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501B1 -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501B1
KR102065501B1 KR1020180026806A KR20180026806A KR102065501B1 KR 102065501 B1 KR102065501 B1 KR 102065501B1 KR 1020180026806 A KR1020180026806 A KR 1020180026806A KR 20180026806 A KR20180026806 A KR 20180026806A KR 102065501 B1 KR102065501 B1 KR 102065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tanol
red ginseng
acetonitril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974A (ko
Inventor
허준혁
한성태
심성례
구본석
박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80026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50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하고, 경피흡수도가 높고, 제형안정성이 우수하므로 피부 주름개선용, 피부 탄력 증진용, 창상 치유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aging}
본 발명은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고, 제형이 안정하며, 경피 흡수도가 우수하다.
사람들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노화 현상이 심화된다. 특히 피부의 경우 그 변화가 심해지며, 이는 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일광으로 인해 주름살이 증가하고 피부가 두꺼워지고 탄력이 없어지고, 또한 건조해짐에 따라 거칠어지고 반점이 된다. 일광에 의한 이러한 영향을 광노화라고 하며, 일광으로 인해 표피와 진피조직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피부노화는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시키면서도 생체에 안전한 물질을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른 물질로서 인삼 새싹 추출물을 이용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콜라겐은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주요 구성성분이며,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이다. 또한,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견고한 3중 나선 구조로 되어있다. 콜라겐은 피부, 건(tendon), 뼈 및 치아의 유기물질의 대부분을 형성하는데, 특히 뼈와 피부(지피)에 함량이 높다. 대부분의 다른 체내 구조물에서는 섬유상 봉입체로서 존재한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피부에서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콜라겐은 상처치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손상된 상피에서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켜서 상처를 신속하고 흉터 없이 회복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콜라겐 합성 촉진에 의해 콜라겐 대사가 활발해지면 진피 매트릭스의 성분이 증가되어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강화 및 상처치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종래에는 콜라겐의 피부 보습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화장품에 콜라겐을 배합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흡수가 어려워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피부 기능 개선이라고 말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종래의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는 레티논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레티논산은 불안정하고 피부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정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고,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 촉진에 의한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기존의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보다 효과가 높은 새로운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안전하고 독성이 적은 한약재 중에서 피부 노화나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원료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홍삼 추출물을 특정 조건에서 HPLC하여 수득한 HPLC 분획물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를 억제시킴을 확인하면서도, 제형안정성 효과가 있고, 경피흡수도가 높은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5-0059551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노화를 개선하기 위해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는 천연 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홍삼 추출물의 HPLC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홍삼 물 추출물을 부탄올로 분획하고 부탄올층만을 분리하여 얻어진 부탄올 분획물, 또는 홍삼 물 추출물을 컬럼 정제 분획하여 얻어진 컬럼 정제 분획물을 HPLC로 정제하는 단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하고, 경피 흡수도가 높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노화 개선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의 분획물(실험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기타분획(대조군2)는 부탄올 분획 후에 부탄올층을 수득하고 난 후의 물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의 분획물(실험군)의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일컫는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의미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제한 없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원에 일컫는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 및 미화하여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및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조성물로 세정제(detergents) 및 화장제(cosmetics)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홍삼 추출물의 HPLC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홍삼 물 추출물을 부탄올로 분획하고 부탄올층만을 분리하여 얻어진 부탄올 분획물, 또는 홍삼 물 추출물을 컬럼 정제 분획하여 얻어진 컬럼 정제 분획물을 HPLC로 정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은 원료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원료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홍삼 물 추출물을 부탄올로 분획시에는 상기 홍삼 물 추출물 1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부탄올은 0.1 내지 25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홍삼 물 추출물 1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부탄올은 1 내지 20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홍삼 물 추출물 1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부탄올은 5 내지 15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부탄올은 부탄올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수포화 부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부탄올을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충분히 분획되지 않을 수 있고, 부탄올을 상한값을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또한, 부탄올 분획에서 부탄올 용매를 증발시키는데 다량의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며,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홍삼 물 추출물을 컬럼 정제 분획시에 사용되는 컬럼에는 실리카 겔, 활성 알루미나, 합성 고분자, 규산마그네슘, 활성탄, 셀룰로오스, 이온 교환 수지 등의 충진제가 이용될 수 있고, 실리카 겔 또는 방향족계 합성수지가 충진제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향족계 합성수지 사용시, 방향족 타입의 합성 흡착제 컬럼일 수 있으며, Diaion HP-20 합성 흡착제가 충진제로 이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컬럼을 이용한 분리는 원하는 순도의 분획물이 정제될 때까지 1회 내지 수회에 걸쳐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농축, 재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는 물, 유기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용매는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C1 내지 C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가 에탄올일 경우, 상기 탈착 용매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상기 탈착 용매는 40 내지 100%(v/v) 미만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00%(v/v) 미만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v/v) 미만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탈착 용매로 사용되는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얻어지는 분획물의 콜라겐 합성능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인 에탄올 수용액 첨가시에는 에탄올 수용액을 컬럼에 흘려주는 것, 예를 들면 가압하여 흘려주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부탄올 분획물 또는 컬럼 정제 분획물을 HPLC로 정제시, 물과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된 전개 용매(물:아세토니트릴 = 50~85:50~15)로 농도구배를 주면서 순차적으로 전개할 수 있다. 상기 HPLC 분획 단계는 물과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된 전개 용매(물:아세토니트릴 = 55~80:45~20)를 사용시 나타나는 피크 부분을 회수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과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된 전개 용매(물:아세토니트릴 = 60~75:40~25)를 사용시 나타나는 피크 부분을 회수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과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된 전개 용매(물:아세토니트릴 = 68~72:32~78)를 사용시 나타나는 피크 부분을 회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의 HPLC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창상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피부 섬유아세포의 주된 기능으로 세포외기질 합성과 증식을 통한 손상된 피부 조직 재생 등을 들 수 있는데, 광노화와 같은 외인성 노화 요인 또는 유리 산소에 의한 손상 누적, 텔로미어 단절로 인한 세포 노화 등에 따른 내인성 노화 요인들은 진피층 내에 있는 피부 섬유아세포의 생리 활성 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콜라겐은 피부 세포외 기질 중 95% 이상을 차지하고, 세포의 부착분자(adhesion molecule) 및 세포 골격(cytoskeleton) 등과의 상호 작용과 신호 교류를 통해 섬유아세포의 생리 활성에 매우 주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콜라겐의 합성이 저하될 경우, 피부 조직 내 콜라겐 양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표면 장력이 감소되어 피부 탄력이 저하되고 피부 주름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세포의 증식 및 재생 기능을 포함하는 생리 활성 기능이 감소하는 악순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은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주름 형성 및 피부 손상 시 조직의 수복 또는 재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또는 프로콜라겐의 합성이 촉진되면,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재생, 피부 주름 개선, 상처 치유,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의 HPLC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므로 피부탄력 증가, 피부재생, 피부주름 개선, 상처치유,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주름 또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홍삼 물 추출물을 부탄올 분획하여 부탄올층을 수득한 부탄올 분획물, 또는 홍삼 물 추출물을 컬럼으로 정제하여 얻은 컬럼 정제 분획물을 각각 HPLC 진행하며, 물과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된 전개 용매(물:아세토니트릴 = 68~72:32~78)를 사용시 나타나는 피크 부분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HPLC 분획물은 단순 홍삼 추출물 또는 다른 조건에서 얻어진 분획물에 비해서 콜라겐 합성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분획물이 다른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고, 인삼 유래 추출물을 화장품 제형에 적용시 문제점이었던, 제형의 점도가 유지되지 않는 점, 제형의 변색이 단순 홍삼 추출물에 비해서 현저히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의 HPLC 분획물을 화장품 제형에 포함시켰을 때 경피 흡수 정도에 대해서 확인하였으며, 단순 홍삼 추출물에 비해서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의 HPLC 분획물이 진피 내로 흡수되는 정도가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의 HPLC 분획물은 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하고, 경피 흡수도가 높으면서도, 화장품 제형에 적용하였을 때 제형이 안정하므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창상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션제,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홍삼 물 추출물의 정제 분획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균 사멸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홍삼 추출물의 분획물의 제조
홍삼 추출물을 특정 조건에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이 단순 홍삼 추출물 또는 다른 조건에서 얻어진 분획물에 비해서 콜라겐 합성능과 같은 피부 미용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1-1> 홍삼 물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 제조
홍삼 분말에 물을 10배수 가하여 70℃ 내외에서 8시간 동안 3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 함량 30% 이내로 함유된 홍삼 물 추출 농축액 2kg 이상을 얻었다. 수득된 농축액 2kg을 증류수 5L에 희석시킨 후 24시간 동안 상온에 보관하였다. 희석된 농축액을 수포화 부탄올과 동량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희석된 농축액과 용매의 혼합물을 분획 깔대기에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분리시켰다. 분리된 층의 상층부를 회수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킨 후에 정제수를 넣고 -70℃에서 동결시킨 후 72시간 동안 동결건조기에 넣고 건조시켜 부탄올 분획물의 고형분(대조군 1)을 215g 얻었다. 분리된 층의 하층부(물층)는 따로 수득하였다(대조군 2).
<1-2> 홍삼 물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의 제조
제조예 1-1에서와 같이 얻어진 홍삼 물 추출 농축액 2kg을 증류수 5L에 희석시킨 후 HP-20 25L가 충전된(packing) 컬럼에 로딩시킨 후 정제수 20L, 30%(v/v) 에탄올 수용액 20L를 가하여 용해되어 나온 성분을 따로 수득하였다. 이후 컬럼에 50%(v/v) 에탄올 20L와 100%(v/v) 에탄올 20L를 가하여 용해되어 나오는 성분을 수득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킨 후에 정제수를 넣고 -70℃에서 동결시킨 후 72시간 동안 동결건조기에 넣고 건조시켜 고형분 150g을 얻었다.
<1-3> 홍삼 추출물의 HPLC 분획물 제조
상기 제조예 <1-1>, <1-2>에서 각각 얻어진 부탄올 분획물 또는 컬럼 정제 분획물에 대해 HPLC하였다. HPLC 조건은 하기와 같다.
사용기기: YMC LC-Forte/R
사용컬럼: YMC Actus Triart-C18 (250 X 30mm)
Run time: 90 min
Flow rate: 30ml/min
Injection volume: 10ml
용매 조건: H20:Acetnitrile = 80:20 -> 10:90
상기 조건으로 HPLC 진행 중 H20:Acetonitrile = 68:32 ~ 72:28인 조건에서 수득되는 분획만을 수득하였다(실험군). 제조예 <1-1>에서 얻어진 부탄올 분획물로부터 얻어진 HPLC 분획물을 실험군 1로 명명하고, 제조예 <1-2>에서 얻어진 컬럼 정제 분획물로부터 얻어진 HPLC 분획물을 실험군 2로 명명하였다.
또한, 대조군 3으로 H20:Acetonitrile = 10:90 조건에서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서 수득된, 실험군(1 및 2), 대조군 1 내지 대조군 3의 추출/분획 방법을 도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콜라겐 합성능 비교
피부섬유아세포(fibroblast) (ATCC, USA)를 24웰 플레이트에 1x105 씩 분주한 후 DMEM:F12 혼합배지에 10% 소혈청을 함유시킨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대조군 및 실험군을 각각 0.25 ~ 0.062 mg/ml 로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L-ascrobic acid 를 100ppm 농도로 처리하였다. 시료 처리 24시간 후 상층액만을 분리하여 상층액 내의 프로콜라겐형(I) ELISA 키트(procollagen type(I)) (Takara, Japan) 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증감 여부를 관찰하였다. 콜라겐 합성능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콜라겐 합성능을 확인한 결과,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서 최소 2배, 최대 10배 수준으로 상승하였으며, 극소량 (0.062 mg/ml) 에서도 유효한 효능이 나타났다.
<실시예 2> 제형안정성 확인
제조예에서 수득한 실험군, 대조군 시료를 다양한 폴리머가 함유된 화장품 제형에 함유시킨 후 다양한 환경에서 제형이 안정한지 확인하였다. 통상적으로 화장품 제형에 홍삼 성분을 과량으로 포함시키면, 점도가 낮아지며, 변색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점도 안정성 결과를 표 1에 나타내고, 변색 확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변색은 변색 정도에 따라 기호로 결과를 나타낸다.
◎: 색 변화가 육안으로 판별되며 색상이 짙은 제품에만 상용화 가능
○: 색 변화가 육안으로 판별되며 색상이 있는 제품에만 상용화 가능
△: 색 변화가 대조군과 비교시 판별되는 수준으로 상용화 가능
-: 육안으로 색 변화 없음.
점증제 종류 시료처리 후 점도(단위: cp)
정제수
99.0%
홍삼농축액
5.0%
실험군
0.5%
카르보폴 980 폴리머 0.2%
(제조사: Lubrizol)
56,590 0 48,300
카르보폴 981 폴리머 0.2%
(제조사: Lubrizol)
6,700 0 4,800
세피믹스 젠 1.0%
(제조사: seppic)
19,000 5,300 17,100
상온(25℃) 고온(50℃) 저온(4℃) 형광 UV 일광
홍삼농축액
(1.0%)
- - - -
실험군
(1.0%)
- - - - -
안정성 확인 결과, 단순 홍삼 추출물을 화장품 제형에 포함시키면 점도가 유지되지 않고 묽은 상태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실험군의 경우에는 정제수를 넣은 경우와 유사하게 점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색의 경우에도 실험군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경우에는 다양한 온도 및 빛 조건에서 변색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단순 홍삼 추출물을 화장품 제형에 포함시키는 경우, 고온이나 형광 조건에서 변색이 나타나 제형 안정성이 유지 되지 않았다.
화장품 제형의 이용시에는 기능뿐만 아니라 제형이 유지되어야 하고, 색의 경우에도 심미적 기능이 있는 것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분획물의 경우 화장품 제형에 포함시에 점도가 유지되고, 변색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시에 장점이 많다.
<실시예 3> 경피흡수도 측정
제조예에서 얻어진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돼지 피부에 도포한 후 8시간 유지시킨 후 피부의 각질층을 벗긴 후 표피 및 진피층을 클로로포름에 녹여낸 후 홍삼농축액 대비 실험군 및 대조군의 함량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유용성 유효성분은 진세노사이드 Rg1+Rg3(s)+Rh1의 합으로 측정하였으며,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1 대조군2 대조군3 실험군1 실험군2
유효성분 상대함량 1.74 - 2.10 4.83 4.07
확인 결과, 실험군(유용성 유효성분)의 흡수가 4.83배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 1 내지 3은 경피에 흡수되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HLPC 분획물(실험군 1, 실험군 2)은 경피흡수율을 높이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유용성 유효성분의 경피흡수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2-1> 에센스의 제조
제조예 <1-3>의 HPLC 분획물(실험군 1)을 이용하여 하기 표 4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 함량(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2
글리세린 4
부틸렌글리콜 2
제조예 <1-3>의 HPLC 분획물(실험군 1) 1.5
밀납 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스쿠알렌 4
정제수 적량
<2-2> 유연화장수의 제조
제조예 <1-3>의 HPLC 분획물(실험군 2)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는 하기 표 5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PEG-40
수소화 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제조예 <1-3>의 HPLC 분획물(실험군 2) 0.5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2-3> 영양 크림의 제조
제조예 <1-3>의 HPLC 분획물(실험군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영양크림은 하기 표 6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렌 3.8
제조예 <1-3>의 HPLC 분획물(실험군 1) 1.5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2-4> 로션의 제조
제조예 <1-3>의 HPLC 분획물(실험군 2)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로션을 하기 표 7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스테아린산 1.4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PEG-100 스테아레이트 2.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스쿠알렌 4.8
마카다이아오일 2
호호바오일 2
초산토코페롤 0.4
메틸폴리실록산 0.2
초산토코페롤 0.4
1,3-부틸렌글리콜 4
산탄검 0.1
글리세린 4
d-판데놀 0.15
제조예 <1-3>의 HPLC 분획물(실험군 2) 1.0
알란토인 0.1
카르보머(2% aq. Sol) 4
트리에탄올아민 0.15
에탄올 3
정제수 적량

Claims (9)

  1. 홍삼 물 추출물을 부탄올로 분획하고 부탄올층만을 분리하여 얻어진 부탄올 분획물, 또는 홍삼 물 추출물을 컬럼 정제 분획하여 얻어진 컬럼 정제 분획물을 HPLC로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HPLC 진행시, 물과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된 전개 용매(물:아세토니트릴 = 50~85:50~15)로 농도구배를 주면서 순차적으로 전개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홍삼 물 추출물의 HPLC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홍삼 물 추출물을 부탄올로 분획시에 상기 홍삼 물 추출물 1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부탄올은 0.1 내지 25중량부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탄올은 부탄올 수용액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탄올 수용액은 수포화 부탄올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럼은 실리카겔 또는 방향족계 합성 수지인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HPLC 분획 단계는 물과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된 전개 용매(물:아세토니트릴 = 55~80:45~20)를 사용시 나타나는 피크 부분을 회수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HPLC 분획 단계는 물과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된 전개 용매(물:아세토니트릴 = 60~75:40~25)를 사용시 나타나는 피크 부분을 회수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HPLC 분획 단계는 물과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된 전개 용매(물:아세토니트릴 = 68~72:32~28)를 사용시 나타나는 피크 부분을 회수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26806A 2018-03-07 2018-03-07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5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06A KR102065501B1 (ko) 2018-03-07 2018-03-07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06A KR102065501B1 (ko) 2018-03-07 2018-03-07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974A KR20190105974A (ko) 2019-09-18
KR102065501B1 true KR102065501B1 (ko) 2020-02-11

Family

ID=6807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806A KR102065501B1 (ko) 2018-03-07 2018-03-07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6335A (ko) 2022-09-30 2024-04-09 이광미 금속 티오옥토일 히알루로네이트 복합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123B1 (ko) * 2012-11-21 2015-03-1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22622B1 (ko) 2013-11-22 2019-09-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974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2082991B1 (ko) 녹용 고압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06712B1 (ko)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5501B1 (ko)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86307B1 (ko) 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1998B1 (ko) 프로테아제활성화수용체(par2)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7469A (ko) 바나듐 함유 미네랄 조성물과 봉독을 이용한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0955572B1 (ko)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3B1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637B1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5719A (ko) 라파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0380A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JP5769448B2 (ja) Dna修復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301603B1 (ko) 인삼 경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84559B1 (ko)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7998B1 (ko) 탱자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69810B1 (ko)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5449B1 (ko) 사포닌 함량이 강화된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항노화 조성물
KR100928125B1 (ko) 메타세콰이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023473B1 (ko) 미용 성분이 강화된 홍삼 분획물의 제조 방법
KR20100001167A (ko) 쿼시트린 및/또는 미리시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090073632A (ko) 예덕나무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