분산된다. 도 6(a)에 나타낸 예에서는 60도 부근 및 240도 부근의 회전각도가 취득되는 횟수가 많고, 60도 및 240도로부터 멀어진 회전각도일수록 취득되는 횟수가 적다. 펄스 카운트값은 스타트 스위치(14)에 의해 차량(10)이 정지상태가 되면 리셋된다. 따라서, 차륜(11)의 절대각도와 특정각도의 대응관계는 차량(10)이 정지상태가 될 때마다 변화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각 회전 센서 유닛(21~24)으로부터 취득되는 회전각도를 제1취득회전각도, 제2각도에서 송신된 송신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각 회전 센서 유닛(21~24)으로부터 취득되는 회전각도를 제2취득회전각도로 한다. 또한, 양자를 총칭하여 취득회전각도로 한다.
수신 제어부(51)는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회전각도를 얻으면, 당해 취득회전각도를 특정각도끼리의 각도차로 잉여연산(剩餘演算)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정각도끼리의 각도차, 즉, 제1각도와 제2각도의 차는 180이므로, 취득회전각도가 180도로 잉여연산된다.
수신 제어부(51)는 잉여연산에 의해 얻어진 값(잉여)을 특정회전각도로 한다. 또한, 제1취득회전각도 또는 제2취득회전각도는 잉여연산 전과 잉여연산 후에서 동일한 값이 되기 때문에, 보정(또는 변환)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즉, 취득회전각도의 보정(또는 변환)은 결과적으로 값이 변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취득회전각도와 제2취득회전각도를 동일한 각도라고 간주할 수 있도록 취득회전각도를 연산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수신 제어부(51)는 보정부로서 기능한다. 즉, 보정부는 수신 제어부(51)의 기능의 일부로서 실현된다.
특정회전각도는 동일한 특정각도(제1각도 또는 제2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회전각도라고 간주할 수 있다. 제1각도와 제2각도의 각도차는 차륜(11)의 회전방향에서 어느 방향으로의 각도차라도 180도이다. 즉, 제1각도와 제2각도는 회전각도가 취할 수 있는 범위(360도) 내에서 등각도를 두고 설정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각도에 180도를 감산(혹은 가산)하면 제2각도가 되고, 제2각도에 180도를 감산(혹은 가산)하면 제1각도가 된다. 그러면, 취득회전각도를 180도에서 잉여연산하면 제1취득회전각도 및 제2취득회전각도 중 절대각도가 큰 쪽은 절대각도가 작은 쪽과 동일한 취득회전각도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취득회전각도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범위(0도~180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당해 취득회전각도의 보정(잉여연산)이 행해짐으로써, 소정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특정회전각도가 얻어지게 된다. 소정의 범위와 특정각도의 각도차(본 실시형태에서는 180도)는 일치한다.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낸 예에서, 제1각도가 60도에 대응하고(제1취득회전각도가 60도), 제2각도가 240도에 대응한다(제2취득회전각도가 240도)고 한다. 60도를 180도로 잉여연산하여 얻어진 특정회전각도는 60도가 되고, 240도를 180도로 잉여연산하여 얻어진 특정회전각도는 60도가 된다. 따라서, 60도와 240도는 함께 60도로서 취급된다.
도 6(a)에 나타낸 취득회전각도의 분포를 특정회전각도의 분포로 변환하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분포가 얻어진다. 즉, 240도 부근의 각도에 분포하던 취득회전각도가 60도 부근의 취득회전각도에 적산된 분포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80도에서 잉여연산을 행하기 때문에, 특정회전각도가 취할 수 있는 값(범위)는 0도~176.25도(48카운트분)가 된다. 따라서, 특정회전각도를 도출하는 것은 회전각도가 취할 수 있는 값(범위)을 작게 하고, 그 범위에 취득회전각도를 집약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취득회전각도를 각각 잉여연산하여 얻어진 2개의 특정회전각도는 동일한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것이라 간주할 수 있다. 수신 제어부(51)는 특정회전각도를 사용하여 ID코드와 각 차륜(11)의 대응, 즉,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의 특정을 행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제어부(51)는 특정회전각도가 취할 수 있는 범위를 복수로 등분한 각도 범위마다 특정회전각도를 나눈다. 이로써, 특정회전각도가 포함되는 횟수가 각도 범위마다 구분된 히스토그램이 작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정회전각도가 취할 수 있는 범위인 180도를 4등분한 각도 범위가 설정된다. 각도 범위는 0도~44도, 45도~89도, 90도~134도, 135도~179도의 범위가 된다. 분해능에 따르면, 0도~44도의 각도 범위에는 0도~41.25도의 특정회전각도, 45도~89도의 각도 범위에는 45도~86.25도의 특정회전각도, 90도~134도의 각도 범위에는 90도~131.25도의 특정회전각도, 135도~179도의 각도 범위에는 135도~176.25도의 특정회전각도가 각각 포함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회전각도를 취득하면, 4개의 차륜(11) 중 1개에서는 회전각도의 편차가 작다. 따라서, 특정회전각도를 상기한 4개의 각도 범위로 나누면 4개의 차륜(11) 중 1개에 대하여는 특정회전각도가 취득되는 횟수가 특정의 각도 범위에 집중된다. 한편, 나머지 3개의 차륜(11)에 대하여는 특정회전각도가 취득되는 횟수가 난잡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특정회전각도가 포함되는 횟수가 특정의 각도 범위에 집중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회전각도를 각도 범위로 나눌 때에 특정회전각도를 포함하는 횟수가 돌출하여 많아지는 각도 범위가 나타나는지의 여부에 따라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회전각도를 포함하는 횟수가 돌출하여 많아지는 각도 범위가 나타나는지의 여부는 특정회전각도가 포함되는 횟수가 가장 많은 각도 범위와 다른 각도 범위에서 특정회전각도가 포함되는 횟수에 역치 이상의 차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판정된다.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낸 특정회전각도를 4개의 각도 범위로 나누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도 7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도 범위마다 특정회전각도를 나눈 경우, 45도~89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횟수가 돌출하여 많아진다. 이는, 60도 부근의 각도에 집중된 특정회전각도가 45~89도의 범위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도 7에 나타낸 특정회전각도의 분포가 FRID의 ID코드를 갖는 송신기(31)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우전차륜(FR)에 관한 것이었다고 하면, FRID의 ID코드를 갖는 송신기(31)는 우전차륜(FR)에 장착되었다고 특정할 수 있다. 즉, 수신 제어부(51)는 ID코드와 차륜(11)의 대응을 행할 수 있다. 수신 제어부(51)는 FFID, FRID, RLID, 및 RRID 각각과 4개의 차륜(11)을 대응지으면, 대응관계를 수신 기억부(55)에 기억하고 차륜위치 특정처리를 종료한다. 수신 제어부(51)는 특정부로서 기능한다. 즉, 특정부는 수신 제어부(51)의 기능의 일부로서 실현된다.
여기서,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의 특정은 특정회전각도를 얻지 않고, 제1취득회전각도 혹은 제2취득회전각도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취득회전각도를 상기한 각도 범위와 동일한 각도 범위로 나누고, 각도 범위에 제1취득회전각도가 포함되는 횟수로부터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제2취득회전각도의 취득수가 적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적산 분에 상당하는 제1취득회전각도를 취득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가사, 모든 송신 데이터를 수신회로(52)에서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취득된 회전각도가 같도록 분포한다고 하면, 제1취득회전각도를 포함하는 횟수가 돌출하여 많아지는 각도 범위가 나타나기 위하여 요구되는 시간은, 특정회전각도를 포함하는 횟수가 돌출하여 많아지는 각도 범위가 나타나기 위하여 요구되는 시간의 2배가 된다. 제2취득회전각도를 사용하여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취득회전각도가 각도 범위에 포함되는 횟수를 사용한 차륜위치 특정처리만이 아니라, 주행에 따른 차륜(11)끼리의 회전수(회전속도)의 차를 이용한 차륜위치 특정처리에 대하여는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차륜(11)끼리의 회전수(회전속도)의 차가 발생하는 것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회전각도의 샘플수가 소정 수 이상 필요하다. 특정각도가 복수 설정되고, 취득회전각도가 제1취득회전각도와 제2취득회전각도로 분산되면, 송신 데이터의 송신 횟수에 대하여 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샘플수도 분산되어 버린다. 반면, 특정회전각도를 사용함으로써 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샘플수를 집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정회전각도를 사용하여 차륜위치 특정처리를 행함으로써, 취득회전각도를 보정하지 않고 차륜위치 특정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단시간에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회전각도를 사용한 차륜위치 특정처리의 일례로서, 각도 범위에 특정회전각도가 포함되는 횟수로부터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하는 것을 기재하였으나, 그 이외에도 다양한 태양으로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회전각도를 복수회 취득하고, 복수의 특정회전각도의 편차로부터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회전각도를 얻을 때에 1회 전에 얻어진 특정회전각도의 각도차(이번 회에 얻어진 특정회전각도-1회 전의 특정회전각도)를 산출하고, 산출에 의해 얻어진 각도차가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는 횟수로부터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차륜위치 특정처리는 병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차륜위치 특정처리를 병행하여 행하고, 이들 차륜위치 특정처리 중 가장 빠르게 얻어진 판정결과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회의 차륜위치 특정처리의 판정결과의 일치성으로부터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동일한 판정결과가 얻어지면 당해 판정결과를 채용하고, 복수의 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서로 다른 판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다시 차륜위치 특정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수신 제어부(51)는 특정각도끼리의 각도차(등각도)를 사용하여 취득회전각도를 보정 또는 변환한다. 이에 의해 얻어진 특정회전각도는 일정각도(1개의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회전각도라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취득회전각도를 보정하지 않고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의 특정에 요구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복수의 특정각도에서 송신 데이터의 송신을 행함으로써, 어느 특정각도가 널 포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도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일정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회전각도로서 취급할 수 있는 특정회전각도를 사용하여 차륜위치 특정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특정각도에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함에 따른 널 포인트의 회피, 및 일정각도에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함에 따른 차륜위치 특정처리의 단축화라는 양자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2)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를 특정각도끼리의 각도차로 잉여연산함으로써 특정회전각도를 얻는다. 잉여연산을 행함으로써 취득회전각도의 값과 관계없이 특정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제어부(51)는 용이하게 특정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어, 수신 제어부(51)의 부하가 경감된다.
3) 제1취득회전각도와 제2취득회전각도에서 개별로,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하는 경우, 제1취득회전각도와 제2취득회전각도를 분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송신기(31)가 제1각도와 제2각도에서 교대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제1취득회전각도와 제2취득회전각도를 분류한다. 수신기(50)는 제1각도와 제2각도에서 교대로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면, 교대로 취득회전각도를 분류하면 된다. 또한, 통신환경의 영향 등으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여, 제1각도(혹은 제2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는 간격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 데이터를 수신한 간격이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는 간격의 2배 정도라면, 동일한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2회 연속으로 수신하였다고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회 연속으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의 특정이 곤란하게 된다. 이는, 수신 제어부(51)의 계시기능의 정밀도 등에 기인하여, 복수회 연속으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후에 수신된 송신 데이터가 제1각도에서 송신된 것인지, 제2각도에서 송신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즉, 취득회전각도를 제1취득회전각도로 분류할 것인지, 제2취득회전각도로 분류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없어진다.
송신 데이터에 특정각도를 나타내는 각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각도 데이터만큼 데이터의 길이가 길어진다.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기 길어지면 송신 데이터의 송신에 의한 전력소비가 커진다. 데이터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각도 데이터를 짧게(예를 들면, 1비트) 하면, 각도 데이터에 오차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오차를 검출할 수 없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면, 제1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수신 제어부(51)는 제2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였다고 오인할 우려가 있다. 결과적으로,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의 특정이 늦어지고, 특정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반면, 취득회전각도를 특정회전각도로 변환하면, 제1취득회전각도이든 제2취득회전각도이든 동일한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회전각도라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회 연속으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도,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취득회전각도와 제2취득회전각도의 분류를 행할 필요가 없고, 송신 데이터 내에 각도 데이터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단축화되고, 나아가, 송신에 요구되는 전력의 저감에 기여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에 각도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각도 데이터에 오차가 발생함을 원인으로 한,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의 특정이 늦어지지 않는다.
또한,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ㆍ 특정회전각도의 산출태양은, 잉여연산 이외의 것일 수 있다.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180도 이상인 경우에는 취득회전각도로부터 180도를 감산함으로써 특정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180도 미만인 경우에는 그대로의 값을 특정회전각도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범위(0도~18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당해 취득회전각도의 보정(변환)을 행함으로써, 소정의범위 내에 포함되는 특정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다. 소정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회전각도가 취득된 경우에는 보정연산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리시산을 단축할 수 있다.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180도 미만인 경우에는 취득회전각도에 180도를 가산함으로써 특정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180도 이상인 경우에는 그대로의 값을 특정회전각도로 한다.
이 경우에도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범위(180도~360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당해 취득회전각도의 보정(변환)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특정회전각도를 얻는다. 따라서, 소정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회전각도가 취득된 경우에는 보정연산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180도 미만이면 취득회전각도에 제1소정값을 가산하고, 취득회전각도가 180도 이상이면 제2소정값을 취득회전각도에서 감산함으로써 특정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다. 제1소정값과 제2소정값을 조합하면 90도와 90도, 1-도와 80도 등, 합계값이 180도가 되는 값이면 된다.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를 주기가 π인 삼각함수(tan 또는 cot)로 함으로써, 특정회전각도로 할 수도 있다.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180도 이외이면 당해 취득회전각도를 주기가 π인 삼각함수로 변환한다.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180도이면 취득회전각도가 180도 이외인 경우에 삼각함수가 취할 수 있는 값의 최대값보다 큰 수를 특정회전각도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취득회전각도를 특정각도끼리의 각도차의 값을 사용하여 보정한다"란, 특정각도끼리의 각도차(등각도)의 값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특정각도에서 송신되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각각 취득된 복수의 취득회전각도를, 동일한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취득회전각도라고 간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취득회전각도의 값에 따라 가산이나 감산 등을 행하는 것을 판정하는 처리에 대하여도 보정처리 또는 변환처리에 포함된다.
ㆍ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각도는 3개 이상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특정각도는 등각도를 두고 설정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각도끼리의 차는 120도일 수 있고, 90도일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각도끼리의 차가 120도인 경우,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를 120도로 잉여연산함으로써 특정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120도 이상 240도 미만인 경우에는 취득회전각도에서 120도를 감산하고, 취득회전각도가 240도 이상인 경우에는 취득회전각도에서 240도(120도×2)를 감산함으로써 특정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120도 미만인 경우에는 그대로의 값을 특정회전각도로 한다.
수신 제어부(51)는 취득회전각도가 120도 미만인 경우에는 취득회전각도에 240도(120도×2)를 가산하고, 취득회전각도가 120도 이상 240도 미만인 경우에는 취득회전각도에 120도를 가산함으로써 특정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취득회전각도가 240도 이상인 경우에는 그대로의 값을 특정회전각도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각도가 3개 설정되는 경우, 2개의 취득회전각도는 1개의 취득회전각도에 맞추어 값이 변경되게 된다. 즉, 소정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취득회전각도는 소정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보정된다.
ㆍ 각도 범위는 특정회전각도가 취할 수 있는 범위를 5등분한 각도 범위나, 6등분한 각도 범위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값으로 등분된 복수의 각도 범위를 사용하여 각 송신기(31)가 어느 차륜(11)에 장착되었는지가 특정될 수 있다.
ㆍ 제1각도와 제2각도에서 교대로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각도와 제2각도에서 랜덤으로 송신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고, 소정 횟수마다 제1각도에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지, 제2각도에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지가 전환될 수도 있다.
ㆍ 수신 기억부(55)는 차륜(11)에 장착된 송신기(31)의 ID코드 및 스페어 타이어에 장착된 송신기(31)의 ID코드가 기억될 수 있다. 또한, 여름용 타이어에 장착된 송신기(31)의 ID코드 및 겨울용 타이어에 장착된 송신기(31)의 ID코드의 양쪽이 수신 기억부(55)에 기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 제어부(51)는 수신빈도가 높은 상위 4륜까지의 ID코드에 대하여 타이어(13)의 이상을 알릴 수 있다.
ㆍ 차량(10)은 복수의 차륜(11)을 구비한 것이면 되며, 예를 들면, 2륜차일 수 있다.
ㆍ 실시형태에서는 펄스 카운트값을 회전각도로 변환하여 각종 처리를 행하였으나, 펄스 카운트값이 회전각도를 나타내는 것을 고려하면, 펄스 카운트값을 사용하여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회전각도는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을 48로 잉여연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회전각도"란 회전각도 그 자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각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면 된다고 할 수 있다.
10: 차량
11: 차륜
21~24: 회전 센서 유닛
25: ABS 컨트롤러
31: 송신기
50: 수신기
51: 수신용 제어부(취득부, 보정부, 및 특정부)
52: 수신회로(수신부)

Claims (3)

  1. 복수의 차륜 각각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부를 갖는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복수의 차륜 각각에 장착된 송신기가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어느 차륜에 장착되었는지를 특정 가능하게 구성된 수신기로서,
    상기 차륜이 상기 회전각도가 취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등각도를 두고 설정된 복수의 다른 특정각도 중 어느 특정각도가 된 것을 상기 송신기가 검출한 때에 당해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하여,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로부터 복수의 차륜 각각의 상기 회전각도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각 차륜에 대해서,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회전각도를 상기 특정각도끼리의 각도차의 값을 사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다른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회전각도를, 동일한 특정각도에서 송신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취득된 회전각도로 간주할 수 있는 특정회전각도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보정부와,
    각 차륜에 대한 상기 특정회전각도의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ID코드와 상기 차륜의 대응을 행하도록 구성된 특정부를 구비하는,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상기 회전각도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경우, 당해 회전각도를,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상기 특정회전각도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회전각도를 상기 특정회전각도끼리의 각도차의 값으로 잉여연산하여 얻어진 값을, 상기 특정회전각도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KR1020187009683A 2017-04-27 2017-04-27 수신기 KR102068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6768 WO2018198271A1 (ja) 2017-04-27 2017-04-27 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849A KR20180135849A (ko) 2018-12-21
KR102068579B1 true KR102068579B1 (ko) 2020-01-21

Family

ID=6391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683A KR102068579B1 (ko) 2017-04-27 2017-04-27 수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25779B2 (ko)
EP (1) EP3418079B1 (ko)
JP (1) JP6700386B2 (ko)
KR (1) KR102068579B1 (ko)
CN (1) CN109153297B (ko)
WO (1) WO20181982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7444A (zh) * 2020-06-16 2020-09-22 浙大宁波理工学院 一种汽车轮毂立体识别码的识别与定位方法及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7347A1 (en) * 2015-08-07 2017-02-16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Wireless system for determining displacement of spinning components
WO2018198270A1 (ja) * 2017-04-27 2018-11-01 太平洋工業 株式会社 受信機、及び、送信機ユニット
CN108583170B (zh) * 2018-05-23 2021-01-0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轮胎自定位系统及方法
CN111016553A (zh) * 2019-12-27 2020-04-17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车轮定位方法、系统及电子控制单元、胎压传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22B1 (ko) * 2012-12-21 2014-04-2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타이어 압력 감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및 타이어 압력 감지 모듈의 위치 자동 할당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4137A (en) * 1996-12-09 1998-06-09 Chrysl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loss of pressure in tires of a vehicle
JP4507729B2 (ja) * 2004-07-15 2010-07-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モニター装置
JP5182030B2 (ja) * 2008-11-19 2013-04-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モニター装置およびタイヤ空気圧モニター方法
CA2774561A1 (en) * 2009-09-22 2011-03-31 Schrader Electron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o-location of a wheel in a vehicle using wheel phase angle information
US8436724B2 (en) 2010-11-05 2013-05-07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re condition and location
CN102252691B (zh) 2011-04-14 2013-11-13 广州市计量检测技术研究院 一种汽车轮胎修正系数的测量方法
JP5954006B2 (ja) * 2012-07-13 2016-07-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輪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JP5910402B2 (ja) 2012-08-06 2016-04-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輪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KR101351920B1 (ko) * 2012-08-21 2014-0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2015013635A (ja) * 2012-12-27 2015-01-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イヤ位置判定システム
US9031738B2 (en) 2013-01-24 2015-05-12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re condition and location using wheel speed sensors and acceleration sensors
JP6084515B2 (ja) 2013-05-24 2017-02-22 太平洋工業株式会社 車輪位置判定装置
US9278590B2 (en) * 2013-08-22 2016-03-08 Schrader Electron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o-location of a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arranged with a vehicle wheel using confidence interval analysis and change of wheel direction
JP2015117006A (ja) * 2013-11-15 2015-06-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イヤ位置判定システム
FR3015370B1 (fr) * 2013-12-20 2016-02-12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mission de signaux d'identification formules selon n protocoles differents, par un boitier electronique equipant une roue d'un vehicule
JP2015186991A (ja) * 2014-03-13 2015-10-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イヤ位置登録システム
CN105984288B (zh) * 2015-02-03 2018-11-16 车王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胎压监测系统的学码方法
JP5956021B1 (ja) 2015-05-28 2016-07-20 太平洋工業株式会社 車輪位置特定装置
EP3168066B1 (en) 2015-09-09 2019-07-03 Pacific Industrial Co., Ltd. Tire condition detection device, and wheel position identification device
EP3170683B1 (en) * 2015-09-09 2020-11-04 Pacific Industrial Co., Ltd. Wheel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22B1 (ko) * 2012-12-21 2014-04-2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타이어 압력 감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및 타이어 압력 감지 모듈의 위치 자동 할당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7444A (zh) * 2020-06-16 2020-09-22 浙大宁波理工学院 一种汽车轮毂立体识别码的识别与定位方法及其装置
CN111687444B (zh) * 2020-06-16 2021-04-30 浙大宁波理工学院 一种汽车轮毂立体识别码的识别与定位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00386B2 (ja) 2020-05-27
US20190070908A1 (en) 2019-03-07
US10525779B2 (en) 2020-01-07
EP3418079A1 (en) 2018-12-26
JPWO2018198271A1 (ja) 2019-11-07
CN109153297B (zh) 2020-10-27
KR20180135849A (ko) 2018-12-21
EP3418079B1 (en) 2021-02-24
WO2018198271A1 (ja) 2018-11-01
CN109153297A (zh) 2019-01-04
EP3418079A4 (en)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579B1 (ko) 수신기
US10882366B2 (en) Electronic wheel unit for a vehicle wheel,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wheel unit of this kind
KR101772349B1 (ko) 차륜 위치 특정 장치
JP6027266B1 (ja) タイヤ状態検出装置、及び、タイヤ状態監視装置
EP3308985B1 (en) Wheel position identification device
KR102068577B1 (ko) 수신기, 및 송신기 유닛
KR102219872B1 (ko)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JP5830429B2 (ja) 車輪位置判定装置
KR20200039614A (ko)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KR102087995B1 (ko) 수신기 및 송신기 유닛
JP5955812B2 (ja) 位置特定装置及び車輪側ユニット
JP2013226861A (ja) 車輪位置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