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741B1 -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 - Google Patents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741B1
KR102064741B1 KR1020170105244A KR20170105244A KR102064741B1 KR 102064741 B1 KR102064741 B1 KR 102064741B1 KR 1020170105244 A KR1020170105244 A KR 1020170105244A KR 20170105244 A KR20170105244 A KR 20170105244A KR 102064741 B1 KR102064741 B1 KR 102064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inted
printed material
attached
printed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379A (ko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김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재 filed Critical 김성재
Priority to KR1020170105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7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69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mprising a decorative sheet and a core formed by one or more resin impregnated sheets of pa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제 1 판재의 측면과 제 2 판재의 측면을 밀착시켜 목표 지점에 부착하는 단계; 제 1 판재의 상면과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 1 인쇄물을 제 1 판재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 제 2 판재의 상면에 제 2 인쇄물을 부착하는 단계; 및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을 제 2 인쇄물상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의 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METHOD FOR CONSTRUCTING DECORATION BY USING BOARD AND DECO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장식품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판재를 이용하여 벽 등을 장식하는 장식품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웰빙 열풍과 함께 획일적인 내부 공간에서 탈피하여 자신의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장식품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가구, 시계 등 장식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지만, 벽이나 책상 등에 부착되는 부착형 장식품은 아름다운 그림(또는 사진)을 감상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벽지가 붙여진 벽에 아름다운 그림이 인쇄된 부착형 장식품을 부착시키는 경우,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내부 공간의 분위기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부착형 장식품 중 대표적인 것으로 액자가 존재하지만, 액자는 크기상에 제약이 있으므로, 내부 공간의 분위기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못한다.
따라서, 대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아름다운 심미감을 줄 수 있는 부착형 장식품과 이의 시공 방법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은 대형 장식품을 시공하는데 있어 판재와 판재 사이의 경계 부분이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은 사용자에게 아름다운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은 간단한 방법으로 대형의 장식품을 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의 시공 방법은,
제 1 판재의 측면과 제 2 판재의 측면을 밀착시켜 목표 지점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판재의 상면과 상기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 1 인쇄물을 상기 제 1 판재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 2 판재의 상면에 제 2 인쇄물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을 상기 제 2 인쇄물상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품의 시공 방법은, 제 3 인쇄물의 하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리콘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 3 인쇄물을 상기 제 1 인쇄물 및 상기 제 2 인쇄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인쇄물 및 상기 제 2 인쇄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부착된 상기 제 3 인쇄물은, 상기 실리콘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 1 인쇄물 및 상기 제 2 인쇄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장식품의 시공 방법은, 상기 제 1 인쇄물의 상부 및 상기 제 2 인쇄물의 상부에 에폭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은,
서로의 제 1 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목표 지점에 부착되는 제 1 판재와 제 2 판재; 상기 제 1 판재의 상면과 상기 제 1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 1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1 인쇄물; 및 상기 제 2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2 인쇄물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은, 상기 제 2 인쇄물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장식품은, 상기 제 1 판재의 제 2 측면에 자신의 제 1 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목표 지점에 부착되는 제 3 판재; 상기 제 2 판재의 제 2 측면에 자신의 제 1 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목표 지점에 부착되는 제 4 판재; 상기 제 3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3 인쇄물; 및 상기 제 4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4 인쇄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3 판재와 상기 제 4 판재는 서로의 제 2 측면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쇄물은, 상기 제 2 판재의 상면과 상기 제 2 판재의 제 2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 2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 2 인쇄물의 돌출 영역은 상기 제 4 인쇄물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3 판재의 상면과 상기 제 3 판재의 제 1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 3 인쇄물의 돌출 영역은 상기 제 1 인쇄물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4 판재의 상면과 상기 제 4 판재의 제 2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 4 인쇄물의 돌출 영역은 상기 제 3 인쇄물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은,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된 제 1 경사면을 갖는 제 1 판재;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된 제 2 경사면을 갖는 제 2 판재; 상기 제 1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1 인쇄물; 및 상기 제 2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2 인쇄물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판재와 상기 제 2 판재는, 상기 제 1 경사면이 상기 제 2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목표 지점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은 대형 장식품을 시공하는데 있어 판재와 판재 사이의 경계 부분이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은 사용자에게 아름다운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은 간단한 방법으로 대형의 장식품을 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제 1 판재의 측면과 제 2 판재의 측면을 밀착시켜 목표 지점에 부착한다. 여기서, 제 1 판재 및 제 2 판재는 포맥스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의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표 지점은 벽, 천장, 책상 등 판재가 부착될 수 있는 다양한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제 1 판재의 상면과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 1 인쇄물을 제 1 판재의 상면에 부착한다. 예를 들어, 제 1 인쇄물은 이미지가 인쇄된 종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인쇄물은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인쇄물이 제 1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되, 제 1 인쇄물의 일부 돌출 영역은 제 1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측변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인쇄물에는 하나의 큰 이미지의 일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제 2 판재의 상면에 제 2 인쇄물을 부착한다. 여기서, 제 2 인쇄물의 크기는 제 2 판재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쇄물은 제 1 인쇄물과 마찬가지로 이미지가 인쇄된 종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쇄물에는 제 1 인쇄물에 인쇄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큰 이미지의 나머지 일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을 제 2 인쇄물상에 부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인쇄물에는 하나의 큰 이미지의 일부가 인쇄되어 있고, 제 2 인쇄물에는 상기 하나의 큰 이미지의 나머지 일부가 인쇄되어 있는데, 이때,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에는 제 2 이미지에 인쇄된 이미지의 일부와 동일한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을 제 2 인쇄물상에 부착하게 되면, 돌출 영역에 동일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으므로, 제 1 인쇄물과 제 2 인쇄물에 인쇄된 이미지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큰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제 1 판재의 측면과 제 2 판재의 측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목표 지점에 부착하게 되면, 제 1 판재의 측면과 제 2 판재의 측면 사이의 경계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인쇄물이 제 1 판재와 제 2 판재의 경계를 가리도록 제 1 판재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 2 인쇄물 상에 부착되므로, 제 1 판재와 제 2 판재 사이의 경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S150 단계에서, 제 1 인쇄물과 제 2 인쇄물 상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장식품의 시공을 완료한다.
한편, 상기 S110 단계 내지 S150 단계의 순서는 도 1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130 단계가 S120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고, S110 단계가 S140 단계나 S15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장식품의 시공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재(210)의 측면(211)과 제 2 판재(250)의 측면(251)이 밀착되고, 제 2 판재(250)의 상면(253)에 제 2 인쇄물(260)이 부착된다. 제 2 인쇄물(260)의 부착 전에 제 1 인쇄물(220)이 제 1 판재(210)의 상면(213)에 먼저 부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재(210)의 상면(213)에 제 1 인쇄물(220)을 부착하되, 제 1 인쇄물(220)의 일부 돌출 영역이 제 1 판재(210)의 상면(213)과 측면(211) 사이의 측변(212)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판재(210)와 제 2 판재(250)의 경계(230)를 가리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인쇄물(220)의 돌출 영역을 제 2 인쇄물(260) 상에 부착한다.
또한, 구현예에 따라서는, 제 1 인쇄물(220) 및 제 2 인쇄물(26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 제 3 인쇄물(290)을 더 부착할 수도 있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인쇄물(290)은 일정 높이를 갖는 3차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3 인쇄물(290)의 하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고, 실리콘 접착제가 도포된 제 3 인쇄물(290)을 제 1 인쇄물(220) 및 제 2 인쇄물(26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실리콘 접착제에 의해 제 3 인쇄물(290)은 제 1 인쇄물(220)의 표면 또는 제 2 인쇄물(26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3 인쇄물(290)을 소정 높이만큼 돌출시키기 위해, 제 3 인쇄물(290)의 하면 중앙 부분에는 많은 양의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고, 주변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실리콘 접착제만을 도포하거나,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단순 접착제만을 도포하여 부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1 인쇄물(220), 제 2 인쇄물(260) 및 제 3 인쇄물(290) 상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하나의 큰 이미지가 두 개의 인쇄물에 인쇄된 경우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예에 따라서 하나의 큰 이미지는 두 개를 초과하는 개수, 예를 들어, 4개의 인쇄물에 인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시공 방법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판재(310), 제 2 판재(330), 제 3 판재(350) 및 제 4 판재(370) 각각은 제 1 측면(311, 331, 351, 371) 및 제 2 측면(312, 332, 352, 372)을 포함한다. 제 1 판재(310)의 제 1 측면(311)이 제 2 판재(330)의 제 1 측면(331)에 밀착되고, 제 1 판재(310)의 제 2 측면(312)이 제 3 판재(350)의 제 1 측면(351)에 밀착되고, 제 2 판재(330)의 제 2 측면(332)이 제 4 판재(370)의 제 1 측면(371)에 밀착되고, 제 3 판재(350)의 제 2 측면(352)이 제 4 판재(370)의 제 2 측면(372)에 밀착될 수 있다.
제 1 인쇄물(320), 제 2 인쇄물(340), 제 3 인쇄물(360) 및 제 4 인쇄물(380) 각각은 제 1 판재(310) 내지 제 4 판재(370) 각각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쇄물(320)의 돌출 영역은 제 1 판재(310)의 제 1 측면(311)쪽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되며, 제 2 인쇄물(340)의 돌출 영역은 제 2 판재(330)의 제 2 측면(332)쪽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되며, 제 3 인쇄물(360)의 돌출 영역은 제 3 판재(350)의 제 1 측면(351)쪽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되고, 제 4 인쇄물(380)의 돌출 영역은 제 2 측면(372)쪽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된다.
제 1 인쇄물(320), 제 2 인쇄물(340), 제 3 인쇄물(360) 및 제 4 인쇄물(380)에는 하나의 큰 이미지의 다른 부분들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데, 제 1 인쇄물(320)의 돌출 영역에는 제 2 인쇄물(340)에 인쇄된 이미지의 일부와 동일한 이미지가 인쇄되고, 제 2 인쇄물(340)의 돌출 영역에는 제 4 인쇄물(380)에 인쇄된 이미지의 일부와 동일한 이미지가 인쇄되고, 제 3 인쇄물(360)의 돌출 영역에는 제 1 인쇄물(320)에 인쇄된 이미지의 일부와 동일한 이미지가 인쇄된다. 또한, 제 4 인쇄물(380)의 돌출 영역에는 제 3 인쇄물(360)에 인쇄된 이미지의 일부와 동일한 이미지가 인쇄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쇄물(320)은 제 1 판재(310)와 제 2 판재(330) 사이의 경계(315)를 가리도록 제 1 판재(310)의 상면 및 제 2 인쇄물(340)의 상면에 부착되고, 제 2 인쇄물(340)은 제 2 판재(330)와 제 4 판재(370) 사이의 경계(335)를 가리도록 제 2 판재(330)의 상면 및 제 4 인쇄물(380)의 상면에 부착된다. 또한, 제 3 인쇄물(360)은 제 1 판재(310)와 제 3 판재(350) 사이의 경계(355)를 가리도록 제 3 판재(350)의 상면 및 제 1 인쇄물(320)의 상면에 부착되고, 제 4 인쇄물(380)은 제 3 판재(350)와 제 4 판재(370) 사이의 경계(375)를 가리도록 제 4 판재(370)의 상면과 제 3 인쇄물(360)의 상면에 부착된다.
제 1 인쇄물(320), 제 2 인쇄물(340), 제 3 인쇄물(360) 및 제 4 인쇄물(380)의 돌출 영역에는 중복된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으므로, 제 1 인쇄물(320), 제 2 인쇄물(340), 제 3 인쇄물(360) 및 제 4 인쇄물(380) 각각에 인쇄된 이미지가 결합하여 하나의 큰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3차원 형상을 갖도록 추가적인 인쇄물이 제 1 인쇄물(320), 제 2 인쇄물(340), 제 3 인쇄물(360) 및 제 4 인쇄물(380)의 상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더 부착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에폭시가 인쇄물들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품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앞서서는, 어느 하나의 인쇄물이 판재와 판재 사이의 경계를 가리도록 판재 상에 부착되었지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와 판재 사이의 경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 1 판재(410) 및 제 2 판재(450)에 경사면(411, 45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판재(410)의 제 1 경사면(411)과 제 2 판재(450)의 제 2 경사면(451)은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재(410)의 상면에는 제 1 인쇄물(420)이 부착되고, 제 2 판재(450)의 상면에는 제 2 인쇄물(460)이 부착된다. 이때, 제 2 판재(450)의 제 2 경사면(451)상에는 제 2 인쇄물(460)이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인쇄물(420)에는 하나의 큰 이미지의 일부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고, 제 2 인쇄물(460)에는 하나의 큰 이미지의 다른 일부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51)을 밀착시켜 목표 지점에 부착하면, 도 4d와 같이, 제 1 인쇄물(420)에 인쇄된 이미지와 제 2 인쇄물(460)에 인쇄된 이미지가 결합하여 하나의 큰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판재들의 측면이 밀접한 상태에서 목표 지점에 부착되면, 판재들 사이의 경계가 외부로 명확하게 노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각 판재의 측면이 고르게 가공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판재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경계가 울퉁불퉁해지거나 경계의 틈새가 보여 미관상으로 좋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인쇄물이 경계를 가리도록 인쇄물을 판재에 부착하거나, 각 판재에 경사면을 가공한 경우, 인쇄물들 사이의 경계나 각 판재 사이의 경계의 깊이가 매우 얕아지기 때문에 사람들에 의해 인식이 어려워지고 그에 따라 심미감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210, 310, 410: 제 1 판재
220, 320, 420: 제 1 인쇄물
250, 330, 450: 제 2 판재
260, 340, 460: 제 2 인쇄물
350: 제 3 판재
360: 제 3 인쇄물
370: 제 4 판재
380: 제 4 인쇄물

Claims (7)

  1. 제 1 판재의 측면과 제 2 판재의 측면을 밀착시켜 목표 지점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판재의 상면과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 1 인쇄물을 상기 제 1 판재의 상면 전체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 2 판재의 상면 전체 영역에 제 2 인쇄물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을 상기 제 2 인쇄물상에 겹쳐서 부착하는 단계;
    제 3 인쇄물의 하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 3 인쇄물을 상기 제 1 인쇄물 및 상기 제 2 인쇄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인쇄물, 상기 제 2 인쇄물 및 상기 제 3 인쇄물의 상부에 에폭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인쇄물의 하면 중앙 부분에는 주변 부분에 비해 많은 양의 실리콘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 1 인쇄물 및 상기 제 2 인쇄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기 제 1 인쇄물은 원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쇄물은 상기 원 이미지의 나머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에는 상기 제 2 인쇄물에 인쇄된 이미지의 일부가 인쇄되어 있어 상기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이 상기 제 2 인쇄물에 겹쳐서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인쇄물 및 상기 제 2 인쇄물에 의해 상기 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의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서로의 제 1 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목표 지점에 부착되는 제 1 판재와 제 2 판재;
    상기 제 1 판재의 상면과 제 1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 1 판재의 상면 전체 영역에 부착되는 제 1 인쇄물;
    상기 제 2 판재의 상면 전체 영역에 부착되는 제 2 인쇄물; 및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 1 인쇄물 및 상기 제 2 인쇄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부착된 제 3 인쇄물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은, 상기 제 2 인쇄물상에 겹쳐서 부착되며,
    제 3 인쇄물의 하면 중앙 부분에는 주변 부분에 비해 많은 양의 실리콘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 1 인쇄물 및 상기 제 2 인쇄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기 제 1 인쇄물은 원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쇄물은 상기 원 이미지의 나머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에는 상기 제 2 인쇄물에 인쇄된 이미지의 일부가 인쇄되어 있어 상기 제 1 인쇄물의 돌출 영역이 상기 제 2 인쇄물에 겹쳐서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인쇄물 및 상기 제 2 인쇄물에 의해 상기 원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제 1 인쇄물, 상기 제 2 인쇄물 및 상기 제 3 인쇄물의 상부에는 에폭시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품은,
    상기 제 1 판재의 제 2 측면에 자신의 제 1 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목표 지점에 부착되는 제 3 판재;
    상기 제 2 판재의 제 2 측면에 자신의 제 1 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목표 지점에 부착되는 제 4 판재;
    상기 제 3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4 인쇄물; 및
    상기 제 4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5 인쇄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3 판재와 상기 제 4 판재는 서로의 제 2 측면이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물은, 상기 제 2 판재의 상면과 상기 제 2 판재의 제 2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 2 판재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 2 인쇄물의 돌출 영역은 상기 제 5 인쇄물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3 판재의 상면과 상기 제 3 판재의 제 1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 4 인쇄물의 돌출 영역은 상기 제 1 인쇄물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4 판재의 상면과 상기 제 4 판재의 제 2 측면 사이의 측변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 5 인쇄물의 돌출 영역은 상기 제 4 인쇄물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7. 삭제
KR1020170105244A 2017-08-21 2017-08-21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 KR102064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44A KR102064741B1 (ko) 2017-08-21 2017-08-21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44A KR102064741B1 (ko) 2017-08-21 2017-08-21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379A KR20190020379A (ko) 2019-03-04
KR102064741B1 true KR102064741B1 (ko) 2020-01-10

Family

ID=6576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244A KR102064741B1 (ko) 2017-08-21 2017-08-21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7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379A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54428A (ja) 携帯電子装置用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325934A (zh) 具有圖案的殼體及其圖案印刷方法
KR101714309B1 (ko) 외장재
KR102064741B1 (ko) 판재를 이용한 장식품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장식품
US20060169105A1 (en) Button structure with three-dimensional stripes
TW201823381A (zh) 仿金屬質感裝飾板及其製作方法
EP102800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irror with a decoration and/or image
US20090218029A1 (en) Process for transforming printed works to a composition of tiles
JP3240404U (ja) 電子携帯端末器用装飾シート
KR101873020B1 (ko) 지문센서 장식 형성방법 및 지문센서 장식 형성구조
KR20200100393A (ko) 원목베젤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810833B1 (ko)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
CN210235738U (zh) 具有镶嵌式装饰卡扣的包装盒
KR200251816Y1 (ko) 장식 순금판
WO2011143395A1 (en) Article of apparel with image of instant photograph
KR200284210Y1 (ko) 인물이 조각된 목각 액자
JP2985923B2 (ja) 窯業系板材の化粧方法
KR20050020145A (ko) 이미지가 형성된 목재패널의 제조방법
JP2005066833A (ja) 米粒人形、米粒人形の製造方法、アクセサリ−及びアクセサリ−の製造方法
KR101894053B1 (ko)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KR20160000721U (ko) 서로 다른 느낌을 부여하는 양면사용이 가능한 액자
KR101475176B1 (ko) 자개 장식물의 성형방법
JP2006137475A (ja) クリアケースとその製造方法
KR960002709Y1 (ko) 도금 장식품
KR200261508Y1 (ko) 사진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